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433B1 - 밀봉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밀봉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433B1
KR100736433B1 KR1020060102909A KR20060102909A KR100736433B1 KR 100736433 B1 KR100736433 B1 KR 100736433B1 KR 1020060102909 A KR1020060102909 A KR 1020060102909A KR 20060102909 A KR20060102909 A KR 20060102909A KR 100736433 B1 KR100736433 B1 KR 10073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opening
container
sealing lid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연기
Original Assignee
(주)새신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신프라코 filed Critical (주)새신프라코
Priority to KR102006010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3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5/28Handles
    • B65D2525/281Details relating to handles
    • B65D2525/286Details relating to handles movable between two or more stable positions, e.g. a retracted and an extended position
    • B65D2525/288Details relating to handles movable between two or more stable positions, e.g. a retracted and an extended position by pivot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 포장용기의 밀봉뚜껑을 간편하고 신속히 계폐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본체로 이물질이 들어가 내용물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밀봉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상단 둘레부에는 걸림턱(120)이 형성된 통형상의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커버하며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턱(120)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20,225)가 돌출형성되고 하단 둘레부에는 개봉하기 위한 절취스트립(240)이 마련되는 밀봉뚜껑(200)으로 구성된 밀봉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200)의 중앙부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두께가 얇은 절첩부(210)를 형성하여, 상기 절첩부(210)를 중심으로 용기본체(100)의 상단 일측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201)와 하단 둘레부에 상기 절치스트립(240)이 마련되어 상기 절취스트립(240)을 제거하면 상하로 회동되어 용기본체(100)의 타측을 계폐하는 개폐부(2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용기, 뚜껑, 밀봉, 절첩부, 고정, 개폐, 지지돌기

Description

밀봉 포장용기{airtight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절취스트립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 뚜껑의 개폐부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 뚜껑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절취스트립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 뚜껑의 개폐부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 적층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손잡이부 요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손잡이부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기본체 110. 개구부
120. 걸림턱 200. 밀봉뚜껑
201. 고정부 203. 개폐부
210. 절첩부 220,225.걸림돌기
240. 절취스트립 260. 지지돌기
본 발명은 밀봉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분말세제나 방수제, 페인트 등의 각종 화공약품을 담아서 포장하되 절취스트립을 제거해야만 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밀봉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세제나 염료, 도료, 방수제, 페인트 등을 담는 포장용기는 합성수지재 용기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합성수지재 포장용기가 금속 포장용기에 비해 한화 등의 화학반응에 민감하지 않아 내용물을 장기간 변질없이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합성수지재 포장용기 중 용기본체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밀봉뚜껑을 덮되 밀봉뚜껑의 일측 둘레부의 절취스트립을 제거해야만 밀봉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밀봉 포장용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밀봉 포장용기는 밀봉뚜껑이 용기본체 완전히 분리되 는 방식이므로,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밀봉뚜껑을 용기본체에서 일일이 분리하여 지면 등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사용하고,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는 다시 지면 등에 내려놓은 밀봉뚜껑을 일일이 파지하여 용기본체에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밀봉뚜껑을 개방한 상태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 용기본체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포장용기에는 용기본체에 회동 손잡이를 구비하기도 하는데, 종래 손잡이는 파지부가 단순히 원형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를 들기 위해서는 파지부를 파지하여 수직상태로 회동시킨 후 다시 손잡이를 바로 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 포장용기의 밀봉뚜껑을 간편하고 신속히 계폐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본체로 이물질이 들어가 내용물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밀봉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며 상단 둘레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통형상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내벽 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하단 둘레부에는 개봉하기 위한 절취스트립이 마련되는 밀봉뚜껑으로 구성된 밀봉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의 중앙부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두께가 얇은 절첩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첩부를 중심으로 용기본체의 상단 일측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와 하단 둘레부에 상기 절치스트립이 마련되어 상기 절취스트립을 제거하면 상하로 회동되어 용기본체의 타측을 계폐하는 개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개폐부를 회동 개방시켰을때 개폐부가 고정부에 맞닿지 않도록 하는 지지돌기가 상향돌출되고, 상기 절취스트립을 제거하더라도 고정부와 마주하는 개폐부 내벽면의 걸림돌기는 제거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절취스트립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 뚜껑의 개폐부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 뚜껑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의 절취스트립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 뚜껑의 개폐부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을 커버하는 밀봉뚜껑(200)과, 양단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 양측에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손잡이(30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관되게 테이퍼진 사각 통형상으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 된 것으로, 개구부(110)측 둘레부에는 즉, 상단 외주면에는 둘레부를 따라 외향 돌출되는 걸림턱(120)이 형성되어, 밀봉뚜껑(200)이 상기 걸림턱(120)에 걸려져 용기본체(100)의 상단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00)의 저면 양측에는 후술할 밀봉뚜껑(200)의 절첩부(210) 부위와 간섭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250)이 형성된다.
