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492B1 -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492B1
KR102279492B1 KR1020210014284A KR20210014284A KR102279492B1 KR 102279492 B1 KR102279492 B1 KR 102279492B1 KR 1020210014284 A KR1020210014284 A KR 1020210014284A KR 20210014284 A KR20210014284 A KR 20210014284A KR 102279492 B1 KR102279492 B1 KR 10227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case
temperature
packag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조수봉
신우태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엠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3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al noise of resistanc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에 있어서,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외부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저장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재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 및 일측은 상기 외부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 외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센서 본체, 일측은 상기 센서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되, 상기 단열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우회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라인 및 상기 도전성 라인의 타측에 연결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을 제공한다.
따라서 온도 센서가 외부 케이스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단열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열 효과 향상 및 온도 측정 정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Cooling packaging with temperature sensor and delivery management system of the cooling packaging}
본 발명은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 센서가 외부 케이스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단열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열 효과 향상 및 온도 측정 정확도가 향상되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 되면서 지구의 기온은 더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 되어야 하는 야채, 과일, 고기 등의 식품들과 그 외의 실험용 물질 등을 안정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 고정된 장소에서는 냉장고나 냉동고를 이용하여 이러한 식품이나 물질들을 어렵지 않게 보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식품이나 물질들을 다른 지역이나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이용되는 것이 보냉 용기이다. 하지만 고정된 장소에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냉장고 등과 달리 이러한 보냉 용기는 내부에 냉매팩 등을 넣어서 온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보냉 용기 내부의 온도가 변화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보냉 용기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배송지까지 적정 온도로 잘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목적으로 온도 센서가 부착된 보냉 용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보냉 용기들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보냉 용기 내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파손의 위험이 높고,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성능이 빨리 저하되거나,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벽면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설치 또는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1-56169호
본 발명은 온도 센서가 외부 케이스 내측에 밀칙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단열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열 효과 향상 및 온도 측정 정확도가 향상되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에 있어서,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외부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저장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재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 및 일측은 상기 외부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 외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센서 본체, 일측은 상기 센서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되, 상기 단열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우회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라인 및 상기 도전성 라인의 타측에 연결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보냉 패키징을 이용한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냉 패키징의 센서 본체는, 상기 제저장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배송 대상물의 정보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보냉 패키징의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태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보냉 패키징, 상기 전자 태그에 상기 배송 대상물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배송 대상물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보냉 패키징의 정보, 배송자에 대한 정보, 주문자에 대한 정보 및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온도 센서가 외부 케이스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단열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열 효과 향상 및 온도 측정 정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온도 센서가 탈착 가능한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므로,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셋째, 내부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도 내부 케이스의 내부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넷째, 온도 측정부가 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내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과의 접촉에 의한 파손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의 센서 커버를 제거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의 센서 본체와 온도 측정부를 연결하는 도전성 라인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의 외부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 및 고무 패킹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은 외부 케이스(1100), 내부 케이스(1200), 온도 센서(1300), 덮개(1400), 고무 패킹(1500), 온도 측정부 고정 장치(1600) 및 보관 케이스(170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0)는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1100)는 직육면체 형태인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1100)는 일 측면인 좌측면에 상기 온도 센서(13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1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외부 케이스(1100)에는 위치 추적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이 내장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위치 추적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형태 설명을 위해 상기 온도 센서(130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센서(1300)는 센서 본체(1310), 온도 측정부(1320), 도전성 라인(1330) 및 센서 커버(134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센서(1300)는 상기 온도 측정부(13200에서 측정된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외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의 온도를 이용해서 상기 센서 본체(1310)가 상기 내부 케이스(1200) 내부의 제2저장 공간의 온도를 추정한다. 상기 센서 본체(1310)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 홈(1111)에 배치된다.
