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716Y1 - 보온 보냉용 가방 - Google Patents

보온 보냉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716Y1
KR200455716Y1 KR2020110006043U KR20110006043U KR200455716Y1 KR 200455716 Y1 KR200455716 Y1 KR 200455716Y1 KR 2020110006043 U KR2020110006043 U KR 2020110006043U KR 20110006043 U KR20110006043 U KR 20110006043U KR 200455716 Y1 KR200455716 Y1 KR 200455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insulation
ground line
bag
insulation ba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득
Original Assignee
정은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득 filed Critical 정은득
Priority to KR2020110006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7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46Picnic s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이 수용되는 가방 내부공간의 온도가 외기온도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하여 내측에 수용된 물품에 대해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가방 내에 수납한 물품의 보온이나 보냉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보온 및 보냉 보관가능하도록 방수 코팅된 원단을 이용하여 내벽을 형성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부에 일체로 봉제 접합하여 외벽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토록 상단이 절개된 외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절개된 부분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외피의 전후로 대칭된 구조를 이루는 측면의 경계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접지선과, 상기 제1접지선을 하단에 접하고 평탄한 평면을 이루는 하면의 측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접지선과, 상기 제2접지선에 양쪽 끝단이 접하고 상기 제1접지선에 연계하여 하면에 형성되는 제3접지선을 포함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온 보냉용 가방{Bag for Heating and Cooling}
본 고안은 보온 보냉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이 수용되는 가방 내부공간의 온도가 외기온도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하여 내측에 수용된 물품에 대해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가방 내에 수납한 물품의 보온이나 보냉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내부에 수납한 물품의 용량에 따라 가방의 부피와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어 외형상 미려함을 도모함은 물론 휴대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보온 보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풍이나 여행을 비롯하여 평상시 음식이나 음료 등의 음식물을 가지고 외출할 경우에는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로 음식물이 변질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거나 음식 고유의 맛과 향 및 신선도를 그대로 즐길 수 있게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보온병이나 보온도시락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보온병은 음료나 국물 등을 보온이나 보냉 기능을 갖는 재질의 용기에 담아 휴대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7718호 및 제20-0359300호 등에 다양한 보온병의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종래 보온도시락은 음식을 종류별로 각각 구분하여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재질의 내부용기를 보온이나 보냉이 우수한 재질의 외부용기에 담아 휴대가능한 구조로 제작하는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41943호 및 제20-0186900호 등에는 다양한 보온도시락의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보온병이나 보온도시락은 용기 자체가 모두 철재로 제작되어 제작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단가를 높이고,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그 자체의 형상을 유지하여 불필요하게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이 있으며, 음식물을 담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함과 동시에 소지하기가 힘겨운 이유로 사용을 기피하게 되어 그대로 방치하는 등의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온병이나 보온도시락의 경우 정형화된 형태를 이루므로 충격이 가해지면 파손되거나 변형되고, 변형된 이후에는 복구가 어려워 재구입해야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은 그 부피에 비해 음식물의 수용용량이 작음은 물론 용기 내에 담을 수 있는 음식물이 극히 한정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구입한 다양한 종류의 음료나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이 담긴 물품을 탄력적으로 수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종래기술로는 다양한 크기를 이루는 가방 내부에 물품을 보온이나 보냉시킬 수 있도록 하드폼 재질의 안감을 형성토록 제작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나 음료를 담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보온 및 보냉 가방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보온 및 보냉 가방은 계속해서 온기나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 팩을 음식물과 함께 별도로 구분없이 수용하므로 협소한 공간을 더욱 좁혀 음식물을 수납할 공간확보가 어렵고, 팩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일부 음식물에만 집중적으로 온기 및 냉기가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보온 및 보냉 효율을 수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덮개만을 열거나 닫는 구조로부터 일정한 형상만을 유지하거나 물품의 양이 적을 경우에도 별다르게 외형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없고 제품의 원형상 그대로를 유지하여 불필요하게 부피를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윗부분이 움푹 들어가는 등의 변형이 생겨 외형상 투박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의 수납공간인 내측에 지속해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과 물품의 수납용량이나 수납공간의 개폐 여부에 따라 형상이 일정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하므로, 온기나 냉기의 손실을 차단함은 물론 보온팩이나 보냉팩을 이용하여 수납공간에 수용된 물품의 온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고, 수납공간의 보온 및 보냉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와 수납량에 따른 형상변화로부터 제품의 미려함을 도모함은 물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전반적으로 불필요한 부피는 줄이면서 내외로 모두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내부 