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651B1 - 밀폐용기의 뚜껑 - Google Patents

밀폐용기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651B1
KR100714651B1 KR1020060136009A KR20060136009A KR100714651B1 KR 100714651 B1 KR100714651 B1 KR 100714651B1 KR 1020060136009 A KR1020060136009 A KR 1020060136009A KR 20060136009 A KR20060136009 A KR 20060136009A KR 100714651 B1 KR100714651 B1 KR 10071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cking
elastic deformation
curvatur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식
Original Assignee
석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종철 filed Critical 석종철
Priority to KR102006013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37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 B65D43/025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용기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록킹환홈이 형성된 환림이 구비되고, 용기를 기밀히 밀폐시키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뚜껑에는 절첩연결부로 연결된 개폐손잡이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개폐손잡이는 록킹환홈에 결합되는 록킹돌기 및 이 록킹돌기가 록킹환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는 탄성변형부의 너비와 동일하면서 록킹환홈의 동심원상에 연속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면은 록킹환홈의 동심원상에 연속곡률을 갖도록 제1곡률반경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은 제1곡률반경보다 작은 제2곡률반경으로 형성하여, 탄성변형부의 외면 양측단부에서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용기를 기밀히 밀폐시키면서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은 충격에 의해 개폐손잡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용기, 뚜껑, 개폐손잡이, 록킹돌기, 탄성변형부.

Description

밀폐용기의 뚜껑{COVER OF AN AIRTIGHT CONTAINE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용기와 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용기와 뚜껑이 결합된 종단면도.
도 3 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a,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손잡이의 작동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뚜껑의 사시도.
도 6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용기와 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6b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용기와 뚜껑이 결합된 종단면도.
도 6c 는 도 6b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용기 20, 200 : 뚜껑
22, 220 : 실링 30, 300 : 개폐손잡이
31, 310 : 절첩연결부 32, 320 : 탄성변형부
33, 330 : 록킹돌기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기밀히 밀폐시키는 동시에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용기의 록킹력을 극대화하여 충격으로 인해 개폐손잡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며, 뚜껑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절첩연결부의 양측단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밀폐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음식물을 담아 기밀히 밀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밀폐용기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와 이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용기와 뚜껑 사이에는 실링이 설치되어 용기를 기밀히 밀폐시키고, 용기의 상부 외주연에는 록킹홈이 형성된 림이 구비되며, 뚜껑의 사면(전후좌우)에는 록킹홈에 끼워지도록 록킹돌기가 형성된 개폐손잡이가 절첩연결부로 연결된다.
따라서, 용기의 개방단부에 실링의 일면이 접촉되도록 뚜껑을 배치한 상태에서, 개폐손잡이를 절첩연결부로 절첩연결부를 중심으로 절첩시키면, 록킹돌기가 록킹홈에 끼워지면서 용기가 뚜껑에 의해 록킹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뚜껑에 형성된 록킹돌기는 개폐손잡이의 내면 중앙부분에 부분적으로 돌출형성되어, 세척시 개폐손잡이의 양측단부에서 시작되는 수세미가 록킹돌기에 걸리게 되므로 세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록킹돌기가 록킹홈에 끼워지면 서 록킹되는 용기의 록킹부분이 사면의 중앙부분에 집중되므로, 록킹돌기에서 멀어지는 부분에는 실링의 가압력이 떨어져 용기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의 개폐손잡이는 임의의 수평단면 두께가 동일하면서 그 단면의 내외면이 평행하게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 개폐손잡이에 형성되는 록킹돌기도 외측단면이 개폐손잡이의 내면과 평행한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이같이 형성된 록킹돌기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록킹홈에 극히 일부분만이 접촉되면서 끼워지며, 이에 따라 록킹홈에 접촉되는 록킹돌기에서 멀어질수록 록킹력이 떨어져 작은 충격에도 개폐손잡이가 쉽게 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개폐손잡이는 절첩연결부를 중심으로 절첩되어 용기를 개폐시키는데, 이러한 개폐과정에서 절첩연결부에는 일정한 충격이 발생되고, 이 충격은 절첩연결부의 양측단부로 전달되어 그 양측단부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용기를 