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237A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0237A KR20140120237A KR20130085545A KR20130085545A KR20140120237A KR 20140120237 A KR20140120237 A KR 20140120237A KR 20130085545 A KR20130085545 A KR 20130085545A KR 20130085545 A KR20130085545 A KR 20130085545A KR 20140120237 A KR20140120237 A KR 201401202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pressing projection
- container body
- projection
- p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에는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부재가 회전에 의해서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회전부재는 커버를 일측 상향으로 가압하여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커버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저장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저장용기(10)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버(12) 및 용기본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12)의 둘레에는 결합날개(14)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16)의 둘레에는 네 개의 결합날개(14)가 걸리게 되는 걸림단턱(1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 결합하여 용기본체(16)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 걸리게 해야 한다. 그리고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위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저장용기(10)는 커버(12)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기거나 또는 위로 당겨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커버(12)의 분리 또는 결합 과정에서 네 개의 결합날개(14) 중에서 하나의 결합날개(14)라도 잠그지 않게 되면, 용기본체(16)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 내리거나 용기본체(16)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커버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에는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부재가 회전에 의해서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회전부재는 커버를 일측 상향으로 가압하여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는 측방향으로 우선 이동한 후 상향 이동할 수 있다.
커버는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부재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용기본체는 가압돌기가 삽입되어 접촉하는 가압돌기삽입홈을 구비하며, 가압돌기가 가압돌기삽입홈의 내측을 가압함으로써 커버는 일측 상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회전부재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가압돌기와 가압돌기삽입홈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는 그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압돌기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가압돌기는,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을 때, 가압돌기삽입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돌기홈은 회전부재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은 회전부재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는 그 내측에 보조돌기를 구비하고, 용기본체는 보조돌기가 삽입되는 보조돌기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돌기는 커버의 외부둘레면 및 바닥면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장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커버의 저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회전부재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회전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된 회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예시된 용기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예시된 용기본체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 상태에서, 측면돌기와 측면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회전걸림부에서 분리되고 가압돌기가 가압돌기삽입홈의 내부와 접촉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결합 상태에서, 측면돌기와 측면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결합 상태에서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커버의 측방향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결합 상태에서, 측면돌기와 측면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커버가 도 14의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가 상향 이동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예시된 회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은 도 17에 예시된 회전부재와 가압돌기삽입홈의 결합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회전부재의 가압돌기가 가압돌기삽입홈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가 커버를 측방향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가 커버를 측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후 가압돌기삽입홈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커버의 저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회전부재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회전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된 회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예시된 용기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예시된 용기본체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 상태에서, 측면돌기와 측면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회전걸림부에서 분리되고 가압돌기가 가압돌기삽입홈의 내부와 접촉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결합 상태에서, 측면돌기와 측면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결합 상태에서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커버의 측방향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결합 상태에서, 측면돌기와 측면걸림부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커버가 도 14의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가 상향 이동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예시된 회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은 도 17에 예시된 회전부재와 가압돌기삽입홈의 결합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회전부재의 가압돌기가 가압돌기삽입홈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가 커버를 측방향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가 커버를 측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후 가압돌기삽입홈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측 및 타측 그리고 후면 및 측면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측방향,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은 수평 방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각을 갖는 측방향까지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음식물, 화장품 및 액세서리 등 다양한 물건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모서리가 곡선으로 처리된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커버(120), 용기본체(200)및 패킹(260)을 포함한다. 커버(120)는 그 둘레에 용기본체(200)에 결합하기 위한 회전부재(14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를 조작함으로써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대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다.
커버(120)의 내부에는 패킹(260)이 결합된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된 경우, 패킹(260)은 커버(120)와 용기본체(200) 사이에 개재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커버(120)의 저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20)는 용기본체(200)에 결합하여 용기본체(200)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120)의 측면에는 하나의 회전부재(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버(120)는, 회전부재(140)가 용기본체(200)의 회전걸림부(22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본체(200)에 대해 결합 또는 분리된다.
