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842B1 -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842B1
KR101772842B1 KR1020170020969A KR20170020969A KR101772842B1 KR 101772842 B1 KR101772842 B1 KR 101772842B1 KR 1020170020969 A KR1020170020969 A KR 1020170020969A KR 20170020969 A KR20170020969 A KR 20170020969A KR 101772842 B1 KR101772842 B1 KR 101772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lid
lid body
rim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협
Original Assignee
송상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협 filed Critical 송상협
Priority to KR102017002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842B1/ko
Priority to PCT/KR2017/012658 priority patent/WO20181513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뚜껑으로부터 패킹의 완전한 분리가 가능하게 하되, 별도로 젓가락 등의 뾰족한 도구의 사용 없이도 간편하게 패킹의 분리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패킹 분리시 그 패킹의 손상없이 분리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패킹의 완전한 분리로 표면은 물론 패킹 결합부의 미세한 틈새 까지도 이물질의 완전한 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등 뚜껑을 사용함에 있어 항시 최적의 위생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패킹을 분리하는 과정이 개선하여 분리 과정에서 패킹의 변형을 방지하는 등 재차 패킹의 결합 사용이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The sealed container lid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packing}
본 발명은 밀폐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을 이용하여 밀폐용기의 상부를 밀폐함에 있어, 그 밀폐력을 부여하는 패킹의 착탈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필요시 간편하게 세척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용기의 수용부에 저장된 음식의 국물이나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밀폐 기능이 향상된 것으로서, 상부 개방형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외측에 걸림턱 형태의 록킹부가 형성된 용기와, 둘레에 용기의 록킹부와 걸림 잠금되는 잠금날개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패킹이 형성된 뚜껑으로 구성되어, 용기의 상단에 뚜껑의 패킹이 밀착된 상태에서 잠금날개를 잠금시 가압력에 의하여 패킹이 용기의 상단에 가압되면서 기밀이 유지되어지는 구조이다.
한편, 이러한 밀폐력을 부여하기 위해 뚜껑의 저면에는 링 형태의 패킹이 형성되게 되는 것인데, 이때 그 패킹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는, 먼저 뚜껑의 둘레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그 테두리부와 이격되는 위치에는 고정테를 하방으로 돌출 형성하여 테두리부와 고정테의 사이에 패킹홈을 형성 및 그 패킹홈에 패킹이 완전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패킹홈을 두고 패킹을 삽입하여 고정함은, 그 패킹에 가압력이 부여되는 과정에서 뒤틀리거나 밀리는 현상 등에 의해 패킹에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밀폐력을 부여하는 패킹은, 뚜껑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패킹홈 등으로 국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게 되는 것인바, 그 유입된 이물질은 패킹홈과 패킹의 미세한 틈새로 유입되어 위생상 매우 좋지 못하게 되며, 이에 이렇게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뚜껑 구조는, 패킹이 패킹홈에 완전히 구속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패킹을 제거하고 세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젓가락 등의 단부가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패킹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패킹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등 위생상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자칫 패킹의 손상으로 밀폐력의 저하를 가져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상기와 같은 패킹의 보호를 위해 패킹을 패킹홈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패킹홈 내부를 솔질하여 그 표면만 세척하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틈새에 유입된 이물질의 제거는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표면상의 위생은 해결할 수 있으나 근본적인 위생상의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패킹홈에 억지 끼움되어 있는 패킹을 강제로 제거하는 경우 자칫 패킹이 늘어나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재차 패킹을 결합시 그 결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0-00120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뚜껑으로부터 패킹의 완전한 분리가 가능하게 하되, 별도로 젓가락 등의 뾰족한 도구의 사용 없이도 간편하게 패킹의 분리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패킹 분리시 그 패킹의 손상없이 분리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패킹의 완전한 분리로 표면은 물론 패킹 결합부의 미세한 틈새 까지도 이물질의 완전한 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등 뚜껑을 사용함에 있어 항시 최적의 위생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패킹을 분리하는 과정이 개선하여 분리 과정에서 패킹의 변형을 방지하는 등 재차 패킹의 결합 사용이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절곡형 잠금날개가 형성된 뚜껑본체와, 뚜껑본체의 저면에서 테두리부 사이에 결합되어 용기의 테두리와 가압시 밀폐력을 부여하는 링형 패킹으로 구성되어 용기의 테두리 상단을 덮어 마감하는 밀폐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뚜껑본체는,
둘레에서 하방으로는 테두리부를 돌출 형성하고, 테두리부와 근접한 위치에는 패킹의 형상을 따라 다수의 패킹 결합공이 더 형성되게 구성하며,
패킹은,
상부에 패킹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돌기를 더 형성되게 구성하여 패킹 결합공과 결합돌기에 의해 패킹이 뚜껑본체에 결합되게 구성하되,
