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397A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397A
KR20140062397A KR1020120157086A KR20120157086A KR20140062397A KR 20140062397 A KR20140062397 A KR 20140062397A KR 1020120157086 A KR1020120157086 A KR 1020120157086A KR 20120157086 A KR20120157086 A KR 20120157086A KR 20140062397 A KR20140062397 A KR 20140062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cover
container body
groov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filed Critical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ublication of KR2014006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패킹을 구비하는 밀폐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패킹과,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을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패킹의 상면과 패킹홈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입된 중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밀폐용기(10)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버(12) 및 용기본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12)의 둘레에는 결합날개(14)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16)의 둘레에는 네 개의 결합날개(14)가 걸리게 되는 걸림단턱(18)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날개(14)가 걸림단턱(18)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커버(12)가 용기본체(16)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그리고 밀폐용기(10)는 커버(12)의 내부에 패킹(20)을 구비하고 있다. 패킹(20)은 커버(12)가 용기본체(16)에 결합하는 경우, 양자 사이를 씰링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종래의 밀폐용기(10)에 사용되는 패킹(20)의 단면도로서, 패킹(20)의 내부에는 빈 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빈 공간(22)에는 공기가 유입되어 있다.
종래의 패킹(20)은 일반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 빈 공간(22)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빈 공간(22)에 잔존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 패킹(20)의 밀폐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빈 공간(22)이 형성된 종래의 패킹(20)은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고, 빈 공간(22)을 형성한 후 패킹(20)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밀폐용기(10)에서,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 대해 결합시킨 상태로 장시간 동안 사용한 경우, 용기본체(16) 내부에 있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패킹(20)이 용기본체(16)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패킹(20)이 용기본체(16)의 상단부에 결합된 경우,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서 분리하는 경우, 패킹(20)이 커버(12)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패킹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패킹이 커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패킹과,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을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패킹의 상면과 패킹홈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입된 중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킹은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고, 상면 및 하면은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이전에는, 상면은 오목한 형상을 갖고 하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한 후에는, 상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고 하면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를 구비하고, 패킹홈은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 그리고 내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은 패킹홈에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패킹의 상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기홈을 형성하고, 공기홈의 깊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홈은 패킹의 중앙부에서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공기홈은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그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커버와 결합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용기본체는 볼록하게 형성된 패킹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패킹의 일 측 하면에는 하향 돌출된 패킹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패킹은 내측부 및 외측부와, 내측부 및 외측부 사이에 형성된 패킹홈을 포함하고, 내측부 및 외측부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부는 외측부에 비해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커버의 형상과, 커버와 용기본체의 결합 구조가 상이한 경우에도 강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패킹이 커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밀폐용기의 패킹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패킹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방향에 대한 패킹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커버와 용기본체가 결합되기 이전 또는 이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커버와 용기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패킹이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예시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단면도로서, 용기본체에 커버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용기본체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커버와, 커버에 결합되어 커버의 밀폐력을 제공하는 패킹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의 패킹(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의 패킹(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패킹(100)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 방향에 대한 패킹(100)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100)은 커버(도 6 내지 도 7의 210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의 밴드 형상을 갖고,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패킹(100)은 커버에 형성된 패킹홈에 삽입되고,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압착되어서 밀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100)은 외측둘레(110) 및 내측둘레(112) 그리고 상면(114) 및 하면(118)을 구비한다. 또한, 패킹(100)의 상면(114)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공기홈(11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패킹(100)의 하면(118)에는 패킹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패킹(100)의 외측둘레(110) 및 내측둘레(112)는 커버(도 6 내지 도 7의 210 참조)에 형성된 패킹홈(216)과 접한다. 구체적으로는, 패킹(100)의 외측둘레(110)는 커버(210)의 외측테두리(212)의 내면과 접하고, 내측둘레(112)는 커버(210)의 내측테두리(214)의 내면과 각각 접한다. 패킹(100)은 패킹홈(216)의 내부에 억지 끼워 맞춤(press-fitting)에 의해 결합된다.
외측둘레(110) 및 내측둘레(112)는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측둘레(110) 및 내측둘레(112)는 패킹(100)의 양 단부에서 중심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100)의 정면도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가 양 단부에 비해 다소 높게 형성된다.
