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31U - 다용도 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31U
KR20190000531U KR2020170004394U KR20170004394U KR20190000531U KR 20190000531 U KR20190000531 U KR 20190000531U KR 2020170004394 U KR2020170004394 U KR 2020170004394U KR 20170004394 U KR20170004394 U KR 20170004394U KR 20190000531 U KR20190000531 U KR 201900005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lid
container body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프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프라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프라콘
Priority to KR2020170004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531U/ko
Publication of KR20190000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65D41/343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with drive means between closure and tamp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봉 상태 유지력이 향상되고, 밀봉된 용기의 개방이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다용도 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뚜껑과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단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결합부의 하부에는 밀봉부재가 배치되는 밀봉부재홈이 형성되며, 뚜껑은 내측 테두리에 용기본체의 상단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나사부가 형성되고, 밀봉부재는 용기본체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밀봉부재홈에 접속되되, 뚜껑의 하단부와 연결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용기{MULTIPURPOSE CONTAINER}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봉 상태 유지력이 향상되고, 밀봉된 용기의 개방이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가공식품, 세탁세제 등등 다양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뚜껑은 용기본체의 상단과 결합될 때 봉인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뚜껑을 용기본체의 상단부와 결합하여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뚜껑을 결합한 다음, 그 뚜껑이 개봉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용기는 용기본체의 상부 외측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과 나사 결합하여 밀폐되도록 내측 테두리에 나사홈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뚜껑을 봉인하는 봉인환으로 구성하되, 상기 봉인환과 뚜껑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이음부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용기는 뚜껑의 하단부에 절단 가능한 이음부로 연결된 봉인환이 용기본체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감싸듯이 구성되고, 상기 뚜껑과 봉인환을 연결하는 이음부가 뚜껑의 개봉에 의해 절단되면 뚜껑은 용기본체와 분리되고 봉인환은 용기본체의 상부에 계속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용기는 뚜껑의 회전에 의해 뚜껑과 봉인환이 쉽게 분리되는 구성으로서 봉인된 용기의 유통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뚜껑의 회전에 의해 용기가 개봉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용 및 유통상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용기는 뚜껑과 용기본체의 분리 이후에도 용기본체와 재료가 상이한 봉인환이 용기본체에 계속 남아있는 구조에 의해 용기본체의 재활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1848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도하지 않은 뚜껑의 회전에 의한 용기본체와 뚜껑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본체와 밀봉부재의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다용도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재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다용도 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뚜껑과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단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결합부의 하부에는 밀봉부재가 배치되는 밀봉부재홈이 형성되며, 뚜껑은 내측 테두리에 용기본체의 상단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나사부가 형성되고, 밀봉부재는 용기본체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밀봉부재홈에 접속되되, 뚜껑의 하단부와 연결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의 걸림턱과 밀봉부재의 개봉방지 걸림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뚜껑의 회전에 의한 용기본체의 뚜껑의 분리가 방지되어, 다용도 용기 밀봉 상태 유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밀봉부재의 손잡이에 의해 사용자가 밀봉부재와 손잡이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밀봉부재와 용기본체의 분리가 용이하여 다용도 용기의 재활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밀봉부재와 용기본체의 분리가 가능하여 다용도 용기의 재사용시 용기의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고, 뚜껑과 용기본체의 나사식 개폐 방식에 의해 용기의 재사용시 밀폐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부분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용기의 부분 단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용기는 용기본체(100)와, 뚜껑(200)과, 밀봉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폐쇄된 형상이다. 상기 뚜껑은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용기본체(100) 내부의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밀봉부재(30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듯한 형상으로서, 뚜껑(200)이 개봉되기 전에는 뚜껑(20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뚜껑(200)이 개봉된 후에는 뚜껑(200) 및 용기본체(100)와 분리된다.
용기본체(100)는 상부에 형성된 상단결합부(110)와, 상기 상단결합부(110)의 하부 방향에 형성된 수용부(120)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결합부(110)의 상부 외측 테두리에는 뚜껑(200)과 나사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단결합부(110)의 하부 외측 테두리에는 밀봉부재(300)가 접속되는 밀봉부재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재홈(111)의 내부 하측 방향에는 밀봉부재(300)의 회전을 방지하는 개봉방지걸림턱(112)이 형성된다. 상기 개봉방지걸림턱(112)은 밀봉부재홈(111)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밀봉부재(300) 하부걸림턱(350)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된다.
뚜껑(200)은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폐쇄된 형상이다. 뚜껑(200)은 하부 내측 테두리에는 상단결합부(110)의 나사산과 체결 가능한 결합나사부(210)가 형성된다. 뚜껑(200)의 하단부가 밀봉부재(300)의 상단부와 연결편(36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뚜껑(200)의 회전이 방지되고, 연결편(360)이 끊어져 뚜껑(200)과 밀봉부재(300)가 분리되었을 때에는 뚜껑(200)의 회전이 가능하여 용기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밀봉부재(30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감싸는 듯한 형상의 밀봉부재본체(310)와, 상기 밀봉부재본체(310)의 외측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330)와, 상기 밀봉부재본체(310)의 내측 테두리 상부에 형성된 상부걸림턱(340)과, 상기 밀봉부재본체(310)의 내측 테두리 하부에 형성된 하부걸림턱(350)과, 밀봉부재본체(3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뚜껑(200)과 밀봉부재(300)를 연결하는 연결편(360)으로 이루어진다.
손잡이(330)는 밀봉부재본체(310)의 외측 테두리 소정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소정위치는 밀봉부재본체(310)의 절단부(320)와 근접한 위치이다. 상기 절단부(320)는 밀봉부재본체(310)의 소정위치가 쉽게 절단되도록 밀봉부재본체(310)의 다른 부분 대비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이다.
상부걸림턱(340)은 밀봉부재본체(310)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되, 수직 방향의 길이가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걸림턱(340)의 저면은 용기본체(100) 개봉방지걸림턱(112)의 상단과 접촉하고, 상부걸림턱(340)의 상면은 밀봉부재홈(111)의 상부 저면과 접촉하여 밀봉부재(300)가 밀봉부재홈(111) 내부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하부걸림턱(350)은 밀봉부재본체(310)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되, 수직 방향의 길이가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걸림턱(350)의 측면은 용기본체(100) 개봉방지걸림턱(112)의 측면과 접촉하여 밀봉부재홈(111) 내부에서 밀봉부재(3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밀봉부재(300)와 뚜껑(200)이 연결편(3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밀봉부재(300)에 의해 뚜껑(200)의 회전이 방지되어 용기본체(100)와 뚜껑(200)의 분리가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손잡이(330)을 잡아 뜯어 밀봉부재(300)와 뚜껑(200)을 분리하면 뚜껑(200)의 회전이 가능하여 용기본체(100)와 뚜껑(200)의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이고,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뚜껑(200)이 결합되어 있으며, 뚜껑(200)과 밀봉부재(300)가 연결편(360)에 의해 연결된 상태는 본고안에 의한 다용도 용기의 내용물이 봉인된 상태이다.
상기한 봉인 상태에서는 밀봉부재(300)의 상단부와 뚜껑(200)의 하단부가 연결편(36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밀봉부재(300)의 하부걸림턱(350)과 용기본체(100)의 개봉방지걸림턱(112)의 작용에 의해 뚜껑(200)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다용도 용기의 밀봉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사용자가 손잡이(330)을 잡아당기면 절단부(320)가 끊어지게 되고, 손잡이(330)을 더욱 잡아당기면 뚜껑(200)과 밀봉부재(300)를 연결하는 연결편(360)이 끊어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자유롭게 뚜껑(200)을 개봉 또는 폐쇄하며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용기를 사용할 수 있고, 최초 내용물이 소진된 후에는 내용물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상단결합부
111: 밀봉부재홈 112: 개방방지걸림턱
120: 수용부 200: 뚜껑
210: 나사결합부 300: 밀봉부재
310: 밀봉부재본체 320: 절단부
330: 손잡이 340: 상부걸림턱
350: 하부걸림턱 360: 연결편

