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382B1 -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382B1
KR101258382B1 KR1020127014382A KR20127014382A KR101258382B1 KR 101258382 B1 KR101258382 B1 KR 101258382B1 KR 1020127014382 A KR1020127014382 A KR 1020127014382A KR 20127014382 A KR20127014382 A KR 20127014382A KR 101258382 B1 KR101258382 B1 KR 10125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p
separating
main body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509A (ko
Inventor
다카미츠 이소가이
마사유키 소메야
Original Assignee
도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with devices for removing frangible parts of the pouring element or of its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8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removed from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구 즉 개봉을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소구경의 속마개라도 디자인이 제한되지 않고, 또한, 개봉 후에 쓰레기를 내지 않고, 또한,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도 않는 캡 및 이것을 사용한 뚜껑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 오버 캡 (3) 의 개방 방향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개구 수단으로서 1 쌍의 나사 (10a, 10b) 의 체결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나사 진행시킴으로써, 개구 예정부 (4) 를 속마개 (2) 로부터 잘라내므로, 비교적 간이한 구조이며, 작은 힘으로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가 차지하는 영역에 나사 (10a, 10b) 를 형성할 수 있으면 되므로, 소구경의 속마개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캡 (1) 디자인의 제한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개구 예정부 (4) 는, 속마개 (2) 의 개봉 후, 오버 캡 (3) 과 일체로 되므로, 개봉 후에 쓰레기를 내지 않고, 예를 들어 식탁에서 처치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CAP AND CONTAINER WITH CAP}
본 발명은, 보틀상의 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되는 캡과, 이러한 캡을 구비하는 뚜껑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틀상 용기의 캡으로서 밀봉용 속마개와 상부 뚜껑인 오버 캡을 조합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캡에서는, 오버 캡 개전 (開栓) 후에 속마개에 붙어 있는 풀 링을 개구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잡아 당겨 개구 즉 개봉한다.
또한, 분말 등의 원료를 수용하는 원료 수용부를 갖고, 개전 조작에 수반하여 원료 수용부의 바닥 뚜껑을 탈락시켜 원료를 보틀 내로 방출하는 보틀 캡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전자의 캡에 대해서는, 풀 링의 잡아 당기는 방법이 소비자인 이용자 에 따라 크게 상이한 경우가 있고, 개구 즉 개봉시, 웰드 등의 끊어지기 쉬운 부분에서 풀 링이 떨어져 나가, 개구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코어부의 핀홀 방지를 위해서 스코어부를 두껍게 하면, 개구 강도가 높아져, 어린이나 노인 이용자에게는 개구가 곤란해진다. 또한, 풀 링의 크기를 다양한 이용자의 손가락이 충분히 들어갈 정도로 확보할 경우, 소구경의 속마개로는 적합하지 않게 되어, 캡 전체의 디자인도 제한된다. 또한 개구한 후에 남는 풀 링은, 통상적으로 보기 흉한 불필요 물질로, 식탁 등으로부터 처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자의 보틀 캡에 대해서는, 개전시에 원료를 보틀 내로 방출할 필요가 없는 경우, 혹은, 필요가 없어졌을 경우, 원료 수용부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보틀 캡이 길어진다. 또한, 바닥 뚜껑이 보틀 내로 반드시 낙하하므로 보틀 내에 바닥 뚜껑이 잔류하는 것을 이용자가 싫어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위생 문제상, 바닥 뚜껑 전체를 미리 살균해 둘 필요도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58816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8899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 뚜껑인 오버 캡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구 즉 개봉을 실시할 수 있고, 소구경의 속마개라도 디자인의 제한이 적은 캡 및 이것을 사용한 뚜껑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봉 후에 쓰레기를 내지 않고,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는 캡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캡은, (a) 용기 본체와 함께 내용물을 봉입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밀폐 공간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분리부를 갖는 속마개와, (b) 회전 동작에 의해 용기 본체와의 착탈을 할 수 있게 하는 나사 결합부와,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분리부를 상기 속마개로부터 분리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분리부의 분리시에 당해 분리부에 걸어맞추는 유지 수단을 갖는 상부 뚜껑을 구비한다.
상기 캡에서는, 속마개와 상부 뚜껑을,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착탈할 수 있고, 당해 회전 동작에 의해 분리부를 속마개로부터 분리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비교적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봉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개봉시에 풀 링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풀 링이 끊어져 개봉 불능이 된다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풀 링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크기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구경의 속마개라도 디자인이 제한되는 일이 없다. 추가로, 또한, 개봉시에 분리된 분리부는, 상부 뚜껑에 유지되므로, 개봉 후에 분리부가 용기 본체 내로 떨어지지 않고, 게다가, 분리부의 폐기 처리를 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분리부가,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개봉 동작시에 유지 수단과 걸어맞춘다. 이 경우,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개봉 동작시에 분리부와 유지 수단이 걸어맞추어지므로, 예를 들어, 개구부의 형성을 위해서 미리 분리부와 유지 수단을 용착시켜 둘 필요가 없어, 캡의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유지 수단이,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분리부를 속마개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개구부를 형성함과 함께 분리부의 분리시에 당해 분리부와 걸어맞춘다. 이 경우,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분리부가 속마개로부터 분리되어 개구부가 형성됨과 함께, 분리부를 상부 뚜껑의 유지 수단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속마개가, 중앙에 분리부에 의해 폐색되는 상부 개구를 갖고 당해 상부 개구에 있어서 분리부에 연속 형성됨과 함께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 용기 본체에 걸리는 본체부를 갖고, 본체부가, 상부 개구를 구획하는 본체측 통상 (筒狀) 부를 갖고, 분리부가, 본체측 통상부에 대해 내경측 및 외경측 중 어느 일방에 오프셋시킨 분리부측 통상부를 갖는다. 이 경우, 최초의 개전시에 분리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후에, 다시, 상부 뚜껑을 용기 본체에 비틀어 넣었을 때에, 분리부측 통상부와 본체측 통상부가 겹치도록 끼워 맞추어지고, 그것으로써 분리부와 본체부의 액밀이 도모된다. 요컨대, 개전 후의 상부 뚜껑을 닫았을 때의 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분리부가, 상부에 플랜지를 갖고, 유지 수단이, 상부 뚜껑의 상단벽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당해 돌출부에 형성되어 플랜지에 걸어맞출 수 있는 갈고리를 갖는다. 이 경우, 분리부가 상부 뚜껑에 간이ㆍ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부 뚜껑이, 속마개에 걸어맞추어지는 장착부와 힌지부를 통하여 장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개봉 후의 개구부를 덮는 폐 (閉) 상태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 (開)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개폐 뚜껑을 갖는다. 이 경우, 속마개를 개봉한 후에는, 개폐 뚜껑에 의해 원터치로 간단하게 캡의 개방이나 폐지 등의 개폐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개폐 뚜껑이, 뚜껑을 여는 동작을 억지하기 위한 걸림 수단을 갖는다. 이 경우, 개봉 전에 오동작이나 장난 등에 의해 뚜껑을 여는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캡에 의한 밀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나사 결합부에 의한 회전 동작에 의해 위치 맞춤이 이루어지고, 위치 맞춤에 의해 상부 뚜껑의 압입을 할 수 있게 하고, 당해 압입을 실시함으로써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압입 수단을 추가로 갖는다. 이 경우, 속마개의 부주의한 개봉을 방지하면서 회전 동작과 압입 동작에 의해 비교적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구부의 형성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분리부가, 본체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개구 예정부로서, 유지 수단이 분리부에 형성된 제 1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분리부를 당해 분리부의 외측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제 2 나사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분리부에 형성된 제 1 나사 부재와, 상부 뚜껑이 갖는 유지 수단인 제 2 나사 부재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분리부를 떼어내게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캡은, (a) 용기 본체와 함께 내용물을 봉입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밀폐 공간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분리부를 갖는 속마개와, (b) 회전 동작에 의해 용기 본체를 착탈할 수 있게 하는 나사 결합부와,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분리부를 속마개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구 수단을 갖는 상부 뚜껑을 구비한다.
