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330A -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330A
KR20190010330A KR1020170092967A KR20170092967A KR20190010330A KR 20190010330 A KR20190010330 A KR 20190010330A KR 1020170092967 A KR1020170092967 A KR 1020170092967A KR 20170092967 A KR20170092967 A KR 20170092967A KR 20190010330 A KR20190010330 A KR 2019001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locking
pressing
lower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112B1 (ko
Inventor
손우섬
Original Assignee
손우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우섬 filed Critical 손우섬
Priority to KR102017009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1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과 패킹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그 구조적인 간소화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사용 과정에서 뚜껑과 패킹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등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세척 과정에서 패킹을 분리할 필요없이 일체 상태 그대로의 세척 사용이 가능하게 하게 함으로써, 취급상의 편리함과 패킹의 손상을 방지하며, 또한 패킹의 재질을 항균력과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는 한편, 하부용기의 내부로 진입되는 진입 밀폐부와 하부용기의 상단이 유도 밀착되는 경사 유도부와 하부용기의 상단이 밀착되는 밀착부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하부용기와의 안정된 결합 및 하부용기의 내 외부에서 안정된 밀폐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잠금날개에 구성되는 가압돌부의 구성을 가압 유도부 및 걸림홈을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하부용기와의 간편한 결합 및 가압력의 증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having a packing-integrated cap structure}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구조적인 간소화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필요시 간편하고 완전한 세척이 가능하게 하는 등 위생적인 사용과, 특히 안정된 밀폐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는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용기의 수용부에 저장된 음식의 국물이나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밀폐 기능이 향상된 것으로서, 상부 개방형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외측에 걸림턱 형태의 록킹부가 형성된 용기와, 둘레에 용기의 록킹부와 걸림 잠금되는 잠금날개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패킹이 형성된 뚜껑으로 구성되어, 용기의 상단에 뚜껑의 패킹이 밀착된 상태에서 잠금날개를 잠금시 가압력에 의하여 패킹이 용기의 상단에 가압되면서 기밀이 유지되어지는 구조이다.
한편, 이러한 밀폐력을 부여하기 위해 뚜껑의 저면에는 링 형태의 패킹이 형성되게 되는 것인데, 이때 그 패킹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는, 먼저 뚜껑의 둘레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그 테두리부와 이격되는 위치에는 고정테를 하방으로 돌출 형성하여 테두리부와 고정테의 사이에 패킹홈을 형성 및 그 패킹홈에 패킹이 완전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밀폐력을 부여하는 패킹은, 뚜껑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패킹홈 등으로 국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게 되는 것인바, 그 유입된 이물질은 패킹홈과 패킹의 미세한 틈새로 유입되어 위생상 매우 좋지 못하게 되며, 이에 이렇게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뚜껑 구조는, 패킹이 패킹홈에 완전히 구속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패킹을 제거하고 세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젓가락 등의 단부가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패킹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패킹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등 위생상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자칫 패킹의 손상으로 밀폐력의 저하를 가져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상기와 같은 패킹의 보호를 위해 패킹을 패킹홈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패킹홈 내부를 솔질하여 그 표면만 세척하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틈새에 유입된 이물질의 제거는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표면상의 위생은 해결할 수 있으나 근본적인 위생상의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패킹홈에 억지 끼움되어 있는 패킹을 강제로 제거하는 경우 자칫 패킹이 늘어나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재차 패킹을 결합시 그 결합이 곤란하고, 결합된 상태에서도 변형에 따른 밀폐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0-00120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뚜껑과 패킹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그 구조적인 간소화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사용 과정에서 뚜껑과 패킹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등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세척 과정에서 패킹을 분리할 필요없이 일체 상태 그대로의 세척 사용이 가능하게 하게 함으로써, 취급상의 편리함과 패킹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패킹의 재질을 항균력과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는 한편, 하부용기의 내부로 진입되는 진입 밀폐부와 하부용기의 상단이 유도 밀착되는 경사 유도부와 하부용기의 상단이 밀착되는 밀착부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하부용기와의 안정된 결합 및 하부용기의 내 외부에서 안정된 밀폐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잠금날개에 구성되는 가압돌부의 구성을 가압 유도부 및 걸림홈을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하부용기와의 간편한 결합 및 가압력의 증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하부용기; 및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하부용기의 상단을 덮어 마감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하부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이루게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테두리부;
테두리부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 및
가압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단부가 둥근 형태를 이루는 록킹돌부를 이루게 구성하되,
테두리부와 록킹돌부의 사이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록킹홈을 이루게 구성하며,
뚜껑은,
저면 주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부용기의 가압부와 가압 밀착력을 부여하는 패킹; 및
둘레에서 돌출 및 절곡 작동하며 단부에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록킹돌부와 가압 체결되어 하부용기와 패킹의 가압 밀착력을 부여하는 가압돌부를 갖는 잠금날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패킹은,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되, 뚜껑과 일체를 이루게 이중사출하여 구성하며,
패킹은,
단면상 양측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되,
내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부용기가 결합시 하부용기의 수용공간에 진입되어 테두리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부 밀착돌부;
