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650B1 -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650B1
KR101161650B1 KR1020090122866A KR20090122866A KR101161650B1 KR 101161650 B1 KR101161650 B1 KR 101161650B1 KR 1020090122866 A KR1020090122866 A KR 1020090122866A KR 20090122866 A KR20090122866 A KR 20090122866A KR 101161650 B1 KR101161650 B1 KR 10116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vertical guide
guid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285A (ko
Inventor
석종철
Original Assignee
석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종철 filed Critical 석종철
Priority to KR102009012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6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26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upper (top) wal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 중앙에 파지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11)의 내측 바닥면 양측에 수직가이드(12)가 입설되어 상기 수직가이드(12)에 손잡이(20)의 연결부(21)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림(124)에 다수의 개폐손잡이(10)가 절첩연결부(15)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12)를 상부에 정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걸림부(12a)를 갖는 원기둥형태로 형성하되, 탄성확보를 위해 상기 수직가이드(12)의 상면 일측에 절취부(12b)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12a)를 평면상 반원형태로 형성하는 한편, 손잡이(20)의 연결부(21) 바닥면 중앙에 가이드공(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공(22)의 일측에 부채꼴형태의 삽입공(23)을 연통된 상태로 형성하여 손잡이(20) 결합시 상기 삽입공(23)으로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가 삽입됨과 동시에 가이드공(22)쪽으로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폐용기, 뚜껑, 손잡이, 캡

Description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A cover with a handle}
본 발명은 주로 대용량 밀폐용기 뚜껑에 구비되는 손잡이가 파지시 용기의 무게로 인하여 뚜껑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성형시 편차발생이 불가피한 도자기 용기에 뚜껑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음식물 등을 진공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품으로써 사각, 원형, 직사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용기와 함께 상기 용기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되는 뚜껑이 구비된다.
상기 밀폐용기용 뚜껑은 용량에 따라 크기가 각기 다르나 김치 등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는 다른 용기들 보다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편이며 통상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다.
첨부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출원인이 제안하여 등록받은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을 나타내고 있다.(특허등록 제820051호)
상기 선등록의 내용은, 용기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뚜껑(100)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의 상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홈(111);
상기 수납홈(111)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후크(113)를 갖는 수직가이드(112);
상기 탄성후크(113)에 후크 결합되는 결합턱(201) 및 이 결합턱(201)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형성되어 수직가이드(112)를 따라 슬라이딩 작동되는 작동공간이 구비되어, 수납홈(111)에 수납되는 손잡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뚜껑(100)은 상면 양측에 파지홈(110)과 상기 파지홈(110)과 이어지는 수납홈(111) 안쪽에 탄성후크(113)를 갖는 수직가이드(112)를 입설하여 캡(210)이 결합된 손잡이(200)의 결합턱(201)이 상기 수직가이드(112)의 탄성후크(113)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공되는 뚜껑(100)은 용기에 내용물을 적게 넣을 경우 손잡이(200)를 잡고 이동하는데 무리가 없으나, 용기에 내용물을 많이 담은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잡고 이동하는 경우 도 14에서와 같이 수직가이드(112)의 탄성후크(113)가 용기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안쪽으로 휘어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후크(113)가 결합되는 손잡이(200)의 결합턱(201) 역시 좌우로 벌어져 손잡이(200)가 수직가이드(112)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수직가이드(112)의 상면에 절결홈(114)을 형성하여 상단부 양측에 안쪽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탄성후크(11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후크(113)에 걸림 고정되는 손잡이(200)의 결합턱(201)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발생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또한, 본 출원인은 도자기 용기(300)에 밀폐용기용 뚜껑(100)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부도면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은 "밀폐용기용 뚜껑"을 제안한 바 있다.(특허출원 제2009-61959호)