상기 캡에서는, 속마개와 상부 뚜껑이,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착탈할 수 있고, 당해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분리부를 속마개로부터 예를 들어 떼어내듯이 분리함으로써 개구부를 형성하므로, 비교적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구 (요컨대, 속마개의 개봉) 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개봉시에 풀 링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풀 링이 끊어져 개봉 불능이 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풀 링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크기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구경의 속마개라도 디자인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 양태로서 분리부가, 속마개로부터 떼어내어지는 개구 예정부이다. 이 경우, 분리부가 본체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개구 예정부로서 속마개로부터 떼어내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 양태로서 개구 수단이, 개구 예정부에 형성된 제 1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개구 예정부를 당해 개구 예정부의 외측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제 2 나사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개구 예정부에 형성된 제 1 나사 부재와, 상부 뚜껑이 갖는 개구 수단인 제 2 나사 부재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개구 예정부를 분리하므로, 용기 본체 내에 바닥 뚜껑 등의 부재를 낙하 잔류시키지도 않고, 또한, 개봉 후에 쓰레기를 내지도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제 2 나사 부재가, 나사 결합부가 암나사인 것에 대해 수나사인 것과 함께, 나사 결합부와 역방향의 관계에 있고, 개구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전 동작이, 상부 뚜껑을 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다. 이 경우, 상부 뚜껑을 여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나사 결합부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제 1, 제 2 나사 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나사 진행된다. 이로써, 개구 예정부가 상방으로 당겨져 개구부가 형성되고, 속마개로서의 속마개가 개봉 또는 개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제 2 나사 부재가, 나사 결합부가 암나사인 것에 대해 수나사인 것과 함께, 나사 결합부와 순방향의 관계에 있고, 개구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전 동작이, 상부 뚜껑을 닫는 방향으로의 회전이다. 이 경우, 나사 결합부 및 제 1, 제 2 나사 부재 모두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나사 진행된다. 이로써, 개구 예정부가 상방으로 당겨지거나, 혹은 하방으로 눌려, 속마개로서의 속마개가 개봉 또는 개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속마개가,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 예정부와 외측 부분 사이에는, 두께가 얇아진 스코어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속마개를 개봉하기 위해서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두께가 얇아진 스코어를 따라 개구 예정부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개구 수단이, 나사 결합부와 함께 이동하여, 외측 부분을 개구 예정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간시키는 절단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절단 부재의 작용에 의해, 외측 부분과 개구 예정부의 분리를 보조하고, 또는, 주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절단 부재의 주위에 있어서, 상부 뚜껑의 개봉 후에 속마개 본체의 내면과 밀착되는 돌기상의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절단 부재가, 상부 뚜껑의 정상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환상으로 돌기됨과 함께 하단에 단면이 예각인 날끝상 부분을 갖는다. 이 경우, 절단 부재의 날끝상 부분을 개구부의 형상에 맞출 수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개구 예정부를 분리시켜, 개봉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부 뚜껑이, 회전 동작에 의해 용기 본체에 비틀어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이 경우, 잘못하여 비사용시 등에 속마개가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분리부가, 개봉 후에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내측 시일 마개이다. 이 경우, 분리부가 개봉 후에 내측 시일 마개로서 기능함으로써, 개봉 후에도 액 누출이 어려워져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한 밀폐 공간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부 뚜껑이,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분리부를 분리할 때에 당해 분리부에 걸어맞추는 유지 수단을 갖는다. 이 경우, 개봉시에 분리된 분리부는, 상부 뚜껑에 유지되기 때문에, 속마개의 개봉 후에 분리부가 용기 본체 내로 떨어지지 않고, 게다가, 분리부의 폐기 처리를 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분리부가,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개봉 동작시에 유지 수단과 걸어맞춘다. 이 경우, 속마개를 개봉할 때 즉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개봉 동작시에 분리부와 유지 수단이 걸어맞추어지므로, 예를 들어, 개구부의 형성을 위해서 미리 분리부와, 유지 수단을 용착시켜 둘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부 뚜껑이, 속마개의 주변 또는 용기 본체에 걸어맞추는 장착부와, 힌지부를 통하여 장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개봉 후의 개구부를 덮는 폐상태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개폐 뚜껑을 갖는다. 이 경우, 속마개를 개봉한 후에는, 개폐 뚜껑에 의해 원터치로 간단하게 캡의 개방이나 폐지 등의 개폐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속마개는, 중앙에 분리부에 의해 폐색되는 상부 개구를 갖고 당해 상부 개구에 있어서 분리부에 연속 형성됨과 함께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 용기 본체에 걸리는 본체부를 갖고, 본체부가, 상부 개구를 구획하는 본체측 통상부를 갖고, 분리부가, 본체측 통상부에 대해 내경측 및 외경측 중 어느 일방에 오프셋시킨 분리부측 통상부를 갖는다. 이 경우, 최초의 개전시에 분리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후에, 다시, 상부 뚜껑을 용기 본체에 비틀어 넣을 때에, 분리부측 통상부와 본체측 통상부가 겹치도록 끼워 맞춰지고, 그로써 개봉 후에도 분리부와 본체부의 액밀을 도모할 수 있다. 요컨대, 개전 후의 상부 뚜껑을 닫았을 때의 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속마개가, 떼어내어져야 할 분리부와 본체부를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이 경우, 일체적으로 성형된 분리부와 본체부 중, 분리부가 떼어내어짐으로써 속마개의 개봉이 이루어지므로, 개봉 직전까지에 있어서의 밀폐 공간 내부의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분리부가, 상부에 플랜지를 갖고, 유지 수단이, 상부 뚜껑의 상단벽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당해 돌출부에 형성되어 플랜지에 걸어맞출 수 있는 갈고리를 갖는다. 이 경우, 분리부가 상부 뚜껑에 간이ㆍ확실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3 캡은, (a) 용기 본체와 함께 내용물을 봉입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밀폐 공간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분리부를 갖는 속마개와, (b1) 회전 동작에 의해 용기 본체와의 착탈을 할 수 있게 하는 나사 결합부와, (b2)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분리부를 속마개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개구부를 형성함과 함께 분리부의 분리시에 당해 분리부에 걸어맞추는 유지 수단과, (b3)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속마개로부터 떼어내어짐과 함께 나사 결합부에 의해 용기 본체에 걸어맞출 수 있는 장착부와, (b4) 힌지부를 통하여 장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개봉 후의 개구부를 덮는 폐상태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개폐 뚜껑을 갖는 상부 뚜껑을 구비한다.
상기 캡에서는, 속마개와 상부 뚜껑이,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당해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개구 예정부를 속마개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구부를 형성하므로, 비교적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봉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개봉시에 풀 링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풀 링이 끊어져 개봉 불능이 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풀 링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크기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구경의 속마개로서도 디자인이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또한, 개봉시에 분리된 분리부는, 상부 뚜껑에 유지되기 때문에, 개봉 후에 분리부가 용기 본체 내에 떨어지지 않으며, 게다가, 분리부의 폐기 처리를 할 필요도 없다. 이상에 추가하여, 상기 캡에서는, 개폐 뚜껑이, 힌지부를 통하여 장착부에 연결되어 있고, 장착부가,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속마개로부터 떼어내어짐과 함께 나사 결합부에 의해 용기 본체에 걸어맞출 수 있기 때문에, 캡을 구성하는 요소를 일체적인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속마개를 개봉한 후에는, 개폐 뚜껑에 의해 원터치로 간단하게 캡의 개방이나 폐지와 같은 개폐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분리부가,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개봉 동작시에 유지 수단과 걸어맞춰진다. 이 경우,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개봉 동작시에 분리부와 유지 수단이 걸어맞추어지므로, 예를 들어, 개구부의 형성을 위해서 미리 분리부와 유지 수단을 용착시켜 둘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속마개와 상부 뚜껑은, 1 물품으로서 일체 성형된다. 이 경우, 각 구성 요소를 일체적인 것으로 할 수 있고, 캡 전체를 1 물품으로서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개폐 뚜껑이, 뚜껑을 여는 동작을 억지하기 위한 걸림 수단을 갖는다. 이 경우, 개봉 전에 오동작이나 장난 등에 의해 뚜껑을 여는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캡에 의한 밀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나사 결합부가, 회전 동작을 일방향에 대해서만 가능하게 하여,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를 갖는다. 이 경우, 회전 억지 기구에 의해 회전 동작에 있어서의 회전의 방향을 일방향만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나사 결합부가,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회전 동작의 방향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한다. 이 경우, 개봉을 위한 최초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할 수 있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뚜껑 부착 용기는, (a) 용기 본체를 구성하고, 내용물인 액체를 수납하는 보틀과, (b) 보틀의 입구부에 형성되는 상기 어느 캡을 구비한다.
상기 뚜껑 부착 용기에서는, 상기 어느 캡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버 캡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구 즉 속마개의 개봉을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소구경의 속마개로서도 디자인이 제한되지 않고, 또한, 개봉 후에 식탁 등에 쓰레기를 내지 않는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에 의한 개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속마개의 개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캡에 의한 개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에 의한 개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에 의한 속마개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에 의한 속마개의 개방 순서 제 1 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에 의한 속마개의 개방 순서 제 2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에 의한 속마개의 개방 순서 제 3 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a ∼ 도 15c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a ∼ 도 16d 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 은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 는 제 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a ∼ 도 20h 는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a ∼ 도 21e 는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뚜껑 부착 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 은 도 22a ∼ 도 22c 는 제 7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타전 (打栓) 식 복합 캡을 설명하기 위한 뚜껑 부착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캡 (1) 은, 수지 성형되어 있고, 보틀인 용기 본체 (50) 의 입구부 (50a) 에 장착되어 있고, 뚜껑 본체인 속마개 (2) 와, 상부 뚜껑인 오버 캡 (3) 을 구비한다. 캡 (1) 과 용기 본체 (50) 는, 액체를 수납하여 보존하기 위한 뚜껑 부착 용기 (100) 로 되어 있다. 또한, 간단하게 하기 위해, 캡 (1) 의 오른쪽 반만 도시하고 있는데, 중심축 (AX) 을 대칭으로 한 왼쪽 반도 우측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속마개 (2) 는,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으로서, 개구 예정부 (4) 와, 끼워 맞춤부 (5) 와, 주출 (注出) 통형부 (6) 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끼워 맞춤부 (5) 와 주출통형부 (6) 는, 속마개 (2) 의 본체부를 구성한다. 속마개 (2) 는, 타전에 의해 용기 본체 (50) 와 함께 내용물을 기밀 또는 액밀하게 봉입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속마개 (2) 중, 개구 예정부 (4) 는, 저면을 갖는 원통상의 외관을 갖는 분리부이기도 하고, 스코어 (7) 를 따라 속마개 (2) 의 개봉 즉 속마개 (2) 의 최초의 개전시에 잘라내어져, 끼워 맞춤부 (5) 의 내주측에 형성된 수평벽 (8) 으로부터 개구 예정부 (4) 가 잘라져 나가 수평벽 (8) 이 남음으로써 개구부를 형성한다. 또한, 개구 예정부 (4) 의 측면부 (4b) 의 내측면에는, 오버 캡 (3) 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 (10a) 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끼워 맞춤부 (5) 는, 용기 본체 (50) 의 입구부 (50a) 에 속마개 (2) 를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타전을 실시하기 위한 끼워 맞춤 부재이다. 끼워 맞춤부 (5) 는, 용기 본체 (50) 의 입구부 (50a) 둘레의 벽에 밀착 고정되는 외통부 (5a) 와, 입구부 (50a) 의 내벽에 밀착 고정되는 내통부 (5b) 를 갖고 구성된다. 주출통형부 (6) 는, 전체적으로 원통상이지만, 상단부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여 구경이 증대되는 립 (6a) 을 갖고, 용기 본체 (50) 내의 액체를 따를 때의 액 끊김을 좋게 한다.