기밀히 밀폐시키는 동시에 세척을 용이할 수 있는 밀폐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의 록킹력을 극대화하여 충격으로 인해 개폐손잡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셋째 목적은, 뚜껑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개폐 손잡이의 절첩연결부 양측단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밀폐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형성된 용기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록킹환홈이 형성된 환림이 구비되고, 용기를 기밀히 밀폐시키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뚜껑에는 절첩연결부로 연결된 개폐손잡이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개폐손잡이는 록킹환홈에 결합되는 록킹돌기 및 이 록킹돌기가 록킹환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는 탄성변형부의 너비와 동일하면서 록킹환홈의 동심원상에 연속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면은 록킹환홈의 동심원상에 연속곡률을 갖도록 제1곡률반경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은 제1곡률반경보다 작은 제2곡률반경으로 형성하여, 탄성변형부의 외면 양측단부에서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육면체로 형성된 용기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록킹홈이 형성된 림이 구비되고, 용기를 기밀히 밀폐시키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뚜껑에는 절첩연결부로 연결된 개폐손잡이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개폐손잡이는 록킹홈에 결합되는 록킹돌기 및 이 록킹돌기가 록킹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는 탄성변형부와 동일한 너비로 형성하되,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면은 완만한 연속곡률을 갖는 제3곡률반경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은 제3곡률반경보다 작은 제4곡률반경으로 형성하여, 탄성변 형부의 외면 양측단부에서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첩연결부로 절첩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해, 절첩연결부에 연접되도록 탄성변형부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충격분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용기와 뚜껑의 분해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용기와 뚜껑이 결합된 종단면도를,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를,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손잡이의 작동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용기(10)와, 이 용기(10)를 기밀히 밀폐시키는 뚜껑(20)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용기(10)는 음식물이 담기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단의 개방단부(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용기(10)의 상부에는 그 외주연을 따라 환림(12)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환림(12)에는 그 저면을 따라 록킹환홈(13)이 형성된다. 이같은 용기는 용기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따위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유리 및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용기(10)를 밀폐시키는 뚜껑(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에 대응되도록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음식물이 담긴 용기(10)를 기밀히 밀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뚜껑(20)의 저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장착환홈(21)이 형성되어 실링(22)이 장착되고, 이같이 장착된 실링(22)은 용기(10)의 개방단부(11)에 접촉되어 용기(10)를 기밀히 밀폐시킨다.
그리고 뚜껑(20)의 사방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의 전후좌우 네 부분에는 절첩연결부(31)로 절첩가능하게 개폐손잡이(30)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개폐손잡이(30)와 뚜껑(20)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따위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여기서, 개폐손잡이(30)는 록킹환홈(13)에 결합되는 록킹돌기(33)와, 이 록킹돌기(33)가 록킹환홈(13)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돌기(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32)의 양측단부(32c)에 연이어지도록 그 내면으로 형성된다. 즉, 록킹돌기(33)는 탄성변형부(32)의 너비(W1)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록킹돌기(33)는 록킹환홈(13)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져 록킹환홈(13)의 접촉면을 넓게 가압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환홈(13)과 록킹돌기(33)는 같은 중심점(C1)을 가지며, 록킹돌기(33)의 외측면(33a)은 접촉되는 록킹환홈(13)의 제1접촉면(13a)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고, 록킹돌기(33)의 내측면(33b)은 접촉되는 록킹환홈(13)의 제2접촉면(13b)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단지, 도면에서는 록킹돌기(33)의 내·외측 면(33a)(33b)과 록킹환홈(13)의 제1·제2접촉면(13a)(13b)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나타냈으나, 이는 상기와 같이 상세한 설명의 이해를 위한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에 따라, 록킹돌기(33)는 록킹환홈(13)에 결합되면서 보다 넓은 면에 접촉되면서 가압하여 실링(22)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탄성변형부(32)의 내면(32a)은 록킹환홈(13)의 동심원상에 제1곡률반경(RC1)을 갖도록 형성되어 환림(12)의 외주연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탄성변형부(32)의 외면(32b)은 그 내면(32a)의 제1곡률반경(RC1)보다 작은 제2곡률반경(RC2)으로 이루어진다. 