커버(120)는 커버바디(122), 외부둘레면(124), 후면돌기(130), 측면돌기(160), 내부둘레면(170) 및 패킹홈(180)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120)의 외부둘레면(124) 중 일 측에는 회전부재(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버바디(122)는 용기본체(200)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므로 용기본체(200)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커버바디(122)는 용기본체(200)에 올려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즉, 측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용기본체(200)의 입구에 비해 약간 크게 형성된다. 커버바디(122)의 둘레에는 외부둘레면(124)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바디(122)의 내측에는 내부둘레면(170) 및 패킹홈(180)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면(124)은 커버(12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커버바디(122)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사각 형상을 갖는 커버바디(122)에서, 그 세 개의 측면에는 외부둘레면(124)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둘레홈(126)이 형성된 부분)에는 외부둘레면(124)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형성되어 있더라도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면(124)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회전부재(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외부둘레면(124)이 커버바디(122)의 세 개의 측면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하향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커버(120)를 그 내면이 바닥을 향하게 두더라도, 커버(120) 내부의 내부둘레면(170) 및 패킹(260)은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커버(120)를 뒤집어 놓지 않더라도, 커버(120)에 의해 바닥면이 오염되거나 또는 바닥면에 의해 커버(120)의 내면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둘레면(124)은 곡선 형상으로 커버바디(122)와 연결된다. 그리고 외부둘레면(124)의 내부에 위치하는 패킹(260)은, 이와 같은 외부둘레면(124)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외측테두리(264)에 비해 내측테두리(266)가 높게 형성된다.
외측테두리(264)에 비해 내측테두리(266)가 더욱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내측테두리(266)에 많은 탄성력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커버(120)와 용기본체(20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내측테두리(26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커버(120)가 상부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외부둘레면(124)이 외측으로 곡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커버(120)가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외부둘레면(124)의 내측면은 용기본체(200)의 용기단부(212)를 하향 압박하는데, 외부둘레면(124)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20)의 측면 이동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외부둘레면(124)은 용기본체(200)의 용기단부(212)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저장용기(100)에 낙하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커버(120)의 측방향 이동을 억제하여 커버(1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둘레면(124)의 일 측에는 둘레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홈(126)은 외부둘레면(124)에서 약간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둘레홈(126)에는, 회전부재(140)에 형성된 가압돌기(148)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서, 누름면(128)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누름면(128)은 둘레홈(126)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누름면(128)은,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경우, 가압돌기(148)에 의해 가압되어 측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패킹(260)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누름면(128)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도면부호 없음)가 패킹(260)에 의해 밀폐된다.
둘레홈(126)이 형성된 부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회전부재(140)가 외부둘레면(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둘레홈(126)은, 회전부재(140)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148)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외부둘레면(124)의 내측에는 한 쌍의 후면돌기(1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후면돌기(130)는 외부둘레면(124) 중에서 둘레홈(126)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후면돌기(130)는 용기본체(200)에 형성된 회전걸림부(220)에 걸리게 된다.
후면돌기(130)는 경사면(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후면돌기(130)가 회전걸림부(220)의 회전걸림돌기(222)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한 쌍의 후면돌기(13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후면돌기(130)는 용기본체(200)의 용기테두리(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용기테두리(210)와 동일한 높이로 결합되거나 또는 그 상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후면돌기의 높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둘레면(124)의 내측에는 한 쌍의 측면돌기(160)가 좌우 대칭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측면돌기(160)는 용기본체(200)에 형성된 측면걸림부(230)에 걸리게 된다.
