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178B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178B1
KR101285178B1 KR1020120129219A KR20120129219A KR101285178B1 KR 101285178 B1 KR101285178 B1 KR 101285178B1 KR 1020120129219 A KR1020120129219 A KR 1020120129219A KR 20120129219 A KR20120129219 A KR 20120129219A KR 101285178 B1 KR101285178 B1 KR 10128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otrusion
container body
rotating me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구홍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한 번의 조작에 의해 커버를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밀폐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용기본체 및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용기본체에 대해 일정 간격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커버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재를 구비하며,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의 측면과 접할 때 회전부재는 지렛대의 역할을 하면서 커버를 측하방으로 당겨서, 커버가 용기본체를 밀폐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한 번의 조작 과정에 의해 커버를 용기본체에 견고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밀폐용기(10)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버(12) 및 용기본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12)의 둘레에는 결합날개(14)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16)의 둘레에는 네 개의 결합날개(14)가 걸리게 되는 걸림단턱(1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 결합하여 용기본체(16)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 걸리게 해야 한다. 그리고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위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밀폐용기(10)는 커버(12)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기거나 또는 위로 당겨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커버(12)의 분리 또는 결합 과정에서 네 개의 결합날개(14) 중에서 하나의 결합날개(14)를 잠그지 않게 되면, 용기본체(16)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 내리거나 용기본체(16)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밀폐용기(10)는 커버(12)와 결합날개(14)의 결합 부분이, 결합날개(14)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된 커버(12)와 결합날개(14)의 연결 부분으로 인해, 커버(12)가 청결하게 세척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밀폐용기(10)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커버(12)와 결합날개(14)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그 연결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는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결합날개(14)는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반복적인 회전에 의해 그 연결부에 크랙(crack)이 발생하여 결합날개(14)가 커버(12)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밀폐용기(10)는 커버(12)의 내부에 고무 패킹을 구비하고 있다. 고무 패킹은 커버(12)가 용기본체(16)에 결합하는 경우, 양자 사이를 씰링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커버(12)가 용기본체(16)에 대해 강하게 결합된 경우에는, 용기본체(16)의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하여 커버(12)를 개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한 번의 조작 과정에 의해 커버를 용기본체에 견고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결한 세척이 가능한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내부에 발생하는 진공압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커버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와 회전부재의 연결부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용기본체 및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용기본체에 대해 일정 간격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커버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재를 구비하며,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의 측면과 접하면서 결합될 때 회전부재는 지렛대의 역할을 하면서 커버를 측하방으로 당겨서, 커버가 용기본체를 밀폐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는 외부둘레부를 구비하고, 외부둘레부와 용기본체의 상단부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둘레부가 용기본체의 상단부를 완전하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대해 일정 간격 이동을 할 수 있다.
회전부재는 회전잠금돌기를 구비하고, 용기본체는 회전잠금돌기가 걸리게 되며 외향 돌출된 고정잠금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는 회전부재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용기본체는 걸림부재가 걸리게 되며 외향 돌출된 제1고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재는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걸림돌기는 걸림경사면을 구비하며, 제1고정돌기는 걸림경사면에 대응하는 고정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부재의 내측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돌기는 용기본체의 둘레면과 접하면서 회전부재의 받침점 역할을 할 수 있다.
용기본체의 둘레면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돌기는 회전부재의 내면과 접하면서 회전부재의 받침점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전부재의 내측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의 둘레면에는 제2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받침돌기는 제2고정돌기와 접하면서 회전부재의 받침점 역할을 할 수 있다.
받침돌기에는 받침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제2고정돌기에는 고정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둘레면의 내부에는 패킹이 구비되어 있으며, 패킹의 하면은 용기본체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다.
패킹의 내부에는 내부둘레면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둘레면은 패킹의 높이에 비해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패킹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며,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의 측면에 결합할 때 공기통로는 가압돌기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회전부재는 내측으로 돌출된 받침돌기를 구비하고, 용기본체의 둘레면에는 받침돌기가 걸리게 되는 제2고정돌기를 구비하며, 제2고정돌기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 커버 및 패킹 중 어느 하나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에 대해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때 공기통로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된다.