상기 선출원의 내용은, 외측림(124)과 내측림(125)의 사이에 마련된 자리홈(123) 내부에 실링을 위한 패킹(P)이 삽입되고 상기 외측림(124)으로부터 절첩연결부(122)가 연장되어 상기 절첩연결부(122)의 타측으로 용기(300)에 체결되는 다수의 개폐손잡이(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의 외측림(124)과 개폐손잡이(120)를 연결하는 절첩연결부(122)를 뚜껑(100)의 외측림(124) 하부쪽으로 이동하여 개폐손잡이(120) 체결시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줄이도록 하되, 상기 외측림(124) 하부쪽으로 이동된 절첩연결부(122)를 상기 뚜껑(100)의 외측림(124) 하단 모서리부로부터 설정높이(H) 만큼 상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개폐손잡이(120)를 수평상태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개폐손잡이(120) 체결시 소요되는 힘을 줄이도록 하며, 록킹시 상기 절첩연결부(122)를 포함한 개폐손잡이(120)의 내측 코너부가 용기(300)의 걸림테(310) 외측면에 수직의 상태로 안정되게 밀착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절첩연결부(122)가 연장 형성되는 외측림(124)에 하향 개방된 절개부를 마련하여 개폐손잡이(120) 록킹시 절첩연결부(122)가 수직으로 곧게 펴지면서 절개부의 안쪽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공되는 뚜껑(100)의 경우 합성수지 뚜껑 또는 강화유리로 성형되는 뚜껑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특별히 도자기 용기(300)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손잡이(120)의 내측면이 도자기 용기(300)의 걸림테(310) 외측면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다면 용기(300)가 최상의 밀폐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자기 용기(300)의 경우 합성수지 용기 또는 강화유리 용기와는 달리 성형후 적어도 1~3㎜의 편차(E)가 불가피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뚜껑(100)을 용기(300)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개폐손잡이(120)의 록킹돌기(121)를 용기(300)의 록킹홈(320)에 강제로 체결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뚜껑(100)의 강제 체결구조는 개폐손잡이(120)의 절첩연결부(122)를 취약하게 할 뿐 아니라 뚜껑(100)의 체결 내지는 분리시 많은 힘을 요구하게 되며 개폐손잡이(120)가 록킹돌기(121)가 용기(300)의 록킹홈(320)에 불완전하게 체결됨에 따라 밀폐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로 대용량 밀폐용기 뚜껑에 구비되는 손잡이가 파지시 용기의 무게로 인하여 뚜껑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성형시 편차발생이 불가피한 도자기 용기에 뚜껑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면 중앙에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의 내측 바닥면 양측에 수직가이드가 입설되어 상기 수직가이드에 손잡이의 연결부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림에 다수의 개폐손잡이가 절첩연결부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를 상부에 정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걸림부를 갖는 원기둥형태로 형성하되, 탄성확보를 위해 상기 수직가이드의 상면 일측에 절취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를 평면상 반원형태로 형성하는 한편, 손잡이의 연결부 바닥면 중앙에 가이드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공의 일측에 부채꼴형태의 삽입공을 연통된 상태로 형성하여 손잡이 결합시 상기 삽입공으로 수직가이드의 걸림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가이드공쪽으로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파지홈의 내측 바닥면 양측에 입설되는 수직가이드를 상부에 정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걸림부를 갖는 원기둥형태로 형성하되, 탄성확보를 위해 상기 수직가이드의 상면 일측에 절취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를 평면상 반원형태로 형성하는 한편, 손잡이의 연결부 바닥면 중앙에 가이드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공의 일측에 부채꼴형태의 삽입공을 연통된 상태로 형성하여 손잡이 결합시 상기 삽입공으로 수직가이드의 걸림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가이드공쪽으로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파지시 용기의 무게로 인해 손잡이가 뚜껑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손잡이의 내측면, 즉 용기의 걸림테가 위치되는 부위에 호형의 오목한 수용홈부를 형성하여 도자기 용기 성형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편차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P는 패킹, E는 도자기 용기 성형시 발생되는 편차, F는 수직가이드의 경사각도를 나타낸다.
내용설명상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면 중앙에 파지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11)의 내측 바닥면 양측에 수직가이드(12)가 입설되어 상기 수직가이드(12)에 손잡이(20)의 연결부(21)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림(124)에 다수의 개폐손잡이(10)가 절첩연결부(15)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12)를 상부에 정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걸림부(12a)를 갖는 원기둥형태로 형성하되, 탄성확보를 위해 상기 수직가이드(12)의 상면 일측에 절취부(12b)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12a)를 평면상 반원형태로 형성하는 한편, 손잡이(20)의 연결부(21) 바닥면 중앙에 가이드공(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공(22)의 일측에 부채꼴형태의 삽입공(23)을 연통된 상태로 형성하여 손잡이(20) 결합시 상기 삽입공(23)으로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가 삽입됨과 동시에 가이드공(22)쪽으로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부(12b)는 수직가이드(12)의 높이에 대하여 1/2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가이드(12)에서 절취부(12b)를 1/2정도로 유지하는 이유는, 1/2 미만일 경우 수직가이드(12)가 탄성이 떨어져 자칫 손잡이(20)의 연결부(21)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반대로 1/2을 초과하게 되면, 탄성이 많아져 이역시 손잡이(20)의 연결부(21)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가이드(12)는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손잡이(20) 체결시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가 손잡이(20)의 연결부(21)에 형성된 삽입공(2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수직가이드(12)의 경사각도는 1~3도 사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가이드(12)의 경사각도가 1도 미만인 경우 손잡이(20)의 체결력이 취약해질 수 있고 상기 각도가 3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손잡이(20)의 승강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센터가 맞지 않아 손잡이(20)의 체결을 