수납공간에 보온이나 보냉 팩을 별도 수납할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하므로, 제작이 간편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제품의 단가를 줄이고, 가방 자체가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수납공간 확보로 많은 양의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함은 물론 다양한 종류나 크기의 물품을 탄력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보온 및 보냉 보관가능하도록 방수 코팅된 원단을 이용하여 내벽을 형성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부에 일체로 봉제 접합하여 외벽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토록 상단이 절개된 외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절개된 부분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외피의 전후로 대칭된 구조를 이루는 측면의 경계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접지선과, 상기 제1접지선을 하단에 접하고 평탄한 평면을 이루는 하면의 측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접지선과, 상기 제2접지선에 양쪽 끝단이 접하고 상기 제1접지선에 연계하여 하면에 형성되는 제3접지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내피의 내벽에 봉제 접합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온기나 냉기를 제공하도록 보온 팩이나 보냉 팩을 개방된 상측을 통해 넣어 구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체의 내피 상에 사방 중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으로 온기나 냉기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유통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격자형의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내피는 은박 발포스펀지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피는 천, 캔버스, 합성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하여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외피 전후 양면에 각각 고정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접지선 및 제2접지선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계하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접지선 및 제3접지선은 상기 몸체의 하면에 서로 연계하여 “H”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피에는 하면에 상기 제3접지선을 기준으로 접힌 후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은 전체적인 폭과 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보온이나 보냉을 요하는 음료 병을 수용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은 전체적인 폭과 부피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보온이나 보냉을 요하는 다양한 음식물이 담긴 물품을 수용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연장하여 상기 외피로만 두 겹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개폐수단이 위치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작용에 따라 양쪽 끝단이 서로 접하면서 상부를 차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의 한쪽은 상기 접지부의 폭 길이보다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단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몸체의 측면 상에 결합하여 고정토록 형성되는 고정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수단추와, 상기 수단추에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연장단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는 암단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의 수단추는 상기 몸체의 전/후면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단이 예각을 이루는 형태에서 상기 암단추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몸체의 측면이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하측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몸체가 평탄한 상면을 이루는 형태에서 상기 암단추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몸체의 측면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제2결합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에 의하면,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내피를 구성하므로, 수납공간 내의 온기나 냉기의 손실을 차단하여 항상 동일하게 물품의 온도를 유지하고, 이는 물품에 대한 수납공간의 보온 및 보냉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은 개폐수단으로부터 수납공간의 개폐 여부와 수납공간에 수용된 물품의 수납용량에 따라 형상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는 제1,2,3접지부가 형성된 외피를 구성하므로, 수납공간 내의 수납량에 따라 일정하게 형상변화하여 제품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고, 이는 제품의 미려함을 도모하며, 제품을 용이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은 전반적으로 불필요한 부피는 줄이고 가벼운 소재를 사용한 내피와 외피로 가방을 제작함에 따라,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높임은 물론 제작비용을 줄여 제품의 단가를 최소화하고, 가방 자체가 경량으로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다양한 종류나 크기의 물품을 탄력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은 가방 내부의 수납공간에 보온 팩이나 보냉 팩을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구성하므로, 가방의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 수납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수납부 내에 보온 팩이나 보냉 팩의 양을 조절하여 수납함에 따라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온 보냉용 가방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납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4의 (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펼친 상태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온 보냉용 가방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수단에 의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보온 및 보냉 보관가능하도록 방수 코팅된 원단을 이용하여 내벽을 형성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부에 일체로 봉제 접합하여 외벽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토록 상단이 절개된 외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절개된 부분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외피의 전후로 대칭된 구조를 이루는 측면의 경계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접지선과, 상기 제1접지선을 하단에 접하고 평탄한 평면을 이루는 하면의 