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305B1 -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305B1
KR101348305B1 KR1020120006675A KR20120006675A KR101348305B1 KR 101348305 B1 KR101348305 B1 KR 101348305B1 KR 1020120006675 A KR1020120006675 A KR 1020120006675A KR 20120006675 A KR20120006675 A KR 20120006675A KR 101348305 B1 KR101348305 B1 KR 10134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container body
cover
coupling me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058A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102012000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058A/ko
Priority to BR112014017938A priority patent/BR112014017938A8/pt
Priority to US14/373,121 priority patent/US9637281B2/en
Priority to PCT/KR2013/000439 priority patent/WO2013109103A1/ko
Priority to JP2014553261A priority patent/JP6111272B2/ja
Priority to CN201380006091.3A priority patent/CN104169184B/zh
Priority to EP13738685.0A priority patent/EP2815987A4/en
Priority to CA2861326A priority patent/CA2861326C/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05B1/ko
Priority to IN1638MUN2014 priority patent/IN2014MN016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8Venting occurring during initial closing or opening of the containe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e.g. interrupted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용기본체 및 커버를 포함한다. 용기본체 및 커버의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된다. 커버는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용기본체, 커버 및 패킹 중 어느 하나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공기통로가 폐쇄되고, 결합부재의 용기본체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공기통로가 개방된다.

Description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AIRTIGHT CONTAINER AND CO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 및 분리되는 경우 공기통로가 별다른 조작 없이 폐쇄 및 개방되는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밀폐용기는 커버와 용기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커버를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 등에 고무 재질의 패킹(packing)이 구비되어 있다.
밀폐용기는 커버가 결합되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커버를 밀폐용기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용기본체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 커버가 잘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62892호에는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밀폐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밀폐용기는, 뚜껑에 공기 배출을 위한 별도의 구멍인 가스배출부를 형성하고,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된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가스배출부를 덮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뚜껑을 덮는 경우에는 가스배출부를 통해서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뚜껑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개폐부재를 손으로 잡아 당겨서 가스배출부를 개방함으로써 용기 외부와 내부의 압력을 동일하게 한 후 뚜껑을 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밀폐용기는 뚜껑을 열기 위해 사용자가 개폐부재 등을 손으로 잡아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뚜껑의 상면에 공기 배출을 위한 별도의 구멍 및 구멍을 덮는 개폐부재 등을 별도로 제작 및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뚜껑의 상면에 공기 배출을 위한 별도의 구멍 및 구멍을 덮기 위한 부재를 형성하는 경우, 공기 배출을 위한 구멍 및 그 구멍을 덮고 있는 개폐부재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공기 배출 및 밀폐를 위한 구성이 간소한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통로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는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용기본체 및 커버를 포함한다. 용기본체 및 커버의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된다. 커버는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용기본체, 커버 및 패킹 중 어느 하나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공기통로가 폐쇄되고, 결합부재의 용기본체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공기통로가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통로는 패킹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재는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통로는 패킹의 외측면에서 내측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외부둘레면을 구비하고, 외부둘레면에는 공기통로를 노출하기 위해 외부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외부둘레면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둘레면을 구비하고, 내부둘레면에는 공기통로와 연통되는 내부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는 그 일부가 공기통로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돌기의 단면은 공기통로의 입구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통로는 패킹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고, 가압돌기는 공기통로를 폐쇄할 수 있다.
용기본체에는 가압돌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외부둘레부를 구비하고, 외부둘레부에는 외부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패킹은, 커버와 용기본체가 결합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패킹돌출부를 구비하고, 공기통로는 패킹돌출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통로는 결합부재에 폐쇄될 수 있다.
결합부재의 내측면에는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의 내측면에는 패킹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패킹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통로는 커버에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재는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통로는 용기본체에 형성되고, 결합부재는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통로는 밀폐용기의 내부에 비해 외부가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내부둘레면 및 외부둘레면을 구비하고, 패킹은 내부둘레면 및 외부둘레면에 대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용 커버는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커버에는 패킹이 결합되어 있으며, 패킹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공기통로가 폐쇄되며,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공기통로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용 커버는, 커버는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커버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공기통로가 폐쇄되며,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공기통로가 개방된다.