커버는 하향 돌출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용기본체는 가이드부재를 위치설정하고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커버에서 하향 돌출된 연장부와, 연장부의 단부에서 내향 절곡된 내측돌출부와, 내측돌출부에 형성된 내측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는, 내측돌출부를 안내하는 상부가이드경사면과, 내측경사면과 접하면서 내측돌출부를 가이드 하는 하부가이드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가이드경사면은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이드경사면은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있으며, 상부가이드경사면 및 하부가이드경사면은 그 경사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커버와 용기본체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되고, 패킹에는 복원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원돌기는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커버와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는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날개를 구비하며, 커버와 결합날개의 연결부는 그 두께가 다르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의 좌우 단부의 두께는 중앙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는 그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재에 대한 한 번의 조작에 의해 커버를 용기본체에 견고하게 결합하거나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에 어려움을 주는 회전부재를 하나만 구비하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한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공기통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기 때문에 커버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와 회전부재의 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하여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의 회전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커버의 회전부재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커버의 걸림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버의 가이드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용기본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8은 용기본체에 커버가 얹혀진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회전부재가 회전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의 측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패킹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예시된 밀폐용기에서 공기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커버와 회전부재의 연결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는 커버(120)의 회전부재(140)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걸림부재(13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가이드부재(16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용기본체(180)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20)와 용기본체(180)를 포함한다.
커버(120)는 사각 형상의 커버바디(122)와, 커버바디(122)의 가장 자리에서 하향 돌출된 걸림부재(130), 회전부재(140) 및 한 쌍의 가이드부재(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에서는 사각 형상의 커버(120) 및 용기본체(180)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커버 및 용기본체를 구현할 수 있다.
커버바디(122)는 외부둘레면(124)을 포함한다. 커버(120)와 용기본체(180)가 결합하는 경우 용기본체(180)의 상단부는 외부둘레면(12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둘레면(124)의 내측에는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된 패킹(126)이 구비되어 있다. 커버(120)와 용기본체(180)가 결합하는 경우, 패킹(126)은 압착되어 커버(120)와 용기본체(180) 사이를 씰링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120)는 용기본체(180)의 상단부에 대해 거리 a(도 8 참조) 만큼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120)의 외부둘레면(124)의 내측과 용기본체(180)의 상단부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서, 커버(120)의 외부둘레면(124)이 용기본체(180)의 상단부를 완전히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커버(120)가 좌우측으로 약간의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커버(120)의 외부둘레면(124)의 내부에는 패킹(126)이 구비되어 있으며, 패킹(126)의 하면은 용기본체(180)의 상단부와 접하고 있다. 그리고 패킹(126)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내부둘레면이 구비될 수 있는데, 내부둘레면의 높이는 패킹(126)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둘레면이 패킹(126)에 비해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됨으로써, 내부둘레면이 커버(12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커버바디(122)의 둘레에는 상호 대향하는 걸림부재(130) 및 회전부재(140)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130)는 커버바디(122)의 둘레에서 수직으로 하향 돌출되어 "ㄴ" 형상을 갖는다. 걸림부재(130)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132)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경사면(134)이 구비되어 있다.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결합하기 위해서 위치 설정된 경우(도 8 참조), 걸림돌기(132)는 용기본체(180)의 제1고정돌기(183)와 접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140)의 회전으로 인해서 커버(120)가 측하방으로 이동을 할 때, 걸림경사면(134)에 의해서 걸림돌기(132)는 제1고정돌기(183)를 따라서 하향 이동을 하면서 제1고정돌기(183)에 완전히 걸리게 된다.
회전부재(140)는 커버바디(122)의 둘레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사각 형상의 회전플레이트(141), 받침돌기(144) 및 회전잠금돌기(148)를 구비한다.
회전플레이트(141)는 그 단부에 형성된 회전절개부(142)를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받침돌기(144)가 제2고정돌기(184)와 접촉할 때(도 9 참조), 받침돌기(144)는 지레(lever)의 받침점의 역할을 하고 회전플레이트(141)는 지레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플레이트(141)를 아래로 당기면, 회전플레이트(141)는 받침돌기(144)를 기준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때 회전플레이트(141)의 타단부는 커버바디(12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바디(122)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플레이트(141)의 내측에는 받침돌기(144) 및 회전잠금돌기(148)가 구비되어 있다.