상기 도전성 라인(1330)은 센서 본체 라인(1331) 및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을 포함한다.상기 도전성 라인(1330)은 상기 센서 본체(1310)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1100)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0) 사이의 이격 공간까지 연장된다. 상기 센서 본체 라인(1331)은, 일측은 상기 센서 본체(1310)와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은, 일측은 상기 센서 본체 라인(1331)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온도 측정부(1320)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센서 본체 라인(1331)의 타측과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의 일측은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은 상기 센서 본체(1310)의 배티리 소진 시, 상기 센서 본체 라인(1331)과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을 분리하여 상기 온도 측정부(1320)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상기 센서 본체(1310)의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1320)는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온도 측정부(1320)는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이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 끝부분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 측정부(1320)가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0)와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배송 물품이 배치되는 공간의 온도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측정부(1320)는 바이오 의약품을 배송 또는 보관할 때는 상기 바이오 의약품 속에 상기 온도 측정부(1320)를 꽂아서 상기 바이오 의약품의 품온 자체를 체크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센서(1300)는 상기 온도 측정부(1320)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과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내측의 이격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센서 본체(1310)에 온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센서 본체(1310)는 자체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1100) 외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싱 장치(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본체(1310)는 상기 이격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2저장 공간의 온도와의 관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가 구축되어 있다. 즉, 상기 이격 공간의 온도를 알면 상기 센서 본체(1310)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제2저장 공간의 온도를 찾아서, 상기 제2저장 공간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서도 상기 제2저장 공간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 본체(1310)는 이에 더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100) 외부의 온도와 상기 이격 공간의 온도에 따른 상기 제2저장 공간의 온도도 미리 저장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0)가 놓여 있는 환경의 온도 차이에 의한 상기 제2저장 공간의 온도 변화까지도 추정이 가능하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온도 센서 케이스(1200)에 휴대용 단말기를 접촉함으로써, 상기 온도 센서(1300)에 저장 되어 있는 정보를 직접 송출 받거나, 상기 온도 센서(1300)가 도출한 정보를 송출 받은 서버에 접속하여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센서 커버(1340)는 상기 삽입 홈(1111)을 막아서 세척 시 상기 센서 본체(1310)에 수분이 접촉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센서 커버(1340)는 상기 삽입 홈(1111)과 형합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삽입 홈(1111)에서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센서 커버(1340)는 상기 삽입 홈(1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면이 상기 삽입 홈(1111)의 가장자리와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삽입 홈(1111)에는 상기 센서 본체(1310)를 상기 삽입 홈(1111)의 중심에 고정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는 고정 비드(1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비드(1112)는 상기 삽입 홈(1111)의 내측에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비드(1112)는 상기 삽입 홈(1111)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삽입 홈(1111)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또는 플레이트 구조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본체(1310)는 상기 삽입 홈(1111) 내에서 상기 고정 비드(1112)에 의해 한정되는 중심 위치에 끼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본체(1310)가 끼워지는 방향은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인 것을 예로 든다.
또한 상기 고정 비드(1112)는 상기 도전성 라인(1330)을 상기 삽입 홈(1111)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도전성 라인(133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홈(1112`)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비드(1112)는 상기 센서 본체(1310)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삽입 홈(1111) 내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도전성 라인(1330)이 상기 삽입 홈(1111)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끼울 수 있는 가이드 홈(1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1112`)은 상기 도전성 라인(1330)을 수평 방향으로 끼울 수 있도록(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밀어서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1100)는 측면의 상부에 상기 제1저장 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날개부(1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날개부(1113)는 외부판(1113a), 중간판(1113b) 및 내부판(1113c)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판(1113a)은 상기 제1날개부(1113)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판이다. 상기 중간판(1113b)은 상기 외부판(1113a)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판과 하부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외부판(1113a)과 상기 중간판(1113b)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판(1113a)과 상기 중간판(1113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는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이 통과할 수 있는 수직 관통 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판(1113c)은 상기 중간판(1113b)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1113b)과 상기 내부판(1113c)은 하부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중간판(1113b)과 상기 내부판(1113c) 사이에도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1200)도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서 제2날개부(12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0)는 상기 제1날개부(1113)와 상기 제2날개부(1211)가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은 고압 세척시 수분이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제1저장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날개부(1113)와 상기 제2날개부(1211) 사이에 고무 패킹(1500)이 배치된다. 