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197B1 -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197B1
KR101927197B1 KR1020150184605A KR20150184605A KR101927197B1 KR 101927197 B1 KR101927197 B1 KR 101927197B1 KR 1020150184605 A KR1020150184605 A KR 1020150184605A KR 20150184605 A KR20150184605 A KR 20150184605A KR 101927197 B1 KR101927197 B1 KR 101927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ortion
plate
lid
loc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830A (ko
Inventor
왕수정
송방향
왕영빈
Original Assignee
왕수정
왕영빈
송방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수정, 왕영빈, 송방향 filed Critical 왕수정
Priority to KR102015018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1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덮개의 표면 둘레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표면 내측을 향하는 일정한 지점에 맞대기 벽을 갖고 상기 표면의 하부 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함몰결합홈과; 상기 함몰결합홈에 안착되어 일단이 상기 맞대기 벽에 접촉하는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외주벽 단부와 수평 돌출되도록 연결된 판상의 힌지부와, 상부영역의 내면이 상기 판상의 힌지부와 직립상태로 연결되고, 내벽에서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갖는 잠금클립과; 상기 판상의 힌지부 가로방향으로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핀홀과, 상기 핀홀과 일정한 간격을 둔 직하부에 마련된 상기 걸림턱의 상측에 형성한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해, 종래와 달리 판상의 힌지부를 덮개 외주벽 둘레방향에 따를 단부면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힌지부로부터 직립상태로 잠금클립을 연결 형성하는 것으로서, 적은 힘만으로도 용기본체와 덮개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여 그 사용이 간편한 이점과 아울러, 잠금클립의 상부 영역 내면이 덮개의 외주멱에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회동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힌지부에 무리한 가압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용기의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SEALED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의 외주벽 둘레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이상 설치된 잠금클립을 이용하여 덮개를 용기 본체로부터 간편하게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밀폐용기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적은 힘으로도 밀폐용기와 덮개의 잠금 및 해제를 쉽고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잠금클립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밀폐용기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개구를 갖는 용기본체와, 외주벽에 복수 개 이상의 잠금클립(잠금날개)이 설치된 덮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밀폐용기는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그중 하나는 덮개 또는 용기본체 중 어느 한곳의 내면 둘레방향에 패킹이 설치된 밀폐용기이고, 나머지 하나는 덮개 및 용기 본체에 패킹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밀폐용기로 구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 내부에 무엇을 수용할 것인지에 따라 용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밀폐용기에 대한 제 1 예이며, 이 도면은 덮개 및 용기 본체에 패킹을 사용치 않은 밀폐용기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위 도면에서와 같은 밀폐용기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 10-2001-0083327/공개일자 : 2004. 10. 01)에 개재된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단 외주면에 단턱(1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턱(11)의 어느 한 곳에는 보조손잡이(13)가 연장 형성된 용기(10)를 구비하고, 용기(1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11)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요입홈(21)이 저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22)가 연장형성된 뚜껑(20)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용기(10)와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10) 내부의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뚜껑(2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용기(10)의 상부 외주면에 연장 형성된 보조손잡이(13)를 한 손으로 파지한 후, 다른 손으로는 상기 뚜껑(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손잡이(22)를 파지한 다음, 뚜껑(20)의 손잡이(22)를 뚜껑(20)의 손잡이(22)의 대응되는 방향으로 젖혀 뚜껑(20)과 용기(10)를 분리하여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는 패킹을 구비하지 않는 밀폐용기로서 장기간 사용하면 용기의 단턱과 덮개의 요입홈이 형상 변형되어 밀폐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도 1을 종래 밀폐용기의 제 1예로 제시한 것은 패킹을 사용치 않은 밀폐용기를 보여주기 위함이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는 형상의 변화만 있을 뿐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유사하고 다양한 밀폐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 밀폐용기의 제 2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공고일자 : 2004. 05 .17)에 개재된 "착탈가능한 잠금날개를 갖는 밀폐용기"의 구성이다.
