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488B1 -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488B1
KR101960488B1 KR1020120103628A KR20120103628A KR101960488B1 KR 101960488 B1 KR101960488 B1 KR 101960488B1 KR 1020120103628 A KR1020120103628 A KR 1020120103628A KR 20120103628 A KR20120103628 A KR 20120103628A KR 101960488 B1 KR101960488 B1 KR 10196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ngaging
container body
contain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914A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1020120103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488B1/ko
Priority to AU2013318845A priority patent/AU2013318845C1/en
Priority to RU2015114579A priority patent/RU2613170C2/ru
Priority to PCT/KR2013/008251 priority patent/WO2014046420A1/ko
Publication of KR2014003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914A/ko
Priority to PH12015500861A priority patent/PH12015500861B1/en
Priority to PH12017500845A priority patent/PH1201750084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2Removable lids or covers guided for removal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0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 B65B1/22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27NO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7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secured locally, i.e. a lot less than half the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저장용기의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는, 그 둘레에 형성된 결합둘레부를 구비하고, 결합둘레부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걸림면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둘레부의 하부에는 밀폐홈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CONTAINER BODY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용기본체를 가지고 커버만 변경하여 다양한 잠금을 할 수 있는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밀폐용기(10)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버(12) 및 용기본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12)의 둘레에는 결합날개(14)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16)의 둘레에는 네 개의 결합날개(14)가 걸리게 되는 걸림단턱(1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 결합하여 용기본체(16)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 걸리게 해야 한다. 그리고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위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밀폐용기(10)는 커버(12)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기거나 또는 위로 당겨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커버(12)의 분리 또는 결합 과정에서 네 개의 결합날개(14) 중에서 하나의 결합날개(14)를 잠그지 않게 되면, 용기본체(16)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 내리거나 용기본체(16)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밀폐용기(10)의 용기본체(16)에는 하나의 커버(12)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폐용기(10)의 용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밀폐용기(10)는 하나의 용기본체(16)를 가지고 음식물 용기, 분말 용기 또는 액상물 용기 등으로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용기본체를 이용하여 커버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는, 그 둘레에 형성된 결합둘레부를 구비하고, 결합둘레부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걸림면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둘레부의 하부에는 밀폐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둘레부는 용기본체의 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둘레부는 용기본체의 둘레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결합둘레부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상기와 같은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회전이 가능하고 밀폐홈에 삽입되어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결합부재가 용기본체의 측면과 결합할 때 걸림면에 의해서 결합둘레부에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아래와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재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결합둘레부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가압돌기는 걸림홈에 걸려서 커버를 상부 측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커버는, 그 내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테두리를 구비하고, 테두리는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커버의 내측 부분이 바닥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상기와 같은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회전이 가능하고 밀폐홈에 삽입되어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결합부재는 커버에 두 개 이상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아래와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커버의 상면은 고정부 및 회전부로 구분되고, 회전부가 용기본체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부만 개방될 수 있다.
회전부의 일 측에 형성된 결합부재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결합둘레부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가압돌기는 걸림홈에 걸려서 커버를 상부 측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커버는 테두리를 구비하고, 테두리는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커버의 내측 부분이 바닥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본체에 다른 구조를 갖는 커버를 각각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저장용기용 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용기본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에서 용기본체에 슬라이드 타입의 커버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상태에서 용기본체에 슬라이드 타입의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타입의 커버가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예시된 용기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결합돌기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용기본체에 커버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서 용기본체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상태에서, 용기본체에서 커버가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예시된 저장용기에서 커버의 일부가 용기본체에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14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용기본체(140)와, 슬라이드(slide) 방식으로 용기본체(140)에 대해 결합하는 커버(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커버(110)는 그 측면에 형성된 하나의 결합부재(128)에 의한 한 번의 잠금 과정에 의해서 커버(110)가 슬라이드 하면서 용기본체(140)에 결합되어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40)는,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밀폐되는 커버(110)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네 개(또는 두 개 이상)의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커버(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140)는 서로 다른 결합 방식을 갖는 두 개의 커버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는 용기본체(140)에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커버(110)는 하나의 결합부재(128)를 구비하고, 테두리(114)의 내측에는 용기본체(140)의 결합둘레부(142)에 걸릴 수 있는 걸림돌기(1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110)는 용기본체(14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상면(112)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 및 용기본체(140)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기 때문에, 커버(110)를 용기본체(140)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커버(110)의 직경은 용기본체(140)의 결합둘레부(142)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10)는 용기본체(140)에 용이하게 올려질 수 있으며, 용기본체(140)에 올려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커버(110)의 둘레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 테두리(114)는, 커버(110)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다만 결합부재(128)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2)에 의해서 결합부재(128)는 테두리(114)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용기본체(140)의 둘레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테두리(114)의 내측에는 패킹(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는데, 테두리(114)의 높이는 돌출부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10)를 도 1과 같이 상면(112)이 위로 향하도록 두더라도, 테두리(114)에 의해서 커버(110)의 내측 부분(돌출부를 포함함)이 바닥에 닿지 않게 하여, 위생적이면서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테두리(114)의 하단부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커버(110)의 받침 역할을 하여, 커버(110)의 내측 부분이 바닥과 접촉하지 않게 한다.