본 발명은 공기 배출 및 밀폐를 위한 구성이 간소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한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커버와 용기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패킹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커버에서 패킹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용기본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예시된 밀폐용기에서 커버와 용기본체가 결합된 후 공기통로가 폐쇄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커버와 용기본체가 완전히 결합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공기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커버와 용기본체가 결합된 후 공기통로가 폐쇄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패킹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서 공기통로가 폐쇄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서 공기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에서 커버(120)와 용기본체(170)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로서, 결합부재(140) 및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에 대한 구성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패킹(150)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커버(120)에서 패킹(150)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예시된 밀폐용기(100)의 용기본체(17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20)와 용기본체(170)를 포함한다.
커버(120)는 그 측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결합부재(140)가 회전에 의해서 용기본체(17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74)에 걸리게 됨으로써 용기본체(170)를 커버한다. 그리고 커버(120)의 측면에는 공기가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내부개방부(132), 공기통로(158) 및 외부개방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140)가 회전에 의해 걸림돌기(174)에 걸리게 될 때, 결합부재(140)에 형성된 가압돌기(146)도 함께 회전을 하면서, 외부로 노출된 패킹(150)의 공기통로(158)를 폐쇄하게 된다. 공기통로(158)가 폐쇄되면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완전 차단되어 용기본체(170)의 내부가 완전 밀폐 상태가 된다.
커버(120)를 용기본체(17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결합부재(140)를 위로 당겨서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공기통로(158)를 가압하여 폐쇄하는 가압돌기(146)도 함께 회전을 하면서 공기통로(158)에 대한 폐쇄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용기본체(170)에 커버(120)를 결합하는 과정 즉, 용기본체(170)에 커버(120)를 덮는 과정에서 공기통로(158)가 폐쇄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용기본체(170)에서 커버(120)를 분리하는 과정(즉, 결합부재(140)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공기통로(158)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용기본체(17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 및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커버(120)는 커버바디(122)와, 커버바디(122)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20) 및 용기본체(170)의 형상이 사각인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바디(122)는 용기본체(170)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외부둘레면(124), 내부둘레면(130) 및 패킹삽입홈(134)을 구비한다.
외부둘레면(124)은 커버바디(122)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길이로 하향 돌출되어 커버바디(122)의 둘레면을 형성한다. 외부둘레면(124)은 내부둘레면(130)과 함께 패킹(150)이 삽입될 수 있는 패킹삽입홈(134)을 형성한다. 외부둘레면(124)의 일 측에는, 결합부재(140)가 용기본체(170)에 결합될 때 가압돌기(146)가 패킹(150)의 공기통로(158)를 가압하여 폐쇄할 수 있도록 외부개방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외부개방부(126)는 가압돌기(146)가 패킹(150)의 공기통로(158)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외부개방부(126)의 크기는 가압돌기(146)의 절단면의 크기에 비해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가압돌기(146)가 외부개방부(126)를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개방부(126)의 형상은 가압돌기(146)의 절단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개방부(126)에는 경사면(128)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사면(128)에 의해 가압돌기(146)가 경사면(128)에 의해 가이드 되어 공기통로(158)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개방부(126)를 사각 형태로 예시하였지만, 가압돌기(146)가 쉽게 통과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둘레면(124)에 하나의 외부개방부(126)를 형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부둘레면(130)은 외부둘레면(124)에 대해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내측에 형성된다. 내부둘레면(130)과 외부둘레면(124)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패킹(150)이 삽입될 수 있는 패킹삽입홈(134)을 형성한다. 패킹삽입홈(134)에는 패킹(150)이 위치한다. 그리고 내부둘레면(130)과 외부둘레면(124)의 사이에는 용기본체(170)의 삽입단부(172)가 삽입된다.
내부둘레면(130)에는 외부개방부(126)에 대응하여 내부개방부(132)가 형성된다. 내부개방부(132)는 패킹(150)의 공기통로(158) 및 외부개방부(126)와 연통되어, 용기본체(17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내부둘레면(130)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내부둘레면(130)을 구비하지 않고 외부둘레면(124)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패킹(150)은 외부둘레면(124)의 내측에서 다른 수단(예를 들면,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고정된다.