패킹(100)은 상면(114) 및 하면(118)을 갖는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패킹(100)이 가압되지 않은 경우(즉, 커버와 용기본체가 결합하지 않은 경우), 상면(114)은 오목한 곡선 형상을 갖고, 하면(118)은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패킹(100)이 가압된 경우(즉, 커버와 용기본체가 결합된 경우), 상면(114)은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갖고 하면은 오목한 곡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이는 패킹(100)이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그 형상이 변경되는 것이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없는 경우 패킹(100)은 도 4와 같이 원래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패킹(100)의 상면(114)에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공기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하게 형성된 공기홈(116)은, 패킹홈(216)의 내부에서 커버(210)와 패킹(100)의 상면(114) 사이에서 중공(中空)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공기홈(116)은 패킹(100)이 가압된 경우, 변형된 패킹(100)의 상면(114)에서 존재하지 않게 된다.
공기홈(116)의 깊이는 패킹(100)의 길이 방향으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패킹(100)의 양 단부에서 공기홈(116)의 깊이(a)에 비해 패킹(100)의 중앙부에서 공기홈(116)의 깊이(b)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킹(100)의 중앙 부분의 공기홈(116)의 깊이(b)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패킹(100)은 전체적으로 중앙 부분의 높이가 가장 크게 형성된다.
패킹돌기(120)는, 패킹(100)의 하면(118) 중 용기본체(240)의 내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향 돌출되어 있다. 패킹돌기(120)는 열린 커버(210)가 다시 닫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패킹돌기(120)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하는 초기에, 용기본체(240)에 대해 커버(21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도 한다.
패킹돌기(120)는 패킹(100)에서 결합부재(220)에 인접하는 일 측에서 부분적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킹(100)의 중앙 부분의 높이를 가장 높게 형성함으로써, 패킹(100)의 중앙 부분이 가장 큰 밀폐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100)은 그 중앙부의 높이가 가장 크고 양 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형상을 갖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패킹(1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패킹의 좌측 및 우측 단부가 높고 중앙부가 낮게 형성되거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단부가 높고 타단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패킹(100)은 커버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패킹(100)의 외측둘레(110)는 내측둘레(112)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에서 커버(210)와 용기본체(240)가 결합되기 이전 또는 분리된 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커버(210)와 용기본체(24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는, 커버(210), 용기본체(240) 및 패킹(100)을 포함한다.
커버(210)는 용기본체(24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커버(210)는 외측테두리(212) 및 내측테두리(214)에 의해 형성된 패킹홈(216)과, 커버(210)를 용기본체(240)에 결합하게 하는 결합부재(220)를 포함한다.
패킹홈(216)은 외측테두리(212) 및 내측테두리(214)에 의해 형성된다. 패킹홈(216)에는 패킹(100)이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삽입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패킹홈(216)은 내면(218)을 갖는다. 패킹홈(216)의 내면(218)과, 패킹홈(216)에 삽입된 패킹(100)의 상면(114) 사이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중공(230)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230)에는 공기가 유입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230)은 외부와 차단되거나 또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서 용기본체(240)의 외부 또는 내부의 공기가 충진되게 할 수 있다. 중공(230)에 공기를 다시 충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패킹(100)에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여, 커버(21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구멍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중공(2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결합부재(220)는 외측테두리(212)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커버돌기(222)를 구비한다. 커버돌기(222)는 용기본체(240)의 외측에 형성된 본체돌기(244)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하게 된다.
용기본체(240)는, 패킹(100)의 하면(118)이 안착하는 패킹안착부(242)와, 결합부재(220)의 커버돌기(222)와 결합하는 본체돌기(244)를 구비한다.
패킹안착부(242)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데,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된 경우, 오목하게 변형되는 패킹(100)의 하면(118) 형상에 대응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하기 이전에는 패킹(100)에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패킹(100)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한다. 즉, 패킹(100)의 상면(114)은 오목한 형상을 갖고, 하면(118)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패킹(100)의 상면(114)과 패킹홈(216)의 내면(218)에 의해 빈 공간에 해당하는 중공(230)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패킹(100)의 하면(118)을 용기본체(240)의 패킹안착부(242)에 올려 놓고 결합부재(220)를 회전시켜서 커버돌기(222)가 본체돌기(244)에 결합되게 하면, 도 7과 같이 커버(210)와 용기본체(240)가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패킹(100)에는 하향 가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패킹(10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그 상면(114)이 볼록하게 변형되고 그 하면(118)이 오목하게 변형된다.