상기 밀봉뚜껑(20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를 커버하도록 용기본체(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10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되 둘레벽(230) 내벽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내향 돌출되는 걸림돌기(220)가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220)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걸림턱(120)에 걸려져 밀봉 고정 결합되며, 후술할 절취스트립(240)을 제거해야만 계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밀봉뚜껑(2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즉, 길이방향 1/3지점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두께가 얇은 절첩부(2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첩부(210)를 중심으로 용기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 개구부(110)를 커버하도록 용기본체(100)의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201)와, 둘레벽(230) 하단 전체에 절 취스트립(240)이 마련되며 타측 개구부(110)를 커버하도록 용기본체(100)의 상단 타측에 결합되는 개폐부(20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201)와 개폐부(203)의 상면 중앙부에는 용기본체(100)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안착홈(170,270)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본체(100)의 하단을 상기 안착홈(170,270)에 안착시킬 수 있어 다수의 포장용기를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취스트립(240)의 길이방향 양단 위치의 둘레벽(230) 상부는 절취스트립(240)을 제거한 후 개폐부(203)가 회동 개폐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취약부(지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상기 절취스트립(240)의 일단부에는 파지공(245)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파지공(245)을 통해 절취스트립(240)의 일단부를 잡고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절취스트립(240)이 밀봉뚜껑(200) 즉, 개폐부(203)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스트립(240)을 분리한 후, 상기 밀봉뚜껑(200)의 개폐부(203)을 상향 회동시키면 용기본체(100)의 타측 개구부(11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취스트립(240)은 밀봉뚜껑(200)의 개폐부(203)에서 제거하더라도 개폐부(203)의 길이방향 일측벽 중앙부, 즉, 고정부(201)와 마주하는 개폐부(203)측 내벽면 중앙에 하향 돌출되는 돌출부(235)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235)측의 둘레벽에 형성된 걸림돌기(225)는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밀봉뚜껑(200)의 개폐부(203)를 닫으면 돌출부(235) 둘레벽에 형성된 걸림돌기(225)가 용기본체(100)의 걸림턱(120)에 걸려지도록 하여 개폐부(203)가 임으로 상향 회동되어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201)의 상면에는, 즉, 상기 절취스트립(210)에 인접한 고정부(201)의 상면에는 상향 돌출되는 지지돌기(260)가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203)를 상향 회동 개방하더라도 개폐부(203)가 대략 180°로 회동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260)에 의해 고정부(201)와 맞닿지 않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260)에 의해 개폐부(203)의 회동 개폐각도를 줄여 상기 개폐부(203)를 수시로 회동 작동시키더라도 절첩부(210)가 쉽게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돌기(260)를 고정부(201) 상면에 형성하였으나, 절취스트립(210)과 인접한 개폐부(203)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손잡이(300)는 용기본체(100)의 상단 폭방향 양측에 그 양단이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용기본체(100)를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둘레부가 원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결합부(310)와, 상기 손잡이결합부(3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단부가 각각 상기 용기본체(100)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띠형상의 지지스트립(330)과, 상기 손잡이결합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파지부(3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00)는 손잡이결합부(310)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파지부(35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손잡이(300)를 상향 회동시켜 용기본체(100)를 들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손잡이를 상향 회동시킨 후 파지부를 다시 바로 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이때, 상기 파지부(350)의 둘레부는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경되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용기본체(100)를 들더라도 파지부(350)를 파지한 손가락에 균일한 하중이 전달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00)를 용기본체(100)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회동시켰을때 파지부(350)의 둘레부가 용기본체(100) 상단 둘레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다른 용기를 이웃하게 적층하더라도 이웃하는 용기들끼리 간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적은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포장용기를 적층할 수 있도록 한다.
미설명 번호 290은 밀봉뚜껑(200)의 저면 둘레부를 따라 하향 돌출형성되어 용기본체(100)의 상단에 가압 밀착되는 밀봉돌기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밀봉 포장용기는 밀봉뚜겅(200)의 중앙부에 절첩부(210)를 형성하여 개구부(110) 일측을 커버하도록 고정부(201)와 개구부(110) 타측을 커버하는 개폐부(203)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개폐부(203)만 간편하게 상향 회동시키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가 개폐되면 내용물을 사용한 후 개폐부(203)를 하향 회동시키기만 하면 개구부(100)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밀봉뚜껑이 용기본체로 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에 비해 간편하게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포장용기는 밀봉뚜껑에 절첩부를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회동 개폐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절취스트립을 제거한 후 개폐부만 상하로 회동시키면 개구부를 개방시키거나 커버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밀봉뚜껑을 용기본체로 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것에 비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히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개폐부를 간편하고 신속히 닫을 수 있음에 따라 용기본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며 상단 둘레부에는 걸림턱(120)이 형성된 통형상의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커버하며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턱(120)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20,225)가 돌출형성되고 하단 둘레부에는 개봉하기 위한 절취스트립(240)이 마련되는 밀봉뚜껑(200)으로 구성된 밀봉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뚜껑(200)의 중앙부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두께가 얇은 절첩부(210)를 형성하여, 상기 절첩부(210)를 중심으로 용기본체(100)의 상단 일측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201)와 하단 둘레부에 상기 절취스트립(240)이 마련되어 상기 절취스트립(240)을 제거하면 상하로 회동되어 용기본체(100)의 타측을 계폐하는 개폐부(203)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본체(10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관되도록 테이퍼진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201)와 개폐부(203)의 상면 중앙부에는 용기본체(100)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안착홈(170,27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저면 양측에는 절첩부(210) 부위와 이격될 수 있도록 홈(250)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절첩부(210)와 인접한 고정부(201)의 상면 또는 개폐부(203) 상면에는 개폐부(203)를 회동 개방시켰을때 개폐부(203)가 고정부(201)에 맞닿지 않도록 하는 지지돌기(260)가 상향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포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스트립(240)을 제거하더라도 고정부(201)와 마주하는 개폐부(203) 내벽면의 걸림돌기(225)는 제거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포장용기.
