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422B1 - 식품용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422B1
KR101442422B1 KR1020130093234A KR20130093234A KR101442422B1 KR 101442422 B1 KR101442422 B1 KR 101442422B1 KR 1020130093234 A KR1020130093234 A KR 1020130093234A KR 20130093234 A KR20130093234 A KR 20130093234A KR 101442422 B1 KR101442422 B1 KR 101442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elastic packing
main body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766A (ko
Inventor
다카시 고토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40020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과제] 높은 밀폐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용기 내부의 내압 상승에 견딜 수 있고, 부품수를 삭감함으로써 경제성이 뛰어난 식품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제 1 입구 가장자리부(6)에 단차부(10)를 갖는 외용기 본체(2)와, 상기 단차부(10)에 현가되어 배치되는 플랜지부(11)를 제 2 입구 가장자리부(12)에 갖는 내용기 본체(3)와, 탄성 패킹(24)을 끼워 맞춤하는 덮개(4)와, 덮개(4)와 외용기 본체(2)를 조으는 벨트(5)로 구성되며, 제 2 입구 가장자리부(12)의 플랜지부(11)의 상면(25)과 탄성 패킹(24)은 맞닿고, 또한 내용기 본체(3)를 제거한 단차부(10)에 대해서도 상면(18)에 탄성 패킹(24)이 맞닿음으로써, 내용기 본체(3), 외용기 본체(2)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공통된 덮개(4)에 의해 부품수를 삭감하고, 또한 밀폐성이 높은 탄성 패킹(24)을 덮개(4)에 배치함에 의해 지수성이 높은 용기의 조합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용 용기{FOOD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기와 외용기를 구비한 식품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밥, 반찬 등의 음식물을 휴대하는 용기로서는, 상부가 개구되는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외용기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 위에 현가되어 배치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의 개구를 피복하는 내용기용 덮개와, 상기 내용기용 덮개의 상면을 피복하는 동시에 겹쳐진 용기를 고정하는 바깥 덮개에 의해 구성되어, 내용물을 밀폐하고 휴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상방으로부터 덮는 덮개가 내용기와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 용기에 나사 결합함에 의해 장착되는 나사식 끼워 맞춤을 이용한 식품용 용기가 알려져 있는데(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이에 의하면, 덮개부가 이중 용기로부터 벗겨지는 일 없이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어, 밀폐성이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30587호 공보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55-16652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예에서는, 내용기용 덮개 외에 겹쳐진 용기의 상방을 피복하는 바깥 덮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 생산비가 커져 버리는 것 외에, 사용 용기 형태도 한정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은 예에서는, 이중 용기와 덮개체를 나사결합시켜 일체로 하는 나사식 끼워 맞춤 용기와 같이, 밀폐성이 높은 나사식 수지성 용기를 전자렌지 등으로 가열하여 사용했을 때, 용기 내부의 내압 상승에 견디지 못해 용기의 변형 또는 파손을 초래하여, 덮개가 날아가 내용물이 비산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밀폐성을 유지한 채로 용도에 맞춘 조합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용기 내부의 내압 상승에 견딜 수 있고, 부품수를 삭감함으로써 경제성이 뛰어난 식품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 발명의 식품용 용기는, 외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에 단차부를 갖는 외용기 본체와, 상기 단차부에 현가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내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에 갖는 내용기 본체와, 탄성 패킹을 끼워 맞춤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상기 외용기 본체를 조으는 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내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의 상면과 상기 탄성 패킹은 맞닿고, 또한 상기 내용기 본체를 제거한 상기 단차부에 대해서도 상기 탄성 패킹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발명의 