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677Y1 -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4677Y1 KR200374677Y1 KR20-2004-0030338U KR20040030338U KR200374677Y1 KR 200374677 Y1 KR200374677 Y1 KR 200374677Y1 KR 20040030338 U KR20040030338 U KR 20040030338U KR 200374677 Y1 KR200374677 Y1 KR 2003746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synthetic resin
- lid
- coating layer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열유리나 내열도자기 또는 금속제 등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의 외주에 합성수지 피복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뚜껑의 잠금날개를 합성수지 피복층의 결합테두리에 결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유리나 도자기 또는 금속재로 성형되는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과,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용기몸체의 입구를 덮어주는 뚜껑과, 상기 뚜껑을 용기몸체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의 주연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된 힌지라인에 접었다 펼쳤다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잠금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피복층은 그 상단에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에 대하여 수평방향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의 각 잠금날개는 단면이 대체로 "S"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채 용기몸체를 향한 내면에는 상기한 결합테두리의 저부에 결착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내열유리나 내열도자기 또는 금속제 등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의 외주에 합성수지 피복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뚜껑의 잠금날개를 합성수지 피복층의 결합테두리에 결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 보관용기는 용기몸체가 식품보관용으로 사용이 인가된 재질의 합성수지나 내열유리, 내열도자기 또는 금속재로서 스테인레스스틸로 성형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재질로 성형된 용기몸체의 입구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의 대부분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음식물 보관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안전하게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해서는 뚜껑이 용기몸체의 입구를 밀폐시킨 상태로 결착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일례로서 용기몸체의 주연부에는 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또 뚜껑에는 상기한 잠금돌기에 결착 및 이완되는 잠금구멍이 형성된 잠금날개가 복수개 형성된 것이 본원인에 의하여 국내 특허 제335718 호로 등록되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의 용기몸체는 합성수지로서 사출성형한 것이기 때문에뚜껑의 잠금날개를 결착 또는 탈거하기 위한 잠금돌기를 형성시키기가 용이한 반면에, 합성수지에 비하여 용융점이 높고 또 유동성이 없는 유리재질로서 용기몸체를 성형할 때에는 용기몸체에 잠금돌기를 군데군데 돌출되게 형성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실제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며, 또한 용기몸체를 도자기 재질로 성형할 경우에도 용기몸체에 잠금돌기를 형성시키는 것 역시 매우 어려워 유리 및 도자기 재질로 성형되는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에는 상기의 특허와 같은 잠금날개를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음식물을 밀폐상태로 저장 및 보관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또한 음식물 보관용기의 용기몸체를 유리나 도자기 또는 금속재의 재질로 성형함에 있어 용기몸체의 입구 외주에 합성수지제 테두리를 형성시키는 수단으로 잠금날개가 달린 합성수지제 뚜껑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원인에 의하여 특허 제 440784 호로 제안된 바 있는데, 이는 용기몸체와 뚜껑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용기몸체의 입구에 뚜껑을 결합시킬 때 그 입구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잠금돌기에 대하여 뚜껑의 잠금날개에 형성된 잠금구멍을 자연스럽게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잠금날개의 결착 및 탈거가 용이하게 되지만 상기한 용기몸체와 뚜껑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뚜껑을 용기몸체의 입구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용기몸체에 형성된 잠금돌기에 대하여 뚜껑의 잠금날개에 형성된 잠금구멍을 일치시켜야만 잠금날개를 결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뚜껑을 결합시킬 때 잠금날개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해야 한다는 것이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리나 도자기 또는 금속제로 된 용기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의 구조를 개선하고, 또 합성수지제 뚜껑의 잠금날개의 결착구조를 개선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용기몸체에 뚜껑을 결합시킬 때 뚜껑에 형성된 잠금날개의 결합위치를 조정하지 않고도 뚜껑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다른 목적으로는 용기몸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의 결합테두리 전체를 동일하게 돌출 형성시키므로서 상기한 결합테두리의 강도를 증대시켜서 용기몸체 및 뚜껑을 원형으로 형성하였을시에는 물론이고 사각형 등으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도 뚜껑에 형성된 각 잠금날개를 결합테두리에 견고하게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리나 도자기 또는 금속재로 성형되는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과,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용기몸체의 입구를 덮어주는 뚜껑과, 상기 뚜껑을 용기몸체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의 주연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된 