측면돌기(160)의 측면 및/또는 상면에는 경사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측면돌기(160)가 측면걸림부(230)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좌우 두 개씩 모두 네 개의 측면돌기(16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커버(120)는 좌우 각각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측면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측면돌기(160)는 용기본체(200)의 용기테두리(210)의 하부에 걸리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용기테두리(210)와 동일한 높이로 결합되거나 또는 그 상부에 형성된 별도의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측면돌기(160)의 높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바디(122)의 내면에는 내부둘레면(170)이 하향 돌출되어 있다. 내부둘레면(170)은 외부둘레면(124)의 내부에 위치한다. 내부둘레면(170)과 외부둘레면(124)의 사이에는, 패킹(260)이 삽입되는 패킹홈(18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20)는 용기본체(20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커버(120)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내부둘레면(170)은 용기본체(200)의 입구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된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경우, 내부둘레면(170)은 용기본체(200)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내부둘레면(170)에는 위치설정돌기(172)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 형성된다. 위치설정돌기(172)는,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올려 놓는 경우, 커버(120)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위치설정돌기(172)는, 커버(12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용기본체(200)의 내면과 접하면서, 커버(12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패킹홈(180)에는 패킹(260)이 삽입된다. 패킹홈(180)의 바닥면은, 도 10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상을 갖는 외부둘레면(124)에 의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패킹홈(180)의 형상에 대응하여, 패킹(260)도 외측테두리(264)에 비해 내측테두리(266)가 높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커버(120)에 결합되는 회전부재(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회전부재(14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회전부재(14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예시된 회전부재(140)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40)는 커버(120)의 외부둘레면(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회전부재(140)는 절개부(141), 받침돌기(144), 회전잠금돌기(146) 및 가압돌기(148)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40)는 가압돌기(148)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41)는 회전부재(14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그 내부 중앙에는 가압돌기(14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절개부(141)의 좌우측에는 외부둘레면(124)과 연결되는 연결단부(142)가 각각 위치한다. 회전부재(140)는 연결단부(142)를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돌기(148)는 회전부재(140)의 회전 중심인 연결단부(142)의 일측에 위치한다.
받침돌기(144)는 가압돌기(148)의 좌우에 각각 대칭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받침돌기(144)는, 회전부재(140)가 회전하여 용기본체(200)의 회전걸림부(220)에 결합하는 경우, 회전걸림부(220)의 측면을 가압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40)를 아래로 더욱 당기면, 회전부재(140)는 받침돌기(144)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커버(120)를 측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돌기 형상의 받침돌기(144)에 의해서 커버(120)가 측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받침돌기(144)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서도 커버(120)를 측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140)의 연결단부(142)의 위치를 외부둘레면(124) 방향으로 더욱 안쪽으로 형성함에 의해서도 받침돌기(144)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전부재(140)의 내면에는 한 쌍의 회전잠금돌기(146)가 돌출되어 있다. 회전잠금돌기(146)는 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회전잠금돌기(146)는 용기본체(200)의 회전걸림돌기(222)에 결합한다.
가압돌기(148)는 회전부재(140)의 중앙에 하나가 구비된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될 때, 가압돌기(148)는 용기본체(200)에 구비된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부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140)의 가압돌기(148)는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또한 들려지게(pushed up)도 한다.
가압돌기(148)의 내측에는 가압돌기홈(156)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홈(156)은, 가압돌기(148)가 일정 각도까지 회전할 동안에는(즉, 도 10 내지 도 11의 상태에서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 가압돌기삽입홈(224)과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압돌기(148)에 의해 커버(120)가 들려지지 않게 하여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6)가 회전걸림돌기(222)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한다.
가압돌기(148)는 연결부(152), 수평부(154), 수직부(158) 및 가압돌기홈(156)을 갖는다.
연결부(152)는 절개부(141)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고, 그 단부에는 수평부(154)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154)는 회전부재(140)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고, 그 단부에는 수직부(15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부(154)와 수직부(158)의 내측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가압돌기홈(156)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52)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52)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압돌기(148)를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홈은 연결부(152)의 외측면은 물론 회전부재(140)의 다른 외측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가압돌기홈(156)은 가압돌기(148)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압돌기(148)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가압돌기삽입홈(224)에 접촉하지 않게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 가압돌기홈(156)에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걸림돌기(226)가 위치하고, 내측걸림돌기(226)는 가압돌기(148)의 내측면과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
여기서 일정 각도는, 회전부재(140)가 용기본체(200)의 측면에 결합된 상태(도 10 참조)에서 가압돌기(148)의 수직부(158)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도 12 참조) 회전부재(140)가 회전한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가압돌기홈(156)은 가압돌기(148)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가압돌기홈(156)에 삽입되는 내측걸림돌기(226)도 회전걸림부(2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0)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압돌기홈(156)과, 가압돌기홈(156)에 삽입되는 내측걸림돌기(226)는,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될 때 커버(120)의 중심을 잡아주어 커버(120)의 측방향 이동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돌기(148)가 일정 각도까지 회전하여 커버(120)의 측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수직부(158)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과 접촉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직부(158)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부에서 거의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압돌기(148)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수직부(158)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을 가압하면, 커버(120)가 상향 이동하여 들려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회전부재(140)는 대칭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받침돌기(144) 및 회전잠금돌기(146)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받침돌기 및 회전잠금돌기의 배치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가압돌기(148)는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158)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수직부(158)를 구비하지 않고 가압돌기홈(156)이 그 내측에 형성된 수평부(154)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패킹(260)은 커버(1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할 때, 패킹(26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밀폐력을 제공한다. 패킹(260)은 내부공간(도 10의 도면부호 262 참조), 외측테두리(264) 및 내측테두리(266)를 구비한다.