패킹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는 상단이 패킹 결합공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하며,
각각의 패킹 결합공은,
뚜껑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를 이루는 경사공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결합돌기는 상기 경사공과 형합되는 경사돌기로 구성하여,
경사돌기의 상단이 경사공을 관통하여 뚜껑본의 상부로 돌출되고, 패킹의 하부에서 가압력이 부여될수록 경사돌기의 경사면이 경사공의 경사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구성하며,
결합돌기의 하단은,
패킹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둘레에 걸림턱을 이루게 구성하여,
패킹의 하부에서 가압력이 부여될수록 걸림턱이 패킹 결합공의 주변에 걸림 지지되어 밀착력이 증대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은, 뚜껑과 패킹의 결합 구조를 홈 결합구조가 아닌 패킹 결합공과 결합돌기의 결합 구조를 이루게 하되, 그 결합돌기가 뚜껑본체의 상부로 소정 돌출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 패킹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젓가락 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돌출된 결합부를 눌러 뚜껑으로부터 패킹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등 패킹의 손상없이 간편한 분리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른 세척시 항시 패킹의 분리 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등 매우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패킹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당김 등에 의한 늘어나는 등의 변형이 방지되어 세척후, 재차 결합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패킹 분리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패킹 분리상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은, 뚜껑본체(100)와, 패킹(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본체(100)는, 통상의 용기(도면중 미도시함)의 테두리 상단을 덮어 마감하는 평판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그 둘레에는 용기와의 가압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한 절곡 가능한 다수의 잠금날개(110)가 구성된다.
또한, 뚜껑본체(100)에는, 그 둘레에 소정의 두께를 이루면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20)가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뚜껑본체(100)에, 상기 테두리부(120)와 근접한 주변에는 원형홀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상,하 관통형 패킹 결합공(130)(130')이 더 구성된 것으로, 이때 패킹 결합공(130)(130')은 하기하는 패킹(200)의 형상에 따라 뚜껑본체(100)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구성된다.
상기 패킹(200)은, 상기 뚜껑본체(100)의 저면에 결합되어 용기의 테두리 단부와 가압력에 의한 기밀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신축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된 "링" 형태로 구성되며, 뚜껑본체(100)에 결합시에는 테두리부(120)의 사이에 내재 및 둘레가 테두리부(120) 내주면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이때 패킹(200)에는, 뚜껑본체(100)와의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230)(23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결합돌기(230)(230')는 패킹(200)의 상부면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상기 뚜껑본체(100)의 패킹 결합공(130)(130')과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구성된다.
즉, 패킹(200)은, 뚜껑본체(100)의 테두리부(120) 사이에 내재되는 한편 결합돌기(230)(230')가 패킹 결합공(130)(13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뚜껑본체(100)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패킹 결합공(130)(13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30)(230')는 그 상단이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부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결합돌기(230)(230')의 상단이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단으로 소정 돌출되게 함은, 패킹(200)을 뚜껑본체(100)로부터 분리시 그 돌출된 결합돌기(230)(230') 상단을 누를수 있게 하기 위함으로, 그 눌림에 의해 패킹(200)이 뚜껑본체(100)의 저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뚜껑본체(100)와 패킹(200)을 결합하기 위한 패킹 결합공(130)(130')과 결합돌기(230)(230')를 구성함에 있어, 용기와의 가압력에 반응하여 긴밀한 밀착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먼저, 각각의 패킹 결합공(130)(130')은, 뚜껑본체(100)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로갈수록 좁아지는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를 이루게 경사공(13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결합돌기(230)(230')는, 상기 경사공(131)과 형합 가능하도록 경사공(131)과 마찬가지로 하부로부터 상부로갈수록 좁아지는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를 이루게 경사돌기(231)로 구성된 것으로, 그 경사돌기(231)의 상단이 경사공(131)의 상부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30)(230')는, 그 하단이 패킹(200)의 폭바도 좁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에 패킹(200)의 상부면과 결합돌기(230)(230')의 하단은 걸림턱(210)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패킹 결합공(130)(130')과 결합돌기(230)(230')를 경사공(131)과 경사돌기(231)로 구성하게 되면 하부에서 가압력이 부여될수록 경사돌기(231)의 경사면이 경사공(131)의 경사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걸림턱(210)은 패킹 결합공(130)(130')의 주변에 걸림 지지되어 밀착력이 증대되는 등 그 기밀성이 한층 향상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경사공(131)의 중간부 내주면에 단면상 "ㄱ" 형태를 이루는 걸림홈(132)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돌기(231)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132)과 