  3. 삭제
  4. 삭제
  5.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0)의 상단에는 밀봉뚜껑(200)이 결합되고 용기본체(100)의 상단 양측벽에는 그 양단이 힌지 결합된 손잡이(300)가 구비된 밀봉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의 손잡이결합부(310)와, 상기 손잡이결합부(3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용기본체(100)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띠형상의 지지스트립(330)과, 상기 손잡이결합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파지부(350)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300)를 용기본체(100)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회동시켰을때 파지부(350)가 용기본체(100) 상단 둘레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포장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350)는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경되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포장용기.
  7. 삭제
KR1020060102909A 2006-10-23 2006-10-23 밀봉 포장용기 KR10073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09A KR100736433B1 (ko) 2006-10-23 2006-10-23 밀봉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09A KR100736433B1 (ko) 2006-10-23 2006-10-23 밀봉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433B1 true KR100736433B1 (ko) 2007-07-09

Family

ID=3850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909A KR100736433B1 (ko) 2006-10-23 2006-10-23 밀봉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4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32U (ko) * 2015-05-15 2016-11-23 박병호 식자재 운반 및 보관용 용기
CN110053860A (zh) * 2019-03-30 2019-07-26 王顺 一种pp塑料送餐盒
WO2020085713A1 (ko) * 2018-10-25 2020-04-30 구현우 저장용기
US20220194670A1 (en) * 2020-12-22 2022-06-23 Sabert Corporation Container system with base and foldable l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963A (ja) * 1990-06-12 1992-02-14 Lion Corp 密封用蓋
KR200389439Y1 (ko) 2005-04-15 2005-07-14 (주)조은식품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963A (ja) * 1990-06-12 1992-02-14 Lion Corp 密封用蓋
KR200389439Y1 (ko) 2005-04-15 2005-07-14 (주)조은식품 포장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32U (ko) * 2015-05-15 2016-11-23 박병호 식자재 운반 및 보관용 용기
KR200483857Y1 (ko) * 2015-05-15 2017-07-03 박병호 식자재 운반 및 보관용 용기
WO2020085713A1 (ko) * 2018-10-25 2020-04-30 구현우 저장용기
US11772853B2 (en) 2018-10-25 2023-10-03 Hyunwoo GU Storage container
CN110053860A (zh) * 2019-03-30 2019-07-26 王顺 一种pp塑料送餐盒
US20220194670A1 (en) * 2020-12-22 2022-06-23 Sabert Corporation Container system with base and foldable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8336C (en) Storage container with spout
CA3014532C (en) Storage container
US20040118848A1 (en) Tamper-evident lid assembly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KR20060015011A (ko) 재밀폐 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CN106458352B (zh) 用于柔性容器的配件
CN111148699A (zh) 用于容器的具有改善的密封性的盖子
KR100736433B1 (ko) 밀봉 포장용기
EP1833726B1 (en) Container with two chambers and with the components of a two-part epoxy paint
WO2018089364A1 (en) Resealable cover for containers and carrying assembly for use with same
CA2430205A1 (en) Tamper-evident lid assembly
JP5616161B2 (ja)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ES2256714T3 (es) Cierre recerrable para un recipiente.
KR20180126638A (ko) 밀폐용기
KR100615946B1 (ko)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JP5959339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0522417B1 (ko) 밀폐용기
JP2016502963A (ja) 剥離可能なタブを備える製品パッケージシール
KR20190000531U (ko) 다용도 용기
KR200448784Y1 (ko) 장류 포장용기
JP4467288B2 (ja) 摺り切り具付の蓋および蓋付の容器
CN208665933U (zh) 一种皮革涂饰剂的包装容器
KR200251349Y1 (ko) 합성수지재 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367938Y1 (ko) 내용물 파편 차단막이 있는 용기
KR200365967Y1 (ko) 젓갈통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