내부 밀착돌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하단으로부터 상부로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 유도부;
경사 유도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부용기의 가압부가 가압되는 밀착부를 이루게 구성하며,
잠금날개의 가압돌부는,
단부가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곡률부과, 곡률부로부터 연장되며 잠금 작동시 록킹돌부의 단부가 타고 넘어가는 가압 유도면을 이루어 외력을 부여시 록킹돌부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가압 유도부; 및
가압 유도부와 연장되며 록킹돌부가 내입되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는, 뚜껑과 패킹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구조적인 간소화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사용중 뚜껑과 패킹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이 방지되는 등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과 패킹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세척시 뚜껑과 패킹을 분리할 필요없이 그대로의 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등 취급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세척 등 취급 과정에서 패킹의 변형 등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패킹의 재질이 항균력 및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것인바, 우수한 밀착력의 부여가 가능하며, 특히 하부용기와의 결합 과정에서 경사 유도부를 통한 유도 결합 및 진입 밀폐부와 밀착부를 통한 내,외측 이중 밀착 구조를 이루어 안정된 밀폐력의 부여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용기와의 잠금력을 부여하는 잠금날개의 가압돌부가 가압 유도부를 통한 가압력 부여 및 결합의 유도와 걸림홈을 통한 안정된 걸림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하부용기와 뚜껑의 결합상의 편리함과 가압력이 한층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패킹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뚜껑을 닫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가압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록킹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록킹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가압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가압상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1)는, 하부용기(100)와, 뚜껑(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용기(100)는,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어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1)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하부용기(100)는 그 재질을 구성함에 있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합성수지 재질이나, 스테인레스, 도자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용기(100)는 먼저,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이루도록 둘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10)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테두리부(110)는 한정되는 형상이 아닌 원형 또는 사각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110)의 상단에는 가압부(120)가 구성된 것으로, 가압부(120)는 테두리부(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20)의 외측 단부에는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록킹돌부(130)가 구성된 것으로, 그 록킹돌부(130)의 끝단은 둥근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용기(100)의 테두리부(110)와 록킹돌부(130)의 사이 즉, 가압부(120)의 저면에는 록킹홈(140)을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용기(100)를 구성함에 있어, 가압부(120)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그 상부면이 평면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12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부로 융출되는 만곡한 곡률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곡률을 이루게 구성시에는 하기하는 패킹(21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그 밀착 면적의 증대되는 한편, 가압력을 부여시 그 가압력이 융출된 중앙에 보다 집중되어 밀착력의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뚜껑(200)은, 상기 하부용기(100)의 개방된 수용공간(101)을 개폐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용기(100)의 테두리부(110)와 대응되는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의 판체로 구성된다.
이때, 뚜껑(200)을 구성함에 있어 그 재질로는 하기하는 패킹(210)과의 이중 사출을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뚜껑(200)에는 그 저면 주변에 상기 하부용기(100)의 가압부(120)와 대응되는 링형 패킹(210)이 하방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패킹(210)과 가압부(120)의 밀착력에 의해 하부용기(100)의 수용공간(101)의 수밀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패킹(21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항균력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뚜껑(200)에 패킹(21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그 뚜껑(200)을 이루는 합성수지재와 패킹(210)을 이루는 실리콘이 이중 사출되어 뚜껑(200)와 패킹(210)이 일체화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패킹(210)은 전체적으로 단면상 양측이 상부 즉, 뚜껑(200)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경사의 구성은 저면에서 가압력이 부여시 그 가압력이 작용하는 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증대되어 안정된 밀착 및 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패킹(210)은 단면상 내측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부용기(100)를 덮을시 그 하부용기(100)의 수용공간(101)에 진입되어 테두리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부 밀착돌부(211)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밀착돌부(211)의 외측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살수록 점차 넓어지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 유도부(212)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경사 유도부(212)는 뚜껑(200)을 닫는 과정에서 하부용기(100)의 테두리부(110) 상단이 패킹(210)에 안정된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유도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 유도부(2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는 하부용기(100)의 가압부(120)가 가압 밀착되는 밀착부(213)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패킹(210)은 뚜껑(200)을 덮는 과정에서 돌출된 내부 밀착돌부(211)를 통해 수용공간(101)의 내부에서 테두리부(110) 내측에 밀착력을 부여하여 수밀이 가능하게 되고, 밀착부(213)를 통해 가압부(120)와 밀착되어 수밀이 가능하게 되는 등 밀폐력의 증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뚜껑(200)에는 그 둘레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잠금날개(220)가 구성된 것으로, 그 잠금날개(220)를 통해 하부용기(100)와 뚜껑(200)의 가압 잠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잠금날개(220)는 뚜껑(200)이 개방된 상태에서 그 뚜껑(200)의 둘레에서 돌출 구성되는 한편, 뚜껑(200)으로부터 상,하 절곡 작동력을 가지게 구성되며, 그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벌어지는 형태의 손잡이부(221)가 구성된다.