패킹(100)의 하면(118)이 오목하게 변형됨으로써, 볼록한 형상을 갖는 용기본체(240)의 패킹안착부(242)에 밀착되어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패킹(100)의 밀폐력이 증가한다. 그리고 패킹(100)의 상면(114)이 볼록하게 변형됨으로써, 중공(230)의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중공(230)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 중공(230)에 유입된 공기가 압축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중공(230) 내부의 공기는 패킹(100)을 하향 가압하여, 패킹(100)의 하면(118)이 패킹안착부(242)에 더욱 밀착되게 하여 밀폐력을 가중적으로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서 개방된 경우, 패킹돌기(120)는 용기본체(240)의 패킹안착부(242)의 내측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서, 커버(210)가 개방된 경우, 커버(210)가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서 닫히는 방향(화살표 표시)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킹돌기(120)는 패킹(100)의 전방(도 4에서 수직인 직선에 대해 좌우 대칭인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에 형성된 패킹돌기(120)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낙하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커버(210)가 잠금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의 상태에서, 커버(210)를 용기본체(24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결합부재(220)를 위로 당기면, 패킹(100)에 가해지는 하향 가압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패킹(1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 6과 같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이 과정에서, 중공(230)의 내부에서 압축된 공기는, 패킹(10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다소 팽창하면서, 패킹(100)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는, 패킹(100)과 커버(210) 사이에 형성된 중공에 유입된 공기에 의해,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진공압은,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패킹(100)이 커버(210)의 패킹홈(216)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의 패킹(100)은 상면(114)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기홈(116)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패킹의 중앙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종래의 패킹에 비해 제조가 용이한 장점도 함께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 패킹(100)의 높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에서 패킹(100)이 커버(21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예시된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패킹(100)은 그 중앙 부분이 양 단부에 대해 상향 돌출된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패킹(100)에 형성된 공기홈(116)의 깊이는 중앙부에서 최대(b)가 되고 양 단부에서 최소(a)가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패킹(100)을, 편평한 형상을 갖는 커버(210)에 삽입하는 경우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패킹(100)의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하향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커버(210)와 패킹(100)의 결합체를 용기본체(240)에 결합하는 경우, 중앙부가 볼록하게 하향 돌출된 패킹(100)이 가압되어 편평하게 된다. 즉,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240)에 대한 커버(210)의 결합력에 의해서 패킹(100)의 중앙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패킹(100)의 하면(118)이 편평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된 경우, 패킹(100)은 전체적으로 하향 가압되는데, 특히 패킹(100)의 중앙부가 가장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밀폐력이 가장 높게 된다. 따라서 사각 형상의 밀폐용기에서, 커버(210)를 용기본체(240)에 결합하는 결합부재(220)가 도 9에서와 같이 패킹(100)의 양 단부측에만 형성되어 있고(즉, 장방형의 패킹(100)에서 길이가 짧은 두 개의 변), 패킹(100)에서 길이가 긴 두 개의 변 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8 및 도 9에서 패킹(100)의 중앙부의 밀폐력이 약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100)은 결합부재(22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패킹(100)의 중앙부의 높이가 양 단부(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음)에 비해 높기 때문에,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의 커버(210)는 편평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커버가 그 중앙이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향 볼록한 형상을 갖는 커버에 도 5에 예시된 패킹(100)을 결합하는 경우, 커버에 결합된 패킹(100)의 하면(118)은 도 8에서와 같이 하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지 않고 편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100)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에 비해, 중앙부의 높이를 다소 높게 형성함으로써 패킹(100)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커버(210)에 대해서도 일정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 및 패킹(3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에서 커버(410)가 용기본체(440)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커버(410)가 용기본체(44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410)에 결합되는 패킹(300)은 일단부의 높이(b)가 가장 높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의 높이(a)가 가장 낮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10에서 패킹(300)의 우측 단부의 공기홈(316)의 깊이가 가장 크고 좌측 단부의 깊이가 가장 작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킹(300)을 편평하게 형성된 커버(410)에 삽입하는 경우,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킹(300)의 우측 단부가 커버(410)에서 가장 돌출된다. 