받침돌기(144)는 회전플레이트(141)의 내측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된 것으로, 그 상부에는 받침경사면(146)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돌기(144)는,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결합을 하는 경우,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8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고정돌기(184)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120)를 용기본체(180)에 대해서 완전히 결합시키기 위해서 회전플레이트(141)에 힘을 가하게 되면, 받침돌기(144)의 받침경사면(146)은 제2고정돌기(184)를 따라서 경사지게 하향 이동을 하면서 제2고정돌기(184)에 완전히 걸리게 된다.
회전잠금돌기(148)는 회전플레이트(141)의 내측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된 것으로, 받침돌기(144)의 하부에 위치한다. 회전잠금돌기(148)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8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잠금돌기(188)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대해 완전히 결합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회전잠금돌기(148) 및 고정잠금돌기(188)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서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대해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회전부재(140)가 용기본체(180)의 측면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용기본체(180)의 측면에는 결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140)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바디(122)의 둘레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60)가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60)는 용기본체(180)에 대한 커버(120)의 위치를 설정하고,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결합할 때 결합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재(160)는 커버바디(122)의 둘레에서 하향 돌출된 연장부(162)와, 연장부(162)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출부(164)와, 내측돌출부(164)에 형성된 내측경사면(166)을 포함한다.
연장부(162)는 커버바디(122)의 둘레에서 일정 길이 만큼 하향 돌출된다. 그리고 연장부(162)의 길이는,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얹혀지는 경우,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80)의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162)는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얹혀지는 경우, 가이드돌기(190)의 외측에 위치하는데, 이로 인해 커버(120)가 측하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연장부(162)가 가이드돌기(190)에 걸리지 않게 된다.
내측돌출부(164)는 연장부(162)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결합하기 위해서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얹혀지는 경우, 내측돌출부(164)의 하면은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의 상부가이드경사면(19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정위치 설정된다.
내측돌출부(164) 상에 형성된 내측경사면(166)은 "ㅅ" 형상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가 아래로 당겨져서 커버(120)가 측하방으로 이동을 하면, 내측경사면(166)도 가이드돌기(190)의 하부가이드경사면(194)에 의해 가이드되어 측하방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내측돌출부(164)를 좌우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커버(120)가 우측 하방 또는 좌측 하방의 양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용기본체(180)는 네 개의 둘레면(182)을 갖는다. 이 중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둘레면(182)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둘레면(182)에는 제1고정돌기(183)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향하여 또 다른 둘레면(182)에는 제2고정돌기(184)가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돌기(183) 및 제2고정돌기(184)는 좌우 대칭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고정돌기(183) 및 제2고정돌기(184)의 하측에는 고정잠금돌기(18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돌기(183)는 용기본체(180)의 둘레면(182)에서 외향 돌출된 것으로, 커버(120)의 걸림부재(130)가 걸리게 되는 부분이다. 제1고정돌기(183)의 하측에는 둘레면(18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고정경사면(18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경사면(186)은 걸림부재(130)의 걸림경사면(134)과 접촉하면서 걸림부재(130)가 완전히 걸림 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2고정돌기(184)는 제1고정돌기(183)에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제1고정돌기(18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2고정돌기(184)는 회전부재(140)의 받침돌기(144)가 걸리게 되는 부분이다. 제2고정돌기(184)의 하측에도 둘레면(18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고정경사면(18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경사면(186)은 받침돌기(144)의 받침경사면(146)과 접하면서 받침돌기(144)가 제2고정돌기(184)에 쉽게 걸리게 되도록 한다.
제1고정돌기(183) 및 제2고정돌기(184)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잠금돌기(188)는 둘레면(182)에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잠금돌기(188)에는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8)가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대해 완전히 결합하게 된다.
고정잠금돌기(188)도 용기본체(180)의 대향되는 양 둘레면(182)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커버(120)의 회전부재(14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용기본체(18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돌기(190)는 용기본체(180) 둘레면(182)에서 상호 대향되는 두 개의 둘레면(182)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나의 둘레면(182)에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190)는,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얹혀질 때 가이드부재(160)를 가이드 하여 커버(120)가 정위치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190)는 가이드부재(160)와 결합하여, 용기본체(180)에 대한 커버(120)의 결합력을 제공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 사이의 간격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60)의 연장부(162)의 폭에 비해 다소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부재(160)의 연장부(162)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 사이로 진입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90)는 상부가이드경사면(192) 및 하부가이드경사면(194)을 갖는다.