오버 캡 (3) 은,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으로, 측면벽 (3a) 과, 상단벽 (3b) 과, 연결부 (3c) 와, 시일부 (3d) 를 구비한다. 측면벽 (3a) 과 상단벽 (3b) 은, 돔상의 외관을 형성하여, 속마개 (2) 를 먼지, 물기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연결부 (3c) 는, 속마개 (2) 의 개봉 후에 속마개 (2) 로부터 분리된 개구 예정부 (4) 를 측면벽 (3a) 및 상단벽 (3b) 으로 구성되는 돔내에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시일부 (3d) 의 내벽은, 주출통형부 (6) 의 상단부의 립 (6a) 에 밀착된다. 이로써, 주출통형부 (6) 의 상단부가 액밀하게 유지되고, 오버 캡 (3) 을 장착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 (50) 중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속마개 (2) 의 개봉 후에 있어서의 개전ㆍ폐전의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오버 캡 (3) 에 있어서, 측면벽 (3a) 의 내측과 연결부 (3c) 의 외측에는, 암나사 (11a) 와 수나사 (10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측면벽 (3a) 에 형성된 암나사 (11a) 는, 용기 본체 (50) 의 입구부 (50a) 가 측면에 구비하고 있는 수나사 (11b) 와 쌍을 이루는 나사 결합부이다. 암나사 (11a) 와 수나사 (11b) 의 나사 결합에 의해, 오버 캡 (3) 이 용기 본체 (50) 의 입구부 (50a) 에 착탈할 수 있게 고정된다. 요컨대, 오버 캡 (3) 의 정역의 회전 동작에 의해, 용기 본체 (50) 를 착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부 (3c) 에 형성된 수나사 (10b) 는, 개구 예정부 (4) 에 형성된 제 1 나사 부재인 암나사 (10a) 와 쌍을 이루는 제 2 나사 부재이다. 수나사 (10b) 는, 오버 캡 (3) 의 개방 방향 즉 반시계 방향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암나사 (10a) 와 나사 결합하게 되고, 개구 예정부 (4) 를 뽑아 내듯이 잡아 당겨 속마개 (2) 로부터 잘라내어, 캡 (1) 의 개구 또는 개봉을 실시하는 개구 수단이다. 이하, 당해 개구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일방의 나사 결합부인 1 쌍의 나사 (10a, 10b) 와, 타방의 나사 결합부인 1 쌍의 나사 (11a, 11b) 가 서로 역방향의 관계로 되어 있다. 요컨대, 예를 들어, 수나사 (11b) 측이 우측 나사인 경우, 이에 대하여 수나사 (10b) 측은 좌측 나사가 된다. 이로써, 오버 캡 (3) 을 여는 방향 (반시계 방향) 으로 돌리면, 우측 나사인 1 쌍의 나사 (11a, 11b) 는,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좌측 나사인 1 쌍의 나사 (10a, 10b) 는, 반대로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관계에 의해, 암나사 (10a) 즉 개구 예정부 (4) 는, 오버 캡 (3) 의 이동보다 큰 비율로 도 1 의 지면 상방으로 이동한다. 요컨대, 오버 캡 (3) 의 개방 방향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개구 예정부 (4) 가 급속히 상방으로 당겨진다. 개봉된 후의 개구 예정부 (4) 는, 상부 뚜껑 (3) 에 유지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 (1) 의 개구 즉 개봉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오버 캡 (3) 의 개방 방향의 회전 동작에 의해, 1 쌍의 나사 (11a, 11b) 는,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느슨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1 쌍의 나사 (10a, 10b) 는,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 즉 나사 진행된다. 이로써, 오버 캡 (3) 이 서서히 상승함과 함께 개구 예정부 (4) 가 급속히 상방으로 당겨져, 도 1 과 같이 박형부로 되어 있는 스코어 (7) 를 따라 개구 예정부 (4) 가 속마개 (2) 의 주출통형부 (6) 로부터 잘라내어진다 (도 2 참조). 잘라내진 지점에 개구부 (OP) 가 형성됨으로써 속마개 (2) 가 개봉된다.
이 경우, 직경이 큰 오버 캡 (3) 의 회전 동작을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큰 모멘트를 얻을 수 있고, 1 쌍의 나사 (10a, 10b) 를 이용하여 개구 예정부 (4) 를 잡아 당겨 잘라내는 데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있다.
도 3a 는, 속마개 (2) 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여기서, 윤곽 (OL) 은, 도 1 의 박형부인 스코어 (7)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도 1 의 개구 예정부 (4), 즉 도 2 의 개구부 (OP) 의 형상은, 윤곽 (OL) 에 둘러싸인 영역에 상당하고, 당해 영역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속마개 (2) 의 개구 형상이다. 또한, 도 3a 에서는, 윤곽 (OL) 의 형상을 원형상으로 하고 있는데, 윤곽 (OL) 의 형상 즉 개구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윤곽 (OL) 의 내측의 영역에 도 1 등에 나타내는 1 쌍의 나사 (10a, 10b) 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 와 같이 윤곽 (OL) 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도면과 같이, 윤곽 (OL) 의 내부에 도 3a 와 동일하게 나사 구조 (10a, 10b) 를 형성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버 캡 (3) 의 개방 방향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개구 수단으로서 1 쌍의 나사 (10a, 10b) 의 체결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나사 진행시킴으로써, 개구 예정부 (4) 를 속마개 (2) 로부터 잘라내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면서, 상부 뚜껑인 오버 캡 (3) 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는 캡 (1) 의 개봉 즉 속마개 (2) 의 개봉을 할 수 있게 되어, 1 쌍의 나사 (10a, 10b) 의 나사 결합에 의해, 분리된 개구 예정부 (4) 는 상부 뚜껑 (3) 에 유지된다.
또한, 이 경우, 풀 링에 의한 개봉시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웰드 부분에서 풀 링이 끊어져 개구 불능이 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오버 캡 (3) 의 회전 동작에 의해 속마개 (2) 의 개봉을 실시하므로, 비교적 작은 힘으로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 (OP) 가 차지하는 영역에 나사 구조 (구체적으로는 나사 (10a, 10b) 등) 를 형성할 수 있으면 되므로, 예를 들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크기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소구경의 속마개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캡 (1) 디자인의 제한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개구 예정부 (4) 는, 속마개 (2) 의 개봉 후, 오버 캡 (3) 과 일체가 되므로, 개봉 후에 쓰레기를 내지 않고, 예를 들어 식탁에서 정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속마개 (2) 는, 타전식 복합 캡으로, 끼워 맞춤부 (5) 를 이용하여 타전에 의해 용기 본체 (50) 와 함께 내용물을 기밀 또는 액밀하게 봉입하는 것으로 하고 있는데, 타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크루식이나 용착에 의한 실링에 따라서도 용기 본체 (50) 의 내용물인 액체를 수납할 수 있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캡 (101) 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캡 (101) 은, 수지 성형되어 있고, 도 1 등에 나타내는 캡 (1) 의 부호와 동일 부호의 부재에 대해서는, 그 구조 등이 도 1 의 캡 (1) 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오버 캡 (103) 은, 추가로 개구 수단으로서 절단 부재인 슬리브 (9) 를 갖는다. 슬리브 (9) 는, 도 4 와 같이, 오버 캡 (103) 의 정점부를 형성하는 상단벽 (3b) 의 하면으로부터 수하 (垂下) 하는 환상의 돌기 형상으로, 그 하단부 (9a) 의 단면은, 예각의 날끝상 부분을 갖고 있고, 박형부로 되어 있는 스코어 (7) 에 맞닿음 또는 근접하고 있다.
도 5 는, 본 변형예에 관련된 캡 (1) 에 의한 개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 개봉에 있어서, 슬리브 (9) 는, 오버 캡 (103) 의 개방 방향 즉 반시계 방향의 회전 동작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지만, 그 이동은, 개구 예정부 (4) 의 변위보다 작다. 이 결과, 슬리브 (9) 는, 스코어 (7) 의 외측 부분인 수평벽 (8) 을 개구 예정부 (4) 로부터 하측으로 이간시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1 쌍의 나사 (10a, 10b) 의 작용에 더하여, 추가로 암나사 (10a) 의 상승에 수반하는 슬리브 (9) 의 작용에 따라서도 박형부인 스코어 (7) 에 힘이 더해진다. 이로써, 개구 예정부 (4) 의 잘라냄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슬리브 (9) 는 환상의 돌기 형상이고, 또한 그 하단부 (9a) 의 단면은 예각의 날끝상 부분을 갖는 것으로 하고 있는데, 슬리브 (9)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환상 또는 통상의 돌기부에 대해 그 하단부 (9a) 가 주기적으로 간헐적으로 맞닿음 또는 근접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하단부 (9a) 의 단면은, 예를 들어 톱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속마개 (2) 의 개봉 전에, 개구 예정부 (4) 의 측면부 (4b) 에 형성한 나사 (10a) 와, 오버 캡 (3) 의 연결부 (3c) 에 형성한 나사 (10b) 를 미리 나사 결합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지만, 속마개 (2) 의 개봉시에 오버 캡 (3) 의 회전에 의해 양나사 (10a, 10b) 의 나사 결합을 개시시킬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의 캡은, 비틀어서 개봉하는 타입의 것이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캡 (3) 의 개방 방향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1 쌍의 나사 (10a, 10b) 를,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나사 진행시켜, 개구 예정부 (4) 를 상방으로 당김으로써 속마개 (2) 의 개봉이 이루어지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반대로, 오버 캡의 폐쇄 방향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속마개 (2) 의 개봉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에 의한 개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수지 성형되는 본 실시형태의 캡 (201) 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한 설명에 사용한 도 1 혹은 도 4 등에 있어서의 부호와 동일 부호의 부재에 대해서는, 그 구조 등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특징으로서,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 수단 또는 분리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1 쌍의 나사 (210a, 210b) 와, 타방의 1 쌍의 나사 (211a, 211b) 가 서로 순방향의 관계로 되어 있다. 요컨대, 예를 들어, 수나사 (211b) 측이 우측 나사인 경우, 수나사 (210b) 측도 우측 나사이다. 따라서, 오버 캡 (203) 의 폐쇄 방향의 회전 동작 (시계 방향의 회전 동작) 에 의해, 1 쌍의 나사 (210a, 210b) 및 1 쌍의 나사 (211a, 211b) 는, 모두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회전 즉 나사 진행된다.