측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접지선과, 상기 제2접지선에 양쪽 끝단이 접하고 상기 제1접지선에 연계하여 하면에 형성되는 제3접지선을 포함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내피의 내벽에 봉제 접합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온기나 냉기를 제공하도록 보온 팩이나 보냉 팩을 개방된 상측을 통해 넣어 구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공간으로 온기나 냉기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유통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격자형의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피는 은박 발포스펀지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피는 천, 캔버스, 합성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하여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외피 전후 양면에 각각 고정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지선 및 제2접지선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계하여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접지선 및 제3접지선은 상기 몸체의 하면에 서로 연계하여 “H”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피에는 하면에 상기 제3접지선을 기준으로 접힌 후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은 전체적인 폭과 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보온이나 보냉을 요하는 음료 병을 수용토록 구성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은 전체적인 폭과 부피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보온이나 보냉을 요하는 다양한 음식물이 담긴 물품을 수용토록 구성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연장하여 상기 외피로만 두 겹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개폐수단이 위치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작용에 따라 양쪽 끝단이 서로 접하면서 상부를 차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의 한쪽은 상기 접지부의 폭 길이보다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단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몸체의 측면 상에 결합하여 고정토록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수단추와, 상기 수단추에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연장단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는 암단추를 포함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의 수단추는 상기 몸체의 전/후면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단이 예각을 이루는 형태에서 상기 암단추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몸체의 측면이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하측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몸체가 평탄한 상면을 이루는 형태에서 상기 암단추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몸체의 측면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피(11)와 외피(13)로 구성되는 몸체(10)와, 개폐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도 1~도 2 및 도 5~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는 평탄한 면을 이루며 막혀져 있는 반면 상부는 개방된 주머니형태의 자루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수납공간(12)의 지속적인 온도유지를 위해 온기나 냉기를 제공하도록 보온 팩이나 보냉 팩을 구분 수납할 수 있게 형성되는 수납부(1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납부(18)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피(11)의 내벽에 봉제 접합하여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수납부(18)는 상기 내피(11) 상에 양측단 및 하단이 봉제 접합하여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개방된 상측을 통해 보온 팩이나 보냉 팩을 넣어 수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18)는 상기 몸체(10)의 내피(11) 상에 사방 여러 면 중 어느 한쪽 면 또는 복수의 면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가방(B)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12)의 범위가 좁을 경우에는 도 2에서처럼 사방 중 어느 한 면에 1개의 수납부(18)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12)의 범위가 넓을 경우에는 도 6에서처럼 상기 내피(11)의 여러 면 중에서 선택하여 2개 이상의 수납부(1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1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2)으로 온기나 냉기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유통구멍(19)이 복수로 형성된 격자형의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18)의 상부는 수납되는 팩의 종류나 무게, 상기 수납부(18)의 크기로부터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밴드형의 웨빙(webbing)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18)에 유통구멍(19)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납공간(12)에서 온기나 냉기가 물품을 향해 원활하게 전달되어 팩에 의한 상기 수납공간(12)의 보온이나 보냉 효율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10)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벽을 이루는 내피(11)와, 외벽을 형성하는 외피(13)로 구성된다.
상기 내피(11)는 내부 수납공간(12)의 벽면을 이루고 수납된 다양한 물품에 대해 보온 및 보냉이 보관가능하도록 방수 코팅된 원단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내피(11)는 방수 코팅된 원단으로 은박 발포스펀지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은박 발포스펀지는 토이론폼이라고 불리며, 단열성 및 비흡수성이 우수한 가교발포 폴리에틸렌폼으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열전도성이 낮아 보온효과가 우수하며, 비흡수성 재질로 장시간 경과해도 단열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내피(11)는 내부에 고밀도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된 단열재(도면에 미도시)를 여러 겹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외피(13)는 상기 내피(11)의 외부에 일체로 봉제 접합하여 외벽을 형성하므로, 상기 몸체(10)의 전반적인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피(13)는 상기 수납공간(12)을 개방하도록 상단이 둘레를 따라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외피(13)는 천, 캔버스, 합성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하여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외피(13)는 상기 몸체(10)를 설계한 적정크기에 맞춰 상기 외피(13)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재단한 후 가장자리부분을 봉제 접합하여 제작된다.