따라서 패킹(100) 및 커버(410)의 결합체를 편평한 용기본체(440)에 올려 놓으면, 약간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커버(410)는 용기본체(440)에 대해 슬라이드(slide) 방식으로 결합한다. 즉, 도 10의 상태에서, 커버(410)에 형성된 결합부재(414)를 아래 당기면, 결합부재(414)에 형성된 회전걸림돌기(416)가 용기본체(440)의 받침돌기(442)에 걸리게 되어 지렛대의 역할을 하면서 커버(410)를 우측 아래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커버(410)에서 결합부재(414)의 반대 방향에 구비된 고정걸림돌기(412)는 용기본체(440)의 받침돌기(442)에 걸리게 되고, 결합부재(414)에 형성된 커버돌기(418)는 본체돌기(444)에 결합되어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용기본체(440)에 대한 커버(410)의 결합력에 의해서 패킹(300)이 하향 가압되어 편평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커버(410)가 용기본체(440)에 결합되는 부분(도 11의 우측 단부)에서 패킹(300)의 압착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밀폐력이 가장 높게 된다. 따라서 커버(410)의 결합부재(414)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패킹(300)의 높이가 증가하게 형성함으로써, 패킹(300)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패킹(300)에서 결합부재(414)가 형성된 부분(도 11의 우측 단부)의 탄성 복원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결합부재(414)를 용기본체(440)에서 분리하면 패킹(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커버(410)의 우측 단부가 용기본체(44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에 대해 커버를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패킹의 높이를 다른 부분에 비해 다소 높게 형성함으로써, 커버와 용기본체의 결합 부분에서 밀폐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킹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에서 패킹(300)은 결합부재(414)가 형성된 방향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지만, 결합부재(414)가 형성된 반대 방향(도 11의 좌측 단부)이 가장 높게 형성되거나 또는 패킹(300)의 중앙부가 가장 높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300)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커버(410)가 용기본체(440)에 결합하는 밀폐용기(4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도 1과 같은 네 개의 결합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의 밀폐용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500)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12는 용기본체(540)에 커버(510)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용기본체(540)에 커버(51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500)의 패킹(560)은 그 외측부(562)에 비해 내측부(566)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과 같이, 커버(510)가 용기본체(540)에 결합한 경우,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내측부(566)는 외측부(562)에 비해 가압의 정도가 크게 나타난다. 그 결과, 패킹(560)의 내측부(566)는 용기본체(540)의 내부로 더욱 돌출된 가압돌출부(568)를 형성하게 된다.
가압돌출부(568)는 패킹(560)의 내측과 용기본체(540)의 내측 사이에 탄성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커버(510)가 측면 상방으로 이동하여(도 12 내지 도 13에서는 좌측 상방) 용기본체(540)에서 분리되는 경우, 커버(510)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가압돌출부(568)는 용기본체(540)의 내측면(544)과의 접촉 면적을 확대해서, 패킹(560)의 밀폐력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500)는 도 10 내지 도 11에 예시된 밀폐용기(400)와 동일하게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서 커버(510)가 용기본체(540)에 결합한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500)는 커버(510), 용기본체(540) 및 패킹(560)을 포함한다.
커버(510)는 고정걸림돌기(512), 패킹홈(514), 내측테두리(516) 및 외측테두리(518)를 구비한다.
고정걸림돌기(512)는 커버(510)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커버(510)가 용기본체(540)에 결합할 때, 고정걸림돌기(512)는 측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본체(540)의 받침돌기(542)에 걸리게 된다.
패킹홈(514)은 내측테두리(516) 및 외측테두리(518)에 의해 형성된 홈으로, 그 내부에는 패킹(560)이 삽입된다.
외측테두리(518)는 커버(510)의 외측 둘레를 형성한다. 그리고 내측테두리(516)는 커버(510)의 내측 둘레를 형성한다. 내측테두리(516)에 비해 외측테두리(518)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있어서, 커버(510)의 가장자리 부분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버(510)의 형상은 패킹(560)의 형상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패킹(560)은 커버(510)와 용기본체(540) 사이에서 밀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외측부(562), 패킹홈(564) 및 내측부(566)를 포함한다.