도 5에서는 상기 중간판(1113b)과 상기 내부판(1113c)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상기 고무 패킹(1500)이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날개부(1113)의 상기 외부판(1113a)과 상기 중간판(1113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도 상기 고무 패킹(150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무 패킹(1500)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결합 부분을 통해서 수분이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0)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무 패킹(1500)이 상기 외부판(1113a)과 상기 중간판(1113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도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외부판(1113a)과 상기 중간판(1113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수직 관통 홀을 통해서 수분이 상기 삽입 홈(1111)으로 침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0) 사이 및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상기 외부판(1113a) 및 상기 중간판(1113b) 사이의 수직 관통 홀을 통해서 통해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온도 센서(1300)가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본체(1310)는 상기 고정 비드(1112)에 의해서 상기 삽입 홈(1111)의 바닥 면으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삽입 홈(1111)에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곧바로 상기 수분에 의해 영향을 받지는 않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날개부(1113)에는 상기 도전성 라인(133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삽입 홈(1111)에서 상기 제1날개부(1113)로 통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 관통홀 및 상기 제1날개부(1113)에서 상기 제1저장 공간으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평 관통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 관통 홀은 상기 중간판(1113b) 상부에 형성되는 제1수평 관통 홀(1113b`) 및 상기 내부판(1113c) 상부에 형성되는 제2수평 관통 홀(1113c`)을 포함한다. 즉,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은 상기 제1수평 관통 홀(1113b`) 및 상기 제2수평 관통 홀(1113c`) 두 개를 모두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 공간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1수평 관통 홀(1113b`) 및 상기 제2수평 관통 홀(1113c`)은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32)을 거치하면서 관통시키기 편리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면과 상기 온도 측정부(1320)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측정부(1320)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0)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단열재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도전성 라인(1330)은 상기 단열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우회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0) 사이의 이격 공간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전성 라인(1330)이 상기 단열재의 상부를 넘어서 우회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면 모두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재는 진공단열패널인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단열재의 종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 케이스(1200)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저장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1200)는 내부에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이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내부 케이스(1200)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탈착 가능한 상부가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상부를 덮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네스팅(nesting) 구조를 형성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외측면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면에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제2날개부(1211)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제1날개부(1113)와 밀착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상부인 상기 제1날개부(1113)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상부인 상기 제2날개부(1211) 사이에는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 부재는 고무 패킹(1500)인 것을 예로 든다.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상기 제2저장 공간에는 배송 대상물을 담는 보관 케이스(1700)가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송 대상물이 직접 상기 내부 케이스(1200)에 보관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내부 케이스(1200)와 상기 보관 케이스(1700)의 사이에는 냉매팩이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냉매팩을 상기 보관 케이스(1700)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냉매팩은 상기 보관 케이스(1700) 내부에 배치되는 배송 대상물을 설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1200)는 측면의 상부에 상기 제2저장 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날개부(12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날개부(1211)의 하면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제1날개부(1113)의 상면과 형합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제1날개부(1113)와 상기 제2날개부(1211)의 결합 시 사이에 상기 고무 패킹(1500)이 배치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결합 부위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덮개(14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0) 개구된 상부를 차폐한다. 상기 덮개(1400)는 상면의 가장 자리가 돌출되어 있어서 중심부가 가장 자리보다 아래쪽으로 내려간 홈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덮개(14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 구조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0) 하면과 형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은 복수 개를 적층하더라도 흔들리거나 넘어지지 않아서 여러 개를 쌓을 때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은 표준 파레트 규격에 맞게 제작될 수 있어서, 물류 효율이 좋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임대 사용되거나 사회적으로 공동 사용되기에도 좋은 장점이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 고정 장치(1600)는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21) 또는 상기 온도 측정부(13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측정부 고정 장치(1600)는 일측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11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 공간으로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온도 측정부 고정 장치(1600)는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21)과 교차하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100)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측정부 고정 장치(1600)는 형태가 유지되는 딱딱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든다. 