식품용 용기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패킹의 가장 바깥치수는,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 바깥치수 이상이고, 상기 단차부의 가장 바깥치수 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발명의 식품용 용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패킹의 상하 방향의 높이는, 상기 단차부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발명의 식품용 용기는,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를 조으는 상기 벨트가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발명의 식품용 용기는, 청구항 1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폐색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내용기 본체, 외용기 본체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공통된 덮개에 의해 부품수를 삭감하고, 또한 밀폐성이 높은 탄성 패킹을 덮개에 배치함에 의해 지수성(止水性)이 높은 용기의 조합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 패킹의 가장 바깥치수와 내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의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치수가 근사치이기 때문에, 내용기 본체를 제거한 경우에는, 단차부상에 상기 탄성 패킹이 배치되어, 외용기 본체와 맞닿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 패킹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높이는, 외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의 단차부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기 때문에, 탄성 패킹이 끼워진 덮개를 단차부에 배치했을 때, 탄성 패킹의 상하 방향의 변형이 확보되어 맞닿아서, 밀폐성이 높은 끼워 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벨트에 의해 착탈이 용이해져, 용기내의 가압 상태일 때에는, 벨트가 늘어나 덮개가 비밀착 상태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비가압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덮개가 날아가거나 벗겨지는 일이 없어진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내용기에 폐색 부재가 배치됨에 의해, 내용기 본체와 외용기 본체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식품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식품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내용기를 제거한 상태의 식품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식품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식품용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품용 용기(1)를 나타낸다. 식품용 용기(1)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되는 외용기 본체(2)와, 이 외용기 본체(2)내에 수용되는 비슷한 형상의 내용기 본체(3)와, 상기 외용기 본체(2) 및 상기 내용기 본체(3)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4)와, 외용기 본체(2)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에 걸쳐서 덮개(4)의 상면에 걸쳐짐으로써 덮개(4)와 외용기 본체(2)를 조여서 고정하여 유지하는 벨트(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용기 본체(2)는, 상부 개구에 형성되는 제 1 입구 가장자리부(6)와, 사각형 형상의 돌기(7A)를 갖고, 제 1 입구 가장자리부(6)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걸림부(7,7')와, 한 쌍의 걸림부(7,7')와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걸림받이부(8,8')를 구비하고, 제 1 입구 가장자리부(6)로부터 바닥부(9)에 걸쳐 끝이 가는 형상으로 오므라들어 있다. 그리고, 제 1 입구 가장자리부(6)는, 상단 테두리가 외측으로 뻗어나와 조금 솟아오름으로써 단차부(10)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10)상에 내용기 본체(3)가 현가되어 배치됨으로써, 외용기 본체(2)내에 내용기 본체(3)가 수용되고, 내용기 본체(3)가 내부 덮개가 됨으로써 외용기 본체(2)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용기 본체(3)는, 외측을 향하여 날밑 형상을 이루는 플랜지부(11)를 갖고 상부 개구에 형성되는 제 2 입구 가장자리부(12)와, 플랜지부(11)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걸림부(13,13')와, 플랜지부(11)보다 하방인 외측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부착홈(14)을 구비한다. 부착홈(14)에는, 실리콘고무,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폐색 부재(15)가 부착되고, 이 폐색 부재(15)의 외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돌출 형상편(16)이 둘레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11)의 가장 바깥치수 A는, 단차부(10)의 가장 바깥치수 B보다 짧게 형성되고, 또한 외용기 본체(2)의 두께와 대략 같은 치수인 단차부(10)의 안쪽 치수 C보다 길게 형성된다(C<A<B). 