힌지라인에 접었다 펼쳤다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잠금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피복층은 그 상단에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에 대하여 수평방향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의 각 잠금날개는 단면이 대체로 "S"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채 용기몸체를 향한 내면에는 상기한 결합테두리의 저부에 결착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은 용기몸체의 외주에 직접 사출성형되는 이중사출에 의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은 독립적으로 사출성형되어 조립식으로 용기몸체 외주에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각 잠금날개는 뚜껑에 형성된 각 힌지라인에 연결된 채 상기한 결합테두리에 결착시킬 때 누름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와, 이 누름부의 끝단에서 용기몸체를 향해 심하게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한 결합테두리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결착되거나 그로부터 탄력적으로 탈거되는 걸림부와, 이 걸림부의 끝단에서 용기몸체의 반대방향을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한 잠금날개를 결합테두리에 결착시켰을시 합성수지 피복층의 외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잠금날개의 탈거를 용이하도록 하는 탈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결합테두리는 그 주연단에 하향으로 꺽인 상태로 형성되는 하향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잠금날개는 용기몸체를 향하는 내측 중간부분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부의 끝단에 상향으로 꺽인 상태로 형성되는 상향돌부가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한 각 잠금날개의 결착시 상향돌부가 결합테두리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하향돌부에 걸린 상태로 결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합성수지 피복층은 그 상단이 용기몸체의 입구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된 상태이고, 상기의 피복층 내면의 전체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돌부가 용기몸체의 외주에 걸림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합성수지 피복층은 용기몸체 입구의 하측에 해당하는 외주와 저부 전체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용기몸체와 뚜껑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용기몸체에 형성된 합성수지 피복층과 뚜껑에 형성된 잠금날개를 결합 및 탈거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뚜껑에 형성된 잠금날개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용기몸체에 형성된 합성수지 피복층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뚜껑 결합상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용기몸체와 뚜껑을 정사각형,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다른 실시예의 뚜껑 결합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 11 : 입구
12 : 걸림턱 2 : 합성수지 피복층
21 : 결합테두리 22 : 내측돌부
23 : 하향돌부 3 : 뚜껑
31 : 힌지라인 32,33 : 내,외측 결합주연부
4 : 잠금날개 41 : 걸림부
42 : 누름부 43 : 탈거부
44 : 상향돌부 5 : 패킹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용기몸체와 뚜껑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용기몸체에 형성된 합성수지 피복층과 뚜껑에 형성된 잠금날개를 결합 및 탈거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뚜껑에 형성된 잠금날개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용기몸체에 형성된 합성수지 피복층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뚜껑 결합상태 평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용기몸체와 뚜껑을 정사각형,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다른 실시예의 뚜껑 결합상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유리나 도자기 또는 금속재의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1)의 외주 전체에는 합성수지 피복층(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합성수지 피복층(2)은 용기몸체(1)의 입구 바로 밑에서부터외주 중간부분까지만 감싸주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용기몸체(1)의 입구(11)를 제외한 외주 전체를 감싸주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합성수지 피복층(2)은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1)의 외주에 직접 성형되게 하는 이중사출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용기몸체(1)에 조립식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합성수지 피복층(2)의 상단에는 결합테두리(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결합테두리(21)는 용기몸체(1)의 외주 전체에 대하여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피복층(2)의 상단은 용기몸체(1)의 입구(11)측 외주에 형성된 걸림턱(12)에 걸림된 상태이고, 또 상기한 피복층(2)은 그 내측 전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내측돌부(22)는 용기몸체(1)의 외주에 걸림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한 합성수지 피복층(2)은 용기몸체(1)에 결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1)의 입구(11)를 착탈가능하게 밀폐조립되는 뚜껑(3)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것이며, 상기 뚜껑(3)의 주연부에는 복수개의 잠금날개(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잠금날개(4)는 도 1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용기몸체(1)와 뚜껑(3)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이며,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용기몸체(1)와 뚜껑(3)이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 