테두리(114)의 내측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116)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16)는, 결합부재(128)가 용기본체(140)의 결합둘레부(142)와 결합하는 경우, 결합둘레부(142)의 하부로 슬라이딩 되어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 이에 의해 하나의 결합부재(128)에 의해서도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걸림돌기(116)는, 결합부재(128)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경사면(118)을 구비한다. 걸림경사면(118)은, 걸림돌기(116)가 결합둘레부(142)의 하부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는 하나의 결합부재(128)를 구비한다. 결합부재(128)는 커버(110)의 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그 내측에는 가압돌기(132) 및 밀폐돌기(1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128)의 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결합부재(128)는 걸림에 의해서 커버(110)를 용기본체(140)에 결합하게 한다. 그리고 결합부재(128)가 용기본체(140)에 대해 잠금 결합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116)가 결합둘레부(142)에 걸리게 되면서 커버(110)가 용기본체(140)를 밀폐하게 된다.
결합부재(128)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돌기(132)는, 결합부재(128)가 결합둘레부(142)에서 분리될 때, 결합둘레부(142)에 형성된 걸림홈(144)에 걸리게 되면서 커버(110)를 위로 밀어 올림으로써 커버(1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도 8 참조).
가압돌기(132)의 형상은 "ㄱ" 형상뿐만 아니라 내측으로 절곡된 곡선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압돌기(132)의 하부에는 "┛"형상을 갖는 밀폐돌기(134)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돌기(134)는 용기본체(140)의 결합둘레부(142)의 하부에 걸리게 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결합부재(128)가 용기본체(140)에 잠금 결합을 하게 된다. 밀폐돌기(134)의 단부는 결합둘레부(142)의 밀폐홈(148)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 및 용기본체(140)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사각 또는 다각 그리고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커버(110)의 내측에 패킹이 결합되지 않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밀폐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패킹을 테두리(114)의 내측에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본체(140)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부분으로, 그 둘레에는 결합둘레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둘레부(142)는 결합부재(128)가 잠금 결합되거나 또는 걸림돌기(116)가 슬라이드에 의해 걸리게 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용기본체(140)의 측면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어 있다. 결합둘레부(142)의 상부에는 용기본체(140)의 상단부(152)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물론, 결합둘레부(142)는 용기본체(140)의 상단부(152)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둘레부(142)는 걸림홈(144), 걸림면(146)과 밀폐홈(148)을 구비한다.
걸림홈(144)은 결합둘레부(142)의 상면에 음각으로 형성된다. 걸림홈(144)에는, 결합부재(128)를 결합둘레부(142)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결합부재(128)의 가압돌기(132)가 삽입되어, 결합부재(128)가 커버(110)를 위로 들어 올리게 한다.
걸림홈(144)에는, 결합둘레부(142)의 강도 보강을 위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니브(nib)(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니브는 걸림홈(144)과 같이 음각으로 형성되지 않고 결합둘레부(142)의 두께를 보강한 부분에 해당한다.