아울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돌출 형상편(16)의 가장 바깥치수는, 플랜지부(11)의 가장 바깥치수 A와 대략 같은 치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외용기 본체(2)내에 내용기 본체(3)를 수용할 때에는, 외용기 본체(2)의 걸림받이부(9)에 대응하는 내용기 본체(3)의 걸림부(13)를 위치 맞춤하고, 내용기 본체(3)를 상방으로부터 외용기 본체(2)내에 삽입함으로써, 외용기 본체(2)의 걸림받이부(9)에 내용기 본체(3)의 걸림부(13)가 걸리고, 이와 동시에 내용기 본체(3)에 있어서의 플랜지부(11)의 바닥면(17)이 외용기 본체(2)에 있어서의 단차부(10)의 상면(18)에 맞닿아 현가 배치됨으로써 일체로 되어 이중 용기(19)를 형성한다. 이때, 내용기 본체(3)의 외측면에 부착된 폐색 부재(15)는, 돌출 형상편(16)이 외용기 본체(2)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탄성변형되기 때문에, 외용기 본체(2)와 내용기 본체(3)의 간극을 폐색할 수 있어, 외용기 본체(2)내에 넣어진 내용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일체로 된 이중 용기(19)의 상방에는, 덮개(4)가 장착된다. 덮개(4)는, 외용기 본체(2)에 있어서의 제 1 입구 가장자리부(6)의 바깥치수와 대략 같은 치수로서, 상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오목 형상으로 연속하는 벨트홈(20)이 형성되는 천판부(天板部,21)와, 이 천판부(21)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용기 본체(3)의 안쪽 치수보다 조금 짧은 몸통부(22)와, 이 몸통부(22)의 외측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끼워 맞춤홈(23)을 구비한다. 끼워 맞춤홈(23)에는, 실리콘고무,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성 패킹(24)이 끼워 맞춰지고, 탄성 패킹(24)의 가장 바깥치수 D는, 플랜지부(11)의 가장 바깥치수 A 이상이고, 또한 단차부(10)의 가장 바깥치수 B 이하의 근사치(A≤D≤B)임에 의해, 이중 용기(19)의 상방에 덮개(4)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내용기 본체(3)의 플랜지부(11)의 상면(25)에 탄성 패킹(24)의 하면(26)이 맞닿아서 내용기 본체(3) 안을 밀폐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내용기 본체(3)를 제거한 경우라도, 내용기 본체(3)의 플랜지부(11)와 마찬가지로, 탄성 패킹(24)의 하면(26)이 외용기 본체(2)에 있어서의 단차부(10)의 상면(18)에 맞닿아 현가 배치되어, 외용기 본체(2) 안을 밀폐할 수 있으므로, 용도에 맞춰서 복수의 조합을 실시할 수 있다.
덮개(4)의 끼워 맞춤홈(23)에 끼워 맞춰지는 탄성 패킹(24)은, 수평축의 하방측으로 접혀진 접힘부(27)를 가지므로, 상하 방향으로 높아져서 접힘부(27)의 안쪽에 공극(K)이 형성된다. 더욱이, 접힘부(27)의 높이 T1은, 단차부(10)의 높이 T2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T2<T1) 내용기 본체(3)를 제거하고 외용기 본체(2)의 단차부(10)에 덮개(4)를 장착할 때에는, 탄성 패킹(24)이 갖는 접힘부(27)의 공극(K)에 의해, 상하 방향의 변형이 확보되므로, 상방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탄성 패킹(24)이 탄성 변형하여 단차부(10)와의 간극을 없애, 단차부(10)와 맞닿을 수 있어, 지수성(止水性)이나 밀폐성이 높은 끼워 맞춤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중 용기(19) 또는 외용기 본체(2)의 상방에 덮개(4)를 배치한 후에는, 덮개(4)와 외용기 본체(2)를 벨트(5)에 의해서 조여서 고정한다. 벨트(5)는, 실리콘고무,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재료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중간부와 다른쪽의 중간부에 각각 부착구멍(28,28')을 형성한다. 부착 구멍(28)은, 벨트(5)의 길이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한 경우에 가로로 긴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부착 구멍(28)의 가로치수는, 부착 구멍(28)이 걸려 멈춰지는 외용기 본체(2)의 걸림부(7)가 갖는 사각형 형상의 돌기(7A)의 가로치수와 대략 같은 치수이지만, 부착 구멍(28)의 세로치수는, 외용기 본체(2)의 걸림부(7)가 갖는 사각형 형상의 돌기(7A)의 세로 치수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부착 구멍(28)으로부터 다른쪽의 부착 구멍(28')까지의 길이는, 한쪽의 걸림부(7)로부터 다른쪽의 걸림부(7')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벨트(5)에 의해, 덮개(4)와 외용기 본체(2)를 조여서 고정할 때에는, 위치 어긋남 방지용의 벨트홈(20)을 통하여 배치한 벨트(5)의 한쪽의 부착 구멍(28)을, 대응하는 한쪽의 걸림부(7)에 있어서의 돌기(7A)의 하단에 걸어, 다른쪽에 걸친다. 