등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면 각각에 하나씩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며, 또 상기 각 잠금날개(4)는 뚜껑(3)의 주연부에 형성된 힌지라인(31) 각각에 일체로 연결되어 접었다 펼쳤다 하는 작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잠금날개(4)는 단면이 대체로 "S"자형으로 형성되어 용기몸체(1)의 외주를 감싸고 있는 합성수지 피복층(2)의 결합테두리(21)에 결착 및 탈거작동이 가능한 걸림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날개(4)는 도 2, 도 3의 도시와 같은 실시예 및 도 4의 도시와 같은 실시예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각 잠금날개(4)는 걸림부(41)를 기준하여 그 상,하측으로 누름부(42)와 탈거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의 잠금날개(4)는 상기한 누름부(42)와 탈거부(43)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부(41)가 심하게 휘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누름부(42)에 힘을 가하여 눌러주게 되면 상기한 걸림부(41)가 결합테두리(21)의 저부에 탄력적으로 결착되는 것이며, 또 상기한 걸림부(41)를 결합테두리(21)에 결착시켰을 때 탈거부(43)는 용기몸체(1) 좀더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피복층(2)의 반대방향을 향해 휘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잠금날개(4)를 탈거하기 용이하도록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합성수지 피복층(2)의 결합테두리(21)의 주연단에 하향으로 돌출된 하향돌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3)에 형성된 각 잠금날개(4)에는 용기몸체(1)를 향하는 내측면에 걸림부(4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한 걸림부(41)의 끝단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상향돌부(44)를 더 포함하고 있는바, 이 실시예 역시 각 잠금날개(3)를 합성수지 피복층(2)의 결합테두리(21)에 결착시켰을 때에는 걸림부(41)의 상향돌부(44)가 결합테두리(21)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됨과 동시에 상향돌부(44)가 결합테두리(21)의 하향돌부(23)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서 인위적인 탈거작동에 의하지 않고서는 각 잠금날개(3)는 탈거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의 각 잠금날개(3)는 상기한 걸림부(41)를 기준하여 뚜껑(3)에 형성된 각 힌지부(31)에 접었다 펼치는 작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누름부(42)와, 각 잠금날개(4)의 결착시킨 후 잠금날개를 탈거시킬 수 있게 하는 탈거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뚜껑(3)의 주연부에 형성된 내,외측 결합주연부(32)(33)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1)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합성수지 피복층(2)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테두리(21)는 상기의 용기몸체(1) 외주 전체에 외측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의 밀폐용기를 도 1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뚜껑(3)을 용기몸체(1)에 결합시킬 때 각 잠금날개(4)들의 위치는 상관하지 않고 다만 내,외측 결합주연부(32)(33) 사이로 용기몸체의 입구(11)가 삽입되게 한 다음 각 잠금날개(4)의 결착시키게 되면 각 잠금날개의 걸림부(41)가 합성수지 피복층(2)의 결합테두리(21)에 결착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밀폐용기 사용자는 뚜껑(3)을 용기몸체(1)에 결합시킬 때에는 각 잠금날개(4)들의 결착위치에 조정하는 등의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서 뚜껑(3)의 결합작동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 밀폐용기의 용기몸체(1)와 뚜껑(3)을 도 7 및 도 8의 도시와같이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용기몸체(1)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2)의 결합테두리(21) 역시 외측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수평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뚜껑(3)에 형성된 각 잠금날개(4)들을 합성수지 피복층(2)에 형성된 결합테두리(21)에 탄력적으로 결착 및 탈거시킬 수 있는 것인데, 이 실시예의 경우는 용기몸체(1)에 뚜껑(3)은 서로간에 설정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굳이 각 잠금날개(3)의 결합위치를 조정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밀폐용기를 생산하는 업체의 경우에 있어서는 합성수지 피복층(2)의 결합테두리(21)가 동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금형의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유리나 도자기 및 금속재로 된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에 합성수지 피복층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테두리는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에 동일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몸체와 뚜껑이 원형일 경우에는 용기몸체에 뚜껑을 결합시킬 때 각 잠금날개의 결합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하지 않더라도 뚜껑의 각 잠금날개를 결합테두리에 결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뚜껑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용기몸체와 뚜껑이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밀폐용기를 생하는 업체에게 합성수지 피복층의 사출금형의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 유리나 도자기 또는 금속재로 성형되는 비합성수지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과,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용기몸체의 입구를 덮어주는 뚜껑과, 상기 뚜껑을 용기몸체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의 주연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된 힌지라인에 접었다 펼쳤다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잠금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밀폐용기에 있어서,상기 합성수지 피복층은 그 