상부가이드경사면(192)은 둘레면(182)의 중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에서 좌우 상부가이드경사면(192)은 "V" 형상으로 배치되어, 가이드부재(160)의 연장부(162)가 둘레면(182)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부가이드경사면(192)은 둘레면(182)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하부가이드경사면(194)은 상부가이드경사면(192)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에서 좌우 하부가이드경사면(194)은 "∧" 형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가이드경사면(194)은 내측경사면(166)과 접하면서 가이드부재(160)가 측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하부가이드경사면(192)은 둘레면(182)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가이드부재(160)의 내측돌출부(164)가 하부가이드경사면(192)에 걸리게 되어 용기본체(18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하부가이드경사면(192)은 둘레면(18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고, 둘레면(182)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하부가이드경사면(192)이 둘레면(18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걸림경사면(134)이 하강하는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되어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대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에서 커버(120)와 용기본체(180)의 결합 및 분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용기본체(180)에 커버(120)가 얹혀져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회전부재(140)가 회전하여 받침돌기(144)가 제2고정돌기(184)와 접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커버(120) 내부에 위치하는 패킹(126) 및 용기본체(180)의 상단부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패킹(126)은 편의상 커버(120)의 양단부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8을 참고하면, 커버(120)를 용기본체(180)에 대해 결합하기 위해서 커버(120)를 용기본체(180)에 우선 올려 놓는다. 이때, 가이드부재(160)를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할 필요는 없고, 상부가이드경사면(192)에 올려 놓으면 그 경사면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이드부재(160)의 연장부(162)가 한 쌍의 가이드돌기(19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걸림부재(130)의 걸림돌기(132)에 형성된 걸림경사면(134)은 제1고정돌기(183)의 단부와 접촉을 하게 된다.
도 8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아래로 잡아 당기면, 도 9와 같이 회전부재(140)가 회전을 하면서 받침돌기(144)가 제2고정돌기(184)와 접촉을 하게 된다. 이때까지 커버(120)는 이동을 하지 않는다.
도 9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둘레면(182) 방향으로 밀게 되면, 받침돌기(144)가 제2고정돌기(184)의 하방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즉, 받침돌기(144)의 받침경사면(146)이 제2고정돌기(184)의 고정경사면(186)과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하면서 둘레면(18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이동을 한다. 이때, 제2고정돌기(184)와 받침돌기(144)의 접촉 부분은 지렛대의 받침점으로 작용을 하고 회전플레이트(141)는 지렛대로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플레이트(141)는 제2고정돌기(184)와 받침돌기(144)의 접촉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을 하면서 커버(120)를 측방향(도 9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커버(120)가 측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면, 받침경사면(146) 및 고정경사면(186)에 의해 받침돌기(144)는 제2고정돌기(184)를 따라서 둘레면(182)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커버(120)는 측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전체적으로는 측하방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커버(120)가 측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할 때 이미 걸림부재(130)는 제1고정돌기(183)에 걸려 있기 때문에, 회전플레이트(141)가 커버바디(122)를 측하방으로 당겨도 커버(120)의 반대 부분(즉, 걸림부재(13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플레이트(141)가 커버바디(122)를 측하방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걸림부재(130)의 걸림경사면(134)은 제1고정돌기(183)의 고정경사면(186)을 따라서 슬라이딩 하면서, 걸림부재(130)가 용기본체(180)의 둘레면(182)에 완전히 밀착된다.
