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210Y1 - 배송용 보냉 가방 - Google Patents

배송용 보냉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210Y1
KR200492210Y1 KR2020200001469U KR20200001469U KR200492210Y1 KR 200492210 Y1 KR200492210 Y1 KR 200492210Y1 KR 2020200001469 U KR2020200001469 U KR 2020200001469U KR 20200001469 U KR20200001469 U KR 20200001469U KR 200492210 Y1 KR200492210 Y1 KR 200492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zipper
delivery
shoulder strap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여찬수
최미옥
조수봉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엠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200001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A47J47/145Hand carriers for pizza delivery, e.g. with thermal insulation, heating means or humidity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어깨에 메고 운반 가능한 보냉 가방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하면, 상기 하면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서 내부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을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상부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된 측면부 상부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은,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이 결합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고, 상기 저장 공간은,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구분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상부 저장 공간 및 하부 저장 공간으로 구획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저장 공간에 배치된 대상물을 꺼낼 때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면을 개방하는 배송용 보냉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내부 저장 공간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대상물을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송용 보냉 가방{Cooling bag for shipping}
본 고안은 배송용 보냉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저장 공간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대상물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부에 있는 대상물을 꺼낼 때는 상면을 개방함으로써 하부 냉기의 유출을 줄인 배송용 보냉 가방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배달 서비스업이 급격하게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제품들을 직접 매장에 가서 구매하기 보다, 배달을 통해 구매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간단한 식사류, 베이커리류, 음료류 등이 있다. 그런데 베이커리류나 음료류 등은 적정한 온도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제품들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들의 배달 시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배달 케이스 들이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종래 배달 케이스들은 외관의 모양만 상이하게 보일 뿐 내부에 하나의 저장 공간을 가진 육면체 박스 구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제품을 배달해야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제품이 섞이지 않도록 별도의 비닐 용기에 담아야 하는 수고가 필요하고, 각각의 제품이 요구하는 온도가 다를 수 있음에도 동일한 온도로 유지되는 공간에 모두 담아서 배송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5716호
본 고안은 내부 저장 공간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대상물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부에 있는 대상물을 꺼낼 때는 상면을 개방함으로써 하부 냉기의 유출을 줄인 배송용 보냉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어깨에 메고 운반 가능한 보냉 가방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하면, 상기 하면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서 내부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을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상부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된 측면부 상부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은,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이 결합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고, 상기 저장 공간은,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구분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상부 저장 공간 및 하부 저장 공간으로 구획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저장 공간에 배치된 대상물을 꺼낼 때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면을 개방하는 배송용 보냉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송용 보냉 가방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부 저장 공간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대상물을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면 및 전면이 모두 개폐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에서 대상물을 담거나 꺼낼 수 있다.
셋째, 상부 저장 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대상물을 꺼낼 때는 상면만을 개방해서도 꺼낼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저장 공간의 냉기가 유출되는 양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용 보냉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송용 보냉 가방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는 도 1에 따른 배송용 보냉 가방의 전면 상부만을 개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배송용 보냉 가방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측면 어깨끈을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용 보냉 가방(100)은 하면(110), 전면(120), 후면(130), 좌면(140), 우면(150), 상면(160) 및 구획부(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송용 보냉 가방(10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물론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형상으로 변경도 가능하다. 상기 하면(11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면(110)의 네 모서리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전면(120), 상기 후면(130), 상기 좌면(140), 상기 우면(150)이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내부에 배송 대상물을 배치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120)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상기 전면(120)은 상기 하면(110)과 결합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한다. 이 때 상기 전면(120)은 정면에서 볼 때, "∩" 형태의 전면 지퍼(121)에 의해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지퍼(121)는 상기 전면(120)이 상기 좌면(140)과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우면(150)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된 위치, 상기 전면(120)이 상기 상면(160)과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하면(110)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된 위치 및 상기 전면(120)이 상기 우면(150)과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좌면(140)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된 위치를 각각 이어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지퍼(121)는 상기 전면(120)의 전체를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면(120)의 일부를 개폐하는 구조이다. 물론 상기 전면 지퍼(121)는 상기 전면(120) 전체를 개폐하는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 지퍼(120)는 전면 제1지퍼(121a) 및 전면 제2지퍼(121b)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제1지퍼(121a)는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 상기 전면(120)을 닫고,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 상기 전면(120)을 개방한다. 상기 전면 제2지퍼(121b)는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 상기 전면(120)을 닫고,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 상기 전면(120)을 개방한다. 즉, 상기 전면(120)은 상기 전면 제1지퍼(121a)와 상기 전면 제2지퍼(121b)를 맞닿게 함으로써 폐쇄하고, 상기 전면 제1지퍼(121a)와 상기 전면 제2지퍼(121b)를 이격시킴으로써 개방한다.