벨트(5)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질상 탄성변형, 즉 신장 가능하기 때문에, 치수상의 길이가 부족해도, 부착 구멍(28)내에 걸림부(7,7')가 갖는 사각형 형상의 돌기(7A,7A')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나, 외용기 본체(2)에 있어서의 한쪽의 걸림부(7)로부터 다른쪽의 걸림부(7')까지 걸칠 수 있는 동시에, 덮개(4)의 탄성 패킹(24)을 내용기 본체(3)의 플랜지부(11)의 상면(25) 또는 외용기 본체(2)의 단차부(10)의 상면(18)에 확실히 맞닿게 해서 조이도록 하여 고정할 수 있어,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용기내에 내용물을 넣고 전자렌지 등을 이용하여 가열할 때에는, 내압 상승에 동반하여 덮개(4)에 비밀착 상태로 되는 방향, 즉 상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에서는 내압 상승에 대응하여 벨트(5)가 신장하기 때문에, 덮개(4)와 용기 사이로부터 공기가 빠져나와 비가압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덮개(4)을 용기로부터 벗길 때에는, 걸어 멈춰져 있는 부착 구멍(28,28')을 해방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착탈이 용이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입구 가장자리부(6)에 단차부(10)를 갖는 외용기 본체(2)와, 상기 단차부(10)에 현가되어 배치되는 플랜지부(11)를 제 2 입구 가장자리부(12)에 갖는 내용기 본체(3)와, 탄성 패킹(24)을 끼워 맞춤하는 덮개(4)와, 덮개(4)와 외용기 본체(2)를 조으는 벨트(5)로 구성되고, 제 2 입구 가장자리부(12)의 플랜지부(11)의 상면(25)과 탄성 패킹(24)은 맞닿고, 또한 내용기 본체(3)를 제거한 단차부(10)에 대해서도 상면(18)에 탄성 패킹(24)이 맞닿음으로써, 내용기 본체(3), 외용기 본체(2) 각각에 사용할 수 있는 공통된 덮개(4)에 의해 부품수를 삭감하고, 또한 밀폐성이 높은 탄성 패킹(24)을 덮개(4)에 배치함에 의해 지수성이 높은 용기의 조합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패킹(24)의 가장 바깥치수 D는, 플랜지부(11)의 가장 바깥치수 A이상이고, 단차부(10)의 가장 바깥치수 B 이하의 근사치로 됨으로써, 탄성 패킹(24)의 가장 바깥치수 D와 제 2 입구 가장자리부(12)의 플랜지부(11)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치수가 근사치이기 때문에, 내용기 본체(3)를 제거한 경우에는, 단차부(10)상에 상기 탄성 패킹(24)이 배치되어, 외용기 본체(2)와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패킹(24)에 있어서의 접힘부(27)의 상하 방향의 높이 T1은, 단차부(10)의 높이 T2보다 높기 때문에, 탄성 패킹(24)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높이 T1은, 외용기 본체(2)에 있어서의 제 1 입구 가장자리부(6)의 단차부(10)의 높이 T2보다 높게 설정되기 때문에, 탄성 패킹(24)이 끼워진 덮개(4)를 단차부(10)에 배치했을 때, 탄성 패킹(24)의 상하 방향의 변형이 확보되어 맞닿아서, 밀폐성이 높은 끼워 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외용기 본체(2)와 덮개(4)을 조으는 벨트(5)가 탄성체이므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벨트(5)에 의해 착탈이 용이해져, 용기내의 가압 상태일 때에는, 벨트(5)가 늘어나 덮개(4)가 비밀착 상태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비가압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덮개(4)가 날아가거나 벗겨지는 경우가 없어진다.
더욱이, 내용기 본체(3)의 외측면에 폐색 부재(15)를 설치함으로써, 내용기 본체(3)와 외용기 본체(2)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1 : 식품용 용기
2 : 외용기 본체
3 : 내용기 본체
4 : 덮개
5 : 벨트
6 : 제 1 입구 가장자리부(외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
7 : 걸림부
10 : 단차부
11 : 플랜지부
12 : 제 2 입구 가장자리부(내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
14 : 부착홈
15 : 폐색 부재
23 : 끼워 맞춤홈
24 : 탄성 패킹
27 : 접힘부
28 : 부착 구멍

Claims (5)

  1. 외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에 단차부를 갖는 외용기 본체와, 상기 단차부에 현가되어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내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에 갖는 내용기 본체와, 탄성 패킹을 끼워 맞춤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상기 외용기 본체를 조으는 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내용기 본체 입구 가장자리부의 상면과 상기 탄성 패킹은 맞닿고, 또한 상기 내용기 본체를 제거한 상기 단차부에 대해서도 상기 탄성 패킹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품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패킹의 가장 바깥치수는,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 바깥치수 이상이고, 상기 단차부의 가장 바깥치수 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패킹의 상하 방향의 높이는, 상기 단차부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를 조으는 상기 벨트가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폐색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용기.