그리고 걸림부재(130)가 둘레면(182)에 완전히 밀착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재(160)의 내측경사면(166)은 도 9에서 우측에 위치한 하부가이드경사면(194)에 의해 안내되어 측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부재(160)는 커버바디(122)를 하방으로 당겨서 커버바디(122)가 용기본체(18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도 10에서와 같이,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8)가 제2고정돌기(184)의 고정잠금돌기(188)에 걸리게 되면, 회전부재(140)의 회전이 완료되고 커버(120)가 용기본체(180)에 대해 완전히 밀착되어 용기본체(180)가 밀폐 상태가 된다. 이때, 패킹(126)은 탄성적으로 수축하면서 커버(120)와 용기본체(180) 사이를 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20)를 용기본체(18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회전부재(140)만을 누르면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다수 개의 결합날개를 일일이 모두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커버(120)를 용기본체(18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회전부재(140)를 들어 올리기만 하면된다. 즉, 회전부재(140)를 들어 올리면, 회전잠금돌기(148)가 고정잠금돌기(188)에서 분리되고 받침돌기(144)도 제2고정돌기(184)에서 분리된다. 회전부재(140)가 용기본체(180)의 둘레면(182)에 대한 결합이 완전히 해제되면, 커버(120)를 측하방(도 10에서는 우측 하방)으로 당기는 힘이 제거되기 때문에 패킹(1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걸림부재(130)의 걸림돌기(132)가 제1고정돌기(183)에서 분리되고 가이드부재(160)의 내측돌출부(164)도 가이드돌기(190)에서 분리되어 도 8과 같이 용기본체(180)에 대한 커버(120)의 결합력이 완전히 해제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패킹(226)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용기본체(280)에 커버(220)가 결합한 상태에서 공기통로(228)가 가압돌기(247)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는 커버(220) 및 용기본체(280)를 포함한다.
커버(220)의 커버바디(222) 둘레에는 하나의 걸림부재(230) 및 하나의 회전부재(240)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바디(222)의 둘레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60)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부재(230) 및 가이드부재(26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걸림부재(130) 및 가이드부재(16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부재(240)는 커버바디(222)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용기본체(280)의 둘레면(282)과 결합하게 된다. 회전부재(240)는 회전플레이트(241)의 내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받침돌기(244), 가압돌기(247) 및 회전잠금돌기(248)를 구비한다.
여기서 회전잠금돌기(248)는 용기본체(280)의 둘레면(282)에 형성된 고정잠금돌기(288)에 걸리게 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회전잠금돌기(148)와 유시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받침돌기(244)는 회전플레이트(241)의 중심에서 좌우 대칭되도록 동일한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받침돌기(244)와 받침돌기(244)의 중앙에는 가압돌기(247)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돌기(244)는 용기본체(280)의 둘레면(282)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286)에 걸리게 되면서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받침돌기(144)과 동일하다.
가압돌기(247)는 막대 형상을 갖는 것으로 회전플레이트(24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247)는, 도 13에서와 같이 회전잠금돌기(248)가 고정잠금돌기(288)에 걸리게 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 패킹(226)의 공기통로(228)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28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리고 가압돌기(247)는, 회전부재(240)가 회전하여 회전잠금돌기(248)가 고정잠금돌기(288)에서 분리되는 경우, 패킹(226)에서 분리되는데, 이로 인해 공기통로(228)가 외부로 개방된다. 공기통로(228)가 외부로 개방되면, 용기본체(28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22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공기통로(228)는 패킹(226)의 일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다. 물론, 공기통로(228)는 패킹(226)의 측면을 관통하거나 다른 타면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가압돌기(247)는 공기통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회전부재(240)의 내측에 형성된다.
패킹(226)의 일면에는 복원돌기(22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복원돌기(229)는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커버(22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본체(280)에 결합하는 경우, 용기본체(280)의 둘레면(282) 상단부와 접하면서 압축된다. 이때, 회전부재(240)가 용기본체(280)에서 분리되는 경우, 복원돌기(22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커버(22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부재(230)가 제1고정돌기(284)에서 분리된다.
용기본체(280)의 둘레면(282)에는 제1고정돌기(284) 및 제2고정돌기(28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고정돌기(284) 및 제2고정돌기(286)의 하부에는 고정잠금돌기(28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돌기(284) 및 제2고정돌기(286)는 좌우 대칭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절개부(281)가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돌기(284)는 커버(220)의 걸림부재(230)가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 위에서 설명한 제1고정돌기(183)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고정돌기(286)는 커버(220)의 받침돌기(244)가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 위에서 설명한 제2고정돌기(184)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회전부재(240)의 회전에 의해 회전잠금돌기(248)가 고정잠금돌기(288)에 걸리게 되는 경우, 가압돌기(247)는 절개부(281)를 통과한 후 패킹(226)의 하면과 접하면서 공기통로(228)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돌기(247)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둘레면(282)에는 둘레홈(도시하지 않음)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본체(280)의 둘레면(282)에는 가이드부재(260)가 걸리게 되는 가이드돌기(29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한 가이드돌기(19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패킹(226)은 커버바디(2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패킹(226)의 일측에는 공기통로(228)가 형성되어 있다. 패킹(226)은 커버(220)가 용기본체(28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그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공기통로(228)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 13을 참고하면, 한 쌍의 받침돌기(244)가 한 쌍의 제2고정돌기(286)에 걸리면서 커버(220)가 측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패킹(226)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228)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회전잠금돌기(248)가 고정잠금돌기(288)에 걸리게 되는 경우, 가압돌기(247)는 제2고정돌기(286) 사이에 형성된 절개부(281)을 통과하면서 외부로 노출된 공기통로(228)를 가압하여 폐쇄한다.
