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41B1 -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41B1
KR102057941B1 KR1020180104013A KR20180104013A KR102057941B1 KR 102057941 B1 KR102057941 B1 KR 102057941B1 KR 1020180104013 A KR1020180104013 A KR 1020180104013A KR 20180104013 A KR20180104013 A KR 20180104013A KR 102057941 B1 KR102057941 B1 KR 102057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acking
lid
pot
po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익준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10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솥 뚜껑에 장착된 패킹 조립체는 상기 조리기기의 외솥에 수용된 내솥을 덮는 내솥 뚜껑; 및 상기 내솥 뚜껑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내솥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내솥 패킹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상기 내솥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구성된 내솥 밀착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솥 뚜껑에 압착되어 상기 외솥 뚜껑과 상기 내솥 뚜껑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외솥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Packing assembly for cooking apparatus}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도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는 내솥 패킹 및 내측 패킹이 분리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세척 시 상기 두 가지 패킹을 모두 분리하고 세척 후 각각 장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종래의 조리기기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측 패킹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가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상기 내측 패킹의 형상의 손상으로 인해 상기 내측 패킹 및 외솥 뚜껑 상호간의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리기기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솥과의 마찰 및 내솥의 고온 고압의 증기의 노출에 의한 내솥 패킹의 형상의 손상으로 인해 상기 내솥 패킹 및 내솥 상호간의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세척 시 하나의 패킹만을 분리하고 세척 후 하나의 패킹만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장기간의 조리기기 사용시에도 외솥 뚜껑과의 밀착력이 저하되지 않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장기간의 조리기기 사용시에도 내솥과의 밀착력이 저하되지 않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조리기기의 외솥 뚜껑에 장착된 패킹 조립체는 상기 조리기기의 외솥에 수용된 내솥을 덮는 내솥 뚜껑; 및 상기 내솥 뚜껑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내솥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내솥 패킹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상기 내솥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구성된 내솥 밀착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솥 뚜껑에 압착되어 상기 외솥 뚜껑과 상기 내솥 뚜껑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외솥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상기 내솥 패킹은 상기 외솥 밀착부와의 사이에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내솥 뚜껑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외솥 밀착부에 상기 외솥 뚜껑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상기 내솥 뚜껑은 상기 내솥 뚜껑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상기 내솥 패킹의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내솥 밀착부에 상기 내솥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기 압력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상기 내솥 뚜껑의 결합부의 제2 부분은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기 압력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상기 외솥 뚜껑은 상기 내솥 패킹의 외솥 밀착부가 상기 외솥 뚜껑에 압착하는 위치에서 경사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상기 내솥 패킹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는 조리 시 내솥에서 발생하는 내부 증기를 외부로 누설되지 못하도록 밀폐하는 내솥 패킹과 내측 패킹을 일체화하여 세척 시 하나의 패킹만을 분리하고 세척 후 하나의 패킹만을 장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는 내솥 뚜껑이 내솥 패킹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내솥 패킹의 내솥 밀착부를 내솥의 측부에 압착할 수 있어서, 내솥의 밀폐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는 내솥 뚜껑이 내솥 패킹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내솥 패킹의 외솥 밀착부를 외솥 뚜껑에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어서, 외솥을 통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내솥 패킹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내솥 뚜껑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패킹의 외솥 밀착부 및 지지 돌출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100)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개시의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는 내솥 패킹(105) 및 내솥 뚜껑(106)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패킹 조립체(105, 106)를 포함하는 조리기기(100)는 상기 패킹 조립체(105, 106) 외에 외솥(미도시), 외솥 뚜껑(102), 내솥(103), 및 커버링(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리기기(100)의 외솥(미도시)은 내부에 개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솥의 개구된 공간에는 상기 내솥(103)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솥(103)은 곡식류 등의 음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된 조리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103)은 