KR20140002515U - 밀폐뚜껑 - Google Patents

밀폐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515U
KR20140002515U KR2020120009539U KR20120009539U KR20140002515U KR 20140002515 U KR20140002515 U KR 20140002515U KR 2020120009539 U KR2020120009539 U KR 2020120009539U KR 20120009539 U KR20120009539 U KR 20120009539U KR 20140002515 U KR20140002515 U KR 201400025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ontainer
cover
state
cov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조
Original Assignee
황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조 filed Critical 황영조
Priority to KR2020120009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515U/ko
Publication of KR20140002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5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025Closure members opened by lever action and maintained closed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19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bottom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from the bottom of a superimp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착조정부의 조작에 의해 밀폐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밀폐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은, 상측으로 개방된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측 테두리가 걸쳐지는 단부(段部)가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용기의 상측 테두리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용기를 상측으로부터 폐쇄하며, 상기 단부의 하부에 외주를 따라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측과 연결되며, 상기 밀폐뚜껑을 상기 용기에 삽입할 때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의 외주를 따라 장착되며, 탄성재질인 밀폐띠;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를 서로 밀어내는 스프링; 및 일단부는 상기 밀폐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타단부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탈착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가 가장 멀리 떨어진 제1상태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가 상기 제1상태보다 가까워져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밀폐부와 상기 밀폐띠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띠를 외측으로 밀어낸 제2상태 사이에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스프링의 힘을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의 구속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일렬로 배치되어상기 제2부재와 상기 커버부의 구속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되며,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커버부가 접촉한 상태로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가 상대 이동하되,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커버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상기 커버부에 대해 상기 밀폐부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뚜껑{Air-tight cover}
본 고안은 밀폐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착조정부의 조작에 의해 밀폐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밀폐뚜껑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하고자, 내부로 공기의 침입을 방지하는 밀폐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밀폐용기는, 상부로 개방된 용기와 이러한 용기의 상부를 폐쇄하는 밀폐뚜껑으로 구성되며, 용기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밀폐뚜껑은 탄성이 있는 고무 혹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져, 밀폐뚜껑의 탄성에 의해 용기와의 틈을 막아 밀폐상태를 만들어낸다.
상기와 같은 밀폐뚜껑의 경우, 그 재질이 유연할수록 그 자체의 형태가 자유롭게 변형되므로, 개폐가 용이하지만 밀폐력이 떨어지게 되며, 반대로 그 재질이 단단할수록 용기 내벽에 빡빡하게 끼워지므로 밀폐력이 우수하지만 개폐가 어려워진다. 또한, 밀폐용기를 반복 사용할 경우, 밀폐뚜껑의 밀폐력은 서서히 떨어지게 되어,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밀폐뚜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착조정부의 조작에 의해 밀폐 상태를 조정하여 밀폐력이 우수하고 반복사용하더라도 밀폐력이 유지되는 밀폐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은, 상측으로 개방된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측 테두리가 걸쳐지는 단부(段部)가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용기의 상측 테두리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용기를 상측으로부터 폐쇄하며, 상기 단부의 하부에 외주를 따라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측과 연결되며, 상기 밀폐뚜껑을 상기 용기에 삽입할 때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의 외주를 따라 장착되며, 탄성재질인 밀폐띠;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를 서로 밀어내는 스프링; 및 일단부는 상기 밀폐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타단부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탈착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가 가장 멀리 떨어진 제1상태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가 상기 제1상태보다 가까워져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밀폐부와 상기 밀폐띠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띠를 외측으로 밀어낸 제2상태 사이에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스프링의 힘을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의 구속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일렬로 배치되어상기 제2부재와 상기 커버부의 구속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되며,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커버부가 접촉한 상태로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가 상대 이동하되,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커버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상기 커버부에 대해 상기 밀폐부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는 다른 용기의 하측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다른 용기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내측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은, 밀폐력이 우수하고 반복사용하더라도 밀폐력이 유지된다. 또한, 다른 밀폐용기를 적층할 수 있고, 적층 후 적층이 해제되기 전까지 용기와의 해제가 불가능하므로, 적층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 및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밀폐뚜껑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의 밀폐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 3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버부의 삽입홈에 용기의 돌출부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100) 및 용기(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밀폐뚜껑(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100)은 상측으로 개방된 용기(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기(1)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뚜껑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100)은, 커버부(10), 밀폐부(20), 밀폐띠(30), 스프링(40) 및 탈착조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부(10)는 용기(1)를 상측으로부터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커버부(10)가 용기(1)에 장착되었을 때 용기(1) 밖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부(11), 용기(1) 내에 삽입되는 부분을 하부(12)라고 하였을 경우, 이러한 상부(11)와 하부(12)는 외주를 따라 형성된 단부(段部, 13)에 의해 구분된다. 밀폐뚜껑(100)을 용기(1)에 장착했을 때에, 단부(13)에는 용기(1)의 상측 테두리(2)가 걸쳐지게 된다.