걸림면(146)은 결합둘레부(142)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직선 또는 곡선의 경사면에 해당한다. 걸림면(146)에 의해 걸림돌기(116)는 결합둘레부(142)의 하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걸림돌기(116)는 걸림경사면(118)을 갖고, 결합둘레부(142)는 걸림면(146)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걸림돌기(116) 및 결합둘레부(142) 중 어느 하나에만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밀폐홈(148)은 결합둘레부(142)의 하부에서 음각으로 형성된 홈이다. 결합부재(128)가 결합둘레부(142)에 잠금 결합을 하는 경우, 밀폐돌기(134)는 밀폐홈(148)에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에서 용기본체(140)에 슬라이드 타입의 커버(110)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참고로, 도 5에서는 결합둘레부(142)의 밀폐홈(148)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버(110)의 테두리(114) 직경은 용기본체(140)의 결합둘레부(142)에 비해 크기 때문에, 커버(110)의 테두리(114)가 결합둘레부(142)를 모두 수용하도록, 커버(110)를 용기본체(140)의 상부에 올려 놓을 수 있다.
커버(110)를 용기본체(140)에 올려 놓는 경우, 걸림돌기(116)는 결합둘레부(142)의 밀폐홈(148)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결합부재(128)가 용기본체(140)에 대해 잠금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걸림돌기(116)는 결합둘레부(142)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110)를 용기본체(140)에 올려 놓는 경우, 가압돌기(132)의 단부는 걸림홈(144)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도 4의 상태에서 용기본체(140)에 커버(11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참고로, 도 7에서도 결합둘레부(142)의 밀폐홈(148)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재(128)의 회전에 의해 밀폐돌기(134)가 밀폐홈(148)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부재(128)는 용기본체(140)에 대해 잠금 결합을 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재(128)의 내측에 형성되어 가압돌기(132)는 걸림홈(144)의 외부에 위치한다.
결합부재(128)가 결합둘레부(142)에 결합하여 잠금 결합을 하는 과정에서, 그 내측면은 결합둘레부(142)의 단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을 하는데, 이에 의해서 커버(110)가 좌측으로 이동학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재(128)가 결합둘레부(142)에 결합하여 잠금 결합을 하는 과정에서, 커버(110)는 도 6에서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수평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걸림돌기(116)가 결합둘레부(142)의 하부로 진입하면서 밀폐홈(148)에 걸리게 된다. 걸림돌기(116)에는 걸림경사면(11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돌기(116)가 결합둘레부(142)의 하부로 진입할 때 커버(110)가 용기본체(140)를 강하게 하향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타입의 커버(110)가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8에서 화살표는 커버(110)의 이동 방향을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110)를 용기본체(14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결합부재(128)를 위로 올리면, 밀폐돌기(134)가 밀폐홈(148)에서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가압돌기(132)는 걸림홈(144)에 걸리게 되면서, 결합부재(128)가 들어 올려지는 힘에 의해서 커버(110)를 측 상방(도 8에서는 우측 상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가압돌기(132)에 의해 커버(110)가 들려 올려지는 과정에서, 커버(110)가 수평 방향(도 8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돌기(116)가 결합둘레부(142)에서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결합부재(128)에 의한 한 번의 조작에 의해서 커버(110)를 용기본체(140)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결합부재(128)를 결합둘레부(142)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커버(110)가 가압돌기(132)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커버(1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원형의 커버(110) 및 용기본체(140)를 갖기 때문에, 커버(110)를 용기본체(140)에 대해 임의의 방향에서 결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서는, 커버(110)가 하나의 결합부재(128)를 구비하고, 결합부재(128)가 용기본체(14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116)가 결합둘레부(142)의 하부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커버(110)가 용기본체(140)에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결합둘레부(142)에는 결합부재(128)의 밀폐돌기(134)가 결합할 수 있는 밀폐홈(14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두 개 이상의 결합부재(128)를 구비하여, 각각의 결합부재(128)의 잠금 결합에 의해서 커버를 용기본체(14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40)는 도 2에 예시된 슬라이드 타입의 커버(110)뿐만 아니라, 두 개의 이상의 결합부재(128)를 구비한 종래의 커버를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하나의 용기본체(140)를 이용하여 저장용기(100)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결합부재(128)를 구비하는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는 경우, 저장용기(100)는 액상물 용기 또는 물기가 있는 음식물 용기로 사용될 수 있고, 도 2에 예시된 슬라이드 타입의 커버(110)를 이용하는 경우, 저장용기(100)는 분말을 저장하는 용기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에서 결합부재(128)의 단부는 상면(112)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재(128)가 형성된 부분에는 테두리(114)가 형성되지 않고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커버(110)에는 개구부(122)가 형성되지 않고 테두리(114)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결합부재(128)는 테두리(114)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결합돌기(242)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용기본체(240)와, 용기본체(240)에 대해 슬라이드 잠금 방식에 의해 결합하는 커버(2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커버(210)는 