즉, 용기(10)와 뚜껑(20)이 결합된 수평단면을 나타낸 도 3의 확대단면도를 참조하면, 탄성변형부(32) 내면의 제1곡률반경(RC1)은 록킹환홈(13)과 같은 중심점(C1)을 갖는 동심원상에 곡률로 형성되는 반면에, 탄성변형부(32) 외면의 제2곡률반경(RC2)은 제1곡률반경(RC1)보다 작도록 다른 중심점(C2)을 갖음에 따라, 제2곡률반지름(RC2)은 제1곡률반지름(RC1)의 곡률에 비해 많이 휘어진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탄성변형부(32)는 외면 양측단부(32c)에서 용기(10)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되어 용기(10)를 록킹시키는 록킹력이 극대화된다. 즉,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뚜껑(20) 및 개폐손잡이(30)는 사출성형 후, 일정한 범위 내에서 수축되고, 이같이 수축되는 힘은 개폐손잡이(30)의 탄성변형부(32)에 있어서, 곡률이 작은 제2곡률반지름(RC2)에서 곡률이 큰 제1곡률반지름(RC1) 방향으로 일정하게 작용하므로, 록킹돌기(33)가 록킹환홈(13)에 더욱 견고히 결합되어 록킹력이 좋아 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밀폐용기의 뚜껑에 대한 록킹관계를 첨부된 도 4a 및 도 4b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통형 용기(10)에 음식물을 담고, 도 4a에서와 같이 뚜껑(20)의 실링(22) 저면이 용기(10)의 개방단부(11)에 접촉되도록 뚜껑(20)을 덮는다.
이어서, 한 손으로는 뚜껑(20)의 상면을 누르고 다른 손으로는 도 4a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개폐손잡이(30)를 누르면, 절첩연결부(31)를 중심으로 개폐손잡이(30)가 절첩되면서 록킹돌기(33)가 록킹환홈(13)에 결합되는데, 이때 탄성변형부(32)는 록킹돌기(33)가 록킹환홈(13)에 결합되도록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이같이 록킹환홈(13)에 록킹돌기(33)가 결합되면서 실링(22)을 가압하여 용기(10)는 기밀히 밀폐된다.
상술한 바에 따라 록킹된 용기는, 탄성변형부(32)의 외면(32b) 양측단부(32c)에서 용기(10)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함에 따라, 록킹환홈(13)에 결합된 록킹돌기(33)의 록킹력이 극대화되어 작은 충격 또는 용기를 바닥에 떨어뜨려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개폐손잡이(30)가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록킹돌기(33)가 록킹환홈(13)에 보다 넓은 면적에 접촉되면서 실링(22)을 가압하여 용기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록킹돌기(33)가 탄성변형부(32)의 너비(W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개폐손잡이(30)의 세척시 록킹돌기(33)가 수세미에 걸리지 않고 한 번에 이어지면서 세척되므로 용기 세척이 편리해진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뚜껑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절첩연결부(31)로 절첩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해, 절첩연결부(31)에 연접하도록 탄성변형부(32)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충격분산돌기(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격분산돌기(34)는 절첩연결부(31)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개폐손잡이(30)의 개폐로 발생된 충격이 절첩연결부(31)의 양측단부 모서리를 지나면서 분산시키게 된다.
즉, 개폐손잡이(30)의 개폐에 의해 록킹돌기(33)가 록킹환홈(13)에 결합되거나 해제되는데, 이때 탄성변형부(32)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이 반드시 발생되고, 이러한 충격은 개폐손잡이(30)에 비해 두께가 얇은 절첩연결부(31)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 충격은 절첩연결부(31)의 양측 모서리 쪽으로 이동하므로, 충격분산돌기(34)가 절첩연결부(31)의 양측 모서리를 통해 이동하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충격분산돌기(34)가 절첩연결부(31)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사방으로 분산시키기 때문에 절첩연결부(31)의 양측 단부가 절첩연결부(31)의 중심부분에 비해 먼저 찢어지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용기와 뚜껑의 분해사시도를,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용기와 뚜껑이 결합된 종 단면도를, 도 6c는 도 6b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에 부합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상술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육면체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용기(100)와, 이 용기(100)를 기밀히 밀폐시키는 뚜껑(200)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용기(100)는 음식물이 담기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단의 개방단부(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용기(100)의 상부에는 그 외주연을 따라 림(120)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림(120)에는 그 저면을 따라 록킹홈(1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용기(100)를 밀폐시키는 뚜껑(20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용기(100)에 대응되도록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음식물이 담긴 용기(100)를 기밀히 밀폐시킨다.
