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204U -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 Google Patents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204U
KR20080002204U KR2020060032377U KR20060032377U KR20080002204U KR 20080002204 U KR20080002204 U KR 20080002204U KR 2020060032377 U KR2020060032377 U KR 2020060032377U KR 20060032377 U KR20060032377 U KR 20060032377U KR 20080002204 U KR20080002204 U KR 200800022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id
container
container body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식
Original Assignee
김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식 filed Critical 김화식
Priority to KR2020060032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204U/ko
Publication of KR20080002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2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잠금기능이 있는 합성수지재 뚜껑을 적용하기 위한 금속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재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평판을 가공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사각 벽면(21)과 밑면(22)을 갖도록 제작된 용기본체(20)와; 상기 용기본체(20)의 벽면(21) 상단을 따라 접합되는 접합부(31)와, 상기 접합부(31)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걸림부(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20)의 벽면(21) 상단의 직선구간을 따라 접합 고정되는 복수개의 금속 외향플랜지(30)와; 상기 용기본체(20)의 벽면(21) 최상단 및 상기 외향플랜지(30)들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내측에 결합홈(41)이 형성된 사각 띠 형태로 마련되며, 외측에는 상기 사각뚜껑(10)의 잠금손잡이(13)를 걸어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부(42)가 돌출되게 마련된 상단 테두리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A FOOD CONTAINER}
도 1은 종래 금속용기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 사각용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본체의 조립 구조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본체의 조립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본체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본체에 잠금손잡이를 통한 사각뚜껑의 잠금동작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사각뚜껑 13..잠금손잡이
15..록킹홀 20..용기본체
21..벽면 22..밑면
30..외향플랜지 31..접합부
32..걸림부 40..상단 테두리부재
43..이탈방지부 50.하단 테두리부재
52..이탈방지턱
본 고안은 음식물 보관을 위한 금속 사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냄새나 수분의 유출 없이 안전하게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사각 형태로 제작된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 경우 자체의 독특한 냄새 및 수분이 유출됨으로써,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 보관용기에 담아 보관한다.
이러한 종래 밀폐 보관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과, 이 뚜껑을 용기 본체의 개방부에 잠그기 위한 잠금손잡이를 갖추고 있다. 용기 본체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각의 통 형태로 사출 성형되며,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한다. 또한, 용기 본체 네 측벽의 개방 단부에는 잠금돌기가 마련된다. 그리고 잠금손잡이는 뚜껑의 네변에 각각 바깥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일체로 이루어지며, 각각에는 잠금돌기와 대응하도록 잠금홀이 마련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덮은 후 여기에 잠금손잡이들을 각각 하측으로 내려 누르면, 용기 본체의 측벽에 마련된 잠금돌기가 잠금홀에 탄성 결합되어 뚜껑이 견실하게 잠긴다. 그리고 잠금손잡이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잠금돌기들의 구속이 해제되며 이로 인해 뚜껑을 열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밀폐 보관용기에서는 보관되는 내용물에 의해 합성수지(일명 플라스틱)로 제작된 용기 본체가 쉽게 변색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합성수지 특유의 환경호르몬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해 제품 구매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스테인리스 평판을 딥드로잉 가공하여 상단부에 작은 플랜지를 갖는 용기 본체를 구성한 제품도 시판되고 있다. 즉, 종래 식품 보관용으로 사용되는 금속 사각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소재가 되는 스테인리스 박판(1)을 원판의 형태로 블랭킹하는 블랭킹단계(S1)와, 딥드로잉 프레스장치(미도시)를 통해 블랭킹된 금속 박판(1)으로 용기(2)를 성형하는 용기 성형단계(S2)와, 이 용기 성형단계(S2)를 거친 다음 후처리 및 제품화 단계로서 용기(1)를 트리밍하는 트리밍단계(S3)를 거쳐 제작된다. 