패킹(260)의 내부공간(262)은 패킹(26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해당한다.
외측테두리(264)는 패킹(260)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내측테두리(266)는 패킹(260)의 내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패킹홈(180)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테두리(266)는 외측테두리(264)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3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200)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예시된 용기본체(200)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용기본체(200)는 일정한 부피를 갖고 그 내부에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수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는다. 용기본체(200)는 좌우 및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20)의 회전부재(140)가, 도 8에 예시된 용기본체(200)에 대해 좌우 임의의 방향에 배치되더라도 커버(12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용기본체(200)는 용기테두리(210), 측면걸림부(230) 및 회전걸림부(220)를 구비한다.
용기테두리(210)는 용기본체(200)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용기테두리(210)에는, 회전부재(140) 또는 후면돌기(130)가 결합하는 회전걸림부(220)와, 측면돌기(160)가 결합하는 측면걸림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테두리(210)에는 용기단부(212)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결합한 경우, 용기단부(212)는 패킹(260)에 의해 가압된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용기단부(212)는 그 단면이 곡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패킹(260)은 용기단부(212)에 완전 밀착되는데, 이로 인해 패킹(260)의 밀폐력이 향상된다.
측면걸림부(230)는 용기본체(200)의 일 측면에 두 쌍씩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측면걸림부(230)는 용기테두리(210) 중에서 커버(120)의 측면돌기(160)가 걸리는 부분이다. 그리고 측면걸림부(230)의 하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측면돌기(160)가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된다. 측면걸림부(230)의 입구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측면돌기(16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측면걸림부(230)는 용기본체(200)의 일 측에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원형의 저장용기의 경우, 측면걸림부(230)는 용기본체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측면걸림홈(232)은 용기테두리(210)의 일부가 절단된 형상을 갖는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올려지는 경우, 측면돌기(160)는 측면걸림홈(232)을 통과하여 용기테두리(210)와 동일한 높이 또는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되는 경우, 측면돌기(160)는 측면걸림홈(232)을 통과하여서 용기테두리(210)에서 분리된다.
이동절개면(234)은 측면걸림홈(232)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용기본체(200)의 측면 일부가 약간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이동절개면(234)은 측면걸림부(230)의하부에 위치하는 측면돌기(160)의 측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회전걸림부(220)는 용기본체(200)의 타 측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회전걸림부(220)에는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6) 및 가압돌기(148)가 결합된다. 회전걸림부(220)는 회전걸림돌기(222) 및 가압돌기삽입홈(224)을 구비한다.
회전걸림돌기(222)는 용기테두리(2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고, 도 3에 예시된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회전걸림돌기(222)에는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6) 또는 후면돌기(130)가 걸리게 된다.
회전걸림돌기(222)의 중앙 부분에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삽입홈(224)은 용기테두리(210)에서 일정한 깊이를 갖고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도 3 참조). 가압돌기삽입홈(224)에는 회전부재(140)에 구비된 가압돌기(148)의 수직부(158) 및 수평부(154)가 삽입된다.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회전부재(140)를 들어 올릴 때, 가압돌기(148)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도 10의 도면부호 228 참조)을 가압하여 커버(120)가 위로 들려지게 한다.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228)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압돌기(148)의 수직부(158)가 가압하면 커버(120)를 측상방(예를 들면, 좌측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내측걸림돌기(226)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입구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내측걸림돌기(226)는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하향 가압되는데, 이로 인해서 커버(120)가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의해서 위로 들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향 돌출된 내측걸림돌기(226)는, 회전부재(140)에 의한 하향 가압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내측걸림돌기(226)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회전부재(140)은 용기테두리(210)를 하향 가압하여서 커버(120)를 위로 들어올릴 수 있다.