그 측면에 형성된 하나의 결합부재(228)에 의한 한 번의 잠금 과정에 의해서 커버(210)가 슬라이드 하면서 용기본체(240)에 대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240)는,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밀폐되는 커버(210)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네 개(또는 두 개 이상)의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커버(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의 용기본체(240)는 서로 다른 결합 방식을 갖는 두 개의 커버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2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다만 테두리(214)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에 비해 곡률반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24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140)와 결합돌기(240)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210)는, 원형으로 형성된 상면(212)과, 상면(212)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돌출된 테두리(214)를 갖는다. 테두리(214)는 결합부재(228)가 결합된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결합부재(228)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개구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두리(214)의 내측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216)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2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228)는, 커버(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그 내측에는 가압돌기(232) 및 밀폐돌기(2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228)의 단부에는 상향 절곡된 손잡이(236)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240)는 커버(210)와 결합하여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부분으로, 커버(210)와 동일하게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용기본체(240)의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예를 들면, 120도)을 가지고 세 개의 결합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24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140) 둘레에 형성된 결합둘레부(142)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다만, 결합둘레부(142)는 용기본체(140)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만, 결합돌기(242)는 용기본체(240)의 둘레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결합돌기(242)는, 용기본체(240)의 둘레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걸림홈(244), 걸림면(246) 및 밀폐홈(248)을 갖는다.
걸림홈(244)은, 결합돌기(242)의 상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이다. 걸림홈(244)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144)과 동일하게, 결합부재(228)가 결합돌기(242)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232)가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의해서 커버(210)가 상부 측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걸림면(246)은 결합돌기(242)의 좌우 측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면(246)에 의해서, 커버(210)에 형성된 걸림돌기(216)가 결합돌기(242)의 하부로 쉽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0b를 참조하면, 결합돌기(246)에서 걸림면(246)이 형성된 입구에는 입구경사면(247)이 형성되어 있다. 입구경사면(247)은, 결합돌기(244)의 좌우 측면에서 용기본체(240)의 둘레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입구경사면(247) 및 걸림면(246)에 의해서 걸림돌기(216)는 결합돌기(242)의 하부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밀폐홈(248)은, 결합돌기(242)의 내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는 홈이다. 밀폐홈(24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동일하게, 결합부재(228)의 밀폐돌기(234)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의해 결합부재(228)가 용기본체(240)에 대해 잠금 결합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결합돌기(242)는 용기본체(240)의 둘레에 3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2개 또는 4개 이상의 결합돌기(242)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테두리(214)는 커버(210)의 둘레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커버(210)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9에 예시된 저장용기(200)의 용기본체(240)에 커버(210)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참고로, 도 12에서는 용기본체(240)의 상부 테두리 및 결합돌기(242)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210)의 테두리(214) 직경은 용기본체(240)의 결합돌기(242)들을 연결하는 원에 비해 크기 때문에, 커버(210)의 테두리(214)가 결합돌기(242)를 모두 수용하도록, 커버(210)를 용기본체(240)의 상부에 올려 놓을 수 있다.
커버(210)를 용기본체(240)에 올려 놓는 경우, 걸림돌기(216)는 결합돌기(242)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결합부재(228)가 용기본체(240)에 대해 잠금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걸림돌기(216)는 결합돌기(242)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가압돌기(232)의 단부는 걸림홈(244)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서 용기본체(240)에 커버(21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참고로, 도 12에서는 용기본체(240)의 상부 테두리 및 결합돌기(242)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결합부재(228)의 회전에 의해 밀폐돌기(234)가 밀폐홈(248)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부재(228)는 용기본체(240)에 대해 잠금 결합을 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재(228)의 내측에 구비된 가압돌기(232)는 걸림홈(244)의 외부에 위치한다.