용기 성형단계(S2)에서는 다수번의 딥드로잉 공정을 거쳐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 플랜지(3)가 일체로 마련된 용기(2)가 성형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금속 용기(1)의 상단에 외향 플랜지(3)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은 플랜지(3)를 통해 잠금기능이 있는 합성수지재 뚜껑(미도시)을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금속 용기(2) 구조에서는 딥드로잉 프레스장치를 통해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 플랜지(3)를 일체로 구현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것은 물론이며,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상당히 고가의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단의 딥드로잉 공정을 거쳐 금속 용기(2)가 제작되기 때문에 두꺼운 스테인리스 박판(1)을 용기 소재로 선택해야 하며, 이로 인해 상당한 재료비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3번 이상의 드로잉 공정을 거쳐 금속용기(2)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0.8 ~ 1.2mm정도 두께의 스테인리스 박판(1)을 용기 소재로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용기 소재가 제품 생산비용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잠금기능이 있는 합성수지재 뚜껑을 적용하기 위한 금속 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공정이 단순화되고 재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금속 용기의 상단 구조를 개선하여 뚜껑을 보다 견실하게 잠금 지지할 수 있는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네 변을 따라 잠금손잡이가 절첩 가능하게 마련된 사각뚜껑을 통해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에 있어서,
금속 사각용기는; 스테인리스 평판을 가공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사각 벽면과 밑면을 갖도록 제작된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벽면 상단을 따라 접합되는 접합부와, 이 접합부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걸림부로 이루어 지며, 용기본체의 벽면 상단의 직선구간을 따라 접합 고정되는 복수개의 금속 외향플랜지와; 용기본체의 벽면 최상단 및 외향플랜지들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내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사각 띠 형태로 마련되며, 외측에는 사각뚜껑의 잠금손잡이를 걸어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부가 돌출되게 마련된 상단 테두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단 테두리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 상단 테두리부재의 결합 시 외향플랜지의 걸림부를 따라 미끄러져 탄성 변형되며 상단 테두리부재의 결합 후 복원되어 외향플랜지의 걸림부를 감싸면서 걸림부의 내측에 걸려 상단 테두리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각뚜껑의 잠금손잡이에 록킹홀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며; 상단 테두리부재의 록킹부에 잠금손잡이의 록킹홀 부위가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되도록 돌출된 걸림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본체가 벽면과 밑면을 스텐인리스 평판을 통해 별도로 제작한 후 벽면의 하단을 따라 밑면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며; 용기본체의 하단에 벽면과 밑면의 접합부위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내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사각 띠 형태의 하단 테두리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본체의 사각 벽면 하단에는 테두리 방향으로 이탈방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하단 테두리부재에는 이탈방지홈에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되는 이탈방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 기능이 있는 합성수지재 뚜껑을 적용하기 위한 금속 사각용기의 상단에 외향플랜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접합 구성함으로써, 작업공정이 단순화되고 재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접합된 외향플랜지를 통해 사각뚜껑을 견실하게 잠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 금속용기의 조립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 금속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평판을 가공하여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된 용기본체(20)와, 이 용기본체(20)의 개방부를 덮도록 잠금손잡이(13)를 구비한 판상의 사각뚜껑(10)과, 용기본체(20)의 상단에 용접수단을 통해 접합 고정되는 복수개의 외향플랜지(30)와, 이 외향플랜지(30)들을 통해 용기본체(20)의 벽면(21) 상단에 사각 띠 형태로 결합되는 상단 테두리부재(40)와, 용기본체(20)의 벽면(21) 하단에 사각 띠 형태로 결합되는 하단 테두리부재(50)를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각뚜껑(10)은 용기본체(20)의 개방부를 열고 닫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하게 실링홈(11)이 마련된다. 이러한 실링홈(11)에는 링 형태의 실리콘 패킹(12)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본체(20)에 사각뚜껑(10)을 덮으면, 실리콘 패킹(12)이 압착되면서 용기본체(20)의 개방단부에 밀폐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사용설명에서 상술한다.