가압돌기삽입홈(224)은 홈 형상은 물론 돌기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삽입홈(224)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용기(100)가 원형인 경우,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다수 개의 가압돌기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바닥면 중앙에는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홀은 가압돌기삽입홈(224)에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200)는 하향 돌출된 회전걸림돌기(222)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부재(140)의 회전잠금돌기(146)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서 돌기 형상뿐만 아니라 홈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용기본체(200)의 측면은 약간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은, 용기본체(200)의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용기본체(200)의 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은, 내용물(도시하지 않음)과 용기본체(200)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공기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고, 용기본체(200)에 있는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도 12, 도 14 및 도 16은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으로서, 회전부재(140)와 회전걸림부(220)(특히, 가압돌기삽입홈(224))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 도 13 및 도 15는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10, 도 12 및 도 14에 각각 대응하고, 측면돌기(160)와 측면걸림부(230)의 결합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원의 내부는 회전부재(140)의 가압돌기(148)와 가압돌기삽입홈(224)에 대한 결합 관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 커버(120)의 회전잠금돌기(146)는 회전걸림돌기(222)에 결합되고, 커버(120)의 후면돌기(130)도 회전걸림돌기(2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120)의 일측(도 10에서 오른쪽 부분) 및 타측(도 10에서 왼쪽 부분)이 모두 용기본체(200)에 결합된다. 또한, 커버(120)의 측면돌기(160)도 모두 측면걸림부(230)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120)는 용기본체(200)를 하향 압박하면서 패킹(260)을 수축시켜서 밀폐 상태를 유지한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돌기(148)의 수직부(158)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위치한다. 또한, 가압돌기(148)의 가압돌기홈(156)의 내측에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단부에 해당하는 내측걸림돌기(226)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위치한다.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패킹(260)은 커버(120)의 하향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용기본체(200)의 용기단부(도 8의 도면부호 212 참조)에 밀착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커버(120)가 용기본체(20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로 된다.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가 회전하여 그 단부에 해당하는 수직부(158)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228)과 접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잠금돌기(146)는 회전걸림돌기(222)에서 분리된 반면 측면돌기(160)는 측면걸림부(23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회전부재(140)가 도 10의 상태에서 도 12의 상태로 회전하는 동안, 가압돌기(148)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228)과는 접하지 않고, 회전잠금돌기(146)만 회전걸림돌기(22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이때, 측면돌기(160)는 측면걸림부(230)에 결합되어 있고, 후면돌기(130)도 회전걸림돌기(222)에 걸려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40)가 도 10의 상태에서 도 12의 상태로 회전할 때까지, 커버(120)의 측방향 이동 및 상향 이동은 발생하지 않고, 회전잠금돌기(146)만 회전걸림돌기(222)에서 분리된다. 특히, 가압돌기(148)의 내측면에는 가압돌기홈(15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140)가 도 10의 상태에서 도 12의 상태로 회전할 때까지, 가압돌기(148)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걸림돌기(226)를 하향 가압하지 않아서, 커버(120)가 위로 밀어 올려지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140)의 가압돌기(148)는 가압돌기홈(156)에 의해서 도 10의 상태에서 도 12의 상태로 회전할 때까지, 가압돌기삽입홈(224)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로 된다.
도 14 내지 도 15는 회전부재(140)의 상향 회전에 의해서 커버(120)가 측방향(도 14 내지 도 15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한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14에서 원의 내부는 회전부재(140)의 가압돌기(148)와 가압돌기삽입홈(224)에 대한 결합 관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4는 회전부재(140)의 수직부(158)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228)에 최초로 접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가압돌기(148)의 수직부(158)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228)을 우측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커버(120)가 측방향(도 10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2 내지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의 측면돌기(160) 및 후면돌기(130)는 모두 용기본체(20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14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커버(120)는 거의 상향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2 내지 도 13의 상태에서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로 회전부재(140)가 회전하는 동안, 커버(120)는 측방향으로만 이동하고 상향 이동은 거의 하지 않게 된다.