그리고 회전잠금돌기(248)가 고정잠금돌기(288)에서 분리되는 경우, 가압돌기(247)의 패킹(226)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어 공기통로(228)가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통로(228)가 패킹(226)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공기통로(228)는 패킹(226)의 다른 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패킹(226)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패킹(226)에 형성된 공기통로(228)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부재(24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압돌기(247)의 위치 및 형상도 변경된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밀폐용기(300)에서 회전부재(340)가 잠겨지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15는 도 14에서 회전부재(340)가 잠겨져서 커버(320)가 측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는 별도의 받침돌기를 구비하지 않고 회전부재(340)의 회전잠금돌기(348)가 용기본체(380)의 고정잠금돌기(388)에 걸리게 되는 과정에서 커버(320)가 우측 하방으로 당겨진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의 커버(320)는 커버바디(322)의 가장자리에 외부둘레면(328)이 하향 돌출되어 있다. 외부둘레면(328)의 크기는 용기본체(380)의 상단부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320)가 용기본체(380)에 결합하는 경우 외부둘레면(328)은 용기본체(380)의 상단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커버(320)는 용기본체(380)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320)는 용기본체(380)에 대해 거리 a만큼 좌우측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외부둘레면(328)의 내부에는 패킹(326)이 구비되어 있다. 패킹(326)의 하면은 용기본체(380)의 상단부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패킹(326)은 하향 돌출된 복원돌기(327)를 구비한다. 복원돌기(327)는, 커버(320)가 우측 하방으로 이동할 때 용기본체(380)의 둘레면(382)의 상단부와 접하게 되면서 압축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복원돌기(327)는, 회전부재(34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커버(320)를 결합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좌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패킹(326)의 내부에는 내부둘레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는데, 내부둘레면의 높이는 패킹(326)의 높이에 비해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320)가 용기본체(380)에 대해서 이동하는 경우, 내부둘레면에 의해 그 이동에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회전부재(340)의 회전플레이트(341)의 단부에는 회전잠금돌기(348)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잠금돌기(348)는 용기본체(380)의 둘레면(38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잠금돌기(388)과 접하면서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한다. 즉, 회전잠금돌기(348)가 고정잠금돌기(388)에 걸리게 되도록 회전부재(340)가 아래로 당겨지는 경우, 회전부재(340)의 회전플레이트(341)가 지렛대의 역할을 하면서 커버(320)를 우측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320)는 거리 a만큼 우측으로 이동을 하면서 회전잠금돌기(348)가 고정잠금돌기(388)에 완전히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커버(320)가 용기본체(380)에 대해 완전히 결합하게 된다. 이때, 커버(32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걸림부재(330)는 제1고정돌기(383)에 걸려있기 때문에 회전플레이트(341)가 지렛대의 역할을 하더라도 커버(320)가 들리지 않는다.