또한 상기 전면(120)은 전면 상부(120a)와 전면 하부(120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전면(12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전면 상부(120a)와 상기 전면 하부(120b)로 구분되는 절개부(122)를 기준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상기 절개부(122)는 상기 하면(110)과 상기 전면(120)이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절개부(122)는 상기 하면(110)으로부터 상기 구획부(170)가 이격되어 있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2)로 인해서 상기 전면(120)은 상기 전면 제1지퍼(121a)와 상기 전면 제2지퍼(121b)가 중간에서 맞닿은 상태로 상기 전면(120)을 폐쇄한 상태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진행하여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120)을 개방할 때, 상기 절개부(122)까지 상기 전면 제1지퍼(121a)와 상기 전면 제2지퍼(121b)가 진행하면, 상기 전면 상부(120a)는 상기 전면 하부(120b)의 외측면 쪽으로 접히면서 상기 저장 공간 중에서 전면 상부(120a)만을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절개부(122)로 인해서 상기 전면(120)은 상기 지퍼(121)를 끝까지 진행시키지 않고도 상기 저장 공간의 상부만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면 상부(120a)는 상기 전면 제1지퍼(121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121b)가 상기 전면의 내측이 아닌 외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무게에 의해 상기 전면 하부(120b)의 외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상기 전면(120)의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상기 전면 상부(120a)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을 냉기의 손실을 줄이면서 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제1지퍼(121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121b)는 서로 접촉할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무 소재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면 제1지퍼(121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121b)가 서로 접촉할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소재라면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면 제1지퍼(121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121b)는 각각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제1지퍼(121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121b)는 인접하게 배치될 때 서로 끌어 당겨서 붙어 있을 수 있는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면 제1지퍼(121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121b)가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전면 제1지퍼(121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121b)의 외측에는 상기 전면 제1지퍼 커버(122a) 및 전면 제2지퍼 커버(122b)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제1지퍼 커버(122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 커버(122b) 또한 고무 소재나 그 외 접촉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퍼(121)는 상기 저장 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전면 제1지퍼(121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121b)가 자기력에 의해 붙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을 들고 이동할 때, 상기 지퍼(121)에 의한 소음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제1지퍼(121a)와 상기 전면 제2지퍼(121b)가 접촉하는 순간에도 상기 전면 제1지퍼 커버(122a) 및 상기 전면 제2지퍼 커버(122b)로 인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면(130)은 상기 전면(120)과 대향하도록 상기 하면(110)의 뒤쪽에 연결된다. 상기 후면(130)의 일측에는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을 등에 밀착시켜 멜 수 있도록 후면 제1어깨끈(13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면(130)의 일측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타측에도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을 등에 밀착시켜 멜 수 있도록 후면 제2어깨끈(1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면 제1어깨끈(131)과 상기 후면 제2어깨끈(132)은 상기 후면(130)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고리 구조로 각각 고정되어 있다. 물론 상기 후면 제1어깨끈(131)과 상기 후면 제2어깨끈(132)은 사용자가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을 등에 밀착 시켜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상기 후면(130)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면(130)에는 상기 후면 제1어깨끈(131)을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후면 제1어깨끈 고정부(미도시) 및 상기 후면 제2어깨끈(132)을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후면 제2어깨끈 고정부(미도시)가 상기 후면(1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후면 제1어깨끈 고정부(미도시) 및 상기 후면 제2어깨끈 고정부(미도시)는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을 등에 메지 않고, 들고 운반할 때 상기 후면 제1깨끈(131) 및 상기 후면 제2어깨끈(132)이 아래쪽으로 늘어져서 지면에 