상기 외피(13)는 외형상 미감을 얻을 수 있도록 다채로운 색상으로 염색된 소재를 사용하거나 직접 염색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13)에는 고급스런 미감을 주도록 다양한 문양이나 글자 등을 새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문양이나 글자가 새겨진 별도의 소재를 덧대어 봉제하므로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외피(13) 상에 독특한 문양이나 글자 등을 직접 자수하여 새기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외피(13) 전후 양면에 각각 고정 형성되는 손잡이(1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손잡이(17)는 상기 몸체(10)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파지하여 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10)에 고리연결에 의한 어깨끈을 매달아 형성하여 어깨에 걸쳐 멜 수 있도록 연결고리(17a)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고리(17a)는 상기 개폐수단(20)의 양쪽 끝단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개폐수단(20)의 양쪽 끝단에 위치하되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이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개폐수단(20)의 속으로 은폐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연결고리(17a)는 상기 손잡이(17)가 고정된 상측 부분으로 상기 몸체(10)의 전후면 상에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10)에는 외부에서 간편하게 물품을 수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외피(13)의 전후면 상에 소정 크기의 보조수납부(12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수단(20)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중 상기 외피(13)의 상단 절개된 부분을 따라 설치되고, 바깥쪽에서 상기 수납공간(12)을 개방하거나 폐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20)은 필요에 따라 절개된 방향을 향해 조작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지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외피(13)가 상기 개폐수단(20)으로부터 상부를 폐쇄하도록 작용하는 경우 하면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되 상단만 용이하게 맞닿아 잠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접히거나 사용 후 보관이 가능하게 접히는 제1접지선(14)과 제2접지선(15) 및 제3접지선(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접지선(14)은 상기 외피(13)의 전후로 대칭된 구조를 이루는 측면의 경계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접지선(14)은 상기 외피(13)의 측면에 수직중심선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개폐수단(20)에 의해 상기 외피(13)의 상단부분이 잠길 때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외피(13)의 상단이 원활하게 잠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접지선(15)은 상기 제1접지선(14)의 하단에 접하고 하부에서 평탄한 평면을 이루는 상기 외피(13) 하면의 측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면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10)의 하부 외형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접지선(14) 및 제2접지선(15)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계하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접지선(16)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지선(15)에 양쪽 끝단이 접하고 상기 제1접지선(14)에 연계하여 하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면을 접어 상기 몸체(1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접지선(15) 및 제3접지선(16)은 상기 몸체(10)의 하면에 서로 연계하여 “H”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외피(13)에는 하면에 상기 제3접지선(16)을 기준으로 접은 후 접힌 상태를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45)는 상기 몸체(10)의 하면에 상기 제3접지선(16)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암수가 한 쌍을 이루어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5)는 상기 몸체(10)의 하면 중앙부분에 한 쌍이 설치하여 고정토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몸체(10)의 하면 양쪽 가장자리부분에 각각 한 쌍씩 두 쌍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45)는 탈착가능한 스냅단추(똑딱이 단추)나 벨크로(Velcro)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B)의 제1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인 폭과 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12)에 보온이나 보냉을 요하는 음료 병(예를 들면, 물병, 음료수 병 등)을 수용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B)의 제2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인 폭과 부피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12)에 보온이나 보냉을 요하는 다양한 음식물이 담긴 물품을 수용토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B)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측에 연장하여 상기 외피(13)로만 두 겹으로 형성되는 접지부(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지부(30)의 상단에는 상기 개폐수단(20)이 위치하여 상기 개폐수단(20)의 개폐작용에 따라 양쪽 끝단이 서로 접하면서 상부를 차폐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20)는 상기 접지부(30)의 폭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되 상기 개폐수단(20)의 한쪽은 상기 접지부(30)의 폭 길이보다 길게 연장하여 연장단(21)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단(21)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몸체(10)의 측면 상에 결합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40)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단(21) 및 고정수단(40)은 상기 개폐수단(20)의 한쪽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개폐수단(20)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구비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40)은 도 5 및 도 7에서처럼 스냅단추(똑딱이 단추)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몸체(10)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수단추(41)와, 상기 수단추(41)에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연장단(21)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는 암단추(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40)의 수단추(41)는 상하로 서로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제1결합부(41a)와 제2결합부(41b)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2)에 수용되는 물품의 양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40)의 암단추(43)로부터 상기 수단추(41) 중 제1결합부(41a) 및 제2결합부(41b)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41a)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전/후면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단이 예각을 이루는 형태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결합부(41a)는 