회전부재(140)가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까지 회전하면, 후면돌기(130)는 회전걸림돌기(222)에서 완전히 분리되고 측면돌기(160)도 측면걸림부(230)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가 추가로 회전을 하면, 커버(140)는 가압돌기(148)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228)을 하향 가압하는 힘에 의해 도 15와 같이 상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5와 같이, 용기본체(200)에 대한 커버(120)의 결합이 모두 해제된 후, 회전부재(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수직부(158)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을 측하방(도 14에서는 우측 하방)으로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커버(120)가 밀어 올려져서 도 16의 상태가 된다.
도 16은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의 추가 회전에 의해서 커버(120)의 일측(회전부재(140)가 결합된 부분)이 들어 올려져서 부분적으로 상향 이동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회전부재(140)가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을 하면, 회전부재(140)가 결합된 커버(120)의 일측(도 14에서는 우측)이 들어 올려지게 된다. 커버(120)가 회전부재(140)의 회전(즉, 가압돌기(140)의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228)에 대한 가압)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용기본체(200)에 대한 커버(120)의 결합이 모두 해제되었기 때문에, 커버(120)는 용이하게 상향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커버(120)가 분리되는 첫 번째 단계는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잠금돌기(146)가 회전걸림돌기(222)에서 분리되는 것이다(도 10 내지 도 11의 단계에서 도 12 내지 도 13의 단계). 이때, 가압돌기(148)의 내측면에는 가압돌기홈(15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148)는 가압돌기삽입홈(224)과 접촉하여 그 회전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140)를 용기본체(2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잠금돌기(146)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148)는 가압돌기삽입홈(224)과 접촉하여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커버(120)가 측방향 및 상향 이동하는 힘을 받지 않는다.
커버(120)가 분리되는 두 번째 단계는, 가압돌기(148)의 수직부(158)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228)을 측하방으로 가압하여 커버(12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여서 후면돌기(130)와 측면돌기(160)의 용기본체(200)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다(도 12 내지 도 13의 단계에서 도 14 내지 도 15의 단계). 수직부(158)가 내측면(228)을 측하방으로 가압하면, 커버(120)에는 측방향 및 상향 이동하게 하는 힘이 동시에 작용한다. 그런데, 이때 커버(120)의 후면돌기(130) 및 측면돌기(160)는 각각 측면걸림부(230) 및 회전걸림돌기(22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20)는 상향 이동은 거의 하지 않고 측방향으로 우선이동하게 된다.
커버(120)가 분리되는 세 번째 단계는, 후면돌기(130) 및 측면돌기(160)가 용기본체(200)에 대한 결합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에서, 가압돌기(148)의 내측면(228)에 대한 측하방 가압에 의해 커버(120)가 상향 이동하는 것이다(도 14 내지 도 15의 단계에서 도 16의 단계).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의 조작에 의해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회전부재(140)를 용기본체(200)에서 분리하는 경우 그 회전에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커버(120)의 분리 과정이 용이하게 된다.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결합하는 과정은,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서 분리하는 과정과 반대이다. 즉, 도 14 내지 도 15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받침돌기(144)가 회전걸림부(220)의 외측면을 가압하면서 커버(120)를 측방향(우측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후면돌기(130)가 회전걸림돌기(222)에 걸리고, 측면돌기(160)도 측면걸림부(230)에 걸리게 된다.
회전부재(140)가 계속 회전하여 도 10 내지 도 11의 상태가 되면, 회전잠금돌기(146)도 회전걸림돌기(222)에 걸리게 되면서, 용기본체(200)에 대한 커버(1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의 조작에 의해서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40)에 대한 조작으로 커버(120)를 용기본체(200)에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회전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340)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예시된 회전부재(340)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도 17에 예시된 회전부재(340)와 가압돌기삽입홈(224)의 결합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340)는 도 5 내지 도 7에 예시된 회전부재(140)와 구성이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가압돌기(348)에 관통홀(360)이 형성되어 있고 받침돌기(도 5의 144 참조)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가압돌기(348)는 위에서 설명한 가압돌기(148)의 수직부(158)에 대응하는 구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ㄱ자 형상의 측면을 갖는다. 가압돌기(348)는 상호 직각으로 연결된 연결부(352) 및 수평부(354)를 갖는다.