도 15에서와 같이, 커버(320)가 용기본체(380)에 결합된 후 회전부재(340)를 위로 당겨서 회전잠금돌기(348)를 고정잠금돌기(388)에서 분리하면, 압축되어 있던 패킹(326)의 복원돌기(327)가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커버(32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 14와 같은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에도 커버(320)의 둘레에 가이드부재(360)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용기본체(380)에는 가이드돌기(39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360) 및 가이드돌기(390)는 위에서 설명한 가이드부재(160, 260) 및 가이드돌기(190, 290)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에서는 커버(320)가 패킹(326)의 복원돌기(327)에 의해 결합 방향(도 14, 15에서는 우측)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복원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커버(320) 또는 용기본체(380)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커버(320)가 탄성 복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고정돌기(383)의 상부에 위치하는 둘레면(382)을 일부 돌출시켜서 커버(320)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하거나, 또는 커버(320)의 외부둘레면(328)을 일부 돌출시켜서 용기본체(380)의 둘레면(382)과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용기본체(380) 또는 커버(320)의 돌출 부분(도시하지 않음)은 패킹(326)의 복원돌기(327)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밀폐용기(400)에서 회전부재(440)가 잠겨지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17은 도 16에서 회전부재(440)가 잠겨져서 커버(420)가 측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는 회전부재(440)의 회전플레이트(441)의 내측면에 내향 돌출된 받침돌기(444)를 구비한다. 받침돌기(444)는 용기본체(480)의 둘레면(482)을 직접 가압하면서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한다. 즉, 도 16에서와 같이 회전부재(440)가 회전하여 받침돌기(444)가 둘레면(482)과 접하게 된 상태에서 회전플레이트(441)를 아래로 당기게 되면, 회전플레이트(441)가 지렛대의 역할을 하면서 커버(420)를 우측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커버(420)의 걸림부재(430)는 제1고정돌기(483)에 걸려 있기 때문에, 커버(420)가 들어 올려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의 커버(420)는 커버바디(422)의 가장자리에 외부둘레면(428)이 하향 돌출되어 있다. 외부둘레면(428)의 크기는 용기본체(480)의 상단부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420)가 용기본체(480)에 결합하는 경우 외부둘레면(428)은 용기본체(480)의 상단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커버(420)는 용기본체(480)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420)는 용기본체(480)에 대해 거리 a만큼 좌우측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외부둘레면(428)의 내부에는 패킹(426)이 구비되어 있다. 패킹(426)의 하면은 용기본체(480)의 상단부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패킹(426)은 하향 돌출된 복원돌기(427)를 구비한다. 복원돌기(427)는, 커버(420)가 우측 하방으로 이동할 때 용기본체(480)의 둘레면(482)의 상단부와 접하게 되면서 압축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복원돌기(427)는, 회전부재(44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커버(420)를 결합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좌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패킹(426)의 내부에는 내부둘레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는데, 내부둘레면의 높이는 패킹(426)의 높이에 비해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420)가 용기본체(480)에 대해서 이동하는 경우, 내부둘레면에 의해 그 이동에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회전부재(440)의 회전플레이트(441)의 내측면에는 받침돌기(444) 및 회전잠금돌기(448)가 구비되어 있다. 받침돌기(444)는, 회전잠금돌기(448)가 제1고정돌기(483)에 걸리기 이전에 용기본체(480)의 둘레면(482)과 접하면서 지렛대에 해당하는 회전플레이트(441)의 받침점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받침돌기(444)는 용기본체(480)의 둘레면(482)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485)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잠금돌기(448)가 고정잠금돌기(488)에 걸리게 되면, 받침돌기(444)는 공기통로(485)를 폐쇄하고, 회전잠금돌기(448)가 고정잠금돌기(488)에 대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받침돌기(444)는 공기통로(485)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공기통로(485)를 개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에도 커버(420)의 둘레에 가이드부재(460)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용기본체(480)에는 가이드돌기(49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460) 및 가이드돌기(490)는 위에서 설명한 가이드부재(160, 260) 및 가이드돌기(190, 290)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돌기(444)가 회전플레이트(441)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받침돌기(444)는 용기본체(480)의 둘레면(482)에 구비되어 회전플레이트(441)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통로(485)가 용기본체(480)의 둘레면(48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공기통로(485)는 용기본체(480)의 상단부의 일부를 음각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통로(485)는 용기본체(480) 및 패킹(426)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커버(4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420)의 내면과 패킹(426)이 접촉하는 면을 음각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커버(420)의 내부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공기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통로가 커버에 형성되는 경우,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돌기는 공기통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회전부재(44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420)와 회전부재(440)의 연결부(442, 443)은 도 18 내지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두께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19는 커버(420)와 회전부재(440)의 연결부(442, 443)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커버(420)와 회전부재(440)의 연결부(442)는 양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을 갖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앙 부분(442a)의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회전부재(44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좌우측 단부 부분(442b)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회전부재(440)의 반복적인 회전에 의해 연결부(442)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 연결부(44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커버(420)와 회전부재(440)의 연결부(443)는 그 두께가 두꺼운 부분(442b)과 두께가 얇은 부분(442a)이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443)는 상하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두께가 두꺼운 부분(442b)은 연결부(44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고, 두께가 얇은 부분(442a)은 회전부재(44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42, 443)은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서 커버(420)가 용기본체(480)에 결합하는 밀폐용기(4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도 1과 같이 결합날개만으로 결합되는 종래의 밀폐용기 등 다양한 구조의 밀폐용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밀폐용기
