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067A - 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067A
KR20160005067A KR1020157033950A KR20157033950A KR20160005067A KR 20160005067 A KR20160005067 A KR 20160005067A KR 1020157033950 A KR1020157033950 A KR 1020157033950A KR 20157033950 A KR20157033950 A KR 20157033950A KR 20160005067 A KR20160005067 A KR 20160005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wall
container
sealing skirt
inner peripher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106B1 (ko
Inventor
밸러르 로젤
재퀴 르봉
캐롤린 포트
Original Assignee
끌라리앙 프로딕숑 (프랑스)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끌라리앙 프로딕숑 (프랑스)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끌라리앙 프로딕숑 (프랑스)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0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oxygen absorbers
    • B65D2101/0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20Frangible elements completely enclosed in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50Tamper-band co-operating with intermediate ring connect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00)용 마개(1), 및 이러한 마개(1)를 포함하는 용기(100)에 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관형이거나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이러한 용기(100)는 일반적으로 스트립, 정제, 알약 등과 같은 느슨하게 보관되는 고형 제품을 수용한다. 마개(1)는 정상부(11) 및 주변 벽(12)을 갖는 뚜껑 본체(10)를 포함하고, 뚜껑 본체(10)는 밀봉 스커트(15) 및 내측 주변 벽(17)을 포함하고, 밀봉 스커트와 내즉 주변 벽은 정상부(11)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또한 밀봉 스커트와 내즉 주변 벽 사이에는 주변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변 홈(15)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a)가 밀봉 스커트(15) 및/또는 내측 주변 벽(17)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용기용 마개{CAP FOR A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용 마개, 및 이러한 마개를 포함하는 용기에 괸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관형 또는 원통형으로 된 이러한 용기는 일반적으로 스트립, 정제, 알약 등과 같은 느슨하게 보관되는 고형 제품을 수용한다. 마개는 용기 안에 들어 있는 제품이 보관 중에 보호되도록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용기에 부착된다.
상기 분야의 용기용 마개는 일반적으로 용기와 별도로 제조된다. 그런 다음에, 용기가 그 안에 수용될 제품으로 채워지면 마개가 그 용기에 부착된다.
알약 관을 위한 개봉 흔적 확인용 폐쇄체가 예컨대 WO 2007/057133 A1 에 알려져 있다. 폐쇄체/마개는 용기에 연결되는 링 및 뚜껑을 포함하며, 뚜껑은 다시 링과 뚜껑 사이의 힌지 및 인열 분리형/개봉 흔적 확인용 웨브에 의해 링에 연결된다.
이러한 종류의 마깨는 일반적으로 용기의 내벽에 마개를 기밀하게 부착하기 위한 밀봉 스커트 및 습기 및/또는 산소 트랩퍼(trapper)를 수용하는 건조제 챔버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밀봉 스커트와 건조제 챔버의 내측 주변 벽 사이에 주변 홈이 형성된다.
용기에 수용되는 제품은 작은 크기를 갖거나 평평한 형상일 수 있으므로, 밀봉 스커트와 내측 주변 벽 사이의 주변 홈에 제품이 들어가거나 끼일 위험이 있다. 그러나,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주변 홈은 밀봉 스커트와 내측 주변 벽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충전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이 경우에 밀봉 스커트는 관형 용기에의 기밀한 연결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가요성을 잃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몇 종래 기술의 마개는 판지를 사용하는데, 이 판지는 건조제 챔버 보다 큰 직경을 갖지만 밀봉 스커트 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판지는 크림핑(crimping) 연결에 의해 건조제 챔버의 하단에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판지가 주변 홈을 덮게 된다.