관통홀(360)은 연결부(352) 및 수평부(354)에 걸쳐서 관통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360)은 위에서 설명한 가압돌기(148)의 가압돌기홈(156)의 역할을 한다. 즉, 관통홀(360)은, 가압돌기(348)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가압돌기삽입홈(224)을 하향 가압하지 않게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가압돌기(348)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삽입홈(224)은 관통홀(360)에 삽입됨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압돌기(348)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커버는 측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상향 이동은 하지 않게 된다.
도 19의 상태에서, 가압돌기(348)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을 하면, 가압돌기(348)의 수평부(354)의 선단부는 가압돌기삽입홈(224)의 내측면을 측하방(도 19에서는 우측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커버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관통홀(360)이 회전부재(14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에서 관통홀(360)은 커버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커버(420)의 배면 일부와 용기본체(440)의 일부를 예시한다.
도 20에 예시된 저장용기(400)의 용기본체(440)는 도 2 내지 도 3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저장용기(200)와 구성이 유사하고, 다만, 가압돌기삽입홈(442)이 용기본체(440)의 일 측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커버(420)는 가압돌기(도시하지 않음)를 하나의 회전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두 개를 구비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압돌기삽입홈(442)의 중앙에는 보조돌기홈(444)이 일정한 깊이를 갖고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의 커버(420)는 도 2 내지 도 3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커버(120)와 구성이 유사하고, 다만, 하나의 회전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두 개의 가압돌기(도시하지 않음, 도 4의 도면부호 148 참조)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또한, 커버(420)는 그 외부둘레면(422)에 보조돌기(424)가 후면돌기(4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돌기(424)는 커버(420)의 외부둘레면(422)과 바닥면(426)을 연결하여서, 커버(42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외부둘레면(422)이 벌어지거나 과도하게 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돌기(424)는, 커버(420)가 용기본체(44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용기본체(440)에 형성된 보조돌기홈(44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보조돌기(424) 및 보조돌기홈(444)의 결합으로 인해서, 커버(420)가 좌우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에서 회전부재(540)의 가압돌기(548)가 가압돌기삽입홈(524)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도 21에서 회전부재(5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548)가 커버를 측방향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3은 도 22에서 회전부재(5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기(548)가 커버를 측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후 가압돌기삽입홈(524)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는 커버(도면부호 없음) 및 용기본체(도면부호 없음)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의 측면에는 회전부재(5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측면에는 가압돌기삽입홈(5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다만 가압돌기(548)의 단부에 견착돌기(562)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돌기삽입홈(524)의 내측면(526)에 견착홈(528)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회전부재(540)는 연결부(552), 수평부(554), 가압돌기홈(556), 수직부(558)를 구비하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140)가 연결부(152), 수평부(154), 가압돌기홈(156), 수직부(158)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의 가압돌기(548)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견착돌기(562)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가압돌기(548)는 도 16과 같이 가압돌기삽입홈(524)의 내부에 위치하지 않고 도 21과 같이 그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회전부재(540)가 과도하게 상부로 회전을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도 21의 상태는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이전에 해당한다.
도 21의 상태에서 회전부재(540)를 시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평부(554) 및 수직부(558)의 외측(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음)이 가압돌기삽입홈(524)의 외측을 가압하면서 커버를 측방향(도 21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는, 가압돌기(548)의 단부가 가압돌기삽입홈(524)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받침돌기(544)가 가압돌기삽입홈(524)의 외측을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커버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결과적으로 동일하다.
도 2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돌기(548)에서 수평부(554) 및 수직부(558)의 연결 부분은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540)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돌기(548)는 가압돌기삽입홈(524)의 선단부를 타고 넘어서 가압돌기삽입홈(524)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2의 상태에서 가압돌기(548)의 수평부(554) 및 수직부(558) 그리고 가압돌기삽입홈(524)의 선단부가 탄성변형을 함으로써, 가압돌기(548)가 가압돌기삽입홈(524)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가압돌기(548)의 수평부(554) 및 수직부(558)의 외측 연결 부분을 곡선으로 형성하는 것 이외에, 가압돌기삽입홈(524)의 선단부 외측을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압돌기(548)가 그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가압돌기(548)의 단부가 가압돌기삽입홈(524)의 내부에 위치함을 알 수 있는데, 이때 커버는 측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여서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도 23은 도 10과 동일한 상태에 해당한다.