상기 개폐수단(20)에 의해 상부가 잠긴 상태에서 상기 연장단(21)에 구비된 상기 암단추(43)가 접할 수 있는 거리상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결합부(41a)는 상기 개폐수단(20)으로부터 상기 수납공간(12)을 폐쇄토록 이동시켜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40) 중 암단추(43)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몸체(10)의 측면이 전반적으로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상기 제1결합부(41a)는 상기 수납공간(12) 내에 수용할 물품이 비교적 적을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부(41b)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41a)로부터 하측 동일수직선상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10)가 직육면체의 상자형상이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결합부(41b)는 상기 몸체(10)의 상면이 평탄한 면 즉, 상기 접지부(30)가 수평상태로 접혀 상기 몸체(10)의 평탄한 상면을 이루는 형태에서 상기 연장단(21)에 구비된 상기 암단추(43)가 결합하여 상기 몸체(10)의 측면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2결합부(41b)는 상기 수납공간(12) 내에 수용할 물품이 상대적으로 많을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40)으로는 탈착이 가능한 벨크로(Velcro)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에 의하면,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내피를 구성하므로, 수납공간 내의 온기나 냉기의 손실을 차단하여 항상 동일하게 물품의 온도를 유지하고, 이는 물품에 대한 수납공간의 보온 및 보냉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개폐수단으로부터 수납공간의 개폐 여부와 수납공간에 수용된 물품의 수납용량에 따라 형상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는 제1,2,3접지부가 형성된 외피를 구성하므로, 수납공간 내의 수납량에 따라 일정하게 형상변화하여 제품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고, 이는 제품의 미려함을 도모하며, 제품을 용이하게 접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반적으로 불필요한 부피는 줄이고 가벼운 소재를 사용한 내피와 외피로 가방을 제작함에 따라,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높임은 물론 제작비용을 줄여 제품의 단가를 최소화하고, 가방 자체가 경량으로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다양한 종류나 크기의 물품을 탄력적으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은 가방 내부의 수납공간에 보온 팩이나 보냉 팩을 별도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구성하므로, 가방의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 수납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수납부 내에 보온 팩이나 보냉 팩의 양을 조절하여 수납함에 따라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보냉용 가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 : 몸체 11 : 내피
12 : 수납공간 12a : 보조수납부
13 : 외피 14 : 제1접지선
15 : 제2접지선 16 : 제3접지선
17 : 손잡이 17a : 연결고리
18 : 수납부 19 : 유통구멍
20 : 개폐수단 21 : 연장단
30 : 접지부 40 : 고정수단
41 : 수단추 41a : 제1결합부
41b : 제2결합부 43 : 암단추
45 : 고정부재 B : 가방

Claims (16)

  1.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보온 및 보냉 보관가능하도록 방수 코팅된 원단을 이용하여 내벽을 형성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부에 일체로 봉제 접합하여 외벽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토록 상단이 절개된 외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절개된 부분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외피의 전후로 대칭된 구조를 이루는 측면의 경계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접지선과, 상기 제1접지선을 하단에 접하고 평탄한 평면을 이루는 하면의 측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접지선과, 상기 제2접지선에 양쪽 끝단이 접하고 상기 제1접지선에 연계하여 하면에 형성되는 제3접지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내피의 내벽에 봉제 접합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온기나 냉기를 제공하도록 보온 팩이나 보냉 팩을 개방된 상측을 통해 넣어 구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체의 내피 상에 사방 중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공간으로 온기나 냉기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유통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격자형의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피는 은박 발포스펀지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피는 천, 캔버스, 합성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하여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외피 전후 양면에 각각 고정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선 및 제2접지선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계하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접지선 및 제3접지선은 상기 몸체의 하면에 서로 연계하여 “H”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피에는, 하면에 상기 제3접지선을 기준으로 접힌 후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은, 전체적인 폭과 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보온이나 보냉을 요하는 음료 병을 수용토록 구성되는 보온 보냉용 가방.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은, 전체적인 폭과 부피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보온이나 보냉을 요하는 다양한 음식물이 담긴 물품을 수용토록 구성되는 보온 보냉용 가방.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온 보냉용 가방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연장하여 상기 외피로만 두 겹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개폐수단이 위치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작용에 따라 양쪽 끝단이 서로 접하면서 상부를 차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접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한쪽은 상기 접지부의 폭 길이보다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는 연장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단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몸체의 측면 상에 결합하여 고정토록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 상에 설치되는 수단추와, 상기 수단추에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연장단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는 암단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수단추는, 상기 몸체의 전/후면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단이 예각을 이루는 형태에서 상기 암단추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몸체의 측면이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하측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몸체가 평탄한 상면을 이루는 형태에서 상기 암단추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몸체의 측면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용 가방.