신속히 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폐손잡이(10)의 내측면에 호형의 오목한 수용홈부(16)를 형성하여 개폐손잡이(10) 체결시 도자기 용기(40)의 편차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손잡이(10)의 내측면에 수용홈부(16)를 형성하는 이유는, 도자기 용기(40) 성형시 걸림테(41) 부분에서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개폐손잡이(10)가 상기 편차가 발생된 부분을 커버함과 동시에 정상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이 담기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40)와, 상기 용기(4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뚜껑에는 손잡이(20)가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을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선택에 따라서 용기(40)를 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다면체로 형성하고 이러한 용기(4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뚜껑을 형성하는 것을 당업자라면 구성의 곤란성없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용기(40)의 상부 외주면으로는 록킹홈(42)을 갖는 걸림테(4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개폐손잡이(10)의 록킹돌기(14)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용기(40)는 최근 이슈화된 환경호르몬의 유해성에 가장 관련성이 적은 도자기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용기(40)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강화유리,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따위의 합성수지재 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뚜껑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즉 외측림(124)과 내측림(125)의 사이에는 자리홈(13)이 마련되어 여기에 패킹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패킹은 용기(40)의 개방된 상단부에 밀착되어 용기(40)를 긴밀하게 밀폐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뚜껑의 외측림(124)에는 다수의 개폐손잡이(10)가 절첩연결부(15)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용기(40)를 개폐하는데, 개폐손잡이(10)의 내측면에는 록킹돌기(14)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용기(40)의 록킹홈(42)에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로 대용량 용기(40) 뚜껑에 구비되는 손잡이(20)가 파지시 용기(40)의 무게로 인하여 뚜껑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성형시 편차발생이 불가피한 도자기 용기(40)에 뚜껑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뚜껑의 상면 중앙에 파지홈(11)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홈(11)의 내측 바닥면 양측에 수직가이드(12)를 입설하게 된다.
상기 수직가이드(12)는 상부에 정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걸림부(12a)를 갖는 원기둥형태로써 상면 일측에 체결시 탄성확보를 위한 절취부(12b)가 형성됨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 걸림부(12a)가 반원형태를 띄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가이드(1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손잡이(20)의 연결부(21) 바닥면 중앙에는 수직가이드(12)의 직경과 동일한 가이드공(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공(22)의 일측에 걸림부(12a)의 형태와 동일한 부채꼴형태의 삽입공(23)을 연통된 상태로 형성하여 손잡이(20) 결합시 상기 삽입공(23)에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가 삽입되어 가이드공(22)쪽으로 밀착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0)는 상면에 보스부(25)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캡(30)의 저면에 상기 보스부(25)에 끼워지는 결합핀(31)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손잡이(20)를 결합하게 될 때에는 손잡이(20)의 연결부(21)와 수직가이드(12)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20)를 하방으로 강하게 눌러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조로 손잡이(20)를 결합하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수직가이드(12)가 손잡이(20)의 수용공간부(24)에 유입된 상태로 손잡이(20)가 파지홈(1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40)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파지홈(11)에 손을 넣어 손잡이(20)를 잡고 들어올리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손잡이(20)가 수직가이드(12)를 따라 상승되면서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가 연결부(21)의 가이드공(22)쪽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20)가 상승된 상태에서 이를 잡고 이동하게 되면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가 가이드공(22)쪽의 걸리게 되고 또한 수직가이드(12)가 내향 경사진 상태로 항시 중앙쪽으로 밀어주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20)가 뚜껑으로부터 절대 분리되지 않을 뿐 아니라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결구조는 종래의 수직가이드(112)와 같이 절결홈(114)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휘어지거나 손잡이(200)의 결합턱(201)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불합리한 구조를 보완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사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20)의 안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공(22) 및 삽입공(23) 역시 이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를 반대방향에 형성하고 손잡이(20)의 안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공(22) 및 삽입공(23) 역시 이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자기 용기(40)에 뚜껑을 적용함에 있어서, 도자기 용기(40) 성형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편차를 극복하기 위한 구조가 동시에 제공된다.