결합부재(140)는, 커버(120)가 용기본체(170)에 결합하여 용기본체(170)를 밀폐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140)는 커버바디(122)의 네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결합부재(140)에 가압돌기(146)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14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140)는 걸림후크(144) 및 가압돌기(146)를 갖는다.
걸림후크(144)는 "ㄱ" 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용기본체(170)의 걸림단턱(174)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120)가 용기본체(170)를 밀폐할 수 있게 된다.
가압돌기(146)는 결합부재(140)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된 것으로, 결합부재(140)를 아래로 당겨서 걸림후크(144)가 걸림단턱(174)에 걸리게 될 때 패킹(150)의 공기통로(158)를 가압하여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한다. 또한, 가압돌기(146)는 커버(120)를 용기본체(17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결합부재(140)를 들어 올리게 될 때, 결합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패킹(150)의 공기통로(158)에 대한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돌기(146)의 절단면의 크기는 공기통로(158)의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가압돌기(146)가 공기통로(158)의 입구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돌기(146)의 절단면의 크기는 외부개방부(126)의 크기에 비해 작게 형성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가압돌기(146)의 길이는 그 단부가 패킹(150)이 외측면(154)과 접촉하여 공기통로(158)를 폐쇄할 때 패킹(150)에 약간의 탄성변형이 발생할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150)은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커버(120)가 용기본체(170)와 결합할 때, 그 결합부분을 씰링(sealing)하는 역할을 한다. 패킹(150)은 커버바디(122)의 형상에 대응하여 모서리 부분이 둥근 사각 형상을 갖고, 단면은 사각 형상을 갖는다. 패킹(150)은 상면(152) 및 하면(153) 그리고 외측면(154) 및 내측면(156)을 갖는다.
패킹(150)은 커버(120)가 용기본체(170)에 결합하여 결합부재(140)에 의해 잠기는 경우, 다소 압축되면서 양자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패킹(150)에는 그 상면(152)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공기통로(158)가 패킹(150)의 외측면(154)에서 내측면(156)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공기통로(158)는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부개방부(126) 및 내부개방부(132)와 각각 연통되어 있다.
공기통로(158)의 입구는 외부개방부(126)에 의해 커버바디(122)의 측면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결합부재(140)가 회전하여 용기본체(170)에 잠겨질 때, 공기통로(158)는 결합부재(140)에 형성된 가압돌기(146)의 단부와 접촉을 할 수 있게 된다. 공기통로(158)가 가압돌기(146)와 접촉하여 그 입구가 폐쇄되는 경우,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용기본체(170)의 내부는 완전히 밀폐 상태가 된다. 그리고 커버(120)를 용기본체(17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결합부재(140)를 들어 올리게 되면, 결합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146)가 공기통로(158)에 대한 폐쇄 상태를 해제하여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20)를 용기본체(170)에서 분리하는 과정(결합부재(140)를 위로 당겨서 걸림후크(144)와 걸림단턱(174)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7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동일하게 하여 커버(120)를 쉽게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20)를 용기본체(17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공기통로(158)를 통해서 용기본체(17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70)의 내부를 반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3a에서는 공기통로(158)가 직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공기통로는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만 있다면 도 3b와 같이 곡선 형상의 공기통로(160)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통로(158)가 패킹(150)의 상면(152)에서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패킹(150)의 상면(152) 및 하면(153) 중앙에서 외측면(154)에서 내측면(156)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본체(170)는 밀폐용기(100)에서 내용물을 담는 부분으로, 그 상부가 개방되어 커버(120)와 결합한다. 용기본체(170)의 상단부에는 삽입단부(172)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170)의 둘레에는 걸림단턱(17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단부(172)는, 커버(120)와 용기본체(170)가 결합될 때 패킹삽입홈(134)에 삽입되어 패킹(150)의 상면(152)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삽입단부(172)는 외부둘레면(124) 및 내부둘레면(130) 사이에 삽입되어, 용기본체(170)에 대한 커버(120)의 결합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단턱(174)은 용기본체(170)의 둘레에서 외향 돌출된 것으로, "ㄱ" 형상을 갖는다. 