그러나, 이들 마개는 몇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첫째, 건조제 챔버의 높이는 밀봉 스커트의 높이 보다 작아야 하며, 요구되는 건조제의 양에 따라 조절되거나 증가될 수 없다. 둘째, 용기의 내벽에 부착될 때, 기밀성을 제공하는 밀봉 스커트의 변형으로 인해 판지가 변형될 수 있고, 그래서 판지는 내측 주변 벽으로부터 움직이거나 접히거나 주름 잡히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제가 건조제 챔버로부터 누출된다. 또한, 기밀성을 제공하는 밀봉 스커트의 밀봉부는 밀봉 스커트의 하단(말단)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밀봉부는 크림핑 공정 중에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피하여 개선된 보관 성능을 갖는 마개를 제공하는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을 포함하는 용기용 마개로 달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뚜껑 본체의 밀봉 스커트와 내측 주변 벽 사이에 형성되는 주변 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한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밀봉 스커트 또는 내측 주변 벽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는 밀봉 스커트로부터 내측 주변 벽까지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체적으로 형성되는"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응하는 요소들을 일체적으로 몰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사출 성형 공정에서 밀봉 스커트 또는 내측 주변 벽과 함께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은, 파괴에 의해서만 제거될 수 있는 연결을 말한다 이 경우는 예컨대 요소들을 열처리로 용접하거나 연결하는 것에 해당된다. 특히, 함께 연결될 요소들이 폴리머로 형성되면, 한 요소 또는 두 요소의 연결부는 특정 온도로 가열되고, 요소들이 서로에 가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요소들은 접착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식 연결에 대한 또 다른 대안예에 따르면, 대응하는 요소들은 스냅핑(snapping), 스틱킹(sticking)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밀봉 스커트, 내측 주변 벽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동일한재료, 특히 폴리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머의 예를 들면, 큰 가요성을 갖는 PEHD, PEBD 또는 PP 이다.
밀봉 스커트와 내측 주변 벽 사이에 형성되는 주변 홈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제공함으로써, 용기 안에 수용되는 제품은 주변 홈에 들어가지 못한다. 그래서, 마개의 기능이 악화되거나 제조 비용이 증가됨이 없이, 용기의 보관 성능이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주변 벽의 말단부는 밀봉 스커트의 말단부와 비교하여 정상부로부터 더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밀봉 스커트의 말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 말단부는 뚜껑 본체의 정상부의 맞은 편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주변 홈은 효과적으로 덮히고, 마개는 몰드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마개는 예컨대 그 마개를 몰드 밖으로 방출시켜 일 단계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와 결합하여 실행될 수 있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밀봉 스커트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몰드에서 캡을 제거하는 것은 두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 돌출부(더 높은 가요성을 내기 위한)의 맞은 편에 있는 몰드의 핀/제 1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 몰드의 제 2 핀/부분으로부터 마개를 제거하는 단계(돌출부는 벽/스커트의 더 큰 운동 자유도로 인해 더 쉽게 해제됨).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밀봉 스커트 및/또는 내측 주변 벽에 대해 특히 30 ∼ 60도, 가장바람직하게는 약 45도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경사각을 제공하면, 마개는 몰드로부터 더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밀봉 스커트 또는 내측 주변 벽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이다. 따라서, 밀봉 스커트의 가요성이 유지되어, 밀봉 스커트가 용기이 내측 주변 벽에 꼭 맞게 끼워져 기밀한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뚜껑 본체를 개방하기 위해 추가적인 힘이 필요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마개는 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링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 본체는 그 링 요소에 연결된다. 링 요소는 용기의 개방 위치에서도 그 용기에 대한 뚜껑 본체의 안전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고(예컨대, 힌지에 의해) 또한 특정 구성에서는 개봉 흔적 확인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요소는 추가로 뚜껑 본체의 개방도가 최대화되도록 만곡되어 있을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링 요소는 파열성 웨브를 포함하는 개봉 흔적 확인용 링이며, 상기 파열성 웨브는 뚜껑 본체에 연결되어 있다. 파열성 웨브는 뚜껑 본체의 개방시 끊어질 것인데, 그래서 최초 개방이 소비자에게 분명하게 알려지게 된다.