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제1어깨끈 고정부(미도시) 및 상기 후면 제2어깨끈 고정부(미도시)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벨크로나 그 외에 상기 후면 제1어깨끈 고정부(미도시) 및 상기 후면 제2어깨끈 고정부(미도시)를 고정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좌면(140) 및 상기 우면(150)은 상기 하면(1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세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좌면(140) 및 상기 우면(150)에는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을 한 쪽 어깨에 멜 수 있는 측면 어깨끈(1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면 어깨끈(180)은 일측이 상기 좌면(14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우면(15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면(140) 및 상기 우면(150)에는 상기 측면 어깨끈(18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면 고정고리(141) 및 우면 고정고리(15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면 고정고리(141)는 상기 측면 어깨끈(180)이 상기 좌면(140)과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우면 고정고리(141)는 상기 측면 어깨끈(180)이 상기 우면(150)과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측면 어깨끈(180)의 일측은 상기 좌면(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면 고정고리(141)와 연결되고, 상기 측면 어깨끈(180)의 타측은 상기 우면(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우면 고정 고리(151)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측면 어깨끈(180)은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과 밀착되지 않고 상기 상면(160)으로부터 설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배송용 보냉 가방(100)은 사용자가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을 어깨에 메지 않고, 손에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어깨끈(180)을 (b)에서와 같이 상기 상면(180)에 인접하도록 조절하여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어깨끈(180)의 조절은 상기 좌면 고정고리(141) 아래쪽의 측면 어깨끈(180)과 상기 우면 고정고리(151) 아래쪽의 측면 어깨끈(180)을 아래쪽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송용 보냉 가방(100)은 한 쪽 어깨에 멜 수도 있고, 백팩과 같이 양쪽 어깨를 이용하여 등에 멜 수도 있고, 손에 들 수도 있어서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상면(160)은 상기 후면(130)과 결합되어 있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한다. 물론 상기 상면(160)은 상기 후면 외의 다른 측면들, 즉 상기 전면(120), 상기 좌면(140) 및 상기 우면(15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전면(120), 상기 좌면(140) 및 상기 우면(15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 상면(160)은 상기 저장 공간 중에서 상기 구획부(170)에 의해 나누어진 상부 저장 공간에 상기 대상물을 배치시키거나, 상기 상부 저장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을 꺼낼 때 사용한다. 상기 상면(160)을 개방하여 상기 상부 저장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을 꺼내면, 상기 저장 공간 중에서 하부 저장 공간은 개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160)은 상면 지퍼(16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상면 지퍼(161)는 상기 전면 지퍼(121)와 유사하게 상면 제1지퍼(161a) 및 상면 제2지퍼(161b)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160)은 위에서 볼 때 "∪" 형태의 지퍼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상면 지퍼(161)은 전체적인 형태만 상기 전면 지퍼(121)와 상이하고 상기 전면(120)의 지퍼(121)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110), 상기 전면(120), 상기 후면(130), 상기 좌면(140), 상기 우면(150) 및 상기 상면(160) 각각은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줄이고,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 외부의 온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단열재(미도시)는 상기 하면(110), 상기 전면(120), 상기 후면(130), 상기 좌면(140), 상기 우면(150) 및 상기 상면(160) 각각을 구성하는 외피에 의해 둘러싸여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면(160)의 내측에는 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을 삽입할 수 있는 상면 피씨엠 포켓(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피씨엠 포켓(미도시)은 직사각형 형태로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피씨엠 포켓(미도시)에 배치되는 피씨엠 모듈에 의해서 생성되는 냉기는 주위의 공기보다 온도가 낮아 아래쪽으로 흐른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저장 공간 및 상기 하부 저장 공간 모두에 냉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구획부(17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갖고, 상기 후면(130), 상기 좌면(140) 및 상기 우면(15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획부(170)는 상기 하면(110)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상기 하면(11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구획부(170)은 내부에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 저장 공간과 상기 하부 저장 공간 