걸림단턱(174)에는 결합부재(140)의 걸림후크(144)가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결합부재(140)가 용기본체(170)에 대해서 잠기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에서 커버(120)와 용기본체(170)가 결합된 후 공기통로(158)가 폐쇄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커버(120)와 용기본체(170)가 완전히 결합하여 공기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공기통로(158)가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커버(120)를 용기본체(170)에 결합하기 위해서, 도 6에서와 같이 결합부재(140)를 아래로 당겨서 걸림후크(144)가 걸림단턱(174)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재(140) 중에서 가압돌기(146)가 걸림후크(144)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140)는 가장 나중에 결합을 하고, 나머지 세 개의 결합부재(140)를 모두 결합한다. 이로 인해, 도 6에서와 같이 패킹(150)의 공기통로(158)가 외부개방부(126)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공기통로(158)를 통해서 용기본체(17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커버(120)를 용기본체(170)에 완전히 결합하기 위해서, 가압돌기(146)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140)를 아래로 당겨서 걸림후크(144)가 걸림단턱(174)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146)도 함께 회전을 하면서 외부개방부(126)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공기통로(158)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공기통로(158)가 폐쇄되면서 용기본체(17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된다.
가압돌기(146)가 외부개방부(126)를 통과할 때, 외부개방부(126)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128)에 의해 가압돌기(146)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8과 같은 완전 밀폐 상태에서, 커버(120)를 용기본체(17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우선 걸림돌기(146)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140)를 위로 당기게 되면, 걸림후크(144)가 걸림단턱(174)에서 분리되고 가압돌기(146)와 패킹(150)의 외측면(154)에 대한 접촉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외부개방부(126), 공기통로(158) 및 내부개방부(132)로 이루어지는 공기의 통로가 형성되고, 용기본체(170) 내부 및 외부의 압력(대기압)이 동일하게 되어 커버(120)를 쉽게 열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에서 커버(220)와 용기본체(270)가 결합된 후 공기통로(258)가 폐쇄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패킹(250)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9에서 공기통로(258)가 폐쇄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9에서 공기통로(258)가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8에 예시된 밀폐용기(100)와 비교할 때 공기통로(258), 가압돌기(249) 및 걸림단턱(274)을 제외한 나머지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에서, 공기통로(258)는 패킹(250)의 하면(253)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통로(258)는 패킹(250)의 내측면(256)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패킹(250)의 외측면(254)까지는 연장되지 않는다.
패킹(250)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220)가 용기본체(270)에 결합하는 경우 그 하면(253) 및 외측면(254)이 외부개방부(226)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패킹(250)의 하면(253)에 형성된 공기통로(258)도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220)의 커버바디(222)의 둘레에는, 커버(220)와 용기본체(270)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24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240)에는 용기본체(270)의 걸림단턱(274)에 걸림되는 걸림후크(244)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후크(244)에는 가압돌기(249)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후크(244)는 "ㄱ" 형상을 갖는 것으로, 결합부재(240)의 내면에서 상향 돌출된 제1후크(246) 및 제1후크(246)의 단부에서 내향 돌출된 제2후크(248)로 이루어져 있다. 가압돌기(249)는 제1후크(246)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제2후크(248)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용기본체(270)의 둘레에는 걸림단턱(27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단턱(274)에는 결합부재(240)의 걸림후크(244)가 걸리게 된다. 또한, 걸림단턱(274)은 그 일부가 개방된 절개부(276)이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276)는, 결합부재(240)가 아래로 당겨져서 걸림단턱(274)에 잠겨지게 될 때 , 가압돌기(249)가 공기통로(258)를 가압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기통로(258)를 가압하는 가압돌기(249)는 절개부(276)에 삽입된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패킹(250)은 외부둘레면(224) 및 내부둘레면(230)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패킹(250)은 그 하면(253) 및 외측면(254)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패킹(250)의 하면(253)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258)도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내부둘레면(230)에는 내부개방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개방부(232)는 공기통로(258)와 함께 용기본체(2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외부둘레면(224)에는 외부개방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개방부(226)는, 가압돌기(249)가 공기통로(258)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둘레면(224)의 하단부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절개된 부분에 해당한다.