KR1020130093234A 2012-08-10 2013-08-06 식품용 용기 KR101442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8801A JP5510507B2 (ja) 2012-08-10 2012-08-10 食品用容器
JPJP-P-2012-178801 2012-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766A KR20140020766A (ko) 2014-02-19
KR101442422B1 true KR101442422B1 (ko) 2014-09-17

Family

ID=5003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234A KR101442422B1 (ko) 2012-08-10 2013-08-06 식품용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10507B2 (ko)
KR (1) KR101442422B1 (ko)
CN (1) CN1035650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492B1 (ko) * 2021-02-01 2021-07-20 (주)에프엠에스코리아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0725B2 (ja) * 2016-05-06 2020-07-29 ピーコック魔法瓶工業株式会社 食品保温容器
JP7058105B2 (ja) * 2017-10-20 2022-04-21 東罐興業株式会社 二重容器
KR102049388B1 (ko) * 2019-01-25 2019-11-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425U (ko) * 1988-07-13 1990-01-31
JP3045265U (ja) * 1997-07-08 1998-01-27 恵庸 豊村 食品用携帯容器
JPH10129742A (ja) * 1996-11-06 1998-05-19 Howa Sangyo Kk 蓋付き容器
JP2007330574A (ja) 2006-06-16 2007-12-27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食品保温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5262U (ja) * 1983-10-08 1985-05-09 竹市 福平 添加食品の容器を蓋としたインスタント食品の容器
US5090572A (en) * 1988-08-16 1992-02-25 Deroseau Robert F Combination food container and eating utensil
TWM265003U (en) * 2004-06-29 2005-05-21 Cook Power Co Ltd Meal box for preventing from overflow
CN202311738U (zh) * 2011-11-07 2012-07-11 陆锦雄 一种多功能组合饭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425U (ko) * 1988-07-13 1990-01-31
JPH10129742A (ja) * 1996-11-06 1998-05-19 Howa Sangyo Kk 蓋付き容器
JP3045265U (ja) * 1997-07-08 1998-01-27 恵庸 豊村 食品用携帯容器
JP2007330574A (ja) 2006-06-16 2007-12-27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食品保温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492B1 (ko) * 2021-02-01 2021-07-20 (주)에프엠에스코리아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766A (ko) 2014-02-19
JP5510507B2 (ja) 2014-06-04
CN103565063B (zh) 2015-09-23
CN103565063A (zh) 2014-02-12
JP2014037240A (ja)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2075A1 (en) Sealed container
KR101576734B1 (ko) 음료용 용기
RU2540390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рышки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стоящая из прозрачной крышки и каркаса
KR101442422B1 (ko) 식품용 용기
EP1934106A4 (en) CLOSURE ASSEMBLY FOR CONTAINERS
TW200708448A (en) Packaging container
ATE494236T1 (de) Verpackungsbehälter
WO2008000971A3 (fr) Conteneur pour le stockage de produits
KR20120060354A (ko) 밀폐 용기
CN114174189A (zh) 容器
KR101479852B1 (ko) 휴대용 식품 보존 용기
CA2900674C (en) Caps and containers containing the same
US20120298669A1 (en) Plastic container structure
KR10182913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밀착구조
KR200429150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반찬통 용기
JP4827094B2 (ja) 蓋付き容器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KR20110009209U (ko) 밀폐용기
KR200374677Y1 (ko)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JP2010264997A (ja) 保存容器
KR20190010330A (ko)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CA2647406C (en) Cap for a condiment container
KR200356840Y1 (ko) 반복사용 용의 식음료포장용기
KR101383581B1 (ko) 속마개
KR20170002178U (ko) 용기 밀폐용 보조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