커버부(10)의 상측은 오목하게 내측으로 패여져 있으며, 중앙에는 후술할 탈착조정부(50)가 통과하는 관통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0)의 상측의 외주를 따라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어, 다른 용기의 하측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3)가 삽입될 수 있다.
커버부(10)의 하부(12)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삽입부(16)가 마련된다. 삽입부(16)는 후술할 밀폐부(20)가 상승할 경우 밀폐부(20)와 밀폐띠(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밀폐띠(30)를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용기(1) 내부와 외부 간의 밀폐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밀폐부(20)는 커버부(10)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커버부(10)의 하측과 연결되며, 밀폐뚜껑(100)을 용기(1)에 삽입했을 때 용기(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밀폐부(20)는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커버부(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네 개의 연결부(21)를 통해 커버부(10)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의 형태는 연결부(21)의 내측으로 도시 생략된 커버부(10)의 돌출부(17)가 슬라이드 운동하는 형태이다. 연결부(21)는 밀폐부(20)가 커버부(10)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며, 또한 정해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이동방향을 제한한다. 또한, 밀폐부(20)의 중앙에는 후술할 탈착조정부(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띠(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밀폐부(20)의 외주를 따라 장착된다. 밀폐띠(3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외주면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측으로 갈수록 밀폐띠(30)와 밀폐부(20) 사이의 공간이 넓어진다. 밀폐띠(30)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어, 밀폐용기(100)가 용기(1)에 삽입되기가 용이하다.
스프링(40)은 커버부(10)와 밀폐부(20) 사이에 삽입되며 커버부(10)와 밀폐부(20)를 서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40)은 일반적인 압축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탈착조정부(50)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탈착조정부(50)는, 회전축(l)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1부재(51)와 제2부재(55)로 구성된다. 제1부재(51)의 일단부는 밀폐부(20)의 고정부(22)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커버부(10)의 관통구멍(14)을 관통한다. 제2부재(55)는 제1부재(51)의 타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커버부(10)에 형성된 접촉면(18)과 접촉하는 접촉부(56)를 구비한다. 제2부재(55)의 회전에 따라 접촉부(56)는 접촉면(18)을 따라 움직이며, 접촉면(18)과 접촉부(56)의 형상에 의해 제1부재(51)와 연결된 밀폐부(20)의 상하운동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100)의 밀폐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 3의 A-A선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 제2부재(55)의 단면은 나타내지 않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밀폐뚜껑(100)의 밀폐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10)와 밀폐부(20)는 스프링(40)에 의해 멀리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돌출부(17)가 연결부(21)의 상측에 걸리는 방식으로 최대 이격거리가 제한된다. 이렇게 도 4(a)와 같이 밀폐부(20)와 커버부(10)가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를 제1상태로 지칭하면, 제1상태에서는, 커버부(10)의 삽입부(16)가 밀폐부(20)와 밀폐띠(30) 사이에 삽입되지 않거나, 약간 삽입되더라도 밀폐띠(30)와의 공간에 여유가 있어, 밀폐띠(30)가 밀폐부(20) 측으로 쉽게 젖혀질 수 있으므로, 밀폐부(20)가 쉽게 용기(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와 밀폐부(20)가 제1상태에 있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1)에 의해 최대 이격거리가 제한되도록 기재하였으나, 이에 의하지 않고 제1부재(51)와 제2부재(55)가 일렬로 배치되고 밀폐조정부(50)의 제2부재(55)가 커버부(10)와 접촉함으로써 최대 이격거리가 제한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렇듯 커버부(10)와 밀폐부(20)가 제1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제1부재(51) 및 제2부재(55)는 도 4(a)와 같이 대체적으로 일렬로 위치하게 된다.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탈착조정부(50)의 제2부재(55)를 커버부(10) 측으로 젖히면, 제2부재(55)의 접촉부(56)가 커버부(10)의 접촉면(18)과 접촉하면서 커버부(10)를 하측으로 밀어, 상대적으로 제1부재(51)와 연결된 밀폐부(20)를 상승시키게 된다.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더욱 제2부재(55)를 커버부(10) 측으로 젖히면, 밀폐부(20)는 커버부(10) 측으로 더욱 이동하게 되어, 결국 도 4(c)와 같이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제2상태로 지칭한다면, 결국 제1상태와 제2상태의 조정은 탈착조정부(50)의 제2부재(55)의 젖힘에 기인하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진행되는 동안, 제2부재(55)의 접촉부(56)는 커버부(10)의 접촉면(18)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 이동과 함께, 지렛대 원리에 의해 밀폐부(20)가 상승/하강하게 된다.
제2상태가 된 경우, 커버부(10)의 삽입부(16)가 밀폐부(20)와 밀폐띠(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밀폐띠(30)를 외측, 즉 용기(1) 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즉, 제2상태에서 용기(1) 측으로 밀어내진 밀폐띠(30)의 외측이 용기(1) 내벽과 밀착되어, 우수한 밀폐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커버부(10)의 삽입홈(15)에 용기(1)의 돌출부(3)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커버부(10)와 용기(1)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부(10)의 외부를 따라 삽입홈(15)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용기(1)의 하측에는 돌출부(3)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밀폐뚜껑(100)을 용기에 장착하고 제2부재(55)를 젖혀 도 4(c)와 같은 제2상태로 만든 후, 다른 용기(1)의 돌출부(3)가 삽입홈(15)에 삽입되도록 상측에서 끼운다(단, 도 5에서는 밀폐용기(100)가 장착된 용기를 도시하지 않음). 이렇게 끼운 경우, 삽입홈(15)이 돌출부(3)에 비해 약간 작은 수치로 형성되어 있어, 돌출부(3)가 삽입홈(15) 내부와 마찰을 일으키며 끼워질 수 있다. 끼워지는 상태를 더욱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삽입홈(15)의 내부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재질은 삽입홈(15) 내부에 코팅이 되는 방법이나,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방법 등이 가능하나, 이러한 제조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삽입홈(15)을 구비할 경우, 용기가 상하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적층하여 운반하기 편리하며, 냉장고에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상태에서는 다른 용기(1)의 밑면에 의해 제2부재(55)가 상측으로 젖혀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밀폐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적층 상태에서도 하측의 밀폐용기(100)의 밀폐성이 유지될 수 있어서, 안정적이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편평한 접촉면(18)에 접촉부(56)가 슬라이드함으로써 커버부(10)와 밀착부(20)가 상대이동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면의 형상을 캠면과 같이 곡면의 형태로 형성하고, 제2부재(55)의 손잡이의 밑면이 이 접촉면과 접촉하면서 커버부(10)와 밀착부(20)를 상대이동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
1...용기 10...커버부
15...삽입홈 16...삽입부
20...밀폐부 30...밀폐띠
40...스프링 50...밀착조정부
51...제1부재 55...제2부재
100...밀폐용기