사이의 열출입을 차단하여 상기 상부 저장 공간과 상기 하부 저장 공간에 배치되는 대상물들이 요구되는 서로 다른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상기 구획부(170)에는 열 교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 홀(미도시)은 상기 구획부(17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 홀(미도시)은 슬라이딩 구조의 홀 덮개(미도시)에 의해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저장 공간 및 상기 하부 저장 공간에 동일한 대상물을 배치하는 경우 상기 저장 공간 전체를 동일한 온도롤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홀 덮개(미도시)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온도가 요구되는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홀 덮개(미도시)를 개방하여 온도가 높은 상기 상부 저장 공간과 열 평형을 이루도록 상기 홀 덮개(미도시)를 개방한다.
상기 구획부(170) 중에서 상기 전면에 인접한 모서리의 중앙에는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1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도 센서(171)는 상기 구획부(170)의 중앙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 저장 공간의 최저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로 측정되고,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최고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로 측정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171)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상기 하부 저장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대상물에 요구되는 적정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은 적어도 상기 요구되는 적정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저장 공간에는 상기 상부 저장 공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한 대상물을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온도 표시부(171')는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부분이다. 상기 온도 표시부(171')는 상기 우면(171')의 외측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온도 표시부(171')는 상기 하면(110)을 제외한 다른 면에 얼마든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 표시부(171')는 상기 온도 센서(17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표시한다. 물론 상기 온도 표시부(171')는 소리를 내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알려 줄 수도 있다.
상기 우면(150)의 외측에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태그(19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태그(190)는 NFC(Near Field Communicate) 태그(190)인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자 태그(190)를 블루투스나 그 외 다른 근거로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NFC 태그(190)는 휴대용 단말기로 태그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다른 면에 얼마든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NFC 태그(190) 이용 방법을 물품을 주문한 주문자, 주문된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자 및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각각의 입장에서 간략히 설명한다.
주문자는 주문이 완료되면 상기 배송용 가방(100)에 보관되어 있는 배송 대상물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배송 대상물이 배송 시작 전이라면 배송 시작 예정 시간, 배송이 시작되면 배송 예정 시간, 배송자의 성명, 배송자의 연락처, 판매자의 주소, 판매자의 연락처, 주문된 배송 대상물의 가격 등에 관한 정보, 주문자 자신이 작성한 배송 요청 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주문자는 상기 메인 서버에 메시지를 작성함으로써 배송자 및 판매자에게 배송 요청 사항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배송자는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에 NFC 앱 파일을 설치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미도시)를 상기 NFC 태그(190)에 태그한다. 그리고, 상기 앱의 초기화면에서 배송 번호(shipping number)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앱에서 시작 버튼을 누른 후, 데이터 뷰어(data viewer) 버튼을 눌러서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에 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배송 번호를 설정하면 상기 앱은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에 대한 세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인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배송자에게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서버에는 상기 배송용 보냉 가방(100)에 저장되어 있는 배송 대상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송 요청 시간, 상기 배송 대상물의 종류 및 무게, 배송 대상물이 요구하는 저온 유지 온도, 배송 시 교통 상황 등을 고려한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시간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 되어 있다. 배송자는 배송을 시작할 때, 상기 NFC 태그(190)에 휴대용 단말기를 접촉함으로써 배송이 시작됨을 주문자 및 판매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배송 시작 여부는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 서버에 기록이 업데이트 됨으로써, 주문자 및 판매자가 상기 배송 시작 사실을 알 수도 있다.