공기통로(258)가 개방되어 있는 도 12의 상태에서, 결합부재(240)를 아래로 잡아 당기면 걸림후크(244)는 용기본체(270)의 걸림단턱(274)에 걸리게 되고, 가압돌기(249)는 걸림단턱(274)의 절개부(276)에 삽입되면서 패킹(150)의 하면에 형성된 공기통로(258)를 가압하게 된다. 공기통로(258)가 가압돌기(249)에 의해 가압되면, 용기본체(27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된다.
그리고 커버(220)를 용기본체(27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압돌기(249)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240)를 위로 잡아 당기게 되는데, 이때 걸림후크(244)가 걸림단턱(274)에서 분리되고 가압돌기(249)와 패킹(250)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공기통로(258)가 개방된다. 공기통로(258)가 개방됨으로써, 용기본체(270)의 내부 및 외부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어 커버(22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에 대한 단면도로서, 결합부재(340)가 용기본체(370)에 잠겨지기 전후를 각각 예시한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는 커버(320)의 둘레에 형성된 외부둘레면(324) 및 내부둘레면(330)에 패킹(350)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패킹(350)은 외부둘레면(324) 및 내부둘레면(330)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패킹(350)의 돌출 부분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통로(358)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패킹(350)이 외부둘레면(324) 및 내부둘레면(330)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350)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패킹(35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358)는 패킹(35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공기통로(358)는 도 14에서와 같이 결합부재(340)가 용기본체(37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있다가, 도 15에서와 같이 결합부재(340)가 용기본체(370)에 결합된 경우에는 가압돌기(346)에 의해 폐쇄된다.
결합부재(340)는 커버(320)의 커버바디(322)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그 내면에는 가압돌기(346) 및 걸림후크(344)가 구비되어 있다. 가압돌기(346)는, 도 15에서와 같이 결합부재(340)가 용기본체(370)에 결합하는 경우, 패킹(350)의 외측면과 접하면서 공기통로(358)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걸림후크(344)는 용기본체(370)에 형성된 걸림단턱(374)에 걸리게 되어, 커버(320)가 용기본체(370)를 완전히 밀폐하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5에서는 가압돌기(346)가 공기통로(358)에 비해 큰 단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가압돌기(346)의 단면 크기는 공기통로(358)에 비해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압돌기(346)는 결합부재(340)가 도 15에서와 같이 용기본체(370)에 결합하는 경우, 공기통로(358)에 그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재(340)의 걸림후크(344)가 용기본체(370)의 걸림단턱(374)에 걸리게 될 때, 패킹(350)은 약간 수축하기 때문에 공기통로(358)도 수축되면서 그 지름이 축소된다. 이로 인해, 공기통로(358)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에 대한 단면도로서, 결합부재(440)가 용기본체(470)에 잠겨지기 전후를 각각 예시한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는 패킹(450)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패킹돌출부(452)를 갖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패킹돌출부(452)에는 공기통로(45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는 결합부재(440)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통로(458)가 형성되어 있는 패킹돌출부(452)는 커버(420)의 커버바디(422)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둘레면(424) 및 내부둘레면(430)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된다. 또한, 외부둘레면(424) 및 내부둘레면(430)에는 패킹돌출부(452)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7과 같이, 결합부재(440)가 회전하여 걸림후크(444)가 걸림단턱(474)에 걸리게 되면, 패킹돌출부(452)의 단부는 결합부재(440)의 내면에 의해 가압되는데, 이로 인해 공기통로(458)의 입구가 폐쇄된다.