1 쌍의 나사 (210a, 210b) 와 1 쌍의 나사 (211a, 211b) 가 본 실시형태의 관계가 되는 경우, 암나사 (210a) 즉 개구 예정부 (204) 는, 오버 캡 (203) 의 이동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요컨대, 오버 캡 (203) 의 폐쇄 방향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개구 예정부 (204) 가, 상방으로 당겨지거나, 혹은, 하방으로 눌리거나 하게 된다. 이 때, 추가로 슬리브 (9) 가 오버 캡 (203) 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방으로 눌림으로써 박형부를 절단하는 작용이 더해진다. 이것에 의해, 개구 예정부 (204) 가 속마개 (202) 로부터 잘라내어진다 (도 6 참조). 잘라내어진 지점에 개구부 (OP) 가 형성됨으로써 속마개 (202) 가 개봉된다. 또한, 도 6 은, 개구 예정부 (204) 가 하방으로 눌리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데, 개구 예정부 (204) 의 이동이 상방으로 되는지 하방으로 되는지는, 1 쌍의 나사 (210a, 210b) 의 나사 결합 부분의 피치와, 1 쌍의 나사 (211a, 211b) 의 나사 결합 부분의 피치의 대소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암나사 (210a) 즉 개구 예정부 (204) 는, 오버 캡 (203) 의 이동시에 상방으로도 하방으로도 이동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각 나사 결합 부분의 피치는 서로 동등한 것이 되고, 슬리브 (9) 가 오버 캡 (203) 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방으로 눌림으로써 박형부가 절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 (9) 에 의한 작용 에 따라서도 속마개 (2) 의 개봉을 실시하고 있는데, 1 쌍의 나사 (210a, 210b)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한 작용에 따라서만 속마개 (2) 의 개봉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개구 예정부 (204) 전체를 소독ㆍ살균할 수 있고, 위생상의 문제 등이 없으면, 1 쌍의 나사 (210a, 210b) 를 형성하지 않고, 슬리브 (9) 에 의해서만 개구 예정부 (204) 를 눌러 자르고, 개구 예정부 (204) 를 용기 본체 (50) 내에 떨어뜨림으로써 속마개 (202) 의 개봉을 실시해도 된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추가로 스토퍼를 형성한 수지 성형되는 캡 (301) 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캡 (303) 이, 추가로 스토퍼 (SP) 를 구비한다. 스토퍼 (SP) 는, 오버 캡 (303) 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환상의 밴드이다. 오버 캡 (303) 과 스토퍼 (SP) 사이에는 스플리트 (ST) 가 형성되어 있고, 요컨대 KN 을 당김으로써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스토퍼 (SP) 는, 용기 본체 (50) 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스토퍼 (SP) 를 떼지 않으면, 오버 캡 (303) 을 더 이상 용기 본체 (50) 측으로 비틀어 넣는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에, 취급 업자 등이 잘못 사용시가 아닐 때에 오버 캡 (303) 을 회전시켜, 속마개 (202) 를 개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SP) 로서 오버 캡의 개방 방향의 회전 동작을 멈추는 기구를 갖는 것을 형성하면, 제 1 실시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로서 재캡시의 밀봉을 보강하기 위한 시일을 형성한 캡 (301) 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 캡 (303) 의 슬리브 (9) 의 하단부 (9a) 외주에 환상의 낮은 돌기인 시일 (SL) 을 형성하고 있다. 이 본 변형예의 경우, 스토퍼 (SP) 의 제거에 의해 오버 캡 (303) 을 처음으로 개봉한 후, 다시 오버 캡 (303) 을 용기 본체 (50) 측으로 비틀어 넣을 때, 시일 (SL) 이 수평벽 (8) 의 절단된 선단부에 강하게 밀착되어 시일성을 높일 수 있고, 재캡의 감각을 알기 쉬워진다.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일 (SL) 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오버 캡 (103, 203) 의 슬리브 (9) 에도 형성할 수 있다.
도 9 는, 도 8 의 변형예로서 다른 타입의 시일을 형성한 캡 (301) 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 캡 (303) 의 슬리브 (9) 의 하단부 (9a) 외주에 환상의 비교적 높은 돌기인 시일 (SL) 을 형성하고 있다. 이 본 변형예의 경우, 스토퍼 (SP) 의 제거에 의해 오버 캡 (303) 을 처음으로 개봉한 후, 다시 오버 캡 (303) 을 용기 본체 (50) 측으로 비틀어 넣을 때, 시일 (SL) 이 수평벽 (8) 을 넘어 수평벽 (8) 의 하측 즉 용기 본체 (50) 의 내부 공간 측에 도달한다. 이 때, 요컨대 재캡시에 시일 (SL) 의 반경 방향 외주가 주출통형부 (6) 의 내벽면에 밀착된다. 이로써, 슬리브 (9) 와 주출통형부 (6) 사이에 확실한 액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요컨대, 최초의 개봉 후에 반복되는 재사용시에 액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일 (SL) 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오버 캡 (103, 203) 의 슬리브 (9) 에도 형성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0 ∼ 도 13 은, 제 3 실시형태의 캡의 구조와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수지 성형되는 캡 (401) 에 있어서, 속마개 (402) 는, 본체부 (420) 로서 끼워 맞춤부 (405) 와 본체측 통상부 (406) 를 갖고 있다. 이 중, 본체측 통상부 (406) 는, 상기 실시형태의 주출통형부 (6) 와 동일한 역할을 갖고 있다. 이 본체부 (420) 는, 본체측 통상부 (406) 의 하방에 형성되는 끼워 맞춤부 (405) 의 내통부와, 이 내통부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통부에 의해 용기 본체 (450) 의 입구부 (450a) 를 사이에 오도록 하여 끼워 붙여지고 있다. 또한, 속마개 (402) 의 분리부 (404) 는, 본체측 통상부 (406) 에 대해 당해 본체측 통상부 (406) 의 두께만큼 내경측으로 오프셋시킨 분리부측 통상부 (404b) 를 구비하고 있고, 이 분리부측 통상부 (404b) 에는, 그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천정벽 (404c)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부측 통상부 (404b) 의 상단에는, 반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404d)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측 통상부 (406) 의 상단과, 분리부측 통상부 (404b) 의 하단이, 두께가 얇은 스코어 (407) 에 의해 연속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뚜껑으로서의 오버 캡 (403) 은, 상단벽 (403b) 의 하면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돌출부 (409) 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돌출부의 하단에, 플랜지 (404d) 에 걸어맞추는 갈고리 (409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오버 캡 (403) 은, 측면벽 (403a) 에 형성된 암나사 (11a) 와, 용기 본체 (450) 의 입구부 (450a) 가 측면에 형성된 수나사 (11b) 를 나사 결합부로서 갖고 있다. 또한, 오버 캡 (403) 은, 측면벽 (403a) 의 하단에, 버진 링 (BR) 을 구비하고 있다. 버진 링 (BR) 은, 환상의 밴드로, 적절한 지점에 절개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버 캡 (403)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450) 의 입구부 (450a) 에 나사 결합되고, 버진 링 (BR) 의 하단이 용기 본체 (450) 의 입구부 (450a) 의 주위면에 형성된 팽출부 (451) 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캡 (401) 에서는,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속마개 (405) 의 분리부 (402) 를 누를 수 있는 오버 캡 (403) 의 상단벽 (403b) 에 의해, 분리부 (404) 를 본체측 통상부 (406) 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오버 캡 (403) 에 형성된 돌출부 (409) 와, 분리부 (402) 에 형성한 플랜지 (404d) 에 의해, 분리부 (404) 를 오버 캡 (403) 측에 유지할 수 있고, 오버 캡 (403) 을 회전시키면서 실시하는 개봉에 수반하여, 분리부 (404) 를 속마개 (405) 로부터 분리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요컨대, 돌출부 (409), 플랜지 (404d), 상단벽 (403b) 등은, 분리부 (404) 에 걸어맞추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특히, 상단벽 (403b) 에 대해서는, 본체부 (420) 로부터 분리부 (404) 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수단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속마개 (402) 의 분리부 (404) 를 본체부 (420) 로부터 떼어내려면, 먼저, 오버 캡 (403) 을 조이는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진 링 (BR) 이 용기 본체 (450) 의 팽출부 (451) 에 의해 벌려지고, 그리고 측면벽 (403a) 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돌출부 (409) 가 속마개 (402) 의 플랜지 (404d) 에 끼워 맞춤하여, 갈고리 (409a) 가 플랜지 (404) 의 둘레 가장자리 하면에 걸어맞춘다. 요컨대, 분리부 (404) 가 오버 캡 (403) 측에 유지된다.
또한, 오버 캡 (403) 을 조이면, 속마개 (402) 의 분리부 (404) 가 오버 캡 (403) 의 상단벽 (403b) 에 의해 하방으로 밀어넣어진다. 그러면, 스코어 (407) 가 절단되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부 (404) 가 본체부 (420) 의 통상부 (406) 에 끼워 삽입된다. 요컨대, 분리부 (404) 가 본체부 (420) 로부터 떼어내어진다.