판매자는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배송 시작 예정 시간, 상기 배송자의 배송 시작 여부, 배송이 시작되면 배송 완료 예정 시간, 주문자의 배송 대상물 수령 여부, 주문자가 상기 배송 대상물을 수령했다면 수령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배송용 보냉 가방
110: 하면
120: 전면
120a: 전면 상부
120b: 전면 하부
121: 전면 지퍼
121a: 전면 제1지퍼
121b: 전면 제2지퍼
130: 후면
131: 후면 제1어깨끈
132: 후면 제2어깨끈
140: 좌면
141: 좌면 고정고리
150: 우면
151: 우면 고정고리
160: 상면
161: 상면 지퍼
161a: 상면 제1지퍼
161b: 상면 제2지퍼
170: 구획판
171: 온도 센서
171': 온도 표시부
180: 측면 어깨끈
190: NFC 태그

Claims (11)

  1.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어깨에 메고 운반 가능한 보냉 가방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하면;
    상기 하면의 네 모서리에 세워져서 내부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을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상부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된 측면부 상부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은,
    상기 하면과 상기 전면이 결합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고,
    상기 저장 공간은,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구분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상부 저장 공간 및 하부 저장 공간으로 구획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저장 공간에 배치된 대상물을 꺼낼 때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면을 개방하고,
    상기 전면은,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 닫히고,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 열리는 전면 제1지퍼 및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 열리고,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 닫히는 전면 제2지퍼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전면 제1지퍼와 상기 전면 제2지퍼가 상기 전면의 상부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면 제1지퍼는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열리고, 상기 전면 제2지퍼는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열릴 때,
    상기 하면과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구획부와 동일한 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면과 접하는 모서리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 제1지퍼 및 상기 전면 제2지퍼가 상기 전면을 개방하면서 상기 구획부에 인접하면, 상기 전면 상부가 상기 전면 하부의 외측으로 접혀서 상기 저장 공간의 상부만 개방되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배송용 보냉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 중에서 상기 전면에 인접한 모서리의 중앙에는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배송용 보냉 가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배송용 보냉 가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냉 가방을 등에 멜 수 있도록 상기 후면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후면 제1어깨끈; 및
    상기 후면의 타측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제1어깨끈과 이격되어 고정되어 배치되는 후면 제2어깨끈을 더 포함하는,
    배송용 보냉 가방.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냉 가방을 들고 운반할 때,
    상기 후면 제1어깨끈이 아래쪽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측의 상부 및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후면 제1어깨끈을 고정할 수 있는 후면 제1어깨끈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송용 보냉 가방.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제1지퍼 및 상기 전면 제2지퍼는,
    인접할 때 서로 붙어 있도록 각각 자석으로 형성되되, 서로 접촉할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배송용 보냉 가방.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좌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우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한 쪽 어깨에 걸고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 어깨끈을 더 포함하는,
    배송용 보냉 가방.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 어깨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보냉 가방을 손에 들고 갈 때, 상기 상면에 인접하도록 길이를 짧게하여 손잡이로 이용 가능한,
    배송용 보냉 가방.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 및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을 태그하면 상기 저장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태그를 더 포함하는,
    배송용 보냉 가방.