상단에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에 대하여 수평방향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테두리를 포함하며,상기 뚜껑의 각 잠금날개는 단면이 대체로 "S"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채 용기몸체를 향한 내면에는 상기한 결합테두리의 저부에 결착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은 용기몸체의 외주에 직접 사출성형되는 이중사출에 의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용기몸체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층은 독립적으로 사출성형되어 조립식으로 용기몸체 외주에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각 잠금날개는 뚜껑에 형성된 각 힌지라인에 연결된 채 상기한 결합테두리에 결착시킬 때 누름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와, 이 누름부의 끝단에서 용기몸체를 향해 심하게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한 결합테두리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결착되거나 그로부터 탄력적으로 탈거되는 걸림부와, 이 걸림부의 끝단에서 용기몸체의 반대방향을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한 잠금날개를 결합테두리에 결착시켰을시 합성수지 피복층의 외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잠금날개의 탈거를 용이하도록 하는 탈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결합테두리는 그 주연단에 하향으로 꺽인 상태로 형성되는 하향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잠금날개는 용기몸체를 향하는 내측 중간부분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부의 끝단에 상향으로 꺽인 상태로 형성되는 상향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한 각 잠금날개의 결착시 상향돌부가 결합테두리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하향돌부에 걸린 상태로 결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한 합성수지 피복층은 그 상단이 용기몸체의 입구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된 상태이고, 상기의 피복층 내면의 전체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돌부가 용기몸체의 외주에 걸림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한 합성수지 피복층은 용기몸체 입구의 하측에 해당하는 외주와 저부 전체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0338U KR200374677Y1 (ko) | 2004-10-27 | 2004-10-27 |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0338U KR200374677Y1 (ko) | 2004-10-27 | 2004-10-27 |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4677Y1 true KR200374677Y1 (ko) | 2005-02-02 |
Family
ID=4944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0338U KR200374677Y1 (ko) | 2004-10-27 | 2004-10-27 |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467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4651B1 (ko) | 2006-12-28 | 2007-05-04 | 석종철 | 밀폐용기의 뚜껑 |
KR100998730B1 (ko) * | 2007-09-21 | 2010-12-07 | 주식회사 대우테크 | 셀러드볼 밀폐용기의 뚜껑 |
KR101326136B1 (ko) | 2010-03-11 | 2013-11-20 | (주)씨엔티코리아 |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
-
2004
- 2004-10-27 KR KR20-2004-0030338U patent/KR20037467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4651B1 (ko) | 2006-12-28 | 2007-05-04 | 석종철 | 밀폐용기의 뚜껑 |
KR100998730B1 (ko) * | 2007-09-21 | 2010-12-07 | 주식회사 대우테크 | 셀러드볼 밀폐용기의 뚜껑 |
KR101326136B1 (ko) | 2010-03-11 | 2013-11-20 | (주)씨엔티코리아 |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069118A (ko) |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의 용기몸체를 가지는 음식물 보관용기 | |
EA013271B1 (ru) | Повторно закрываемый разлив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оставных картонно-пластиковых упаковок | |
JP2004529039A5 (ko) | ||
JP2013142004A (ja) | ボタン式容器栓 | |
KR101252567B1 (ko) | 밀폐 용기 | |
KR101004351B1 (ko) | 밀폐용기와 그 제조방법 | |
KR200374677Y1 (ko) |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 |
KR101442422B1 (ko) | 식품용 용기 | |
CN1254415C (zh) | 包装容器的开启装置 | |
US20050224499A1 (en) | Relockable closure for a container | |
JP5848937B2 (ja) | ヒンジキャップ | |
JP6213544B2 (ja) | 蓋付容器、容器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 |
KR101300698B1 (ko) |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 | |
KR101829130B1 (ko) | 밀폐용기의 뚜껑 밀착구조 | |
KR20140002817U (ko) | 용기 | |
KR20080002204U (ko) |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 |
RU2389669C2 (ru) | Контейнер, содержащий закрывающий лист, соединенный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 со стенкой,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KR200197515Y1 (ko) | 용기 | |
KR101193645B1 (ko) | 안전 캔 용기 | |
KR100331710B1 (ko) | 식품포장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0440784B1 (ko) |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 음식물보관용기 | |
KR200432654Y1 (ko) |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 |
KR102726866B1 (ko) | 용기 밀봉구조 | |
KR200400578Y1 (ko) | 식품용기 | |
KR200392829Y1 (ko) | 조립식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0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