그리고, 잠금날개(220)에는 그 내측 즉, 하부로 절곡시 하부용기(100)의 록킹돌부(130)와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록킹돌부(130)와 가압 체결되어 하부용기(100)와 패킹(210)의 가압 밀착력을 부여하는 가압돌부(230)가 돌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잠금날개(220)의 가압돌부(230)는 록킹돌부(130)와 체결되는 과정에서 원활한 체결 및 긴밀한 가압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가압돌부(230)는 가압 유도부(231)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가압 유도부(231)는 먼저, 그 단부가 상기 록킹돌부(130)의 단부에 접하는 곡률을 이루는 곡률부(232)가 구성된 것으로, 그 곡률부(232)는 록킹돌부(130)가 하기하는 가압 유도면(233)으로 안정된 진입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률부(232)의 단부에는 가압 유도면(233)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가압 유도면(233)은 곡률부(232)의 안내로 진입된 록킹돌부(130)가 타고 넘어갈 수 있게 구성된다.
즉, 가압 유도부(231)는 잠금날개(220)를 외력을 가해 잠금 작동시 곡률부(232)가 록킹돌부(130)의 하단에 접함과 동시에 그 록킹돌부(130)가 가압 유도면(233)으로 원활한 진입이 가능하게 하며, 이후 가압 유도면(233)은 록킹돌부(130)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지렛대 역할하여 가압부(120)와 패킹(210)의 밀착부(213)의 가압 밀착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 유도부(231)의 가압 유도면(233) 단부에는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235)이 구성된 것으로, 그 걸림홈(235)은 록킹돌부(130)가 가압 유도면(233)을 완전히 지날 시 내입 걸림되게 구성된다.
즉, 걸림홈(235)은 상기 록킹돌부(130)가 가압부(120)와 밀착부(213)의 밀착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어 가압 밀착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가압 유도부(231)는 하부용기(100)의 가압부(120) 저면에 형성되는 록킹홈(140)에 걸림 고정되어 가압 밀착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잠금날개(220)를 구성함에 있어, 그 가압 유도부(231)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가압 유도부(231)의 폭이 록킹홈(140)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걸림 고정시 록킹홈(140)에 완전히 내입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유도부(231)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록킹홈(140)의 폭보다 소정 큰 폭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큰 구성시에는 가압 유도부(231)가 록킹홈(140)에 걸림 고정되는 과정에서 곡률부(232)가 테두리부(110)의 상단 외측을 가압하여 그 테두리부(110)와 패킹(210)의 내부 밀착돌부(211)와의 밀착력의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1)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하부용기(100)의 수용공간(101)을 마감하는 뚜껑(200)을 구성함에 있어, 밀폐력을 부여하는 패킹(210)이 그 뚜껑(200)과 이중사출을 통해 일체 구성된 것인바, 사용 과정에서 수용공간(101)에 수용된 음식물의 수분을 포함한 이물질이 뚜껑(200)과 패킹(210) 사이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는 등 항시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밀폐용기(1)를 사용 후, 세척 과정에서 뚜껑(200)으로부터 패킹(210)을 분리할 필요 없이 일체 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세척 및 관리가 매우 편리하며, 특히 세척 과정에서 일반적인 밀폐용기의 뚜껑과 달리 패킹(210)의 착탈이 필요없게 되는 것인바, 패킹(210) 취급과정에서 발생되는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패킹(210)이 탄성력이 우수하고 항균력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것인바,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밀폐력이 한층 증대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최초 하부용기(100)의 수용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그 하부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 뚜껑(200)을 덮어 마감하면 된다.