상기 마개는 사출 성형에 의해 특히 폴리머 재료로 단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안은 각각의 마개에 대한 제조 비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마개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더라도, 그 마개는 돌출부의 가요성 때문에 몰드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돌출부, 특히 8 ∼ 14 개의 돌출부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 ∼ 5 mm 이고, 돌출부는 특히 원주 방향으로 서로 등거리로 위치된다. 그리하여, 보관 성능이 유지되면서, 용기 안에 수용되어 있는 제품이 주변 홈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주변 벽에는 챔버를 형성하도록 투과성 표면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투과성 표면은 특히 투과성 폴리머, 판지 및/또는 종이 시트이며, 그리하여 마개의 기능성이 증가된다. 상기 챔버는 활성제, 특히 활성탄, 실리카 겔, 분자체(molecular sieve), 점토, 다른 제올라이트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담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철계 산소 제거제, 유기성 산소 제거제, 효소성 제거제 또는 불포화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투과성 막은 바람직하게는 내측 주변 벽의 말단부를 내부로, 즉 뚜껑 본체의 축선 쪽으로 구부려 뚜껑 본체에 연결된다.
상기 돌출부는 자신의 말단 쪽으로 테이퍼져 있다. 따라서, 돌출부는 이 구성에 따라 쐐기형일 수 있다. 돌출부의 말단은 반대편 벽, 즉 밀봉 스커트 또는 내측 주변 벽 쪽으로 향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는 특별한 가요도를 갖는다.
도 1 은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를 나타낸다.
도 2 는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도 1 에 따른 마개를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 및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용기에 부착되기 전에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를 도시한다.
도 5 는 용기에 부착되는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용기에 부착되기 전의 마개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용 마개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를 하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마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것으로, 도 1 ∼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언급되는 단일 특징적 구성에 대한 다른 수정 및 변화는 각각 서로 결합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 형태를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마개(1)는 관형 용기(100)에 부착되며, 이 용기(10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페쇄된 바닥부(101), 주변 벽부(102) 및 바닥부(101)의 맞은 편에 있는 개구(103)를 갖는다. 리브부(104)가 개구(103)에 인접하여 주변 벽부(10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부(104)는 마개(1)의 대응하는 부분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마개(1)는 뚜껑 본체(10) 및 링 요소(20)를 포함하며, 이들 뚜껑 본체와 링 요소는 링 요소(20)의 상부(21)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열성 웨브(40) 및 필름 힌지(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뚜껑 본체(10)가 처음으로 개방되면 상기 파열성 웨브(40)가 끊어지게 된다. 따라서, 링 요소(20)는 본 경우에 소위 개봉 흔적 확인용 링이다. 링 요소(20)는 외벽(22) 및 내측 곡면(23)을 포함하는데, 내측 곡면은 링 요소(20)를 용기(100)의 리브(104)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를 제공한다.
뚜껑 본체(10)는 정상부(11)(뚜껑 본체의 상부) 및 외측 주변 벽(12)을 포함한다. 외측 주변 벽(12)은 파지부(13)를 포함하는데, 이 파지부는 링 요소(20)의 오목부(24)의 맞은 편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소비자가 뚜껑 본체(10)를 열기 위해 파지부(13)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뚜껑 본체(10)의 밀봉 스커트(15)가 실질적으로 정상부(11)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마개(1)가 용기(100)에 부착되면 그 용기의 내측 주변 벽에 꼭 맞을 수 있다. 또한, 내측 주변 벽(17)이 뚜껑 본체(10)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정상부(11)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밀봉 스커트(15)와 동심으로 정렬될 수 있다. 내측 주변 벽(17)의 말단부(17a)는 밀봉 스커트(15)의 말단부와 비교하여 정상부(11)로부터 더 연장되어 있다.