KR2020200001469U 2020-04-29 2020-04-29 배송용 보냉 가방 KR200492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69U KR200492210Y1 (ko) 2020-04-29 2020-04-29 배송용 보냉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69U KR200492210Y1 (ko) 2020-04-29 2020-04-29 배송용 보냉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210Y1 true KR200492210Y1 (ko) 2020-08-28

Family

ID=7223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469U KR200492210Y1 (ko) 2020-04-29 2020-04-29 배송용 보냉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2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6937A1 (en) 2020-12-21 2022-06-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d chain packaging
WO2022219445A1 (en) 2021-04-14 2022-10-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method and artic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169B1 (ko) * 1992-09-18 2001-01-15 헤롤드 제이. 포운츠 본 덮개 및 이에 힌지를 이용하여 장착된 보조덮개를 갖추고 있는 용기
KR200455716Y1 (ko) 2011-07-01 2011-09-21 정은득 보온 보냉용 가방
US20130119850A1 (en) * 2009-08-05 2013-05-16 6 Pack Fitness, LLC Portable Consumables Organizer
KR20140005370U (ko) * 2013-04-05 2014-10-17 최진원 알에프아이디태그가 구비된 택배가방
KR20180125907A (ko) * 2017-05-16 2018-11-26 삼소나이트 아이피 홀딩스 에스.에이.알.엘. 횡방향으로 체결되는 지퍼 당김-손잡이(pull-tap)를 포함하는 여행 가방 물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169B1 (ko) * 1992-09-18 2001-01-15 헤롤드 제이. 포운츠 본 덮개 및 이에 힌지를 이용하여 장착된 보조덮개를 갖추고 있는 용기
US20130119850A1 (en) * 2009-08-05 2013-05-16 6 Pack Fitness, LLC Portable Consumables Organizer
KR200455716Y1 (ko) 2011-07-01 2011-09-21 정은득 보온 보냉용 가방
KR20140005370U (ko) * 2013-04-05 2014-10-17 최진원 알에프아이디태그가 구비된 택배가방
KR20180125907A (ko) * 2017-05-16 2018-11-26 삼소나이트 아이피 홀딩스 에스.에이.알.엘. 횡방향으로 체결되는 지퍼 당김-손잡이(pull-tap)를 포함하는 여행 가방 물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6937A1 (en) 2020-12-21 2022-06-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ld chain packaging
WO2022219445A1 (en) 2021-04-14 2022-10-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method and art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210Y1 (ko) 배송용 보냉 가방
KR102153085B1 (ko)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용기 및 그 보냉 용기의 배송 관리 시스템
US2016030018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items
US20190130348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 deliveries of items to a residence with control of delivery authorizations and storage temperatures, and communications with delivery services
JP6473523B2 (ja) 収容庫の在庫管理システムおよび在庫管理方法
US20220058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elivery system
JP2017538182A (ja) バッグの中の品目を計算して追跡するためのレジスタ
BR112014024238B1 (pt) Método de comunicação de dados representativos de uma informação espacialmente localizada em um terminal móvel e sistema de comunicação de dados localizados em uma área de venda
US20190035203A1 (en) Express box for logistics
JP7490650B2 (ja) モジュール式自動販売機
US200500291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delivering a temperature-sensitive item
US201801018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Goods Incentivized by Rewards Program
WO2002095536A2 (en) System and method for unattended delivery
JP2021101144A (ja) 配送システム
CN107235230A (zh) 一种智能移动冷藏箱及管理方法
WO2016081017A2 (en) Improv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10771926B1 (en) Package tracking system
US201902515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liveries of Goods
KR102235542B1 (ko) 배송물품 수령용 콜드체인 용기
JP6168632B1 (ja) 袋詰め表示システム、サーバ、袋詰め表示方法、及び袋詰め表示用プログラム
KR102279492B1 (ko) 온도 센서가 구비된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의 배송 관리 시스템
KR102113742B1 (ko) 접이식 간이 보냉고 및 그 보냉고를 접는 방법
BR102012031394A2 (pt) Método para distribuição, venda e reposição de mercadorias através de máquinas de venda automática embarcadas em veículos de transporte público, máquinas de venda automática e equipamentos para instalação de máquinas de venda automática em veículos de transporte humano de massa
US20060033366A1 (en) Headrest display device
US201803656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