Claims (3)

  1. 상측으로 개방된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측 테두리가 걸쳐지는 단부(段部)가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용기의 상측 테두리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용기를 상측으로부터 폐쇄하며, 상기 단부의 하부에 외주를 따라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측과 연결되며, 상기 밀폐뚜껑을 상기 용기에 삽입할 때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의 외주를 따라 장착되며, 탄성재질인 밀폐띠;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를 서로 밀어내는 스프링; 및
    일단부는 상기 밀폐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타단부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는 탈착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가 가장 멀리 떨어진 제1상태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가 상기 제1상태보다 가까워져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밀폐부와 상기 밀폐띠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띠를 외측으로 밀어낸 제2상태 사이에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대해 상하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상태는, 상기 스프링의 힘을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의 구속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일렬로 배치되어상기 제2부재와 상기 커버부의 구속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되며,
    상기 제2부재와 상기 커버부가 접촉한 상태로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밀폐부가 상대 이동하되,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커버부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상기 커버부에 대해 상기 밀폐부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는 다른 용기의 하측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다른 용기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내측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뚜껑.
KR2020120009539U 2012-10-22 2012-10-22 밀폐뚜껑 KR201400025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539U KR20140002515U (ko) 2012-10-22 2012-10-22 밀폐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539U KR20140002515U (ko) 2012-10-22 2012-10-22 밀폐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515U true KR20140002515U (ko) 2014-04-30

Family

ID=5244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539U KR20140002515U (ko) 2012-10-22 2012-10-22 밀폐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51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952A (ko) * 2016-01-06 2017-07-19 프리-프리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밀봉 캡
KR20180047164A (ko) * 2016-10-31 2018-05-10 조용호 밀폐 용기
WO2020039336A1 (en) * 2018-08-21 2020-02-27 Master Plans Llc Sealable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952A (ko) * 2016-01-06 2017-07-19 프리-프리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밀봉 캡
KR20180047164A (ko) * 2016-10-31 2018-05-10 조용호 밀폐 용기
WO2020039336A1 (en) * 2018-08-21 2020-02-27 Master Plans Llc Sealable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370B2 (en) Preservation container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3155966U (ja) キャップ装置
EP1780143A2 (en) Container lid of vacuum valve operation type
KR100790549B1 (ko) 식품 보관용기
US10807773B2 (en) Container
KR101121860B1 (ko)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JP3194876U (ja) 真空保存容器
US20150210439A1 (en) Cosmetics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KR20140002515U (ko) 밀폐뚜껑
KR20140062397A (ko) 밀폐용기
US20130313219A1 (en) Sealing unit for sealing opening with smooth inner periphery
KR101049145B1 (ko) 밀폐 용기의 손잡이 조립체
KR20140115535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200433746Y1 (ko) 원터치식 밀폐 용기
KR101285178B1 (ko) 밀폐용기
KR200422468Y1 (ko)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JP3177736U (ja) 内壁面が平坦な密封容器に結合可能な蓋体
KR101828429B1 (ko) 용적 가변형 용기
KR101927703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CN205169244U (zh) 一种真空容纳盒
KR101597903B1 (ko) 밀폐용기 누름판
KR20220066900A (ko) 밀폐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