결합부재(228)가 결합돌기(242)에 결합하여 잠금 결합을 하는 과정에서, 결합부재(228)의 내측면은 결합돌기(242)의 단부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부재(228)를 아래로 누르는 힘에 의해서, 결합부재(228)는 지렛대 역할을 하면서 커버(210)를 좌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결합부재(228)가 결합돌기(242)에 결합하여 잠금 결합을 하는 과정에서, 커버(210)는 도 13에서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수평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걸림돌기(216)가 결합돌기(242)의 하부로 진입하면서 밀폐홈(248)에 걸리게 된다. 결합돌기(242)에는 걸림면(246) 및 입구경사면(24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돌기(216)가 결합돌기(242)의 하부로 진입할 때 커버(210)가 용기본체(240)를 강하게 하향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의 상태에서, 용기본체(240)에서 커버(210)가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에서 화살표는 커버(210)의 이동 방향을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커버(210)를 용기본체(24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결합부재(228)를 위로 올리면, 밀폐돌기(234)가 밀폐홈(248)에서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가압돌기(232)는 걸림홈(244)에 걸리게 되면서, 결합부재(228)가 들어 올려지는 힘에 의해서 커버(210)를 상부 측방향(도 15에서는 우측 상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가압돌기(232)에 의해 커버(210)가 들려 올려지는 과정에서, 커버(210)가 수평 방향(도 15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돌기(216)가 결합돌기(242)에서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결합부재(228)에 의한 한 번의 잠금 결합 또는 분리 과정에 의해서 커버(210)를 용기본체(240)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결합부재(228)를 결합돌기(242)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커버(210)가 가압돌기(232)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커버(2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원형의 커버(210) 및 용기본체(240)를 갖기 때문에, 커버(210)를 용기본체(240)에 대해 임의의 방향에서 결합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5에서는, 커버(210)가 하나의 결합부재(228)를 구비하고, 결합부재(228)가 용기본체(240)에 잠금 결합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16)가 결합돌기(242)의 하부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결합돌기(242)에는 결합부재(228)의 밀폐돌기(234)가 결합할 수 있는 밀폐홈(24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가 두 개 이상의 결합부재(228)를 구비하여, 각각의 결합부재(228)의 잠금 결합에 의해서 커버를 용기본체(24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240)는 도 9에 예시된 슬라이드 타입의 커버(210)뿐만 아니라, 두 개의 이상의 결합부재(228)를 구비한 종래의 커버를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하나의 용기본체(240)를 이용하여 저장용기(200)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예시된 저장용기(300)에서 커버(310)의 일부가 용기본체(340)에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는, 용기본체(340)와, 용기본체(340)에 대해 결합하는 커버(3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서, 커버(310)는 그 일부만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커버(310)의 둘레에는 2개 이상의 결합부재(328)가 구비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결합부재(328)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커버(310)의 일부분이 개방되더라도, 커버(310)의 다른 부분은 결합부재(328)에 의해 용기본체(34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310)의 일부를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커버(310)는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 16 내지 도 17에서는 원형으로 예시하였다. 커버(310)의 상면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에 해당하는 절개부(312)가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312)를 기준으로 커버(310)는 회전부(314) 및 고정부(316)으로 구분된다. 절개부(312)는 커버(310)의 상면 중심에서 일 측으로 편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314)는, 고정부(316)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부분만 개방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부(316)는 결합부재(328)에 의해서 용기본체(340)의 입구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부(314)만이 개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커버(310)의 둘레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테두리(318)가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318)에 형성된 홈(도시하지 않음)에는 일정한 색상을 갖고 고무 또는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식별부재(322)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식별부재(322)는, 용기본체(340)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 식별부재(350)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1 식별부재(322) 및 제2 식별부재(350)에 의해서, 다수 개의 커버 및 용기본체(340)를 사용하더라도 특정한 용기본체(340)에 사용했던 커버(310)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커버(310)의 테두리(318)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데, 이에 의해 커버(310)의 내측 부분에 형성된 패킹을 위한 돌기가 바닥에 닿지 않게 된다.