이 상태에서, 오버 캡 (403) 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캡 (403) 에 수반하여 속마개 (402) 의 분리부 (404) 가 본체부 (420) 의 통상부 (406) 로부터 이탈된다. 이로써, 속마개 (402) 는 개봉된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분리부측 통상부 (404b) 를 본체부측 통상부 (406) 보다, 본체부측 통상부 (406) 의 두께분만큼 내측으로 오프셋시켰을 경우의 속마개 (402) 를 나타내고 있는데, 분리부측 통상부 (404b) 를 본체부측 통상부 (406) 보다, 본체부측 통상부 (406) 의 두께분만큼 외측으로 오프셋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속마개 (402) 는, 본체측 통상부 (406) 와 분리부측 통상부 (404b) 를 스코어 (407) 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양 통상부 사이의 수밀을 도모하는데, 분리부측 통상부 (40) 를 본체측 통상부 (406) 에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필요한 수밀 상태가 얻어진다면, 스코어 (407) 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속마개 (402) 의 플랜지 (404d) 를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형성하고 있는데, 도 14 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플랜지 (404d) 를 반경 방향 내방을 향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리부측 통상부 (404b) 의 외주면과 본체측 통상부 (406) 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환상의 낮은 돌기인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일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부측 통상부 (404b) 와 본체측 통상부 (406) 사이에 확실한 액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요컨대, 최초의 개봉 후에 반복되는 재사용시에 액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5a ∼ 도 15c 는, 제 4 실시형태의 캡의 구조와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의 오버 캡은, 이른바 힌지캡식의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5a 에 나타내는 이 실시형태의 수지 성형되는 캡 (501) 에 있어서, 주된 구성을 이루는 오버 캡 (503) 및 속마개 (502) 중, 속마개 (502) 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 로 나타낸 속마개 (2) 등과 동등하다. 요컨대, 예를 들어, 속마개 (502) 는, 본체부 (520) 로서, 끼워 맞춤부 (505) 와, 본체측 통상부 (506) 를 갖고, 또한, 속마개 (502) 의 개봉시에 떼어내어지는 분리부 (504) 를 갖고 있는데, 이 중, 예를 들어, 본체측 통상부 (506) 는, 상기 실시형태의 주출통형부 (6) 와 동일한 구조 및 역할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자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오버 캡 (503) 은,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으로, 용기 본체 (550) 의 입구부 (550a) 나 속마개 (502) 에 걸어맞추는 장착부 (507) 와, 장착부 (507) 에 연결되는 개폐 뚜껑 (508) 을 갖는다. 여기에서, 개폐 뚜껑 (508) 은, 힌지부 (HG) 를 통하여 장착부 (507) 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개폐 뚜껑 (508) 은, 후술하는 속마개 (502) 의 개봉 동작을 실시한 후의 캡 (501) 의 사용에 있어서, 개구부를 덮는 폐상태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장착부 (507) 는, 측면벽 (507a) 의 내측에 암나사 (11a) 를 갖는다. 또한, 개폐 뚜껑 (508) 은, 상단벽 (503b) 과 연결부 (503c) 와 시일부 (503d) 를 갖고, 연결부 (503c) 의 외측에 수나사 (10b) 를 갖는다. 전자의 암나사 (11a) 는, 용기 본체 (550) 의 입구부 (550a) 가 측면에 구비하고 있는 수나사 (11b) 와 쌍을 이루는 나사 결합부이다. 한편, 후자의 수나사 (10b) 는, 분리부 (504) 에 형성된 암나사 (10a) 와 쌍을 이루고, 암나사 (10a) 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분리부 (504) 를 속마개 (502) 로부터 잘라내어, 캡 (501) 의 개구 또는 개봉을 실시하는 개구 수단이다. 여기에서는, 암나사 (10a) 와 암나사 (10a) 는 비틀어 넣어지는 일이 없으며,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끼워 얽혀져 있을 뿐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수나사 (10b) 는, 분리부 (504) 와 걸어맞추는 유지 수단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개폐 뚜껑 (508) 은 돔상의 외관을 형성하여, 속마개 (502) 를 먼지, 물기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의 속마개 (502) 의 개봉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b 는, 개봉을 실시한 상태의 캡 (501) 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 등의 경우과 동일하게, 나사 결합부인 1 쌍의 수나사 (11b) 와 암나사 (11a) 에 대해 비틀어 넣음을 실시함으로써, 분리부인 분리부 (504) 가 속마개 (502) 로부터 분리되어 개구부 (OP) 가 형성된다. 요컨대, 도 15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오버 캡 (503) 을 조이는 방향 즉 시계 회전 방향으로 비틂으로써, 분리부 (504) 에 형성된 암나사 (10a) 와 개폐 뚜껑 (508) 에 형성된 수나사 (10b) 가 나사 끼워 맞춤 즉 나사 결합된다. 이로써, 분리부 (504) 가 종이면 상방으로 뽑아내듯이 당겨져 개구부 (OP) 가 형성된다. 또한, 이 때, 도 15a 에 나타낸 버진 링 (BR) 이 용기 본체 (550) 의 팽출부에 의해 벌려지고, 그리고 측면벽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속마개 (502) 의 개봉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는, 개폐 뚜껑 (508) 에 의해,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501) 의 개구부 (OP) 를 덮는 폐상태와, 도 1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OP) 를 개방하는 개상태를 취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 속마개 (502) 의 개봉 동작시에 떼어내어진 분리부 (504) 는, 암나사 (10a) 와 수나사 (10b) 가 나사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 뚜껑 (508) 에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분리부 (504) 는, 개폐 뚜껑 (508) 에 유지되어 있고, 속마개 (502) 의 개봉 후에 개구부 (OP) 를 막을 수 있는 내측 시일 마개로서 기능한다.
〔제 5 실시형태〕
도 16a ∼ 도 16d 는, 제 5 실시형태의 캡의 구조와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수지 성형되는 캡 (601) 에 있어서, 속마개 (602) 는, 본체부 (620) 로서 끼워 맞춤부 (605) 와 본체측 통상부 (606) 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속마개 (602) 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낸 도 10 등에 나타내는 속마개 (402) 와 동등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오버 캡 (603) 은, 제 4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힌지캡식의 것으로, 제 4 실시형태의 오버 캡 (503) 과 동일하게, 용기 본체 (650) 의 입구부 (650a) 나 속마개 (602) 에 걸어맞추는 장착부 (607) 와 힌지부 (HG) 를 통하여 장착부 (607) 에 연결되는 개폐 뚜껑 (608) 을 갖는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오버 캡 (403) 와 동일하게, 오버 캡 (603) 의 일부인 개폐 뚜껑 (608) 은, 돌출부 (609) 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돌출부의 하단에 분리부 (604) 의 플랜지 (604d) 에 걸어맞추는 갈고리 (609a) 가 형성되어 있다. 오버 캡 (603) 의 일부인 장착부 (607) 에 대해서도, 제 3 실시형태의 오버 캡 (403) 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데,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부 (607) 는 하단부 내벽의 확경 (擴徑) 부의 적어도 1 지점에 돌기부 (TP) 를 갖는다. 이에 대하여, 용기 본체 (650) 는, 입구부 (650a) 의 암나사 (11a) 의 하방에, 원주상 단속적으로 단부 (BP) 를 갖고 있다. 단부 (BP) 위에 돌기부 (TP) 가 올라탄 상태로 됨으로써, 입구부 (650a) 의 암나사 (11a) 와 장착부 (607) 의 수나사 (11b) 가 깊게 비틀어 넣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의 속마개 (602) 의 개봉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b 는, 속마개 (602) 의 개봉을 실시하기 위해서 오버 캡 (603) 을 비틂 (예를 들어 반회전시킨다) 으로서, 돌기부 (TP) 와 원주상 단속적으로 형성된 단부 (BP) 가 겹치지 않게 위치 맞춤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경우, 오버 캡 (603) 의 장착부 (607) 의 내벽에 형성된 단차상의 맞닿음부 (WA) 가 단부 (BP) 위에 올라가는 위치까지 오버 캡 (603) 전체를 밀어넣을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오버 캡 (603) 의 회전 동작에 의해 분리부 (604) 를 속마개 (602) 로부터 분리하여 개구부 (OP) (도 16d 참조) 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돌기부 (TP) 와 단부 (BP) 는, 오버 캡 (603) 의 회전 동작에 의해 위치 맞춤을 실시하고, 압입를 실시함으로써 개구부 (OP) 를 형성하기 위한 압입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돌기부 (TP) 와 단부 (BP) 는, 속마개의 부주의한 개봉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 동작과 압입 동작에 의해 비교적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개구부 (OP) 의 형성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6c 는, 오버 캡 (603) 이 밀어넣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압입 동작에 의해 속마개 (602) 의 분리부 (604) 가 본체부 (620) 로부터 떼어내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압입 동작에 의해 돌출부 (609) 가 속마개 (602) 의 플랜지 (604d) 에 끼워 맞춤하여, 갈고리 (609a) 가 플랜지 (604) 의 둘레 가장자리 하면에 걸어맞춤하고, 또한 오버 캡 (603) 의 상단벽 (603b) 에 의해 하방에 밀어넣어진다. 이상에 의해, 속마개 (602) 의 분리부 (604) 가 본체부 (620) 로부터 떼어내어진다. 또한, 이 때, 장착부 (607) 가 용기 본체 (650) 에 걸어맞춤된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속마개 (602) 의 개봉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는, 개폐 뚜껑 (608) 에 의해, 도 1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601) 의 개구부 (OP) 를 덮는 폐상태와, 도 16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OP) 를 개방하는 개상태를 취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 속마개 (602) 의 개봉 동작시에 떼어내어진 분리부 (604) 는, 개폐 뚜껑 (608) 의 돌출부 (609) 에 끼워 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 뚜껑 (608) 에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부 (604) 는, 속마개 (602) 의 개봉 후에 개구부 (OP) 를 막을 수 있는 내측 시일 마개로서 기능한다.
〔제 6 실시형태〕
도 17 은, 제 6 실시형태의 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 (701) 은, 속마개 (702) 와 상부 뚜껑인 오버 캡 (703) 을 구비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 (701) 은 수지 성형되어 있고, 속마개 (702) 와 오버 캡 (703) 이, 1 물품으로서 일체 성형된 것으로 되어 있다.
속마개 (702) 는, 분리부 (704) 와 본체부 (720) 와 본체측 통상부 (706)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 (720) 는, 끼워 맞춤부 (705) 와 본체측 통상부 (706) 를 갖고 있다. 속마개 (702) 는, 용기 본체 (750) 와 함께 내용물을 기밀 또는 액밀하게 봉입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본체측 통상부 (706) 은, 전체적으로 원통상이지만, 상단부에 있어서 외경이 증대되는 형상을 갖고, 용기 본체 (750) 내의 액체를 따를 때의 액 끊김을 좋게 한다.