형합되는 걸림돌기(232)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즉, 걸림홈(132)과 걸림돌기(232)는, 패킹(200)의 경사돌기(231)가 경사공(131)에 결합된 상태에서 패킹(200)에 가압력이 부여시 긴밀한 끼움 결합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되는 한편, 절곡된 밀착에 의해 경사공(131)과 경사돌기(231)간의 보다 긴밀한 밀착 및 기밀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을 구성함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패킹(200)의 저면 둘레에 뚜껑본체(100)의 테두리부(120) 내측면에 밀착되는 측면 밀착돌부(25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측면 밀착돌부(250)는, 외측면이 테두리부(120)에 밀착 가능하도록 수직면(251)을 이루게 구성되고, 그 내측면이 용기의 테두리가 가압시 외측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252)을 이루는 직각 역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측면 밀착돌부(250)는, 용기의 테두리가 패킹(200)의 저면을 가압시 측면 밀착돌부(250)의 경사면(252)에 가압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인바, 그 가압력에 의해 수직면(251)이 뚜껑본체(100)의 테두리부(120)에 작용하여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을 구성함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부에 뚜껑본체(100)와 일체로 구성되며 탄력을 가지는 "돔"형 돌기 마감막(135)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돌기 마감막(135)을 탄력 구성함은 "돔" 형태의 돌기 마감막(135)이 눌림 및 복원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말한다.
또한, 패킹(200)을 결합시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부로 돌출되는 패킹 결합돌기(230)(230')를 그 상단이 돌기 마감막(135)과 형합되는 "반구" 형태의 반구돌기(235)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돌기 마감막(135)은, 패킹 결합공(130)(130')을 마감하여 기밀의 가능하게 구성되며, 탄력이 부여되는 것인바, 패킹(200)을 분리하고자 할 시 돌기 마감막(135)을 누르게 되면 그 탄력에 의해 압축되어 반구돌기(235)를 가압 및 패킹(20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뚜껑본체(100)와 패킹(200)으로 구성되되, 패킹(200)을 뚜껑본체(10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패킹(200)이 뚜껑본체(100)의 테두리부(120) 사이에 내재되게 결합하되, 이때 패킹(200)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230)(230')가 뚜껑본체(100)의 패킹 결합공(130)(130')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그 패킹 결합공(130)(130')에 끼움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패킹(200)의 간단한 위치 조절 및 간단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결합돌기(230)(230')의 상단은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단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통상의 밀폐용기와 같이 용기(10)의 상단을 덮어 마감하되, 이는 용기(10)의 상단에 밀폐용기용 뚜껑(1)을 덮되, 용기(10)의 테두리(11) 상단에 패킹(200)의 저면이 면접된 상태에서 잠금날개(110)를 절곡 및 용기(10)의 록킹부(12)에 걸어 마감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용기(10)의 테두리(11)를 통한 패킹(200)에 가압력이 부여되어 패킹(200)의 상부면이 뚜껑본체(100)의 저면에 밀착되고, 패킹(200)의 하부면이 용기(10)의 테두리(11) 상단에 밀착되어 밀폐 및 기밀력이 부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은, 뚜껑본체(100)와 패킹(200)의 결합력을 부여하는 패킹 결합공(130)(130')과 결합돌기(230)(230')를 각각 경사공(131)과 경사돌기(231)로 구성하게 되면, 용기(10)의 테두리(11)가 가압하는 과정에서 그 가압력이 경사공(131)과 경사돌기(231)의 경사면에 작용하여 긴밀한 밀착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인바, 그 패킹 결합공(130)(130')의 완전한 기밀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패킹(200)의 상부면과 결합돌기(230)(23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210)은 패킹 결합공(130)(130')의 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패킹 결합공(130)(130')을 마감 및 기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을 구성함에 있어, 도 4를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경사공(131)의 내주면과 경사돌기(231)의 둘레에 서로 형합되는 "ㄱ"형 걸림홈(132) 및 걸림돌기(232)를 구성하게 되면, 패킹(200)의 경사돌기(231)가 경사공(131)에 결합된 상태에서 패킹(200)에 가압력이 부여시 긴밀한 끼움 결합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되는 한편, 절곡된 밀착에 의해 경사공(131)과 경사돌기(231)간의 보다 긴밀한 밀착 및 기밀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을 구성함에 있어, 도 5를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패킹(200)의 저면 둘레에 직각 역삼각형 형태의 측면 밀착돌부(250)를 구성하게 되면, 통상의 용기(10)에 형성되는 테두리(11)는 그 상단이 만곡한 곡률을 이루면서 말려진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그 테두리(11)가 패킹(20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그 곡률의 측면이 측면 밀착돌부(250)의 경사면(252)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그 가압력이 수직면(251)에 작용하여 뚜껑본체(100)의 테두리부(120)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기밀력이 증대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은, 통상의 밀폐용기용 뚜껑과 같이 수시로 그 패킹(200)을 세척하여 줌으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본 발명 밀폐용기용 뚜껑(1)은, 세척시 뚜껑본체(100)로부터 패킹(200)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위생적인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뚜껑본체(100)로부터 패킹(20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부로 돌출 결합되어 있는 패킹(200)의 결합돌기(230)(230')를 별도의 젓가락 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손가락을 이용하여 돌출된 결합돌기(230)(230') 상단을 누르면 된다.