따라서 상기 온도 측정부 고정 장치(1600)는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21)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21)이 상기 외부 케이스(11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외부 케이스(1100)와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21) 사이에 단열재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열재의 내측에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1321)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관 케이스(17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0) 내부의 제2저장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보관 케이스(1700)는 보관 또는 배송하고자 하는 물품을 보관하는 케이스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0) 내부에 상기 보관 케이스(170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얘로 들지만, 상기 보관 케이스(1700)는 포함되지 않고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보관 케이스(1700)는 상기 덮개(1400)가 상기 내부 케이스(1200)를 차폐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상면이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1000')은 도 1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의 제2저장 공간에 보관되어 배송되는 배송 대상물을 판매하는 판매자, 상기 배송 대상물을 배송하는 배송자, 상기 배송자로부터 상기 배송 대상물을 배송 받는 주문자, 상기 배송 대상물을 상기 제2저장 공간에 보관하는 보냉 패키징(1000), 상기 보냉 패키징(1000)의 온도 센서(1300)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 태그(1300'), 상기 판매자와 상기 배송자가 상기 전자 태그(1300')에 태그하여 상기 배송 대상물의 정보와 상기 보냉 패키징(1000)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입력하는 각각의 단말기 및 상기 판매자, 상기 배송자, 상기 주문자 각각의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메인 서버(M)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센서(1300),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본체(1310)에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태그(13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태그(13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e) 태그인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자 태그(1300')를 블루투스나 그 외 다른 근거로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전자 태그(1300')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0)의 제2저장 공간에 보관되어 배송되는 배송 대상물에 관한 정보, 상기 온도 센서(1300)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 및 그 외에 상기 보냉 패키징(1000)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 대상물에 관한 정보는 상기 배송 대상물의 종류, 무게, 보관시 요구되는 온도, 가격 등과 같은 상기 배송 대상물 자체에 관한 정보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보냉 패키징(1000)과 관련된 정보는 냉매의 추가 없이 요구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 온도 유지를 위해 상기 보냉 패키징(1000)의 제2저장 공간에 추가적으로 투입해야 하는 냉매의 종류 및 양, 현재 상태에서 상기 제2저장 공간의 추정된 온도 등에 관한 정보 등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전자 태그(1300')에는 상기 판매자에 관한 정보, 상기 주문자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송자에 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태그(130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의 배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NFC 태그(1300')를 이용한 배송 관리 시스템(1000')을 물품을 주문한 주문자, 주문된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자 및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각각의 입장에서 간략히 설명한다.
주문자는 주문이 완료되면 상기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 대상물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인 서버(M)에 접속하여, 배송 대상물이 배송 시작 전이라면 배송 시작 예정 시간, 배송이 시작되면 배송 완료 예정 시간, 배송자의 성명, 배송자의 연락처, 판매자의 주소, 판매자의 연락처, 주문된 배송 대상물의 가격 등에 관한 정보, 주문자 자신이 작성한 배송 요청 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주문자는 상기 메인 서버(M)에 접속하여 상기 배송 대상물에 관한 정보, 상기 보냉 패키징(1000)의 위치 정보, 배송자에 관한 정보 및 판매자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주문자는 상기 메인 서버(M)에 메시지를 작성함으로써 배송자 및 판매자에게 배송 요청 사항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배송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NFC 앱 파일을 설치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상기 NFC 태그(1300')에 태그한다. 그리고, 상기 앱의 초기화면에서 배송 번호(shipping number)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앱에서 시작 버튼을 누른 후, 데이터 뷰어(data viewer) 버튼을 눌러서 상기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에 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배송 번호를 설정하면 상기 앱은 상기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에 대한 세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인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배송자에게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제공한다. 물론 배송자는 상기 메인서버가 아닌 상기 NFC 태그(1300')를 태그하여 직접 상기 NFC 태그(13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보냉 패키징(1000)에 대한 세부 정보를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배송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를 상기 NFC 태그(1300')에 태그함으로써 상기 메인 서버(M)에 저장 되어 있는 주문자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서버(M)에는 상기 배송 대상물, 상기 보냉 패키징(1000), 상기 배송 대상물을 배송하는 배송자, 주문자 및 판매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송 요청 시간, 상기 배송 대상물의 종류 및 무게, 배송 대상물이 요구하는 저온 유지 온도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 되어 있다. 배송자는 배송을 시작할 때, 상기 NFC 태그(1300')에 휴대용 단말기를 접촉함으로써 배송이 시작됨을 주문자 및 판매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배송 시작 여부는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 서버(M)에 기록이 업데이트 됨으로써, 주문자 및 판매자가 상기 배송 시작 사실을 알 수도 있다.