외측부(562)는 내측부(566)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부(562) 및 내측부(566) 사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패킹홈(56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510)가 용기본체(540)에 결합하는 경우, 내측부(566)는 외측부(562)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압박을 받는데, 이로 인해 내측부(566)는 하향 돌출되어 가압돌출부(568)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측부(566)가 외측부(562)에 비해 높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패킹(560)으로 인해서, 커버(510)가 용기본체(540)에 결합한 경우 패킹(560)의 내측부분의 탄성력이 외측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커버(510)를 개방할 때, 탄성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가압돌출부(568)는 커버(510)의 측면 상방(열리는 방향, 즉 도 12 내지 도 13에서는 좌측 상방)으로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가압돌출부(568)는 용기본체(540)의 내측면(544)과의 접촉 면적을 확대해서, 패킹(560)의 밀폐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패킹홈(564)에는 공기가 주입되는데, 패킹홈(564)에 주입된 공기는 진공 흡착력에 의해서 커버(510)에 대한 패킹(560)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500)의 패킹(560)은 그 외측부(562)에 비해 내측부(566)의 높이가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그 반대로 내측부에 비해 외측부의 높이가 크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00, 560: 패킹 200, 400, 500: 밀폐용기
110: 외측둘레 112: 내측둘레
114: 상면 116: 공기홈
118: 하면 210, 510: 커버
212: 외측테두리 216: 패킹홈
218: 내면 220: 결합부재
222: 커버돌기 230: 중공
240, 540: 용기본체 242: 패킹안착부
244: 본체돌기 316: 공기홈
410: 커버 412: 고정걸림돌기
414: 결합부재 416: 회전걸림돌기
418: 커버돌기 440: 용기본체
442: 받침대 444: 본체돌기

Claims (12)

  1. 패킹; 및
    상기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을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의 상면과 상기 패킹홈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입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 및 하면은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이전에는, 상기 상면은 오목한 형상을 갖고 상기 하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한 후에는, 상기 상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고 상기 하면은 오목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패킹홈은 상기 외측테두리 및 내측테두리 그리고 상기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패킹홈에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상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기홈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홈의 깊이는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홈은 상기 패킹의 중앙부에서 가장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홈은 상기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그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볼록하게 형성된 패킹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팅의 일 측 하면에는 하향 돌출된 패킹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내측부 및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 및 외측부 사이에 형성된 패킹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 및 외측부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측부에 비해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120157086A 2012-11-14 2012-12-28 밀폐용기 KR20140062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861 2012-11-14
KR20120128861 2012-11-14
KR1020120135507 2012-11-27
KR20120135507 2012-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97A true KR20140062397A (ko) 2014-05-23

Family

ID=5089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086A KR20140062397A (ko) 2012-11-14 2012-12-28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239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309A1 (ko) * 2015-05-12 2016-11-17 강성일 에어출입수단을 갖는 화장품용기
KR20190010330A (ko) * 2017-07-21 2019-01-30 손우섬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US10729221B2 (en) 2015-02-24 2020-08-04 Seong Il Kang Cosmetic container having air entrance/exit unit
WO2021188298A1 (en) * 2020-03-16 2021-09-23 Helen Of Troy Limited Container with venting or multiple sealing feature
KR102352535B1 (ko) * 2021-05-14 2022-01-17 정병찬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KR20230046933A (ko) * 2021-09-30 2023-04-06 김숙희 패킹을 포함하는 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9221B2 (en) 2015-02-24 2020-08-04 Seong Il Kang Cosmetic container having air entrance/exit unit
WO2016182309A1 (ko) * 2015-05-12 2016-11-17 강성일 에어출입수단을 갖는 화장품용기
KR20190010330A (ko) * 2017-07-21 2019-01-30 손우섬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WO2021188298A1 (en) * 2020-03-16 2021-09-23 Helen Of Troy Limited Container with venting or multiple sealing feature
US11639252B2 (en) 2020-03-16 2023-05-02 Helen Of Troy Limited Container with venting or multiple sealing feature
KR102352535B1 (ko) * 2021-05-14 2022-01-17 정병찬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WO2022239973A1 (ko) * 2021-05-14 2022-11-17 정병찬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KR20230046933A (ko) * 2021-09-30 2023-04-06 김숙희 패킹을 포함하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2397A (ko) 밀폐용기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10405636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ir entrance/exit member
KR20150120389A (ko) 주입 음료 준비 캡슐 및 상기 캡슐 작동 공정
KR200481842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0441Y1 (ko) 자동 스포이드 용기
JP3216140U (ja) 密封容器
US20190323614A1 (en) Content exhaust pump
KR200478012Y1 (ko) 화장품 용기
US11377268B2 (en) Sealable container system
KR20150030128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20140115535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KR20140120237A (ko) 저장용기
KR200478096Y1 (ko) 에어출입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10151166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300698B1 (ko)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20140002515U (ko) 밀폐뚜껑
KR101761332B1 (ko) 액상 용기의 밀폐 장치
KR20150000596U (ko) 에어출입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103589A (ko) 밀폐용기용 커버
KR100870960B1 (ko) 밀폐용기의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