이에, 각각의 결합돌기(230)(230')는, 패킹 결합공(130)(130')으로부터 끼움 결합력이 해제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뚜껑본체(100)의 저면에 밀착되어 있는 패킹(200)의 밀착력이 해제되게 되고, 그 밀착력이 해제시 그 패킹(200)과 뚜껑본체(100)의 사이에 틈새(G)가 발생하게 되며, 사용자는 그 틈새(G)를 통해 손가락을 이용하여 패킹(200)을 파지 및 뚜껑본체(10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즉, 본 발명 밀폐용기용 뚜껑(1)은, 뚜껑본체(100)로부터 패킹(200)을 제거하는 과정이 간편하게 손가락을 이용한 제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별도의 젓가락 등의 도구 없이도 가능하여 패킹(20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그 패킹(200)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간단한 조작으로의 패킹(200)의 분리는 밀폐용기용 뚜껑(1)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패킹(200) 및 뚜껑본체(100)와 패킹(200)의 결합부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여 항시 밀폐용기용 뚜껑(1)의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간단한 분리에 의해 패킹(20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당김 등의 동작이 필요없어 패킹(20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패킹(200)이 늘어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1)을 구성함에 있어, 도 6을 참조하여 도 11의 도시와 같이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부에 "돔" 형태의 돌기 마감막(135)을 더 구성하고, 결합돌기(230)(230')의 돌출되는 상단을 반구돌기(235)로 구성시에는, 그 패킹 결합공(130)(130')에 대한 마감으로 기밀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게 되며, 이는 패킹(200)을 분리하고자 할시 돌기 마감막(135)을 누르게 되면 그 탄력에 의해 압축되어 반구돌기(235)를 가압 및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킹(200)의 분리 및 틈새(G)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눌림 작동하는 돌기 마감막(135)은 탄력에 의해 복원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은, 뚜껑을 사용함에 있어 뚜껑본체와 패킹간의 밀착력 증대에 따른 기밀성의 향상을 가져오면서도, 밀폐용기용 뚜껑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패킹의 간단한 분리로 패킹 및 패킹 결합부에 대한 수시로 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등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뚜껑본체 110 : 잠금날개
120 : 테두리부 130,130' : 패킹 결합공
131 : 경사공 132 : 걸림홈
135 : 돌기 마감막
200 : 패킹 210 : 걸림턱
230,230' : 결합돌기 231 : 경사돌기
232 : 걸림돌기 235 : 반구돌기
250 : 측면 밀착돌부
251 : 수직면 252 : 경사면

Claims (5)

  1.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절곡형 잠금날개(110)가 형성된 뚜껑본체(100)와, 뚜껑본체(100)의 저면에서 테두리부(120) 사이에 결합되어 용기의 테두리와 가압시 밀폐력을 부여하는 링형 패킹(200)으로 구성되어 용기의 테두리 상단을 덮어 마감하는 밀폐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뚜껑본체(100)는,
    둘레에서 하방으로는 테두리부(120)를 돌출 형성하고, 테두리부(120)와 근접한 위치에는 패킹(200)의 형상을 따라 다수의 패킹 결합공(130)(130')이 더 형성되게 구성하며,
    패킹(200)은,
    상부에 패킹 결합공(130)(130')에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돌기(230)(230')를 더 형성되게 구성하여 패킹 결합공(130)(130')과 결합돌기(230)(230')에 의해 패킹(200)이 뚜껑본체(100)에 결합되게 구성하되,
    패킹 결합공(130)(13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30)(230')는 상단이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하며,
    각각의 패킹 결합공(130)(130')은,
    뚜껑본체(100)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를 이루는 경사공(131)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결합돌기(230)(230')는 상기 경사공(131)과 형합되는 경사돌기(231)로 구성하여,
    경사돌기(231)의 상단이 경사공(131)을 관통하여 뚜껑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고, 패킹(200)의 하부에서 가압력이 부여될수록 경사돌기(231)의 경사면이 경사공(131)의 경사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구성하며,
    결합돌기(230)(230')의 하단은,
    패킹(20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둘레에 걸림턱(210)을 이루게 구성하여,
    패킹(200)의 하부에서 가압력이 부여될수록 걸림턱(210)이 패킹 결합공(130)(130')의 주변에 걸림 지지되어 밀착력이 증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2. 삭제
  3. 제 2항에 있어서,
    뚜껑본체(100)의 경사공(131)에는,