내측 주변 벽(17)의 말단부(17a)는 투과성 표면 요소(31)을 지지하도록 변형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 이 투과성 표면 요소는 판지(31)이다. 특히, 말단부(17a)는 뚜껑 본체(10)의 축선 쪽으로 구부러져 있어, 내측 주변 벽(17)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있는 단차부에 판지(31)를 고정시킨다. 그리하여, 정상부(11), 내측 주변 벽(17) 및 판지(31)는 건조제 챔버(30)를 형성하게 되며, 이 건조제 챔버에 건조제 요소가 수용된다. 건조제 요소는 산소나 습기와 같은 가스 또는 증기를 잡고/잡거나 방출할 수 있는 약제이다. 건조제 챔버에 수용되는 이러한 약제의 예를 들면, 활성탄, 실리카겔, 분자체(molecular sieve), 점토 또는 다른 제올라이트가 있다. 다른 예로는, 철계 산소 제거제, 유기성 산소 제거제, 효소성 제거제 또는 불포화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밀봉 스커트(15)의 말단에 여러 개의 돌출부(15a)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15a)는 본 경우에 밀봉 스커트(1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조 공정에서 그 밀봉 스커트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돌출부(15a)(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테이퍼형 단면을 가짐)는 밀봉 스커트(15)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내측 주변 벽(17) 쪽으로 경사져 있다. 돌출부(15a)의 말단과 주변 벽(17)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 간격은 약 0.5 mm 이상이다. 이리하여, 통상적인 조건 하에서는 밀봉 스커트(15)와 내측 주변 벽(17)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며, 그래서 밀봉 스커트(15)의 가요성이 보장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12개의 돌출부(15a)가 제공되는데, 이들 돌출부는 원주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그러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돌출부(15a) 사이의 간격은 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수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리적으로, 주변 홈(16)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한 하나의 돌출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돌출부(15a)를 밀봉 스커트(15)의 말단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돌출부는 밀봉 스커트의 임의의 수직 방향 위치 또는 내측 주변 벽(17)에 배치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돌출부(15a)는 밀봉 스커트(15) 또는 내측 주변 벽(17)의 두께를 증가시킴이 없이 그 밀봉 스커트 또는 내측 주변 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5a)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 m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이다. 특히, 돌출부(15a)의 두께는 0.5 ∼ 1.5 mm, 바람직하게는 0.8 ∼ 1 mm 이다.
돌출부(15a)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1 ∼ 5 mm 이며, 마개(1)에 제공되는 돌출부(15a)의 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돌출부(15a)의 길이는 돌출부(15a)의 경사각 및 내측 주변 벽(17)과 밀봉 스커트(15) 사이의 거리에 달려 있다. 밀봉 스커트(15)와 내측 주변 벽(17)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5 mm 이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돌출부(15a)의 말단과 맞은 편의 벽(내측 주변 벽(17) 또는 밀봉 스커트(15)) 사이의 간격은 0.5 mm 이거나 소비자 재품의 두께 보다 작다. 두 돌출부(15a)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약 1 mm 내지 용기(100)에 수용되는 제품의 폭 보다 작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마개(1)는 뚜껑 본체(10)와 링 요소(20)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구성에 따르면, 마개(1)는 링 요소(20) 없이 뚜껑 본체(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Claims (15)

  1. 용기(100)용 마개(1)로서,
    정상부(11) 및 주변 벽(12)을 갖는 뚜껑 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 본체(10)는 밀봉 스커트(15) 및 내측 주변 벽(17)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스커트와 내즉 주변 벽은 상기 정상부(11)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밀봉 스커트와 내즉 주변 벽 사이에는 주변 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변 홈(15)을 부분적으로 덮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a)가 상기 밀봉 스커트(15) 및/또는 내측 주변 벽(17)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a)는 상기 밀봉 스커트(15)의 말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용기용 마개(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a)는 상기 밀봉 스커트(15)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용기용 마개(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a)는 상기 밀봉 스커트(15) 및/또는 내측 주변 벽(17)의 연장 방향에 대해 특히 30 내지 6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5도로 경사져 있는 용기용 마개(1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a)와 밀봉 스커트(15) 또는 내측 주변 벽(17)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인 용기용 마개(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는 용기(1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링 요소(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 본체(10)는 상기 링 요소(20)에 연결되며, 링 요소(20)는 바람직하게는 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필름 힌지에 의해 상기 뚜껑 본체(10)에 연결되어 있는 용기용 마개(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요소(20)는 파열성 웨브(40)를 포함하는 개봉 흔적 확인용 링이며, 상기 파열성 웨브는 뚜껑 본체(10)에 연결되어 있는 용기용 마개(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는 사출 성형에 의해 특히 폴리머 재료로 단일체로 제조되며, 상기 폴리머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PEHD, PEBD 또는 PP 인 용기용 마개(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돌출부(15a), 특히 8 내지 14 개의 돌출부(15a)가 제공되어 있는 용기용 마개(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a)의 폭은 1 내지 5 mm 인 용기용 마개(1).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a)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등거리로 위치되어 있는 용기용 마개(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변 벽(17)에는 챔버를 형성하도록 투과성 표면(31)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투과성 표면(31)은 바람직하게는 투과성 폴리머, 판지 및/또는 종이 시트인 용기용 마개(1).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활성제, 특히 활성탄, 실리카 겔, 분자체(molecular sieve), 점토, 다른 제올라이트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담고 있는 용기용 마개(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a)는 자신의 말단 쪽으로 테이퍼져 있는 용기용 마개(1).