도 16 내지 도 17에는, 결합부재(440)의 내측에 걸림후크(444)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공기통로(458)를 효율적으로 폐쇄하기 위해서 별도의 가압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440)의 내측에 공기통로(458)가 형성된 패킹돌출부(45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패킹홈(도시하지 않음)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500)에 대한 단면도로서, 결합부재(540)가 용기본체(570)에 잠겨지기 전후를 각각 예시한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500)는 공기의 흐름을 위한 공기통로(534)가 커버(520)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커버(5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534)는 결합부재(540)에 형성된 가압돌기(546)에 의해 밀폐되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공기통로(534)는 커버(520)의 커버바디(522)의 내측에서부터 시작되어 내부둘레면(530) 및 패킹(550)의 상부를 거쳐서 외부둘레면(524)의 하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통로(534)를 폐쇄하기 위한 가압돌기(546)는 결합부재(54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ㄴ" 형상을 갖는다. 가압돌기(546)의 단부에는 공기통로(534)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해서 고무 등의 재질이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서와 같이, 결합부재(540)가 회전하여 걸림후크(544)가 걸림단턱(574)에 걸리게 되는 경우, 가압돌기(546)는 외부둘레면(524)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534)의 입구를 폐쇄하면서, 용기본체(5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600)에 대한 단면도로서, 결합부재(640)가 용기본체(670)에 잠겨지기 전후를 각각 예시한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600)는 공기의 흐름을 위한 공기통로(680)가 패킹(650) 및 커버(620)가 아닌 용기본체(67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본체(67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680)는 밀폐용기(600)의 내부에 비해 외부가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기통로(680)의 구성으로 인해, 용기본체(670)의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공기통로(680)를 통해 쉽게 유출되지 않게 된다.
커버(620)의 커버바디(622)에는 외부둘레면(624) 및 내부둘레면(630)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패킹(65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외부둘레면(624)의 측면에는 결합부재(6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과 같이, 결합부재(640)가 회전하여 걸림후크(644)가 걸림단턱(674)에 걸리게 되는 경우, 가압돌기(646)는 용기본체(670)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680)의 입구를 폐쇄하면서, 용기본체(67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밀폐용기
120, 220, 320, 420, 520, 620: 커버
122, 222, 322, 422, 522, 622: 커버바디
124, 224, 324, 424, 524, 624: 외부둘레면
130, 230, 330, 430, 530, 630: 내부둘레면
140, 240, 340, 440, 540, 640: 결합부재
144, 244, 344, 444, 544, 644: 걸림후크
146, 249, 346, 546, 646: 가압돌기
150, 250, 350, 450, 550, 650: 패킹
158, 258, 358, 458, 534, 680: 공기통로
170, 270, 370, 470, 570, 670: 용기본체
174, 274, 374, 474, 574, 674: 걸림단턱

Claims (19)

  1. 용기본체 및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 및 상기 커버의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패킹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가 폐쇄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가 개방되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패킹의 외측면에서 내측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부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둘레면에는 상기 공기통로를 노출하기 위해 외부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외부둘레면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둘레면에는 상기 공기통로와 연통되는 내부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패킹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패킹돌출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패킹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패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4. 용기본체 및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 및 상기 커버의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공기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하는 밀폐용기.
  15. 용기본체 및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 및 상기 커버의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공기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하는 밀폐용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20006675A 2012-01-20 2012-01-20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101348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75A KR101348305B1 (ko) 2012-01-20 2012-01-20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JP2014553261A JP6111272B2 (ja) 2012-01-20 2013-01-18 格納容器
US14/373,121 US9637281B2 (en) 2012-01-20 2013-01-18 Container
PCT/KR2013/000439 WO2013109103A1 (ko) 2012-01-20 2013-01-18 저장용기
BR112014017938A BR112014017938A8 (pt) 2012-01-20 2013-01-18 Recipiente de armazenamento