판매자는 상기 메인 서버(M)에 접속함으로써, 배송 시작 예정 시간, 상기 배송자의 배송 시작 여부, 배송이 시작되면 배송 완료 예정 시간, 주문자의 배송 대상물 수령 여부, 주문자가 상기 배송 대상물을 수령했다면 수령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1000)을 이용한 배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보냉 패키징(1000), 상기 전자 태그(1300')에 상기 배송 대상물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배송 대상물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보냉 패키징의 정보, 배송자에 대한 정보, 주문자에 대한 정보 및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송 관리 시스템을 이용해서 주문자, 배송자, 판매자는 각각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1100: 외부 케이스
1110: 외부 케이스 좌측면
1111: 센서 삽입 홈
1112: 고정 비드
1112`: 가이드 홈
1113: 외부 케이스 날개(제1날개부)
1113a: 외부판
1113b: 중간판
1113b`: 중간판 수평 관통 홀
1113c: 내부판
1113c`: 내부판 수평 관통 홀
1200: 내부 케이스
1210: 내부 케이스 좌측면
1211: 내부 케이스 날개(제2날개부)
1300: 온도 센서
1300`: 전자 태그
1310: 센서 본체
1320: 온도 측정부
1330: 도전성 라인
1331: 센서 본체 라인
1332: 온도 측정부 라인
1340: 센서 커버
1400: 덮개
1500: 고무 패킹
1600: 온도 측정부 고정 장치
1700: 보관 케이스

Claims (13)

  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에 있어서,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외부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저장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재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 및
    일측은 상기 외부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 외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센서 본체;
    일측은 상기 센서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되, 상기 단열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우회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라인; 및
    상기 도전성 라인의 타측에 연결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는,
    외측면에 상기 센서 본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상부에 상기 제1저장 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측면의 상부에 상기 제2저장 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가 밀착되도록 결합하되,
    세척시 수분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제1저장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의 사이에 고무 패킹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온도 측정부가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기 편리하도록, 관통 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삽입 홈에서 상기 제1날개부로 통하는 수직 관통 홀 및 상기 제1날개부에서 상기 제1저장 공간으로 통하는 수평 관통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는,
    외부판;
    상기 외부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판과 하부가 연결되어 있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과 하부가 연결되어 있는 내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관통 홀은,
    상기 중간판 상부에 형성되는 제1수평 관통 홀 및 상기 내부판 상부에 형성되는 제2수평 관통 홀을 포함하되, 상기 온도 측정부를 거치하여 관통시키기 편리하도록 상기 제1수평 관통 홀 및 상기 제2수평 관통 홀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라인은,
    상기 단열재의 상부를 넘어서 상기 단열재를 우회하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탈착 가능한 상부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부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 사이에는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가 더 포함되어 있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외측면에 상기 센서 본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센서 본체를 상기 삽입 홈 중심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 홈의 내측에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 홈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삽입 홈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고정 비드를 포함하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비드는,
    상기 센서 본체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삽입 홈 내부를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도전성 라인이, 상기 삽입 홈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도전성 라인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라인은,
    일측은 상기 센서 본체와 연결되어 연장되는 센서 본체 라인; 및
    일측은 상기 센서 본체 라인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온도 측정부와 연결되는 온도 측정부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본체의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본체 라인과 상기 온도 측정부 라인은 탈착 가능한,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삽입 홈을 막아서 세척 시 상기 센서 본체에 수분이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센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11. 보냉 패키징을 이용한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냉 패키징은,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외부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저장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재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 및
    일측은 상기 외부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 외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센서 본체;
    일측은 상기 센서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되, 상기 단열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우회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까지 연장되는 도전성 라인; 및
    상기 도전성 라인의 타측에 연결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냉 패키징의 센서 본체는, 상기 제2저장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배송 대상물의 정보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보냉 패키징의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태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보냉 패키징;
    상기 전자 태그에 상기 배송 대상물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전자 태그로부터 상기 배송 대상물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보냉 패키징의 정보, 배송자에 대한 정보, 주문자에 대한 정보 및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는,