커버(3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결합부재(328)는, 용기본체(340)의 둘레에 형성된 결합돌기(342)와 잠금 결합을 한다. 이와 같은 결합부재(328)의 잠금 결합에 의해서 커버(310)가 용기본체(340)의 입구를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결합부재(328)의 내측에는 가압돌기(332) 및 밀폐돌기(334)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332) 및 밀폐돌기(33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가압돌기(132) 및 밀폐돌기(134)와 동일한 구성 및 역할을 갖는다. 즉, 가압돌기(332)는, 결합돌기(342)에 형성된 걸림홈(344)에 삽입되고, 결합부재(328)가 결합돌기(342)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커버(310)의 회전부(314)를 위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밀폐돌기(334)는 결합돌기(342)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홈(348)에 걸리게 된다.
용기본체(340)의 둘레에는, 결합부재(328)에 대응하여 네 개의 결합돌기(34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34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240)의 결합돌기(242)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기본체(340)의 측면에 형성된 홈(도시하지 않음)에는, 제2 식별부재(3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식별부재(350)는 제1 식별부재(322)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것으로, 특정한 용기본체(340)에 사용했던 특정한 커버(310)를 다른 커버(310)들로부터 구분할 수 있게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밀폐돌기(334)가 밀폐홈(348)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332)는 걸림홈(344)에 걸리게 되면서 커버(310)의 회전부(314)를 밀어 올리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310)의 회전부(314)는 절개부(31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용기본체(340)의 입구 일부를 개방한다. 이때, 커버(310)의 고정부(316)의 측면에는 결합부재(328)가 결합돌기(342)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316)는 개방되지 않고 밀폐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는, 용기의 일부만을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310)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덜어 낼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서 커버(310)는 용기본체(340)에 대해 잠금 결합을 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210)를 구비하여 용기본체(340)에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서 커버(210)를 용기본체(340)에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용기본체(340)의 둘레에는 세 개의 결합돌기(3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독 기능을 위해서 커버(110, 210, 310)의 내측에 은나노 또는 청동판을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110, 210, 310) 또는 용기본체(140, 240, 340)에 근거리 무선통신 칩(NFC Chip) 등을 내장하고, 저장용기(100, 200, 300)를 보관하는 냉장고 등에 이를 상기 칩을 판독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저장용기(100, 200, 300)를 냉장고에 수납하거나 꺼낼 때 어떤 내용물이 들어오고 나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근거리 무선통신 칩 이외에도 전도체 패치 인식 방법을 통해서, 저장용기(100, 200, 300)의 출입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저장용기 110, 210, 310: 커버
140, 240, 340: 용기본체

Claims (14)

  1. 저장용기의 용기본체에 있어서,
    그 둘레에 형성된 결합둘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둘레부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걸림면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결합둘레부의 하부에는 밀폐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둘레부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
    상기 결합둘레부의 하부에는 밀폐홈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둘레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둘레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저장용기로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밀폐홈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과 결합할 때 상기 걸림면에 의해서 상기 결합둘레부에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결합둘레부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커버를 상부 측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내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는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상기 커버의 내측 부분이 바닥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저장용기로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밀폐홈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커버에 두 개 이상이 구비되는 저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상면은 고정부 및 회전부로 구분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용기본체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만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일 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재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결합둘레부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커버를 상부 측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는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상기 커버의 내측 부분이 바닥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03628A 2012-09-18 2012-09-18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10196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628A KR101960488B1 (ko) 2012-09-18 2012-09-18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AU2013318845A AU2013318845C1 (en) 2012-09-18 2013-09-12 Container body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RU2015114579A RU2613170C2 (ru) 2012-09-18 2013-09-12 Емкость