위 착탈가능한 잠금날개를 갖는 밀폐용기는, 용기본체를 차단하는 덮개판과, 덮개판의 연부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된 측면판(11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판(112)의 각 잠금 영역에는 측면판(112)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잠금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잠금돌기(115)는, 잠금날개(125)의 잠금슬롯(124)에 걸림결합되도록 그 단부에 상향 돌출한 제 1 잠금턱(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잠금턱(116)에 의해 잠금날개(125)가 제 1 잠금돌기(115)에 탄성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된다. 그리고 덮개의 연부에는, 용기본체의 개구 연부를 수용하는 하향 개구된 채널형상의 수용부(1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부(117)에는 패킹(118)이 장착되어 용기 본체와 덮개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착탈가능한 잠금날개를 갖는 밀폐용기는 막힌지를 아래 방향에 두고 잠금날개를 상부로 회동시켜 잠금하는 방식으로서 장기간에 걸쳐 자주 사용하다 보면 날개부는 막힌지에 의해 회동되기 때문에 얇은 막으로 형성된 막힌지가 끊어지거나 파손되어 재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막힌지가 날개부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의 상하 회동시 막힌지 부분에 부하가 커서 잠금날개가 제 1 잠금턱에 쉽게 걸림되거나 걸림 해제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도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는 형상의 변화만 있을 뿐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유사하고 다양한 밀폐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밀폐용기의 제 3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공고일자 : 2010. 03. 08)에 개재된 "보관용 밀폐용기"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위 도면에서의 보관용 밀폐용기는, 상부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211)를 가지는 용기 본체(210)와, 용기 본체(21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뚜껑부재와, 뚜껑부재의 둘레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면서 용기 본체(210)의 걸림부(2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돌기(222)가 형성된 잠금부재(221)로 이루어져 있으며, 잠금부재(221)는 덮개의 외주벽에서 두께가 매우 얇은 힌지부(22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보관용 밀폐용기는 힌지부를 상부에 두고 잠금부재를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잠금하는 방식으로 이 역시 잠금부재를 장기간에 걸쳐 자주 사용하다 보면 힌지부가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부가 끊어지거나 파손되어 재역할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힌지부가 잠금부재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의 상하 회동시 힌지부 부분에 부하가 커서 잠금부재의 걸림돌기가 걸림부에 쉽게 걸림되거나 걸림 해제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종래 밀폐용기의 제 4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날개부(32)에 걸림돌기(31)가 형성된 덮개(30)와, 상기 용기본체(40)의 외주벽에 형성된 걸림턱(41)에 걸림되도록 형성하여 덮개를 개폐할 때 날개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걸림돌기가 걸림턱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것으로서 덮개를 열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밀폐영기도 날개를 위로 들어올려서 덮개를 개방하는 것으로서 덮개를 열 때 힘이 많이 소요되고 닫을 때도 덮개를 가압하는 데 힘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종래 밀폐용기는 잠금날개 또는 잠금부재와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잠금하는 것으로서 잠금날개 또는 잠금부재가 제 1 잠금턱과 걸림부에 걸림 및 해제될 때 많은 힘이 소요되는담점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시 힌지부가 끊어지거나 파손되어 밀폐용기의 덮개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덮개의 외주벽 둘레방향에 따른 하부 측벽 단부면과 수평하게 연결된 상태로 돌출되며 가로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이상으로 형성된 핀홀이 형성된 판상의 힌지부를 형성하되, 잠금클립의 전체 높이에서 상부 영역의 내면이 힌지부의 외면과 직립상태로 연결시켜 핀홀과 일정한 간격을 둔 직하부에 형성된 통공 및 통공의 직하부에 위치하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잠금클립을 형성하여 종래와 달리 잠금클립을 회동시키지않고 들어올리는 방식을 채용하여 잠금클립의 외면 상부 영역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외주벽에 접촉되도록 가압 될 때 잠금클립의 하부 영역이 들어 올려져 걸림턱이 용기본체의 둘레방향에 형성된 걸림부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덮개를 닫으면 걸림턱이 걸림부에 걸림되어 덮개가 용기에 잠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잠금클립의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하고 힘들이지 않고 작은 힘으로고 송쉽게 덮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밀폐용기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밀폐용기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덮개의 표면 둘레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표면 내측을 향하는 일정한 지점에 맞대기 벽을 갖고 상기 표면의 하부 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함몰결합홈과; 상기 함몰결합홈에 안착되어 일단이 상기 맞대기 벽에 접촉하는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외주벽 단부와 수평 돌출되도록 연결된 판상의 힌지부와, 상부영역의 내면이 상기 판상의 힌지부와 직립상태로 연결되고, 내벽에서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갖는 잠금클립과; 상기 판상의 힌지부 가로방향으로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핀홀과, 