    그 중간부 내주면에 단면상 "ㄱ" 형태를 이루는 걸림홈(132)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패킹(200)의 경사돌기(231)에는,
    상기 걸림홈(132)과 형합되는 걸림돌기(232)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패킹(200)의 저면 둘레에는,
    뚜껑본체(100)의 테두리부(120) 내측면에 밀착되는 측면 밀착돌부(25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측면 밀착돌부(250)는,
    외측이 테두리부(120)에 밀착되도록 수직면(251)을 이루고 내측이 용기의 테두리가 가압시 외측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게 하는 경사면(252)으로 된 직각 역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5. 제 1항에 있어서,
    뚜껑본체(100)에는,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부에 뚜껑본체(100)와 일체로 구성되며 탄력을 가지는 "돔형" 돌기 마감막(135)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며,
    패킹 결합공(130)(130')의 상부로 돌출되는 패킹(200)의 패킹 결합돌기(230)(230') 상단은, 돌기 마감막(135)과 형합되는 "반구" 형태의 반구돌기(23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KR1020170020969A 2017-02-16 2017-02-16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KR101772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69A KR101772842B1 (ko) 2017-02-16 2017-02-16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PCT/KR2017/012658 WO2018151391A1 (ko) 2017-02-16 2017-11-09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69A KR101772842B1 (ko) 2017-02-16 2017-02-16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842B1 true KR101772842B1 (ko) 2017-08-29

Family

ID=5976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969A KR101772842B1 (ko) 2017-02-16 2017-02-16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2842B1 (ko)
WO (1) WO201815139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72Y1 (ko) * 2001-07-10 2001-11-17 문제구 조립공정과 밀폐력을 강화시킨 밀폐용기
KR101613482B1 (ko) * 2015-04-15 2016-04-19 이재원 밀폐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708B1 (ko) * 2007-12-05 2009-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용기
KR20100009527U (ko) * 2009-03-19 2010-09-29 (주)명문엘씨 노출된 패킹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뚜껑
KR101682293B1 (ko) * 2014-03-20 2016-12-02 이민규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72Y1 (ko) * 2001-07-10 2001-11-17 문제구 조립공정과 밀폐력을 강화시킨 밀폐용기
KR101613482B1 (ko) * 2015-04-15 2016-04-19 이재원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391A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6145B2 (ja) パフ内蔵型化粧用パウダー容器
JP4773363B2 (ja) 調理器具のためのリップガスケットおよびリップガスケットを備えた調理器具
KR101613482B1 (ko) 밀폐용기
US20190389622A1 (en) Storage container
JP5963323B2 (ja) キャップ
US11685579B2 (en) Container with a lid and threaded closure mechanism
KR101772842B1 (ko)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1961112B1 (ko)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10182913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밀착구조
US10710772B2 (en) Soft core bottle
KR102057941B1 (ko)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KR102142410B1 (ko)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KR101669228B1 (ko) 밀폐부재를 이용한 밀폐용기
KR100521404B1 (ko) 조리장치의 밀폐구조
KR102221829B1 (ko) 밀폐용기 커버
KR100870960B1 (ko) 밀폐용기의 패킹
EP3608253B1 (en) Container with a lid attached to a threaded closure mechanism
JP2024017440A (ja) 容器用キャップ
KR20120024321A (ko) 패킹의 교환성을 우수하게한 밀폐용기 뚜껑
KR200321206Y1 (ko) 조리장치의 밀폐구조
KR200340174Y1 (ko) 밀폐용기
KR101925060B1 (ko) 압축비가 향상된 부항컵
KR20060093394A (ko)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밀폐용기
US20190077187A1 (en) Paint can groove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