한편, 덮어지는 뚜껑(200)은 그 저면 주변에 형성되는 패킹(210)이 하부용기(100)의 상단에 접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그 패킹(210)의 내부 밀착돌부(211) 외측에 형성되는 경사 유도부(212)를 통해 내부 밀착돌부(211)가 하부용기(100)의 수용공간(101)에 원활한 진입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밀착부(213)가 가압부(120)에 긴밀하게 밀착 가능하게 하는 등 하부용기(100)와 뚜껑(200)의 결합 위치의 조절 및 하부용기(100)와 패킹(210)의 1차적인 밀착 밀폐가 가능하게 한다.
이후, 뚜껑(200)을 하부용기(100)에 잠가 밀폐를 수행하되, 이때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뚜껑(200)의 둘레에 형성되는 잠금날개(220)의 작동에 의해 잠금날개(220)의 가압돌부(230)와 하부용기(100)의 록킹돌부(130)의 결합에 의해 가능하다.
이때, 잠금날개(220)는 하방 절곡을 통해 잠금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잠금날개(220)의 손잡이부(221)에 외력을 가해 하방으로 절곡하게 되면 먼저, 가압돌부(230)의 가압 유도부(231)를 이루는 곡률부(232)가 하부용기(100)의 록킹돌부(130)의 둥글게 구성된 하단에 접하게 되는 것인바, 록킹돌부(130)와 곡률부(232)의 곡률에 의해 록킹돌부(130)가 가압 유도면(233)으로의 진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후, 연속하여 잠금날개(22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도 8의 도시와 같이 그 가압돌부(230)의 가압 유도면(233)이 록킹돌부(130)의 하단으로 자연스럽게 진입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진입 과정에서 가압돌부(230)의 가압 유도면(233)이 록킹돌부(130)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지렛대 역할하여 패킹(210)이 가압부(120)에 가압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하부용기(100)의 가압부(120)와 패킹(210)의 밀착부(213)가 서로 가압 밀착 및 밀폐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패킹(210)의 밀착부(213)에 가압력이 부여되게 되면 소정의 눌림력이 부여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과정에서 패킹(210)의 내부 밀착돌부(211)가 하부용기(100)의 내측으로 완전히 진입됨과 동시에 밀착부(213)의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의 소정 신축력이 부여되어 경사 유도부(212)가 테두리부(110) 내측에 밀착되게 된다.
이후, 연속하여 잠금날개(22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도 9의 도시와 같이 록킹돌부(130)가 가압 유도면(233)을 완전히 타고 넘어가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그 록킹돌부(130)는 가압돌부(230)의 걸림홈(235)에 내입되어 걸림 고정되고, 또한 가압돌부(230)는 록킹홈(140)에 내입되어 걸림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1)는, 뚜껑(200)을 덮어 밀폐하는 과정에서 잠금날개(220)의 가압돌부(230)의 안정된 가압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압 밀착되는 과정에서 하부용기의 가압부(120)와 패킹(210)의 밀착부(213) 간에 긴밀한 가압 밀착력이 부여되는 한편, 이와 동시에 패킹(210)의 내부 밀착돌부(211)가 테두리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긴밀한 밀착력이 부여되는 등 하부용기의 상단은 물론 내측면까지 그 밀폐가 가능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밀폐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1)는, 도 4를 참조하여 도 10의 도시와 같이 하부용기(100)의 가압부(120)를 상부로 융출되게 구성시에는 전체적으로 밀착 면적이 증대되는 한편, 가압력이 융출된 상부 중앙에 보다 집중되어 밀착력이 한층 증대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1)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11의 도시와 같이 잠금날개(220)의 가압돌부(230)의 폭을 록킹홈(140)의 폭보다 소정 큰폭을 이루게 구성시에는, 그 가압돌부(230)가 록킹홈(140)에 걸림 고정되는 과정에서 단부의 곡률부(232)가 하부용기(100)의 테두리부(110) 상부 외측을 가압하게 되는 것인바, 그 테두리부(110)와 패킹(210)의 내부 밀착돌부(211)와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는 그 사용시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안정된 밀폐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100 : 하부용기 101 : 수용공간
110 : 테두리부 120 : 가압부
130 : 록킹돌부 140 : 록킹홈
200 : 뚜껑 210 : 패킹
211 : 내부 밀착돌부 212 : 경사 유도부
213 : 밀착부
220 : 잠금날개 221 : 손잡이부
230 : 가압돌부 231 : 가압 유도부
232 : 곡률부 233 : 가압 유도면
235 : 걸림홈

Claims (5)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1)을 갖는 상부 개방형 하부용기; 및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하부용기의 상단을 덮어 마감하는 뚜껑(2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하부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이루게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10);
    테두리부(110)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120); 및
    가압부(120)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단부가 둥근 형태를 이루는 록킹돌부(130)를 이루게 구성하되,
    테두리부(110)와 록킹돌부(130)의 사이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록킹홈(140)을 이루게 구성하며,
    뚜껑(200)은,
    저면 주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부용기의 가압부(120)와 가압 밀착력을 부여하는 패킹(210); 및
    둘레에서 돌출 및 절곡 작동하며 단부에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손잡이부(221)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록킹돌부(130)와 가압 체결되어 하부용기와 패킹(210)의 가압 밀착력을 부여하는 가압돌부(230)를 갖는 잠금날개(22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패킹(210)은,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되, 뚜껑(200)과 일체를 이루게 이중사출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패킹(210)은,