  15.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개(1)를 포함하는 용기(100).
KR1020157033950A 2013-04-29 2013-04-29 용기용 마개 KR101778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3/001171 WO2014177900A1 (en) 2013-04-29 2013-04-29 Cap for a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067A true KR20160005067A (ko) 2016-01-13
KR101778106B1 KR101778106B1 (ko) 2017-09-13

Family

ID=4874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950A KR101778106B1 (ko) 2013-04-29 2013-04-29 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73869B2 (ko)
EP (1) EP2991914B1 (ko)
KR (1) KR101778106B1 (ko)
CN (1) CN105228917B (ko)
ES (1) ES2674045T3 (ko)
HU (1) HUE038803T2 (ko)
PL (1) PL2991914T3 (ko)
SI (1) SI2991914T1 (ko)
WO (1) WO20141779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8652A1 (en) * 2018-07-17 2020-01-23 Monoco, Llc Tablet containers, unit dose tablet packages, and methods of making tablet containers and unit dose tablet packages
KR20210022594A (ko) * 2020-03-12 2021-03-03 주식회사 아워홈 발효식품 저장용기용 캡부 및 이를 갖는 발효식품 저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06885A1 (en) 2015-01-12 2017-08-31 Thomas R. Lutz Systems and methods for de-oxygenation of a closed container
US20190270560A1 (en) * 2016-10-21 2019-09-05 Thomas R. Lutz Systems and methods for de-oxygenation of a closed container
FR3063282B1 (fr) * 2017-02-24 2020-11-20 Clariant Healthcare Packaging France Sas Recipient pour produits medicaux et/ou pharmaceutiques
ES2755758T3 (es) * 2017-03-31 2020-04-23 Schott Kaisha Private Ltd Conjunto de tapa de punta de jeringa, jeringa que comprende dicha tapa de punta de jeringa y método para obturar un cilindro de jeringa
PL3749585T3 (pl) 2017-12-15 2024-02-2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Nasadka zamykająca dla pojemnika
USD931101S1 (en) 2018-03-02 2021-09-21 Berlin Packaging, Llc Closure
USD900606S1 (en) 2018-03-02 2020-11-03 Berlin Packaging, Llc Closure
EP3674233A1 (en) * 2018-12-27 2020-07-01 Clariant Plastics & Coatings Ltd A tablet dispensing device
WO2020229602A1 (en) * 2019-05-14 2020-11-19 Airnov, Inc. Receptacle for holding an active substance and corresponding cap and container
KR102271397B1 (ko) * 2021-02-09 2021-06-30 (주)누리팩 용기캡 및 그 용기캡의 제조를 위한 금형
US20220332483A1 (en) * 2021-04-16 2022-10-20 Tsang-Hung Hsu Elastic stretchable lid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CN116062309B (zh) * 2023-01-30 2023-12-08 苏州新劢德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容器盖、容器组件和制造容器盖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6573A (en) * 1962-09-29 1965-06-01 Pasinvest Ets Bottle closure
FR1364148A (fr) 1963-05-10 1964-06-19 Bouchon déshydratant
US3863798A (en) * 1972-11-06 1975-02-04 Kanebo Ltd Push-button-type cap for container
FR2342914A1 (fr) * 1976-03-02 1977-09-3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deux produits isoles l'un de l'autre avant la distribution
US4498608A (en) * 1982-04-05 1985-02-12 Mercil Robert A Moisture absorbent condiment container
US4442947A (en) * 1983-01-18 1984-04-17 Continental White Cap, Inc. Plastic closure with sealing flaps
DE3685054D1 (de) * 1985-05-24 1992-06-04 Sanner Friedr Gmbh Co Kg Behaelterverschluss.