상기한 편차 극복구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손잡이(10)의 내측면, 즉 용기(40)의 걸림테(41)가 위치되는 부위에 호형의 오목한 수용홈부(16)를 형성하여 도자기 용기(40) 성형시 걸림테(41) 부분에서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개폐손잡이(10)가 상기 편차가 발생된 부분을 커버한 상태로 개폐손잡이(10)를 용기(40)에 정상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편차 극복구조는 도자기 용기(40)에 편차가 발생되더라고 뚜껑을 불량처리 하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절감면에서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개폐손잡이(10)의 록킹돌기(14)를 용기(40)의 록킹홈(42)에 적은 힘으로 자연 스럽게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또한 개폐손잡이(10)의 절첩연결부(15)가 취약해지지 않으며 개폐손잡이(10)가 록킹돌기(14)가 용기(40)의 록킹홈(42)에 긴밀히 체결됨에 따라 밀폐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저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파지홈에 수용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파지홈에서 인출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7은 도 5의 "A"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6의 "B"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손잡이의 록킹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손잡이가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11은 도 9의 "C"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D"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13은 종래 용기 뚜껑의 분리사시도
도 14는 종래 손잡이부의 단면구성도
도 15는 종래 체결손잡이의 록킹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16은 종래 체결손잡이가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폐손잡이 11 : 파지홈
12 : 수직가이드 12a : 걸림부
12b : 절취부 13 : 자리홈
14 : 록킹돌기 15 : 절첩연결부
16 : 수용홈부 20 : 손잡이
21 : 연결부 22 : 가이드공
23 : 삽입공 24 : 수용공간부
25 : 보스부 30 : 캡
31 : 결합핀 40 : 용기
41 : 걸림테 42 : 록킹홈

Claims (3)

  1. 상면 중앙에 파지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11)의 내측 바닥면 양측에 수직가이드(12)가 입설되어 상기 수직가이드(12)에 손잡이(20)의 연결부(21)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림(124)에 다수의 개폐손잡이(10)가 절첩연결부(15)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12)를 상부에 정면상 사다리꼴 형태의 걸림부(12a)를 갖는 원기둥형태로 형성하되, 탄성확보를 위해 상기 수직가이드(12)의 상면 일측에 절취부(12b)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12a)를 평면상 반원형태로 형성하는 한편, 손잡이(20)의 연결부(21) 바닥면 중앙에 가이드공(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공(22)의 일측에 부채꼴형태의 삽입공(23)을 연통된 상태로 형성하여 손잡이(20) 결합시 상기 삽입공(23)으로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가 삽입됨과 동시에 가이드공(22)쪽으로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12)를 내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손잡이(20) 체결시 수직가이드(12)의 걸림부(12a)가 손잡이(20)의 연결부(21)에 형성된 삽입공(2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손잡이(10)의 내측면, 즉 용기(40)의 걸림테(41)가 위치되는 부위에 호형의 오목한 수용홈부(16)를 형성하여 도자기 용기(40) 성형시 걸림테(41) 부분에서 편차가 발생되더라도 개폐손잡이(10)가 상기 편차가 발생된 부분을 커버한 상태로 개폐손잡이(10)를 용기(40)에 정상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KR1020090122866A 2009-12-11 2009-12-11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KR10116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866A KR101161650B1 (ko) 2009-12-11 2009-12-11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866A KR101161650B1 (ko) 2009-12-11 2009-12-11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285A KR20110066285A (ko) 2011-06-17
KR101161650B1 true KR101161650B1 (ko) 2012-07-02

Family

ID=4439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866A KR101161650B1 (ko) 2009-12-11 2009-12-11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6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510Y1 (ko) * 2016-08-08 2018-02-28 주식회사 유경 손잡이를 구비한 뚜껑
KR20210146731A (ko) * 2020-05-27 2021-12-06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납축전지용 핸들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312B1 (ko) 2007-02-07 2007-05-09 석종철 밀폐용기의 뚜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312B1 (ko) 2007-02-07 2007-05-09 석종철 밀폐용기의 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510Y1 (ko) * 2016-08-08 2018-02-28 주식회사 유경 손잡이를 구비한 뚜껑
KR20210146731A (ko) * 2020-05-27 2021-12-06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납축전지용 핸들장치
KR102451930B1 (ko) * 2020-05-27 2022-10-07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납축전지용 핸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285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56032B2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US7938286B2 (en) Container system
US20070284276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US8733585B2 (en) Folding container lid
CA2661895C (en) Square- shaped container with a pivotable bail and a lid
CN108502347B (zh) 食品罐
JPH08230874A (ja) 把手付きの蓋を有する容器
KR101121860B1 (ko)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CA2521360A1 (en) Locking structure for hinged container
JP6670340B2 (ja) 密閉容器
EP1864914B2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KR101161650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TW201700367A (zh) 食物容器
US20050035017A1 (en) Container for storing elongated articles
KR101161651B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JP2002308306A (ja) 包装用容器の蓋構造
KR101030706B1 (ko) 음식물용기
KR20100013006U (ko) 손잡이를 구비한 밀폐용기용 뚜껑
KR200246139Y1 (ko) 손잡이 이탈방지용 돌기를 가지는 용기
KR101927197B1 (ko)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KR200150374Y1 (ko) 플라스틱재 보관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