또한, 사각뚜껑(10)의 네 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절첩 할 수 있는 잠금손잡이(13)들이 대칭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잠금손잡이(13)들은 용기본체(20)의 상단을 따라 걸어 잠금 수 있도록 사각뚜껑(10) 네 변 직선구간을 따라 마련된 것으로, 사각뚜껑(10)의 네 변에 동일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며 사각뚜껑(10)과의 경계부위를 따라 상하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잠금손잡이(10)의 경계부위(14)가 스냅힌지 기능을 하는데, 이것은 사각뚜껑(10) 및 잠금손잡이(13)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되기 때문이다. 또한, 잠금손잡이(13)에는 록킹홀(15)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상단 테두리부재(40)의 록킹부(42)에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본체(20)는 스테인리스 평판을 가공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사각 벽면(21)과 밑면(22)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사각 벽면(21)과 밑면(22)을 스테인리스 평판을 통해 별도로 제작한 후 벽면(21) 하단을 따라 밑면(22)을 접합하여 구성하였다. 이 때, 사각의 벽면(21)은 용기의 소재가 되는 스테인리스 박판을 재단한 후 사각 형태로 말아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20)의 바닥을 이루는 밑면(22) 역시 스테인리스 박판을 소재로 포밍 가공한 후 벽면(21)의 하단을 따라 접합하면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20)가 제작된다. 따라서 별도의 딥드로잉과 같은 프레스 가공이 요구되지 않아 두께가 얇은 스테인리스 박판을 원소재(실제 본 고안에 따른 용기본체의 소재 두께는 0.3 ~ 0.4mm정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각 벽면(21)과 밑면(22)을 대량 가공한 후 자동화 용접수단을 통해 이들을 접합하면, 용기본체(20)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 본체(20)의 사각 벽면(21) 하단에는 테두리 방향으로 이탈방지홈(23)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하단 테두리부재(50)의 견실한 조립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금속 외향플랜지(30)들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는데, 이것은 용기본체(20)의 벽면(21) 상단(직선구간)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접합되는 접합부(31)와, 이 접합부(31)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걸림부(32)로 정의된다. 따라서 용기본체(20)의 벽면(21) 상단의 직선 구간을 따라 접합부(31)를 일치시킨 후 용접수단을 통해 접합하면(도 4의 W1), 용기본체(20)와 금속 외향플랜지(30)가 일체화된다. 이 때, 금속 외향플랜지(30)의 걸림부(32)는 대략 40~45도 정도 경사지게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상단 테두리부재(40)를 강제로 밀어 끼울 때 원터치방식으로 조립되게 하며, 조립된 후에는 견실한 지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단 테두리부재(40)는 합성수지를 통해 성형되는 것으로, 용기본체(20)의 벽면(21) 최상단 및 외향플랜지(30)들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내측에 결합홈(41)이 형성된 사각 띠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단 테두리부재(40)의 외측에는 사각뚜껑(10)의 잠금손잡이(13)를 걸어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부(42)가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단 테두리부재(4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이의 결합 시 외향플랜지(30)의 걸림부(32)를 따라 미끄러져 탄성 변형되며 이의 결합 후에는 복원되어 외향플랜지(30)의 걸림부(32)를 감싸면서 걸림부(32)의 내측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43)가 띠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43)가 탄 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것은 하는 것은 상단 테두리부재(40)에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이다. 즉, 상단 테두리부재(40)의 결합홈(41)에 용기본체(20)의 벽면(21) 최상단을 일치시킨 후 상부에서 아래측으로 힘을 가하면, 이탈방지부(43)는 외향플랜지(30)의 걸림부(32)를 따라 미끄러져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결합홈(41)에 용기본체(20)의 상단이 완전하게 삽입되면 이탈방지부(43)는 복원되어 외향플랜지(30)의 걸림부(32) 내측에 걸린다. 이에 따라 상단 테두리부재(40)는 용기본체(20)의 벽면(21) 상단에 견실하게 조립되는 것이다(도 4와 도 5참조)
또한, 상단 테두리부재(40)의 록킹부(42) 하면에는 걸림턱(43)이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잠금손잡이(13)의 록킹홀(15) 부위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결합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하단 테두리부재(50) 역시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용기본체(20)의 벽면(21) 하단과 밑면(22)의 접합부위(W2)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내측에 결합홈(51)이 형성된 사각 띠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하단 테두리부재(50)의 외측 상단에는 이탈방지홈(23)에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되는 이탈방지턱(52)이 마련된다.