상기 핀홀과 일정한 간격을 둔 직하부에 마련된 상기 걸림턱의 상측에 형성한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판상의 힌지부를 덮개 외주벽 둘레방향에 따를 단부면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힌지부로부터 직립상태로 잠금클립을 연결 형성하는 것으로서, 적은 힘만으로도 용기본체와 덮개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여 그 사용이 간편한 이점과 아울러, 잠금클립의 상부 영역 내면이 덮개의 외주멱에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회동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힌지부에 무리한 가압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밀폐용기의 제 1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밀폐용기의 제 2 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밀폐용기의 제 3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 밀폐용기의 제 4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잠금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A-A선 부분을 절단하여 잠금클립의 내면을 보인 발췌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잠금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따른 A-A선 부분을 절단하여 잠금클립의 내면을 보인 발췌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용기본체(60)와 덮개(80) 및 덮개(80)의 표면 가장자리에 끼움되는 잠금클립(70)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잠금장치에서 덮개(80)에는, 용기본체(60)의 외주벽 둘레방향 저면에 형성된 걸림부(61)에 걸림되는 잠금클립(70)이 장착되고, 덮개(80) 저면 가장자리 내부에는 패킹(9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60)는 합성수지 및 금속 또는 유리제, 도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80) 및 잠금클립(70)은 자체 탄성력이 부여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80)의 표면 둘레방향 가장자리로부터 표면 내측을 향하는 일정한 지점에는 맞대기 벽(62)을 갖고 표면의 하부 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함몰결합홈(6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클립(70)에는 상기 함몰결합홈(63)에 안착되어 일단이 맞대기 벽(62)에 접촉하는 결합판(75)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판(75)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외주벽(81) 단부에는 수평 돌출되도록 연결된 판상의 힌지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잠금클립(70)의 상부영역 내면은 판상의 힌지부(71)와 직립상태로 연결되어 있고, 잠금클립(70)의 내벽에는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걸림턱(73)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판상의 힌지부(71) 가로방향에는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핀홀(72)ㅇ을 각각 형성하고 있고, 핀홀(72)과 일정한 간격을 둔 직하부에 마련된 걸림턱(73)의 상측에는 통공(7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부(71)를 외주벽(81) 둘레방향의 측벽 하부 단부면(82)과 수평하게 연결하는 것은 잠금클립(70)의 상부 영역이 내측을 향하여 가압 될 때 힌지부(71)를 중심으로 잠금클립(70)의 하부 영역이 외측을 향하여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힌지부(71)는 덮개(80)의 둘레방향에서 적어도 복수 개 이상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덮개(80)가 정사각 이거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은 힌지부(71)는 각면에 각각 설치될 것이며, 덮개(80)가 원형이라면 적어도 2~4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홀(72)은 용기본체(60)의 둘레방향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73)을 형성하는 금형으로부터 해당부분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잠금클립(70)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와 달리 덮개(80)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덮개(80)의 표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함몰결합홈(63)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클립(70) 또한 종래와 달리 판상의 힌지부(71)의 외면과 직립상태로 연결되는데, 여기서 잠금클립(70)이 판상의 힌지부(71)의 외면과 직립상태로 연결되는 것은 잠금클립(70)의 상부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내측을 향하여 가압될 때 힌지부(71)를 중심으로 잠금클립(70)의 상부 영역 내면이 덮개(80)의 외주벽(81)에 접촉되면서 잠금클립(70)이 하부 영역이 들어 올려지도록 함과 아울러, 잠금클립(70)의 상부 영역이 외주벽(81)에 접촉되어 더 이상 가압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힌지부(71)가 가압에 따른 부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클립(70)에 형성된 핀홀(72)과 일정한 간격을 둔 직하부에는 통공(74)을 형성하고 있고, 통공(74)의 직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73)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도 상기 통공(74)은 걸림턱(73)을 형성하는 금형으로부터 해당부분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갖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잠금장치는, 용기본체(60)와 잠금클립(70)이 장착된 덮개(80)를 구비하여 용기본체(60)에 덮개(80)가 잠긴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밀폐용기를 잡되, 양손의 엄지손가락은 덮개(80)의 표면에 접촉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외주벽(81) 양측에 각각 장착된 잠금클립(70)의 상부 영역에 접촉한 후, 엄지 손가락을 축으로 나머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잠금클립(70)을 내측으로 가압하면 잠금클립(70)의 상부 영역은 힌지부(71)를 중심으로 외주벽(81)에 접촉되면서 잠금클립(70)의 하부 영역이 들어 올려지는 것으로서 걸림턱(73)이 걸림부(61)로부터 걸림 해제된다.