CN201380006091.3A CN104169184B (zh) 2012-01-20 2013-01-18 储物容器
EP13738685.0A EP2815987A4 (en) 2012-01-20 2013-01-18 STORAGE CONTAINER
CA2861326A CA2861326C (en) 2012-01-20 2013-01-18 Container
IN1638MUN2014 IN2014MN01638A (ko) 2012-01-20 2014-08-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75A KR101348305B1 (ko) 2012-01-20 2012-01-20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058A KR20120064058A (ko) 2012-06-18
KR101348305B1 true KR101348305B1 (ko) 2014-01-08

Family

ID=4668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675A KR101348305B1 (ko) 2012-01-20 2012-01-20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0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164A (ko) 2016-10-31 2018-05-10 조용호 밀폐 용기
KR20180111312A (ko) 2017-03-31 2018-10-11 조용호 밀폐 용기
WO2018230772A1 (ko) * 2017-06-13 2018-12-20 윤상구 틈새 세척이 용이한 밀폐 용기
KR20200129271A (ko) 2019-05-08 2020-11-18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슬라이드 개폐식 커버의 보관용기
KR20210004670A (ko) *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조리기용 용기
KR20210029634A (ko) * 2019-09-06 2021-03-16 구홍식 보관용기
KR102352535B1 (ko) 2021-05-14 2022-01-17 정병찬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488B1 (ko) * 2012-09-18 2019-03-20 구홍식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102052955B1 (ko) * 2013-03-05 2019-12-06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저장용기
KR20160104814A (ko) 2015-02-26 2016-09-06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밀폐형 용기
US11160415B2 (en) * 2018-05-02 2021-11-02 Dart Industries Inc. Microwave reheating container
KR102306230B1 (ko) * 2020-03-24 2021-09-28 박원빈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2180917B1 (ko) * 2020-03-30 2020-11-19 김성수 투명창이 구비되는 스텐 뚜껑
KR102652196B1 (ko) 2022-03-07 2024-04-02 주식회사 우원패키징 밀폐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782A (ja) * 1999-02-04 2000-10-17 Hikari Kinzoku Kogyo Kk 耐熱ガラス食品真空密閉保存容器とこれを用いた米飯の保存法、加熱調理食品もしくは被加熱食品の保存法。
KR200404820Y1 (ko) * 2005-10-12 2005-12-28 이영철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KR20070120007A (ko) * 2006-06-17 2007-12-21 윤종병 원터치식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782A (ja) * 1999-02-04 2000-10-17 Hikari Kinzoku Kogyo Kk 耐熱ガラス食品真空密閉保存容器とこれを用いた米飯の保存法、加熱調理食品もしくは被加熱食品の保存法。
KR200404820Y1 (ko) * 2005-10-12 2005-12-28 이영철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KR20070120007A (ko) * 2006-06-17 2007-12-21 윤종병 원터치식 밀폐용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164A (ko) 2016-10-31 2018-05-10 조용호 밀폐 용기
KR20180111312A (ko) 2017-03-31 2018-10-11 조용호 밀폐 용기
WO2018230772A1 (ko) * 2017-06-13 2018-12-20 윤상구 틈새 세척이 용이한 밀폐 용기
KR20200129271A (ko) 2019-05-08 2020-11-18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슬라이드 개폐식 커버의 보관용기
KR20210004670A (ko) * 2019-07-05 2021-01-1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조리기용 용기
WO2021006434A1 (ko) * 2019-07-05 2021-01-1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조리기용 용기
KR102287286B1 (ko) * 2019-07-05 2021-08-0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조리기용 용기
KR20210029634A (ko) * 2019-09-06 2021-03-16 구홍식 보관용기
KR102243757B1 (ko) 2019-09-06 2021-04-23 클린큐트 주식회사 보관용기
KR102352535B1 (ko) 2021-05-14 2022-01-17 정병찬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058A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EP3539409A1 (en) Cosmetics container having cap opened and closed by one-touch method
JP6111272B2 (ja) 格納容器
KR101960488B1 (ko)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200461241Y1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KR101336972B1 (ko) 진공팩용 체크밸브
KR101388092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20090031063A (ko) 셀러드볼 밀폐용기의 뚜껑
JP3194876U (ja) 真空保存容器
KR20100078576A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US20150122817A1 (en) Container with an insert and a lid
JP6670340B2 (ja) 密閉容器
KR101430721B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101063241B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101676949B1 (ko) 식품 저장용기
JP6602231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348309B1 (ko) 밀폐용기
JPH1054354A (ja) 真空容器の蓋装置
KR20140034664A (ko) 밀폐용 패킹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용기
KR200406671Y1 (ko) 접착제용 용기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KR200394215Y1 (ko) 강력 접착제 보관용기
KR101285178B1 (ko) 밀폐용기
KR102052955B1 (ko)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