    단면상 양측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되,
    내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부용기가 결합시 하부용기(100)의 수용공간(101)에 진입되어 테두리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부 밀착돌부(211);
    내부 밀착돌부(211)의 외측에 형성되며, 하단으로부터 상부로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 유도부(212);
    경사 유도부(2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부용기의 가압부(120)가 가압되는 밀착부(213)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용기의 가압부(120)는,
    테두리부(110)로부터 평면 연장되게 구성하거나, 중앙이 융출되는 만곡한 곡률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잠금날개(220)의 가압돌부(230)는,
    단부가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곡률부(232)와, 곡률부(232)로부터 연장되며 잠금 작동시 록킹돌부(130)의 단부가 타고 넘어가는 가압 유도면(233)을 이루어 외력을 부여시 록킹돌부(130)를 상부로 밀어 올리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가압 유도부(231); 및
    가압 유도부(231)와 연장되며 록킹돌부(130)가 내입되는 걸림홈(235)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가압 유도부(231)는,
    그 폭을 록킹홈(140)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완전한 록킹시 록킹홈(140)의 내부에 완전 내입되고, 걸림홈(235)에 록킹돌부(130)가 형합되게 구성하거나,
    그 폭이 록킹홈(140)의 폭보다 크게 구성하여 완전한 록킹시 곡률부(232)가 하부용기의 테두리부(110) 상단을 밀어 가압하게 구성하고, 걸림홈(235)에 록킹돌부(130)가 형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1020170092967A 2017-07-21 2017-07-21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10196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67A KR101961112B1 (ko) 2017-07-21 2017-07-21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967A KR101961112B1 (ko) 2017-07-21 2017-07-21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30A true KR20190010330A (ko) 2019-01-30
KR101961112B1 KR101961112B1 (ko) 2019-03-25

Family

ID=65277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967A KR101961112B1 (ko) 2017-07-21 2017-07-21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590B1 (ko) 2019-09-24 2023-06-19 주식회사 아이팩 밀폐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88Y1 (ko) * 2003-11-07 2004-01-31 박순미 음식물 보관용기
KR20100012090U (ko)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선학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금속제 밀폐용기
KR20120007211U (ko) * 2011-04-11 2012-10-19 (주)효성피엔지 밀폐 용기
KR20140062397A (ko) * 2012-11-14 2014-05-23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88Y1 (ko) * 2003-11-07 2004-01-31 박순미 음식물 보관용기
KR20100012090U (ko)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선학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금속제 밀폐용기
KR20120007211U (ko) * 2011-04-11 2012-10-19 (주)효성피엔지 밀폐 용기
KR20140062397A (ko) * 2012-11-14 2014-05-23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112B1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482B1 (ko) 밀폐용기
RU2365527C1 (ru) Затвор для сосуда
KR20080012188A (ko) 개구 용기 폐쇄 뚜껑
KR200476920Y1 (ko) 포장용 용기 뚜껑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KR101803794B1 (ko)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961112B1 (ko)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0856469B1 (ko) 밀폐용기
KR101442422B1 (ko) 식품용 용기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20120007211U (ko) 밀폐 용기
KR101844352B1 (ko)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잠금수단을 갖는 스텐뚜껑
KR20100007714U (ko) 뚜껑의 내측으로 노출되어지게 2중사출성형에 의한 가압밀착부를 갖는 용기뚜껑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1772842B1 (ko)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65929Y1 (ko)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원터치 체결 구조
KR200340188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210002186U (ko) 물병의 음료배출구 노즐 구조
KR200431896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210039830A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0870960B1 (ko) 밀폐용기의 패킹
KR200477182Y1 (ko) 밀폐날개가 형성된 패킹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062113B1 (ko) 용기마개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