상기 뚜껑(200)에 절첩연결부(310)로 연결되는 개폐손잡이(300)는 록킹홈(130)에 결합되는 록킹돌기(330)와, 이 록킹돌기(330)가 록킹홈(130)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돌기(33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손잡이(300)의 너비(W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돌기(330)는 직선형으로 형성된 록킹홈(130)에 면접촉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록킹돌기(330)는 록킹홈(130)에 결합되면서 보다 넓은 접촉면에 접촉되면서 가압하여 실링(220)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탄성변형부(320)의 내면(320a)은 완만한 연속곡률을 갖는 제3곡률반경(RC3)으로 형성되고, 탄성변형부(320)의 외면(320b)은 그 내면(320a)의 제3곡률반경(RC3)보다 작은 제4곡률반경(RC4)으로 이루어진다. 즉, 용기(100)와 뚜껑(200)이 결합된 수평단면을 나타낸 도 6c를 참조하면, 탄성변형부(320) 내면의 제3곡률반경(RC3)은 완만한 곡률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탄성변형부(320) 외면의 제4곡률반경(RC4)은 제3곡률반경(RC3)보다 작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4곡률반지름(RC4)은 제3곡률반지름(RC3)의 곡률에 비해 많이 휘어진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탄성변형부(320)는 외면 양측단부(320c)에서 용기(100)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되어 용기(100)를 록킹시키는 록킹력이 극대화된다. 즉,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뚜껑(200) 및 개폐손잡이(300)는 사출성형 후, 일정한 범위 내에서 수축되고, 이같이 수축되는 힘은 개폐손잡이(300)의 탄성변형부(320)에 있어서, 곡률이 큰 제4곡률반경(RC4)에서 곡률이 작은 제3곡률반경(RC3) 방향으로 일정하게 작용하므로, 록킹돌기(330)가 록킹환홈(130)에 더욱 견고히 결합되어 록킹력이 좋아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라 록킹된 용기(100)는, 탄성변형부(320)의 외면(320b) 양측단부(320c)에서 용기(100)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함에 따라, 록킹환홈(130)에 결합된 록킹돌기(330)의 록킹력이 극대화되어 작은 충격이나 바닥에 떨어뜨려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개폐손잡이(300)가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록킹돌기(330)가 록킹환홈(130)에 보다 넓은 면적에 접촉되면서 실 링(220)을 가압하여 용기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록킹돌기(330)가 탄성변형부(320)의 너비(W2)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개폐손잡이(300)의 세척시 록킹돌기(330)가 수세미에 걸리지 않고 한 번에 이어지면서 세척되므로 용기 세척이 편리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손잡이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된 록킹돌기에 의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실링의 가압력에 따른 밀폐용기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세척시 록킹돌기에 수세미가 걸리지 않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변형부의 양측단부에서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하여 작은 충격이나 바닥에 떨어지는 충격에 의해 개폐손잡이가 쉽게 열리지 않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통형으로 형성된 용기(10)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록킹환홈(13)이 형성된 환림(12)이 구비되고, 용기(10)를 기밀히 밀폐시키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뚜껑(20)에는 절첩연결부(31)로 연결된 개폐손잡이(30)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개폐손잡이(30)는 록킹환홈(13)에 결합되는 록킹돌기(33) 및 이 록킹돌기(33)가 록킹환홈(13)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32)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33)는 탄성변형부(32)의 너비(W1)와 동일하면서 록킹환홈(13)의 동심원상에 연속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탄성변형부(32)의 내면(32a)은 록킹환홈(13)의 동심원상에 연속곡률을 갖도록 제1곡률반경(RC1)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32b)은 제1곡률반경(RC1)보다 작은 제2곡률반경(RC2)으로 형성하여, 탄성변형부(32)의 외면(32b) 양측단부(32c)에서 용기(10)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뚜껑.