DE3715938A1 (de) * 1987-05-13 1988-11-24 Boehringer Mannheim Gmbh Behaelter fuer teststreifen
EP0763477B1 (de) 1995-08-31 1998-12-09 Friedrich Sanner GmbH & Co. KG Spritzgusswerk Behälter-Verschluss mit Trockenstoffkammer
US5875942A (en) * 1996-03-22 1999-03-02 Japan Crown Cork Co., Ltd. Hinged cap separable from bottle at the time of disposal
FR2772615B1 (fr) 1997-12-23 2002-06-14 Lipha Comprime multicouche pour la liberation instantanee puis prolongee de substances actives
DE19815413B4 (de) 1998-04-06 2012-02-02 Linhardt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sowie Verpackung hergestellt nach diesem Verfahren
CN2494332Y (zh) 2001-06-22 2002-06-05 邬海军 一种防潮干燥瓶盖
JP2004075133A (ja) 2002-08-20 2004-03-11 Nippon Tansan Gas Co Ltd 容器の封止機構及びその機構に使用するキャップ
FR2858301B1 (fr) * 2003-07-29 2006-05-26 Airsec Conteneur dessicatif etanche pour l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sensibles a l'humidite ambiante
FR2863968B1 (fr) * 2003-12-19 2007-03-02 Airsec Dispositif pour l'obturation etanche et le traitement de purification de l'air ambiant de conteneurs de conditionnement pour des produits sensibles a des agents polluants
AR056770A1 (es) 2005-11-15 2007-10-24 Bayer Consumer Care Ag Cierre de garantia
KR101258382B1 (ko) * 2006-04-28 2013-05-07 도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CN202704169U (zh) 2012-07-20 2013-01-30 傅敏 一种盖内带有料桶的瓶盖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8652A1 (en) * 2018-07-17 2020-01-23 Monoco, Llc Tablet containers, unit dose tablet packages, and methods of making tablet containers and unit dose tablet packages
KR20210022594A (ko) * 2020-03-12 2021-03-03 주식회사 아워홈 발효식품 저장용기용 캡부 및 이를 갖는 발효식품 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7900A1 (en) 2014-11-06
SI2991914T1 (en) 2018-06-29
EP2991914A1 (en) 2016-03-09
US20160101914A1 (en) 2016-04-14
KR101778106B1 (ko) 2017-09-13
PL2991914T3 (pl) 2018-07-31
CN105228917A (zh) 2016-01-06
US10773869B2 (en) 2020-09-15
EP2991914B1 (en) 2018-04-04
CN105228917B (zh) 2018-07-03
HUE038803T2 (hu) 2018-11-28
ES2674045T3 (es)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106B1 (ko) 용기용 마개
US20100044252A1 (en) Dehydrating and reclosable hinged plug-lid with tamper indicator and compensation device
EP1686071B1 (en) Container for moisture-sensitive goods
US20180118423A1 (en) Tamper-evident closure and tamper-evident closure and container assembly
KR101281450B1 (ko) 개방 확인용 마개
US20060266750A1 (en) Container lid adapted for resealing of container
EP3475182A1 (en) Tamper-evident closure, container with such closure and its use
CA2495191A1 (en) Closure comprising a hinged cap moulded in closed position
US20070039915A1 (en) Dispensing closure
CA2566785A1 (en) Tamper-evident lid
CA2820577A1 (en) Vial with lid attachment mechanism
US7661547B2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EP2307282B1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EP1638856A1 (en) Flip top container with built in desiccant
US9592928B2 (en) Reclosing mechanism for containers, particularly beverage containers
US20150027976A1 (en) Bottle cap
KR100715312B1 (ko) 밀폐용기의 뚜껑
JP5125249B2 (ja) バージン性機能をもつ栓体
JP5587584B2 (ja) 流動物押出用容器
JP7169716B2 (ja) 封緘部付きキャップ
JP4704765B2 (ja) 開口時の液飛びが防止さ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CN201791085U (zh) 用于药瓶的封盖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JP3103950U (ja) 容器のスナップオンキャップ
JP2010285159A (ja) 樹脂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