120, 220, 320, 420: 커버
122, 222, 322, 422: 커버바디
126, 226, 326, 426: 패킹
228, 485: 공기통로
130, 230, 330, 430: 걸림부재
140, 240, 340, 440: 회전부재
141, 241, 341, 441: 회전플레이트
148, 248, 348, 448: 회전잠금돌기
160, 260, 360, 460: 가이드부재
180 280, 380, 480: 용기본체

Claims (21)

  1.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그 일측에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그 내면이 상기 둘레면과 접촉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회전부재가 구비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커버가 하강하여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내면에는, 상기 둘레면과의 접촉을 위한 받침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둘레면에는, 상기 받침돌기가 걸리게 되는 제2고정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부재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게 되며 외향 돌출된 제1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걸림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돌기는 상기 걸림경사면에 대응하는 고정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잠금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회전잠금돌기가 걸리게 되며 외향 돌출된 고정잠금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에는 받침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돌기에는 상기 받침경사면에 대응하는 고정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부둘레면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다른 둘레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위치를 설정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걸리면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커버의 외부둘레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돌출부와, 상기 내측돌출부에 형성된 내측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내측돌출부를 안내하는 상부가이드경사면과, 상기 내측경사면과 접하면서 상기 내측돌출부를 가이드 하는 하부가이드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경사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가이드경사면은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가이드경사면 및 하부가이드경사면은 그 경사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패킹이 결합되고,
    상기 패킹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둘레면에 결합할 때,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용기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공기통로가 폐쇄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공기통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20129219A 2012-01-26 2012-11-15 밀폐용기 KR101285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987 2012-01-26
KR20120007987 2012-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178B1 true KR101285178B1 (ko) 2013-07-11

Family

ID=4899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219A KR101285178B1 (ko) 2012-01-26 2012-11-15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8787A4 (en) * 2018-08-16 2022-09-28 King's Flair Marketing Limited STORAGE CONTAINER WITH L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143A (ja) * 1998-09-30 2000-04-18 Hane:Kk 発泡合成樹脂成形容器
KR20080005911U (ko) * 2007-05-30 2008-12-04 임광형 밀폐용기
KR20090074534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락앤락 세라믹 밀폐 용기
KR100945325B1 (ko) * 2007-10-04 2010-03-08 삼광유리공업주식회사 보관용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143A (ja) * 1998-09-30 2000-04-18 Hane:Kk 発泡合成樹脂成形容器
KR20080005911U (ko) * 2007-05-30 2008-12-04 임광형 밀폐용기
KR100945325B1 (ko) * 2007-10-04 2010-03-08 삼광유리공업주식회사 보관용 밀폐용기
KR20090074534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락앤락 세라믹 밀폐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8787A4 (en) * 2018-08-16 2022-09-28 King's Flair Marketing Limited STORAGE CONTAINER WITH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55B1 (ko)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JP3155966U (ja) キャップ装置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SE1051086A1 (sv) Barnsäker behållare
KR20140036914A (ko)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101571456B1 (ko) 액상 립스틱 용기
US11383895B2 (en) Storage container with clip
KR101336972B1 (ko) 진공팩용 체크밸브
KR101873686B1 (ko) 필름 수납 케이스의 회전식 푸쉬 잠금 장치
KR20170067564A (ko) 립스틱 용기 조립체
KR101285178B1 (ko) 밀폐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20140036579A (ko) 밀폐용기
KR101348309B1 (ko) 밀폐용기
KR101940016B1 (ko) 저장용기
CN209219827U (zh) 保温杯的杯口卡扣结构
KR20120007211U (ko) 밀폐 용기
KR20140002515U (ko) 밀폐뚜껑
JP6602231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491384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20160033086A (ko) 밀폐용기용 커버
KR20160048734A (ko) 저장용기
CN208281133U (zh) 抽真空装置的锁定机构
KR101969989B1 (ko) 밀폐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