또한, 분리부 (704) 는, 본체측 통상부 (706) 에 대해 당해 본체측 통상부 (706) 의 두께만큼 내경측으로 오프셋시킨 분리부측 통상부 (704b) 를 구비하고 있고, 이 분리부측 통상부 (704b) 에는, 그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천정벽 (704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부측 통상부 (704b) 의 상단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704d)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측 통상부 (706) 의 상단과, 분리부측 통상부 (704b) 의 하단이 두께가 얇은 스코어 (SC1) 에 의해 연속 형성되어 있다. 이 분리부 (704) 는, 스코어 (SC1) 를 따라 속마개 (702) 의 개봉시에 잘라내어지고, 본체부 (720) 가 입구부 (750a) 측에 남음으로써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끼워 맞춤부 (705) 는, 용기 본체 (750) 의 입구부 (750a) 에 속마개 (702) 를 끼워 맞춤ㆍ고정시키기 위한 끼워 맞춤부재이다. 끼워 맞춤부 (705) 에 의한 끼워 맞춤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본체부 (720) 는 본체측 통상부 (706) 의 하방으로 연장된 끼워 맞춤부 (705) 의 내통부와, 이 내통부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통부에 의해 용기 본체 (750) 의 입구부 (750a) 를 사이에 오도록 하여 끼워서 장착되고 있다.
다음으로, 속마개 (702) 중, 상부 뚜껑인 오버 캡 (703) 은, 힌지캡식의 것으로, 속마개 (702) 에 걸어맞추는 장착부 (707) 와 힌지부 (HG) 를 통하여 장착부 (707) 에 연결되는 개폐 뚜껑 (708) 을 갖는다.
여기에서, 개폐 뚜껑 (708) 은, 힌지부 (HG) 를 통하여 장착부 (707) 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속마개 (702) 의 개봉 동작을 실시한 후의 캡 (701) 의 사용시에, 요컨대, 최초의 개봉 후의 재사용 개폐시에, 개구부를 덮는 폐상태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장착부 (707) 는, 측면벽 (703a) 의 내측에 암나사 (11a) 를 갖는다. 암나사 (11a) 는, 용기 본체 (750) 의 입구부 (750a) 가 측면에 구비하고 있는 수나사 (11b) 와 쌍을 이루는 나사 결합부이다. 또한, 개폐 뚜껑 (708) 은, 돔상의 외관을 형성하여, 속마개 (502) 를 먼지, 물기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또한, 오버 캡 (703) 의 일부인 개폐 뚜껑 (708) 은, 돌출부 (709) 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돌출부의 하단에 분리부 (704) 의 플랜지 (704d) 에 걸어맞추는 갈고리 (709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버 캡 (703) 의 일부인 장착부 (707) 는, 측면벽 (703a) 의 하단에 버진 링 (BR) 을 구비하고 있다. 버진 링 (BR) 은, 환상의 밴드로, 적절한 지점에 절개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버 캡 (703) 은,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750) 의 입구부 (750a) 에 나사 결합되고, 버진 링 (BR) 의 하단이 용기 본체 (750) 의 입구부 (750a) 의 주위면에 형성된 팽출부 (751) 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버 캡 (703) 의 장착부 (707) 의 내주면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돌기부 (707a) 와, 속마개 (702) 의 끼워 맞춤부 (705) 의 상단부 외주가, 두께가 얇은 스코어 (SC2) 에 의해 연속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속마개 (702) 와 오버 캡 (703) 은, 1 물품으로서 일체 성형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 (707) 는 암나사 (11a) 의 수나사 (11b) 에 대한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두께가 얇은 스코어 (SC2) 를 따라 속마개 (702) 로부터 떼어내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캡 (701) 에서는,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속마개 (702) 의 분리부 (704) 를 누를 수 있는 오버 캡 (703) 의 상단벽 (703b) 에 의해, 분리부 (704) 를 본체측 통상부 (706) 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오버 캡 (703) 에 형성된 돌출부 (709) 와, 분리부 (702) 에 형성한 플랜지 (704d) 에 의해, 분리부 (704) 를 오버 캡 (703) 측에 유지할 수 있고, 오버 캡 (703) 을 회전시키면서 실시하는 속마개 (702) 의 개봉에 수반하여, 분리부 (704) 를 속마개 (705) 로부터 분리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요컨대, 돌출부 (709), 플랜지 (704d), 상단벽 (703b) 등은 분리부 (704) 에 걸어맞추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특히, 상단벽 (703b) 에 대해서는, 본체부 (720) 로부터 분리부 (704) 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수단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도 18a, 도 18b 는 속마개 (702) 의 개봉 동작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8a, 도 18b 를 이용하여 속마개 (702) 의 개봉 동작을 설명한다.
속마개 (702) 의 분리부 (704) 를 본체부 (720) 로부터 떼어내려면, 먼저, 오버 캡 (703) 을 조이는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진 링 (BR) 이 용기 본체 (750) 의 팽출부 (751) 에 의해 벌려져 측면벽 (703a) 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돌출부 (709) 가 속마개 (702) 의 플랜지 (704d) 에 끼워 맞춤하여, 갈고리 (709a) 가 플랜지 (704) 의 둘레 가장자리 하면에 걸어맞춘다. 요컨대, 분리부 (704) 가 오버 캡 (703) 측에 유지된다.
또한, 오버 캡 (703) 을 조이면, 속마개 (702) 의 분리부 (704) 가 오버 캡 (703) 의 상단벽 (703b) 에 의해 하방으로 밀어넣어진다. 그러면, 스코어 (SC1) 가 절단되어, 분리부 (704) 가 본체부 (720) 의 통상부 (706) 에 끼워 삽입된다. 요컨대, 분리부 (704) 가 본체부 (720) 로부터 떼어내어진다.
또한, 오버 캡 (703) 을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스코어 (SC2) 가 절단되어, 오버 캡 (703) 의 장착부 (707) 가 속마개 (702) 로부터 떼어내어진다. 이 때, 장착부 (707) 는, 암나사 (11a) 와 수나사 (11b) 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용기 본체 (750) 에 걸어맞추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속마개 (702) 의 개봉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는, 개폐 뚜껑 (708) 에 의해, 도 1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701) 의 개구부 (OP) 를 덮는 폐상태와, 도 1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OP) 를 개방하는 개상태를 취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 속마개 (702) 의 개봉 동작시에 떼어내어진 분리부 (704) 는, 개폐 뚜껑 (708) 의 돌출부 (709) 에 끼워 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 뚜껑 (708) 에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부 (504) 는, 속마개 (702) 의 개봉 후에 개구부 (OP) 를 막을 수 있는 내측 시일 마개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형태에서는, 분리부측 통상부 (404b) 를 본체부측 통상부 (406) 보다, 본체부측 통상부 (706) 의 두께분만큼 내측으로 오프셋시켰을 경우의 속마개 (702) 를 나타내고 있는데, 분리부측 통상부 (704b) 를 본체부측 통상부 (706) 보다, 본체부측 통상부 (706) 의 두께분만큼 외측으로 오프셋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형태의 속마개 (702) 는, 본체측 통상부 (706) 와 분리부측 통상부 (704b) 를 스코어 (SC1) 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양 통상부 사이의 수밀 즉 액밀을 도모하고 있지만, 분리부측 통상부 (704b) 를 본체측 통상부 (706) 에 끼워 맞추게 함으로써, 필요한 수밀 상태 즉 액밀 상태가 얻어진다면, 스코어 (707) 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리부측 통상부 (704b) 의 외주면과 본체측 통상부 (706) 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환상의 낮은 돌기인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일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부측 통상부 (704b) 와 본체측 통상부 (706) 사이에 확실한 액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요컨대, 최초의 개봉 후에 반복되는 재사용시에 액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힌지식의 캡에 대해서는, 속마개의 개봉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도 19a, 도 1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폐 뚜껑 (708) 등의 뚜껑을 여는 동작을 억지하기 위한 걸림 수단으로서 띠상의 커버 부재 (CP) 를 이용해도 된다. 요컨대, 이 경우, 커버 부재 (CP) 를 도 19b 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 벗기지 않으면 개폐 뚜껑 (708) 을 개봉할 수 없게 되어 있고, 이로써, 개봉 전에 오동작이나 장난 등에 의해 뚜껑을 여는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캡에 의한 밀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20a ∼ 도 20h 는, 제 7 실시형태의 캡의 구조와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 도 20c 는, 오버 캡의 천정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0d ∼ 도 20g 는, 캡의 개봉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h 는, 오버 캡의 하단에 형성된 버진 링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캡 (801) 은, 수지 성형되어 있고, 예를 들어 도 20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마개 (802), 오버 캡 (803) 등을 구비하는데, 버진 링 (BR) 및 용기 본체 (850) 의 구조를 제외하고,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캡 (401) 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캡 (803) 의 천정면에는, 사용자에게 개전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표시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오버 캡 (403) 의 천정면에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용기 본체 (850) 에는, 도 20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 (851) 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의 돌기상의 래칫 (RT) 이 환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에 대하여, 캡 (801) 의 버진 링 (BR) 은, 래칫 (RT) 의 간격에 대응하여, 도 20h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면측을 따라 환상으로 등간격으로 갈고리 (NL)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래칫 (RT) 과 갈고리 (NL) 는, 래칫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캡 (801) 은, 버진 링 (BR) 의 갈고리 (NL) 에 의해, 래칫 (RT) 과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용기 본체 (850) 에 걸려 있고, 당해 래칫 구조에 의해, 캡 (801) 은, 속마개 (802) 의 개봉시에 있어서 회전 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래칫 (RT) 과 갈고리 (NL) 는 회전 동작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을 한정하는 회전 억지 기구로서 기능하는 것이 된다.
이하, 도 20e, 도 20f 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캡 (801) 의 개봉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0e 에 있어서, 속마개 (802) 의 분리부 (804) 를 본체부 (820) 로부터 떼어내려면 , 오버 캡 (803) 을 조이는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래칫 (RT) 과 갈고리 (NL) 에 의한 래칫 구조 때문에, 오버 캡 (803) 의 회전은, 시계 회전 방향으로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예를 들어 용기 본체 (850) 의 측면에 부착되는 라벨 등에는 최초의 개봉에 대해서는 번호 1 이 표기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돌리는 취지의 설명이 있고 (도시하지 않음), 사용자는, 이 기재를 참조함으로써, 도 2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캡 (803) 에 번호 표시된 화살표 방향 중 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FD) 의 방향이 최초의 개봉을 위한 회전 방향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오버 캡 (803) 을 조이면, 도 20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진 링 (BR) 은 하방으로 이동하여 용기 본체 (850) 의 팽출부 (851) 을 타고넘으면서 벌려진다. 또한, 이 때, 돌출부 (809) 가 플랜지 (804d) 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분리부 (804) 가 오버 캡 (803) 측에 유지된다.