가압돌기(548)의 수직부(558)의 단부에는 견착돌기(562)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견착돌기(562)는 가압돌기삽입홈(524)의 내측면(526)에 형성된 견착홈(528)에 삽입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540)를 반시계 방향으로 올리면, 견착돌기(562)는 견착홈(528)의 내면을 가압하면서 커버의 측방향 및 상향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저장용기 120: 커버
124: 외부둘레면 130: 후면돌기
140: 회전부재 160: 측면돌기
170: 내부둘레면 180: 패킹홈
200: 용기본체 210: 용기테두리
230: 측면걸림부 220: 회전걸림부
260: 패킹
124: 외부둘레면 130: 후면돌기
140: 회전부재 160: 측면돌기
170: 내부둘레면 180: 패킹홈
200: 용기본체 210: 용기테두리
230: 측면걸림부 220: 회전걸림부
260: 패킹
Claims (12)
-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에 의해서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커버를 일측 상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저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커버는 우선 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가압돌기가 삽입되어 접촉하는 가압돌기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가압돌기삽입홈의 내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버는 일측 상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일정 각도로 회전할 때까지, 상기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삽입홈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그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압돌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가압돌기삽입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홈은 상기 회전부재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회전부재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내측에 보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보조돌기가 삽입되는 보조돌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돌기는 상기 커버의 외부둘레면 및 바닥면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5975 | 2013-04-02 | ||
KR1020130035975 | 2013-04-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0237A true KR20140120237A (ko) | 2014-10-13 |
Family
ID=5199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85545A KR20140120237A (ko) | 2013-04-02 | 2013-07-19 | 저장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0237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6578B1 (ko) * | 2015-01-23 | 2016-04-28 | 캄텍주식회사 | 차량용 액츄에이터 |
KR20200129271A (ko) | 2019-05-08 | 2020-11-18 |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 슬라이드 개폐식 커버의 보관용기 |
KR20220054740A (ko) * | 2020-10-25 | 2022-05-03 | 주식회사 티와이에스 | 밀폐용기 뚜껑 |
KR20220167053A (ko) * | 2021-06-11 | 2022-12-20 |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 밀폐용기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
-
2013
- 2013-07-19 KR KR20130085545A patent/KR201401202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6578B1 (ko) * | 2015-01-23 | 2016-04-28 | 캄텍주식회사 | 차량용 액츄에이터 |
KR20200129271A (ko) | 2019-05-08 | 2020-11-18 |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 슬라이드 개폐식 커버의 보관용기 |
KR20220054740A (ko) * | 2020-10-25 | 2022-05-03 | 주식회사 티와이에스 | 밀폐용기 뚜껑 |
KR20220167053A (ko) * | 2021-06-11 | 2022-12-20 |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 밀폐용기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37281B2 (en) | Container | |
US20210127893A1 (en) | Blender Container With Latch Release | |
US10173826B2 (en) | Ventable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 |
RU2613170C2 (ru) | Емкость | |
JP4049800B2 (ja) | 蓋付き容器 | |
US8307755B2 (en) | Contain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 |
KR20140120237A (ko) | 저장용기 | |
KR20090031063A (ko) | 셀러드볼 밀폐용기의 뚜껑 | |
CN108349629B (zh) | 容器 | |
KR20150030128A (ko)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
US11286089B2 (en) | Food container system | |
KR101940016B1 (ko) | 저장용기 | |
KR20140115535A (ko)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
KR20140036578A (ko) | 저장용기 | |
KR200365929Y1 (ko) |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원터치 체결 구조 | |
KR20140109029A (ko) | 저장용기 | |
WO2014165706A1 (en) | Detachable handle and cookware vessel | |
KR101476382B1 (ko) | 액상 식품 보관용기용 캡 | |
JP2003292004A (ja) | 注出キャップ | |
KR20160048734A (ko) | 저장용기 | |
KR20190033243A (ko) | 저장용기 | |
KR20180004415A (ko) | 저장용기 | |
JP2000238817A (ja) | 蓋付合成樹脂製容器 | |
KR100934229B1 (ko) | 밀폐용기 | |
KR200396189Y1 (ko) |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