따라서 하단 테두리부재(50)의 결합홈(51)에 용기본체(20)의 벽면(21) 하단을 일치시킨 후 상측으로 밀어 넣으면, 하단 테두리부재(50)의 외측이 탄성 변형되면서 이의 결합을 허용하며 결합 후에는 이탈방지턱(52)이 용기본체(20) 벽면(21)의 이탈방지홈(23)에 안착 결합된다(도 4와 도 5참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각뚜껑(10)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용기본체(20)를 0.3 ~ 0.4mm 두께의 스테인리스 박판을 통해 제작이 가능하며, 작업공정의 단순화로 금형비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사각 금속용기에 잠금기능이 있는 사각뚜껑의 사용 상태를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용기본체(20)에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넣고 이의 개방부에 사각뚜껑(10)을 덮는다. 즉, 용기본체(20)의 상단에 띠 형태로 장착된 상단 테두리부재(40)가 실리콘 패킹(12)이 내장된 실링홈(11)에 삽입되도록 사각뚜껑(10)을 덮는다. 이와 같이, 예비로 덮여진 사각뚜껑(10)은 상단 테두리부재(40)가 실링홈(11)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도 6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손잡이(13)들을 하측방향으로 내리 누르면, 잠금손잡이(13)는 사각뚜껑(10)의 스냅힌지(14)를 기점으로 아랫방향으로 선회되며 록킹홀(15)에 록킹부(42)가 삽입 고정된다. 이 때, 록킹부(42)에는 아래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어서, 잠금손잡이(13)의 록킹홀(15) 부위가 탄성 변형되면서 록킹 결합되며, 이것에 의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록킹상태가 해지되지 않는다.
한편, 잠금손잡이(13)를 잡고 이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잠금손잡이(13)의 록킹홀(15) 부위가 탄성 변형되면서 록킹부(42)로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잠금손잡이(13)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사각뚜껑(10)을 손쉽게 열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용기본체(20)를 사각의 벽면(21)과 밑면(22)을 별도로 제작한 후 용접수단을 통해 접합하여 일체로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용기본체(20)를 외향플랜지가 없이 사각벽면과 밑면만이 일체화도록 가공 생산한 후 외향플랜지 및 상단 테두리부재를 적용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에 의하면; 외향플랜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접합 구성함으로써 용기본체를 0.3 ~ 0.4mm 두께의 스테인리스 박판을 통해 제작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재료비를 딥드로잉 공정으로 제작되는 용기의 경우에 비해 50%정도까지 절감할 수 있고, 제품 무게가 가벼워 사용 편리성 역시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 생산공정의 단순화로 금형비를 딥드로잉 공정에 비해 40 ~ 50%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5)

  1. 네 변을 따라 잠금손잡이(13)가 절첩 가능하게 마련된 사각뚜껑(10)을 통해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사각용기는;
    스테인리스 평판을 가공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사각 벽면(21)과 밑면(22)을 갖도록 제작된 용기본체(20)와;
    상기 용기본체(20)의 벽면(21) 상단을 따라 접합되는 접합부(31)와, 상기 접합부(31)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걸림부(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20)의 벽면(21) 상단의 직선구간을 따라 접합 고정되는 복수개의 금속 외향플랜지(30)와;
    상기 용기본체(20)의 벽면(21) 최상단 및 상기 외향플랜지(30)들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내측에 결합홈(41)이 형성된 사각 띠 형태로 마련되며, 외측에는 상기 사각뚜껑(10)의 잠금손잡이(13)를 걸어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부(42)가 돌출되게 마련된 상단 테두리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테두리부재(4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단 테두리부재(40)의 결합 시 상기 외향플랜지(30)의 걸림부(32)를 따라 미끄러져 탄성 변형되며 상기 상단 테두리부재(40)의 결합 후 복원되어 상기 외향플랜지(30)의 걸림부(32)를 감싸면서 상기 걸림부(32)의 내측에 걸려 상기 상단 테두리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43)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뚜껑(10)의 잠금손잡이(13)에는 록킹홀(15)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며;