또한, 오버 캡 (803) 을 조이면, 도 20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진 링 (BR) 이 완전하게 팽출부 (851) 을 타고넘어, 오버 캡 (803) 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이탈한다. 또한, 이 때, 속마개 (802) 의 분리부 (804) 는, 하방으로 밀어넣어져 분리부 (804) 가 본체부 (820) 로부터 떼어내어진다.
이와 같이, 버진 링 (BR) 이 오버 캡 (803) 으로부터 이탈하면, 오버 캡 (803) 은, 래칫 (RT) 에 의해 회전 방향이 제한되는 일이 없어져, 개봉시와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앞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은 설명에 따라, 이번에는 도 20c 에 나타내는 화살표 (SD)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20g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캡 (803) 에 수반하여 속마개 (802) 의 분리부 (804) 가 본체부 (820) 로부터 이탈된다. 이상과 같은 화살표 (FD, SD) 에 대응하는 2 단계의 동작에 의해, 속마개 (802) 는 개봉된다. 또한, 이로써, 도 20g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OP) 가 형성된다. 또한, 개봉 후, 다시 오버 캡 (803) 을 고쳐 조였을 때에는, 도 20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로 돌아와, 개구부 (OP) 는 분리부 (804) 에 의해 막힌다.
이상과 같이, 용기 본체 (850) 의 래칫 (RT) 과, 오버 캡 (803) 의 갈고리 (NL) 에 의해 개봉을 위한 최초의 회전 동작에 있어서의 회전의 방향을 일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 불능으로 함으로써, 개봉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버 캡 (803) 의 천정면에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형태 등에 있어서 나타낸 힌지식의 캡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상기 서술한 래칫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1a ∼ 도 21e 는,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캡 (801) 을 사용한 뚜껑 부착 용기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a 는, 캡 (801) 의 속마개 (802) 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21b 는, 캡 (801) 의 용기 본체 (850) 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c ∼ 도 21e 는, 캡 (801) 을 사용한 뚜껑 부착 용기 (1000)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 에 나타내는 분리부 (804) 를 구비하는 속마개 (802) 는, 도 21b 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 (850) 와 함께, 용기 본체 (850) 에 수납된 내용물인 액체를 봉입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밀폐 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850) 에 도 21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캡 (803) 이 장착된다. 이 때, 오버 캡 (803) 은, 버진 링 (BR) 이 래칫 (RT) 에 의해 걸리지만, 조여지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멈추어 있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개봉 전의 뚜껑 부착 용기 (1000) 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도 21c 는, 상기 서술한 캡 (801) 의 최초의 개봉을 실시한 후의 상태에서의 뚜껑 부착 용기 (1000)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요컨대, 도 21e 와 도 21c 는, 캡 (801) 의 최초의 개봉 전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1d 는 이들을 비교한 것이다. 또한, 도 21c ∼ 도 21e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초의 개봉 후에 있어서는, 최초의 개봉을 위해 오버 캡 (803) 이 시계 방향의 비틀림에 의해 조여진 밀봉 위치까지 오버 캡 (803) 을 조임으로써, 캡 (801) 의 분리부 (804) 가, 속마개 (802) 의 개봉 후에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내측 시일 마개로서 기능한다.
도 22a ∼ 도 22c 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 도 2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나사 (911a) 및 수나사 (911b) 에 의해 구성되는 나사 결합부가, 통상과는 반대의 좌측 나사로 되어 있다. 요컨대, 이 경우,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회전 동작의 방향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진 링 (BR) 에 형성되는 갈고리 (NL) 의 방향도 상기 서술한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되어 있고, (도 20h 참조), 이로써, 수지 성형되는 오버 캡 (903) 은, 개봉시의 최초의 동작을 실시할 때에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요컨대, 이 경우, 통상적인 캡에서는 캡을 여는 동작이 되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오버 캡 (903) 이 조여지게 된다. 또한, 이 때문에, 도 22a 에 나타내는 화살표 (FD, SD) 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도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 1 과 2 의 표시가 도 20a 에 나타내는 경우와는 엇갈려 있다. 이 경우, 개봉의 회전 방향이, 상기 서술한 개봉에서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된다. 이로써, 결과적으로 개봉을 위한 최초의 회전 동작의 방향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할 수 있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형태 등에 있어서 나타낸 힌지식의 캡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나사 결합부의 조임 회전 방향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1)

  1. 용기 본체와 함께 내용물을 봉입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 공간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분리부를 갖는 속마개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와의 착탈을 할 수 있게 하는 나사 결합부와, 상기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분리부를 상기 속마개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분리부의 분리시에 당해 분리부에 걸어맞추는 유지 수단을 갖는 상부 뚜껑을 구비하는 캡으로서,
    상기 속마개는, 중앙에 상기 분리부에 의해 폐색되는 상부 개구를 갖고 당해 상부 개구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 연속 형성됨과 함께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걸리는 본체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는, 상부 개구를 구획하는 본체측 통상부를 갖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본체측 통상부에 대해 두께만큼 내경측 및 외경측 중 어느 일방에 오프셋시킨 분리부측 통상부를 갖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봉 전에 상기 상부 뚜껑의 상단벽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봉시에 상기 상부 뚜껑의 상단벽에 의해 하방으로 밀어넣어지는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부에 플랜지를 갖고,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상부 뚜껑의 상단벽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당해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걸어맞출 수 있는 갈고리를 갖고,
    상기 갈고리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봉시에 상기 플랜지에 걸어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결합부에 의한 회전 동작에 의해 위치 맞춤이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맞춤에 의해 상기 상부 뚜껑의 압입을 할 수 있게 하고, 당해 압입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압입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뚜껑은, 상기 속마개의 주변 또는 용기 본체에 걸어맞추는 장착부와,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장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개봉 후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폐상태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개폐 뚜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는, 떼어내져야 할 상기 분리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상기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나사 결합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속마개로부터 떼어내짐과 함께 상기 나사 결합부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 걸어맞출 수 있는 캡.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와 상기 상부 뚜껑은, 일 물품으로서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형성을 위한 상기 회전 동작의 방향을 시계 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 중 어느 일방향에 대해서만 가능하게 하고,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지하는 회전 억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와 당해 분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측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두께가 얇아진 스코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개봉 후에 상기 개구부를 봉지할 수 있게 하는 내측 시일 마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1. 용기 본체를 구성하고, 내용물인 액체를 수납하는 보틀과,
    상기 보틀의 입구부에 형성되는 제 1 항 기재된 캡을 구비하는 뚜껑 부착 용기.
KR1020127014382A 2006-04-28 2007-04-27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KR101258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6161 2006-04-28
JPJP-P-2006-126161 2006-04-28
JPJP-P-2006-327006 2006-12-04
JP2006327006 2006-12-04
PCT/JP2007/059192 WO2007126062A1 (ja) 2006-04-28 2007-04-27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011A Division KR101189120B1 (ko) 2006-04-28 2007-04-27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509A KR20120083509A (ko) 2012-07-25
KR101258382B1 true KR101258382B1 (ko) 2013-05-07

Family

ID=3865558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011A KR101189120B1 (ko) 2006-04-28 2007-04-27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KR1020137002127A KR20130023374A (ko) 2006-04-28 2007-04-27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KR1020117003535A KR20110022739A (ko) 2006-04-28 2007-04-27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KR1020127014382A KR101258382B1 (ko) 2006-04-28 2007-04-27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9011A KR101189120B1 (ko) 2006-04-28 2007-04-27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KR1020137002127A KR20130023374A (ko) 2006-04-28 2007-04-27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KR1020117003535A KR20110022739A (ko) 2006-04-28 2007-04-27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235232B2 (ko)
EP (1) EP2020385B1 (ko)
JP (3) JP5159614B2 (ko)
KR (4) KR101189120B1 (ko)
CN (2) CN101535143B (ko)
HK (2) HK1137713A1 (ko)
RU (1) RU2403192C2 (ko)
WO (1) WO2007126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120B1 (ko) 2006-04-28 2012-10-16 도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JP5217730B2 (ja) * 2008-07-25 2013-06-19 凸版印刷株式会社 易開封性プラスチック容器
JP5182811B2 (ja) * 2008-08-29 2013-04-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き容器
JP5321896B2 (ja) * 2009-05-29 2013-10-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め替え容器
JP5496547B2 (ja) * 2009-05-29 2014-05-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栓
JP5252305B2 (ja) * 2009-05-29 2013-07-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め替え容器
IT1394565B1 (it) * 2009-06-23 2012-07-05 Silvia Ferrari Tappo a vite per recipienti contenenti prodotti liquidi
BRPI0924508A2 (pt) 2009-06-26 2016-03-01 Sidel Spa máquina e método de engarrafamento de líquidos, particularmente para líquidos carbonatados ou líquidos sensíveis a oxigênio.