Claims (3)

  1.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0)과, 상기 뚜껑(20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밀봉부재(300)를 포함하는 다용도 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100)의 상부에는 뚜껑(200)과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상단결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결합부(110)의 하부에는 밀봉부재(300)가 접속되는 밀봉부재홈(111)이 형성되며,
    뚜껑(200)은 내측 테두리에 용기본체(100)의 상단결합부(110)와 결합 가능한 결합나사부(210)가 형성되고,
    밀봉부재(30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뚜껑(200)의 하단부와 연결편(360)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밀봉부재홈(111)에는 밀봉부재홈(11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개봉방지걸림턱(112)이 형성되고,
    밀봉부재(300)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개봉방지걸림턱(112)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하부걸림턱(3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밀봉부재(300)의 외측 테두리 소정위치에는 밀봉부재(30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KR2020170004394U 2017-08-18 2017-08-18 다용도 용기 KR201900005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94U KR20190000531U (ko) 2017-08-18 2017-08-18 다용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94U KR20190000531U (ko) 2017-08-18 2017-08-18 다용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31U true KR20190000531U (ko) 2019-02-27

Family

ID=6551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94U KR20190000531U (ko) 2017-08-18 2017-08-18 다용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5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56B1 (ko) * 2019-11-21 2020-09-21 김재기 분리 제거형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56B1 (ko) * 2019-11-21 2020-09-21 김재기 분리 제거형 씰링부재가 구비된 음식물 저장용기의 누수방지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JP5415351B2 (ja) 容器用注出器
KR20150001931U (ko) 용기용 에코 캡
JP2019534218A (ja) 多目的エコキャップ
JP2015081092A (ja) ヒンジキャップ
WO2021031798A1 (zh) 内杯可替换的化妆品罐
JP2018034836A (ja) 二重容器
US20140263317A1 (en) Bottle Cap Replacement
JP6183683B2 (ja) 注出容器
CN205169251U (zh) 一种一次性密封包装盒
KR20190000531U (ko) 다용도 용기
JP2018140788A (ja) 詰め替え容器
JP5090021B2 (ja) キャップおよび閉止装置ならびに飲料入り閉止装置
JP5965039B1 (ja) 開封防止機能付き容器及び開封防止部材
KR100736433B1 (ko) 밀봉 포장용기
KR20120007211U (ko) 밀폐 용기
KR20120006446U (ko) 개폐가 용이한 병뚜껑과 병따개 구조
KR101844352B1 (ko)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잠금수단을 갖는 스텐뚜껑
CN109715510A (zh) 用于食品包装的盖
KR101552510B1 (ko) 연결밴드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마개 개폐 구조
KR200486133Y1 (ko) 원터치식 캔 뚜껑을 가지는 포장용기
KR200374679Y1 (ko) 튜브용기 뚜껑
KR101383482B1 (ko) 과자류 포장용기
TW201433519A (zh) 具有可撕式拉環之產品包裝密封件
CN209852882U (zh) 一种瓶盖及包括该瓶盖的瓶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