PCT/KR2013/008251 WO2014046420A1 (ko) 2012-09-18 2013-09-12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PH12015500861A PH12015500861B1 (en) 2012-09-18 2015-04-17 Container body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PH12017500845A PH12017500845A1 (en) 2012-09-18 2017-05-05 Container body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628A KR101960488B1 (ko) 2012-09-18 2012-09-18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914A KR20140036914A (ko) 2014-03-26
KR101960488B1 true KR101960488B1 (ko) 2019-03-20

Family

ID=5034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628A KR101960488B1 (ko) 2012-09-18 2012-09-18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960488B1 (ko)
AU (1) AU2013318845C1 (ko)
PH (2) PH12015500861B1 (ko)
RU (1) RU2613170C2 (ko)
WO (1) WO20140464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634A (ko) * 2019-09-06 2021-03-16 구홍식 보관용기
KR20220051833A (ko) 2022-04-08 2022-04-26 위드클린 주식회사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6152B2 (en) 2014-03-19 2022-07-05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US11806266B2 (en) 2014-03-19 2023-11-07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US10973678B2 (en) 2016-07-27 2021-04-13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EP3787568B1 (en) 2018-05-01 2023-12-06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relate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WO2019212951A1 (en) 2018-05-01 2019-11-07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A3098680A1 (en) 2018-05-01 2019-11-07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garments
USD967409S1 (en) 2020-07-15 2022-10-18 Purewick Corporation Urine collection apparatus cover
US11801186B2 (en) 2020-09-10 2023-10-31 Purewick Corporation Urine storage container handle and lid accessories
EP4110247B1 (en) 2021-01-19 2024-02-28 Purewick Corporation Variable fit fluid collection devices
JP2023553620A (ja) 2021-02-26 2023-12-25 ピュアウ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管開口とバリアとの間に排水受けを有する流体収集装置、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938054B2 (en) 2021-03-10 2024-03-26 Purewick Corporation Bodily waste and fluid collection with sacral p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820Y1 (ko) 2005-10-12 2005-12-28 이영철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7583A (ja) * 1997-11-12 1999-06-02 Kao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
JP2000238816A (ja) * 1999-02-18 2000-09-05 Chuo Bussan Kk 保護キャップ
JP2008280072A (ja) * 2007-05-11 2008-11-20 Athena Kogyo Co Ltd 容器の蓋
KR200445185Y1 (ko) * 2007-09-04 2009-07-06 백남수 이중 잠금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101125090B1 (ko) * 2008-12-04 2012-03-21 삼광유리 주식회사 밀폐 용기 및 그 밀폐 용기 성형용 금형
KR20120003816U (ko) * 2010-11-23 2012-06-01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밀폐 용기 뚜껑
KR101252567B1 (ko) * 2010-12-02 2013-04-12 김권우 밀폐 용기
KR101348305B1 (ko) * 2012-01-20 2014-01-08 구홍식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820Y1 (ko) 2005-10-12 2005-12-28 이영철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634A (ko) * 2019-09-06 2021-03-16 구홍식 보관용기
WO2021075863A1 (ko) * 2019-09-06 2021-04-22 구홍식 보관용기
KR102243757B1 (ko) 2019-09-06 2021-04-23 클린큐트 주식회사 보관용기
KR20220051833A (ko) 2022-04-08 2022-04-26 위드클린 주식회사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7500845A1 (en) 2017-07-17
RU2613170C2 (ru) 2017-03-15
AU2013318845A1 (en) 2015-05-07
KR20140036914A (ko) 2014-03-26
WO2014046420A1 (ko) 2014-03-27
PH12015500861A1 (en) 2015-08-10
AU2013318845B2 (en) 2016-03-31
RU2015114579A (ru) 2016-11-10
PH12015500861B1 (en) 2015-08-10
AU2013318845C1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488B1 (ko)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US9713402B2 (en) Container lid for vacuum sealing having locking parts and vacuum-sealed container employing same
US9637281B2 (en) Container
KR101528024B1 (ko) 음료용기의 마개체
CN101068723B (zh) 在凸缘开口中具有边围凸起的容器-封闭件装置
US8733585B2 (en) Folding container lid
US20030015534A1 (en) Container and sealing cover
NZ537287A (en) Moulded lid assembly with pivoting latch and stop formation to restrict the latch being levered free of the lid
US20150122817A1 (en) Container with an insert and a lid
KR101532658B1 (ko) 밀봉 구조를 개선한 용기
US9694955B2 (en) Unitary child-resistant containers configured for attachment to identifier cap, and identifier cap
US20140151387A1 (en) Container with seal structure
KR20170067564A (ko) 립스틱 용기 조립체
KR20140120237A (ko) 저장용기
WO2015067075A1 (zh) 桶盖组合及其桶体
KR20140115535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WO2007148853A1 (en) Easy opening airtight container
KR20100074825A (ko) 밀폐 용기
KR20100012828U (ko) 용기 커버
KR101285178B1 (ko) 밀폐용기
KR101207798B1 (ko) 밀폐용기
KR101348309B1 (ko) 밀폐용기
KR101927197B1 (ko)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