한편 용기본체(60)를 덮개(80)로 닫을 때에는 덮개(80)를 용기본체(60)의 개구에 올린 후 덮개(80) 표면을 가압하면 걸림턱(73)은 용기본체(60)의 상부 둘레방향에 따른 걸림부(61)의 외벽을 따라 접촉 하향 이동하면서 걸림턱(73)이 걸림부(61)의 저면에 걸림되는 것으로서 덮개(80)는 용기본체(60)에 닫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판상의 힌지부를 덮개 외주벽 둘레방향에 따를 단부면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힌지부로부터 직립상태로 잠금클립을 연결 형성하는 것으로서, 적은 힘만으로도 용기본체와 덮개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여 그 사용이 간편하며 아울러, 잠금클립의 상부 영역 내면이 덮개의 외주벽에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회동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힌지부에 무리한 가압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60 : 용기본체
61 : 걸림부
62 : 맞대기 벽
63 : 함몰결합홈
70 : 잠금클립
71 : 힌지부
72 : 핀홀
73 : 걸림턱
74 : 통공
75 : 결합판
80 : 덮개
81 : 외주벽
82 : 단부면
90 : 패킹

Claims (2)

  1. 밀폐용기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덮개(80)의 표면 둘레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표면 내측을 향하는 일정한 지점에 맞대기 벽(62)을 갖고 상기 표면의 하부 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함몰결합홈(63)과;
    상기 함몰결합홈(63)에 안착되어 일단이 상기 맞대기 벽(62)에 접촉하는 결합판(7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75)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외주벽(81) 단부와 수평 돌출되도록 연결된 판상의 힌지부(71)와, 상부영역의 내면이 상기 판상의 힌지부(71)와 직립상태로 연결되고, 내벽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턱(73)을 갖는 잠금클립(70)과;
    상기 판상의 힌지부(71) 가로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핀홀(72)과, 상기 핀홀(72)과 일정한 간격을 둔 직하부에 마련된 상기 걸림턱(73)의 상측에 형성한 통공(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2. 삭제
KR1020150184605A 2015-12-23 2015-12-23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KR10192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05A KR101927197B1 (ko) 2015-12-23 2015-12-23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05A KR101927197B1 (ko) 2015-12-23 2015-12-23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830A KR20170075830A (ko) 2017-07-04
KR101927197B1 true KR101927197B1 (ko) 2019-03-13

Family

ID=5935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605A KR101927197B1 (ko) 2015-12-23 2015-12-23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1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475U (ko) * 2008-03-17 2009-09-22 여동수 음식물용 사각 밀폐용기의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830A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55B1 (ko)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KR101286891B1 (ko) 용기 시스템
KR100998730B1 (ko) 셀러드볼 밀폐용기의 뚜껑
KR101960488B1 (ko)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US20150122817A1 (en) Container with an insert and a lid
JP2007008553A (ja) 容器のキャップ
KR101215203B1 (ko) 슬라이드 개폐식 식품용기
KR20180126638A (ko) 밀폐용기
CN1732115B (zh) 包括安全密封件的桶
KR101927197B1 (ko)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KR20120003816U (ko) 밀폐 용기 뚜껑
KR100615946B1 (ko)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WO2015067075A1 (zh) 桶盖组合及其桶体
KR20090011961U (ko) 밀폐용기
JP3022583U (ja) 密閉容器
JP3170848U (ja) 密封容器
KR101161650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JP2002308306A (ja) 包装用容器の蓋構造
KR101062113B1 (ko) 용기마개 고정구
KR20190000531U (ko) 다용도 용기
KR101030706B1 (ko) 음식물용기
KR101288108B1 (ko) 뚜껑을 갖는 캔 용기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JPH09226796A (ja) 密閉容器
JP2013010521A (ja) 発泡樹脂製の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