    외측면에 상기 센서 본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상부에 상기 제1저장 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측면의 상부에 상기 제2저장 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가 밀착되도록 결합하되,
    세척시 수분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제1저장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의 사이에 고무 패킹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온도 측정부가 상기 외부 케이스를 관통하기 편리하도록, 관통 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삽입 홈에서 상기 제1날개부로 통하는 수직 관통 홀 및 상기 제1날개부에서 상기 제1저장 공간으로 통하는 수평 관통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는,
    외부판;
    상기 외부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판과 하부가 연결되어 있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간판과 하부가 연결되어 있는 내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관통 홀은,
    상기 중간판 상부에 형성되는 제1수평 관통 홀 및 상기 내부판 상부에 형성되는 제2수평 관통 홀을 포함하되, 상기 온도 측정부를 거치하여 관통시키기 편리하도록 상기 제1수평 관통 홀 및 상기 제2수평 관통 홀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는, 주문이 완료되면 주문자의 단말기로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보냉 패키징의 정보, 상기 배송자에 대한 정보를 얻는,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송자는, 상기 전자 태그에 상기 배송자의 단말기를 태그하여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을 업데이트함으로써 배송 시작을 알리고, 상기 배송 대상물 및 상기 주문자에 대한 정보를 얻으며,
    상기 판매자는,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배송자의 배송 시작 여부, 상기 주문자의 배송 대상물 수령 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는,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KR1020210014284A 2021-02-01 2021-02-01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KR10227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84A KR102279492B1 (ko) 2021-02-01 2021-02-01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84A KR102279492B1 (ko) 2021-02-01 2021-02-01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492B1 true KR102279492B1 (ko) 2021-07-20

Family

ID=7712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284A KR102279492B1 (ko) 2021-02-01 2021-02-01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728B1 (ko) * 2021-09-13 2023-03-08 엔피씨(주) 보냉상자
KR102508593B1 (ko) * 2022-11-01 2023-03-10 (주)베인스코어 진공단열재를 사용한 콜드체인시스템용 수송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5799U (ko) * 1979-09-17 1981-04-24
JP2001056169A (ja) 1999-08-18 2001-02-27 Takashima & Co Ltd 温度計付き保冷ボックス
KR20070028914A (ko) * 2005-09-08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냉식 냉장고
JP2012112845A (ja) * 2010-11-25 2012-06-14 Toyota Motor Corp 温度測定装置
KR101442422B1 (ko) * 2012-08-10 2014-09-17 서어모스 케이.케이. 식품용 용기
KR101981688B1 (ko) * 2018-09-28 2019-05-23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용기
KR102153085B1 (ko) * 2020-06-25 2020-09-07 (주)에프엠에스코리아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용기 및 그 보냉 용기의 배송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5799U (ko) * 1979-09-17 1981-04-24
JP2001056169A (ja) 1999-08-18 2001-02-27 Takashima & Co Ltd 温度計付き保冷ボックス
KR20070028914A (ko) * 2005-09-08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냉식 냉장고
JP2012112845A (ja) * 2010-11-25 2012-06-14 Toyota Motor Corp 温度測定装置
KR101442422B1 (ko) * 2012-08-10 2014-09-17 서어모스 케이.케이. 식품용 용기
KR101981688B1 (ko) * 2018-09-28 2019-05-23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용기
KR102153085B1 (ko) * 2020-06-25 2020-09-07 (주)에프엠에스코리아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용기 및 그 보냉 용기의 배송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728B1 (ko) * 2021-09-13 2023-03-08 엔피씨(주) 보냉상자
KR102508593B1 (ko) * 2022-11-01 2023-03-10 (주)베인스코어 진공단열재를 사용한 콜드체인시스템용 수송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085B1 (ko)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용기 및 그 보냉 용기의 배송 관리 시스템
KR102279492B1 (ko)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US8239169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t management in a logistics system
KR20200143379A (ko) 마운팅 진열대
CN111065871B (zh) 保冷箱和保冷箱管理系统
KR101876721B1 (ko) 온도관리물류(콜드체인) 솔루션을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100225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 object in transit
EP2630457A1 (en) Temperature managed chain
BR112014023354A2 (pt) método para proporcionar informações sobre pacote em trânsito, meio légivel por computador e dispositivo hospedeiro para rastrear informações associadas à jornada de pacote desde a origem
US202102706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impacts applied to an article during production
US11057689B1 (en) Docking station accessory device for connecting electronic module devices to a package
JP2019042049A (ja) 医療用台車
JP2015168481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2125197A1 (en) Docking station accessory device for connecting electronic module devices to a package
KR200492210Y1 (ko) 배송용 보냉 가방
KR102391204B1 (ko) 보냉상자 및 보냉상자의 배송이력 추적방법
US20180165628A1 (en) Flexible wi-fi smart base
EP4184141A1 (en) Vacuum heat insulator management system
KR100995689B1 (ko) 물품자동관리가 가능한 자동화 미니바 시스템
Kartoglu et al. Use of cool water packs to prevent freezing during vaccine transportation at the country level
CN208217517U (zh) 一种铁路冷链集装器
US20230029147A1 (en) Pharmaceutical management system
US11182993B2 (en) Access detection device
KR20230065086A (ko) 회수기사용 단말기를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JP7403280B2 (ja) 収容容器、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収容容器の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