    상기 상단 테두리부재(40)의 록킹부(42)에는 상기 잠금손잡이(13)의 록킹홀(15) 부위가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되도록 돌출된 걸림턱(44)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0)는 상기 벽면(21)과 밑면(22)을 스텐인리스 평판을 통해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벽면(21)의 하단을 따라 상기 밑면(22)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20)의 하단에는 상기 벽면(21)과 밑면(22)의 접합부위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내측에 결합홈(51)이 형성된 사각 띠 형태의 하단 테두리부재(5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0)의 사각 벽면(21) 하단에는 테두리 방향으로 이탈방지홈(23)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단 테두리부재(50)에는 상기 이탈방지홈(23)에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되는 이탈방지턱(5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KR2020060032377U 2006-12-22 2006-12-22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KR200800022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77U KR20080002204U (ko) 2006-12-22 2006-12-22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77U KR20080002204U (ko) 2006-12-22 2006-12-22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04U true KR20080002204U (ko) 2008-06-26

Family

ID=4132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377U KR20080002204U (ko) 2006-12-22 2006-12-22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20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065B1 (ko) * 2015-07-17 2016-08-09 삼성화학 주식회사 수도계량기 함의 뚜껑 유실방지장치
WO2021162453A1 (ko) * 2020-02-14 2021-08-19 (주)네오플램 연질 힌지부 및 이중 사출 구조를 갖는 밀폐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065B1 (ko) * 2015-07-17 2016-08-09 삼성화학 주식회사 수도계량기 함의 뚜껑 유실방지장치
WO2021162453A1 (ko) * 2020-02-14 2021-08-19 (주)네오플램 연질 힌지부 및 이중 사출 구조를 갖는 밀폐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6670B2 (en) Snap cap in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JP2013142004A (ja) ボタン式容器栓
KR101672854B1 (ko) 탄성 링이 구비된 재잠금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
RU267361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а
KR100953680B1 (ko) 재밀폐가능한 플라스틱 백
KR20050069118A (ko)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의 용기몸체를 가지는 음식물 보관용기
JP2015525715A (ja) 密閉容器用蓋組立体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KR20080002204U (ko)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KR101876732B1 (ko) 용기구조체
JP5041408B2 (ja) 包装容器
KR100999937B1 (ko) 식품보관용 이중 접합용기
KR20110004651U (ko) 용기의 뚜껑 실링 구조
KR20200117928A (ko) 밀폐용기용 조립식 뚜껑
KR100540378B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101844352B1 (ko)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잠금수단을 갖는 스텐뚜껑
KR20140002817U (ko) 용기
KR101820201B1 (ko)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WO2007148853A1 (en) Easy opening airtight container
WO2005051792A1 (en) A reusable closure with a locking ring for a container
US20120241480A1 (en) Closure
JP7054175B2 (ja) 包装用内嵌合容器
JP2022535777A (ja) 軟質ヒンジ部及び二重射出構造を有する密閉容器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