KR2020110006043U 2011-07-01 2011-07-01 보온 보냉용 가방 KR200455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43U KR200455716Y1 (ko) 2011-07-01 2011-07-01 보온 보냉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43U KR200455716Y1 (ko) 2011-07-01 2011-07-01 보온 보냉용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716Y1 true KR200455716Y1 (ko) 2011-09-21

Family

ID=4508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043U KR200455716Y1 (ko) 2011-07-01 2011-07-01 보온 보냉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7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58U (ko) * 2017-04-06 2018-10-16 시우청 저우 골프백
KR200492210Y1 (ko) 2020-04-29 2020-08-28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배송용 보냉 가방
KR200493525Y1 (ko) 2020-03-18 2021-04-15 주식회사 네오플랜트 골프카트용 보온보냉가방 및 이 가방을 구비한 가방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217A (ja) 2000-05-17 2001-11-20 Toshiba Tec Corp 保温袋
JP2005343534A (ja) 2004-06-04 2005-12-15 Eeone:Kk 包装バッ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217A (ja) 2000-05-17 2001-11-20 Toshiba Tec Corp 保温袋
JP2005343534A (ja) 2004-06-04 2005-12-15 Eeone:Kk 包装バッ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58U (ko) * 2017-04-06 2018-10-16 시우청 저우 골프백
KR200487846Y1 (ko) 2017-04-06 2018-11-09 시우청 저우 골프백
KR200493525Y1 (ko) 2020-03-18 2021-04-15 주식회사 네오플랜트 골프카트용 보온보냉가방 및 이 가방을 구비한 가방세트
KR200492210Y1 (ko) 2020-04-29 2020-08-28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배송용 보냉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3150B2 (en) Lunch tote for storing food which is convertible into a serving tray
US7334684B1 (en) Versatile lunch box
US5680944A (en) Insulated outer layer for a thermal bottle
CA2483772C (en) Container with cover and closure member
CA2444155C (en) Container with cover
KR200474497Y1 (ko) 돗자리 겸용 보냉 가방
CN109153490A (zh) 带有蓄热容纳部的绝热容器组件
US20080245096A1 (en) Fold-up insulated container
US20170086606A1 (en) Miniaturized travel version of combination blanket and cushion incorporated into a decorative pillow including packaging assembly and method for deploying
KR200464545Y1 (ko) 접이식 보냉 가방
KR20120017434A (ko) 접을 수 있는 절연 컨테이너
US20100138996A1 (en) Privacy Blanket
KR200456327Y1 (ko) 보온 보냉용 도시락가방
TWM459790U (zh) 冷熱冰杯之改良(第五案)
KR200455716Y1 (ko) 보온 보냉용 가방
KR20180000809A (ko) 다용도 배달가방
KR200362331Y1 (ko) 보온 보냉용 아이스박스
US9260285B2 (en) Tote bag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20230406603A1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CN204675120U (zh) 食品保温前送背囊
KR200386022Y1 (ko) 보온보냉이 가능한 가방 겸용 배낭
CN205525875U (zh) 一种户外保温箱
US20170146285A1 (en)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attachable to a couch
CN208590615U (zh) 一种带便携餐盘使用的保温包
JP4209929B1 (ja) 買物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