EP2512934B1 (en) 2009-12-14 2014-09-2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Open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packaging container provided with said opening device
JP5368336B2 (ja) * 2010-02-08 2013-12-18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キャップ付容器
JP5613440B2 (ja) * 2010-04-15 2014-10-22 東罐興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JP5916988B2 (ja) * 2010-09-29 2016-05-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容器
JP6002361B2 (ja) * 2010-10-22 2016-10-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JP5645213B2 (ja) * 2010-11-26 2014-12-24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WO2012080766A1 (en) * 2010-12-13 2012-06-21 Elocap Ltd Assembly for obturating a container
JP5801596B2 (ja) * 2011-04-20 2015-10-28 東罐興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JP5777969B2 (ja) * 2011-07-29 2015-09-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中栓および容器
JP5877557B2 (ja) * 2012-01-27 2016-03-0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ヒンジキャップ
JP5204320B1 (ja) * 2012-01-31 2013-06-05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バージンキャップ付き容器
ES2621535T3 (es) * 2012-02-22 2017-07-0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ierre para un recipiente de un producto vertible
US8794364B2 (en) * 2012-06-14 2014-08-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cking cap for a fluid reservoir
JP6057848B2 (ja) * 2012-08-31 2017-01-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抜栓キャップ
JP6073100B2 (ja) * 2012-09-27 2017-02-01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用のキャップ
US9963263B2 (en) * 2013-01-25 2018-05-08 Tokan Kogyo Co., Ltd. Container sealing device
WO2014115856A1 (ja) 2013-01-25 2014-07-31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の封止装置
JP6144056B2 (ja) * 2013-01-25 2017-06-07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の封止装置
JP6108866B2 (ja) * 2013-02-22 2017-04-05 三笠産業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US10773869B2 (en) 2013-04-29 2020-09-15 Clariant Production (France) S.A.S. Cap for a container
US9862528B2 (en) 2013-07-12 2018-01-09 Tokan Kogyo Co., Ltd. Cap assembly and method for capping same
US20160167849A1 (en) * 2013-07-12 2016-06-16 Tokan Kogyo Co., Ltd. Cap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6177677B2 (ja) * 2013-12-06 2017-08-09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の封止装置
JP6509741B2 (ja) * 2013-12-06 2019-05-08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の封止装置
JP6370161B2 (ja) * 2014-08-22 2018-08-08 三笠産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6340294B2 (ja) * 2014-09-16 2018-06-06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
JP6460764B2 (ja) * 2014-12-09 2019-01-30 三笠産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6469478B2 (ja) * 2015-02-27 2019-02-13 東罐興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6449705B2 (ja) * 2015-03-31 2019-01-09 東罐興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6548440B2 (ja) * 2015-04-15 2019-07-24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容器及びキャップ
JP6434358B2 (ja) * 2015-04-22 2018-12-05 東罐興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6532784B2 (ja) * 2015-07-24 2019-06-19 東罐興業株式会社 中栓付き容器
EP3153415B1 (en) * 2015-10-05 2018-09-1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n apparatus for capping a container
KR200480236Y1 (ko) * 2016-01-07 2016-04-29 (주)수성인투 음료수병의 병마개구조
MX2018009017A (es) * 2016-02-01 2018-09-28 Nestec Sa Unidad de tapa de cierre.
JP6713206B2 (ja) * 2016-04-27 2020-06-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用吐出キャップ
ES2589357B1 (es) * 2016-06-28 2017-09-06 Edgar ARRIBAS GILABERT Tapón
WO2018105709A1 (ja) * 2016-12-09 2018-06-14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用のキャップ
JP6846960B2 (ja) * 2017-03-13 2021-03-24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CN110869288B (zh) * 2017-06-30 2021-11-19 日本克乐嘉制盖株式会社 塑料盖及其制造方法
US10258710B1 (en) 2017-09-22 2019-04-1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for holding volatile materials
JP2019059531A (ja) * 2017-09-27 2019-04-18 東罐興業株式会社 封止装置
JP6902445B2 (ja) * 2017-09-27 2021-07-14 東罐興業株式会社 封止装置
CN107554956A (zh) * 2017-09-30 2018-01-09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具有免开启上盖而解封的容器盖
CN107892084A (zh) * 2017-12-12 2018-04-10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侧口自动伸缩盖
KR101993214B1 (ko) * 2018-01-15 2019-06-27 주식회사 대웅제약 커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용기
KR101993215B1 (ko) * 2018-01-15 2019-06-27 주식회사 대웅제약 커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용기
CN108313498A (zh) * 2018-02-02 2018-07-24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开启及密封便捷的容器封盖
CN108190230B (zh) * 2018-03-06 2023-12-05 成都三勒浆药业集团四川华美制药有限公司 一种具有存储腔的组合瓶盖
JP7202072B2 (ja) * 2018-03-07 2023-01-11 東罐興業株式会社 封止装置
CN108408183B (zh) * 2018-03-27 2024-03-08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容器的封盖组件及容器
JP7257148B2 (ja) * 2019-01-16 2023-04-13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153507A1 (ko) * 2019-01-21 2020-07-30 주식회사 대웅제약 커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용기
JP2019069822A (ja) * 2019-01-31 2019-05-09 東罐興業株式会社 中栓付き容器
CN110104328B (zh) * 2019-06-06 2020-07-14 湖州海明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开启塑封膜的杯体与开启机构
BR112022013089A2 (pt) * 2020-04-09 2022-12-0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Bico para uma embalagem, conjunto de tampa e bico, e, embalagem
KR102376266B1 (ko) * 2020-06-10 2022-03-21 삼화왕관주식회사 용기 마개
JP6913259B1 (ja) * 2021-01-14 2021-08-04 竹本容器株式会社 抜栓キャップ
JP7475307B2 (ja) 2021-03-31 2024-04-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移行栓キャップ
CN114537881B (zh) * 2022-03-10 2024-01-02 普瑞派医用新材料(无锡)有限公司 一种分离存储内容物的瓶盖以及可蒸煮的杀菌瓶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4567A (en) * 1915-09-14 1917-07-24 Edward J Quigley Soft collar.
JPS5628117Y2 (ko) * 1974-05-02 1981-07-04
JPS50149452U (ko) * 1974-05-27 1975-12-11
JPS517356U (ko) * 1974-07-06 1976-01-20
US4111325A (en) * 1977-03-14 1978-09-05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ealed closure for plastic container with interlocking protective outer closure
FR2407141A1 (fr) * 1977-10-28 1979-05-25 Cebal Dispositif d'inviolabilite pour recipient dont le goulot est ferme par une capsule vissee
JPS5590559U (ko) * 1978-12-18 1980-06-23
US4434904A (en) * 1980-06-09 1984-03-06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Bottle closure
EP0050490B1 (en) * 1980-10-17 1986-08-27 U.G. CLOSURES & PLASTICS LIMITED Sterile pack
US4723687A (en) * 1981-03-16 1988-02-09 Franz Kutterer Tube with screw cap
US4405053A (en) * 1981-04-27 1983-09-20 Abbott Laboratories Tamperproof closure system for plastic containers
US4402417A (en) * 1981-12-28 1983-09-06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Bottle opening ring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US4494663A (en) * 1984-01-05 1985-01-22 Abbott Laboratories Sterile solution container
JPS6197145U (ko) * 1984-11-29 1986-06-21
DE8502008U1 (de) * 1985-01-26 1985-08-29 Celamerck Gmbh & Co Kg, 6507 Ingelheim Verschlußkappe für Zweikomponentenpackungen
GB8505237D0 (en) * 1985-02-28 1985-04-03 Schering Chemicals Ltd Bottles
US4874101A (en) * 1987-05-21 1989-10-17 Zalut Gregory J Tamper evident cap
US4747501A (en) * 1987-07-08 1988-05-31 National Plastics Limited Container closure method
GB8716514D0 (en) * 1987-07-14 1987-08-19 Waverley Pharma Ltd Bottle caps
US5295518A (en) * 1988-10-14 1994-03-22 Elkay Manufacturing Company Two-piece hygienic cap with resealable plug and tearable skirt with pull tab
JP3030824B2 (ja) * 1990-11-14 2000-04-10 大下産業株式会社 キャップ構造
JP2975670B2 (ja) * 1990-11-14 1999-11-10 大下産業株式会社 キャップ構造
JP3241861B2 (ja) * 1993-04-02 2001-12-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器又は注出キャップ
US5482176A (en) * 1994-03-16 1996-01-09 The West Company, Incorporated Membrane piercing closure and spout assembly
JP3535225B2 (ja) 1994-08-16 2004-06-07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打栓式複合キャップ
ES2267703T3 (es) * 2001-05-29 2007-03-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Dispositivo de apertura cerrable para envases obturados de productos alimenticios que se pueden verter.
US7308988B2 (en) * 2002-12-02 2007-12-18 Kao Corporation Cap
CN2639212Y (zh) * 2003-05-01 2004-09-08 杭州娃哈哈集团有限公司 旋插式瓶盖
JP2005088997A (ja) 2003-08-14 2005-04-07 Masayuki Makita ボトルキャップ
JP2005082203A (ja) 2003-09-09 2005-03-31 Mitani Valve Co Ltd ネジキャップ着脱機構およびそのためのネジキャップ
KR20040096997A (ko) 2004-10-11 2004-11-17 이정민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내마개 작동형 배출대
KR101189120B1 (ko) 2006-04-28 2012-10-16 도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120B1 (ko) 2012-10-16
EP2020385A4 (en) 2011-04-27
HK1157299A1 (en) 2012-06-29
WO2007126062A1 (ja) 2007-11-08
KR20090051004A (ko) 2009-05-20
JP2015091724A (ja) 2015-05-14
RU2008146985A (ru) 2010-06-10
RU2403192C2 (ru) 2010-11-10
KR20120083509A (ko) 2012-07-25
CN101535143B (zh) 2012-07-04
EP2020385B1 (en) 2013-01-09
CN102114937A (zh) 2011-07-06
US8235232B2 (en) 2012-08-07
HK1137713A1 (en) 2010-08-06
CN101535143A (zh) 2009-09-16
JP5159614B2 (ja) 2013-03-06
KR20110022739A (ko) 2011-03-07
KR20130023374A (ko) 2013-03-07
JP2012210982A (ja) 2012-11-01
US20090308834A1 (en) 2009-12-17
EP2020385A1 (en) 2009-02-04
CN102114937B (zh) 2013-11-06
JPWO2007126062A1 (ja) 2009-09-10
US20120285922A1 (en) 2012-11-15
US8496129B2 (en) 2013-07-30
JP5856319B2 (ja) 201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382B1 (ko) 캡 및 뚜껑 부착 용기
EP2949596B1 (en) Container sealing device
JP5804847B2 (ja) キャップ
JP5613440B2 (ja)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JP5086465B2 (ja) 容器用キャップ
JP6410652B2 (ja) 中栓付きヒンジキャップ
EP2915585A1 (en) Tamper-evident closure assembly having two tamper-evidencing members, and related methods
KR20150143815A (ko) 캡 조립체 및 그 타전 방법
JP5368336B2 (ja) キャップ付容器
JP5909951B2 (ja) 複合キャップ
JP6971172B2 (ja) 注出容器
KR102383818B1 (ko) 단일편 헤드 섹션을 포함하는 용기
JP4800785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JP4739049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JP2014046949A (ja) 注出キャップ
JP2001341761A (ja) 容 器
JP2007217007A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JP2007217008A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JP2007217009A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