  2. 육면체로 형성된 용기(100)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록킹홈(130)이 형성된 림(120)이 구비되고, 용기(100)를 기밀히 밀폐시키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뚜껑(200)에는 절첩연결부(310)로 연결된 개폐손잡이(300)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개폐손잡이(300)는 록킹홈(130)에 결합되는 록킹돌기(330) 및 이 록킹돌기(330)가 록킹홈(130)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320)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330)는 탄성변형부(320)와 동일한 너비(W2)로 형성하되,
    상기 탄성변형부(320)의 내면(320a)은 완만한 연속곡률을 갖는 제3곡률반경(RC3)으로 형성하고, 그 외면(320b)은 제3곡률반경(RC3)보다 작은 제4곡률반경(RC4)으로 형성하여, 탄성변형부(320)의 외면 양측단부(320c)에서 용기(100)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뚜껑.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연결부(31)(310)로 절첩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해, 절첩연결부(31)(310)에 연접되도록 탄성변형부(32)(32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충격분산돌기(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뚜껑.
KR1020060136009A 2006-12-28 2006-12-28 밀폐용기의 뚜껑 KR10071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09A KR100714651B1 (ko) 2006-12-28 2006-12-28 밀폐용기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09A KR100714651B1 (ko) 2006-12-28 2006-12-28 밀폐용기의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651B1 true KR100714651B1 (ko) 2007-05-04

Family

ID=3826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009A KR100714651B1 (ko) 2006-12-28 2006-12-28 밀폐용기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05B1 (ko) 2007-02-21 2008-07-04 김종선 밀폐용기
KR20170004242U (ko) 2016-06-09 2017-12-20 주식회사비에스에프 뚜껑의 분리가 용이한 밀폐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677Y1 (ko) 2004-10-27 2005-02-02 하나코비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KR200422354Y1 (ko) 2006-05-12 2006-07-25 삼광유리공업주식회사 밀폐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60092500A (ko) * 2005-02-18 2006-08-23 (주)팬시팝 음식물보관용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677Y1 (ko) 2004-10-27 2005-02-02 하나코비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비합성수지제 밀폐용기
KR20060092500A (ko) * 2005-02-18 2006-08-23 (주)팬시팝 음식물보관용 밀폐용기
KR200422354Y1 (ko) 2006-05-12 2006-07-25 삼광유리공업주식회사 밀폐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05B1 (ko) 2007-02-21 2008-07-04 김종선 밀폐용기
KR20170004242U (ko) 2016-06-09 2017-12-20 주식회사비에스에프 뚜껑의 분리가 용이한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37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KR101816997B1 (ko)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20160005067A (ko) 용기용 마개
KR101004351B1 (ko) 밀폐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0593726B1 (ko) 일체형 밀폐커버
KR100714651B1 (ko) 밀폐용기의 뚜껑
KR100715312B1 (ko) 밀폐용기의 뚜껑
JP2007069952A (ja) ボトルキャップ
KR100748373B1 (ko) 밀폐용기의 실링
KR20180093707A (ko) 듀얼 캡슐 화장품 용기
KR101918473B1 (ko) 듀얼 캡슐 화장품 용기
KR20170083218A (ko) 화장품 용기
KR200341801Y1 (ko)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
JP4657739B2 (ja) 位置決め容器
KR101404822B1 (ko) 무패킹 밀폐용기
JP4657741B2 (ja) 位置決め容器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101669228B1 (ko) 밀폐부재를 이용한 밀폐용기
KR20180000965U (ko) 밀폐력이 향상된 콤팩트용기
JP4075095B2 (ja) 合成樹脂製容器
KR101961112B1 (ko)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JPH033485Y2 (ko)
KR101743757B1 (ko) 고정구에 밀폐탄성부와 오염방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화장품 용기
EP1084960B1 (en) Container with a non-planar seal between base and lid
TWI799175B (zh) 蓋體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