곡식류 등의 조리 시 상기 내솥 뚜껑(106)에 의해 상기 내솥(103)의 중앙부가 덮일 수 있고, 상기 내솥 패킹(105)에 의해 상기 내솥(103)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외솥 뚜껑(102)은 상기 외솥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솥의 개구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외솥 뚜껑(102)은 상기 외솥의 일 측에서 힌지(hinge)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외솥의 개구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외솥 뚜껑(102)은 후술할 도 2의 내솥 패킹(105)의 외솥 밀착부(203)가 압착되는 위치에서 경사면(102a)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의 외솥 밀착부(203)는 조리 시 상기 외솥의 외부로 증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외솥 뚜껑(102)의 경사면(102a)에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링(104)은 상기 외솥 뚜껑(10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커버링(104)은 후술할 상기 내솥 패킹(105)의 끼움 돌기부(201)를 수용할 수 있는 끼움 홈(104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링(104)은 후술할 상기 내솥 패킹(105)의 커버링 수용부(202)에 끼워지는 고정 돌기(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 홈(104a) 및 상기 고정 돌기(104b)를 포함하는 커버링(104)의 구조적 형상으로 인해 상기 내솥 패킹(105)은 상기 커버링(104) 상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은 상기 내솥 뚜껑(106)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103)을 밀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솥 패킹(105)은 상기 외솥 뚜껑(102)이 형성하는 경사면(102a)에 밀착하여 상기 외솥 뚜껑(102) 및 상기 내솥 뚜껑(106) 사이의 틈새를 밀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내솥(103)의 측면에도 밀착하여 상기 내솥(103)의 측부를 밀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조리 시 상기 내솥(103)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이 좋은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내솥 뚜껑(106)은 상기 내솥 뚜껑(106)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내솥 패킹(105)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 뚜껑(106)의 중앙부는 상기 내솥(103)의 개구된 조리공간을 덮어, 상기 조리공간 내 곡식류들이 고온 고압에서 조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 뚜껑(106)은 조리 시 발생하는 대부분의 증기가 상기 내솥 뚜껑(106)의 중앙부에 맺힐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발생한 증기로부터 외솥 뚜껑(102) 및 상기 외솥 뚜껑(102)에 형성된 다수의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06)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종래에는 상기 내솥 패킹(105)이 상기 내솥(103)의 측부만을 밀폐하였고, 상기 내솥(103)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외솥 뚜껑(102)을 통한 누출을 막기 위해서는, 상기 외솥 뚜껑(102)에 결착되는 별도의 내측 패킹이 필요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상기 내솥 패킹(105)은 도 2에서 후술하는 외솥 밀착부(203)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내솥 패킹(105)만으로 상기 내솥(103)의 개구된 조리공간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외부 누출을 막아 조리 시 상기 내솥(103)을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는 사용자가 조리 후 세척을 할 때, 상기 하나의 내솥 패킹(105)만을 분리하여 세척을 할 수 있어 간편하고 실용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솥 패킹(105)을 세척할 때, 사용자는 상기 내솥 패킹(105)의 일부분을 손으로 잡고 상기 커버링(10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내솥 패킹(105)을 상기 커버링(104)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구성인 내솥 패킹(105) 및 내솥 뚜껑(106)의 구조적 형상 및 기능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내솥 패킹(105)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내솥 패킹(105)은 몸체부(220), 끼움 돌기부(201), 커버링 수용부(202), 외솥 밀착부(203), 지지 돌출부(204), 내솥 밀착부(205), 내솥 뚜껑 지지부(206), 결합 홈(207), 및 탈착 돌출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내솥 패킹(105)의 끼움 돌기부(201)는 상기 커버링(104)의 끼움 홈(104a)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끼움 돌기부(201)의 형상은 상기 커버링(104)의 끼움 홈(104a)의 형상과 비슷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 패킹(105)은 커버링 수용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커버링 수용부(202)는 오목한 형상의 홈(recess)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커버링(104)의 고정 돌기(104b)는 상기 내솥 패킹(105)의 상기 커버링 수용부(202)의 홈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의 커버링 수용부(202)의 형상은 상기 커버링(104)의 고정 돌기(104b)의 형상과 비슷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의 끼움 돌기부(201)가 상기 도 1의 커버링(104)의 끼움 홈(104a)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고, 상기 내솥 패킹(105)의 커버링 수용부(202)에 상기 도 1의 커버링(104)의 고정 돌기(104b)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솥 패킹(105)은 상기 외솥 뚜껑(102)에 결합된 커버링(104)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조리기기의 외솥 뚜껑(10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내솥 패킹(105)은 외솥 밀착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 밀착부(203)는 상기 지지 돌출부(206)와의 사이에서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220)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종래에는, 내솥 패킹과 분리된 별개의 내측 패킹이 외솥 뚜껑(102)에 장착되어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가 외솥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상기 종래의 패킹 구조는 조리 후 세척 시 사용자가 내솥 패킹과 내측 패킹을 각각 분리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솥 패킹(105)은 내솥 밀착부(205) 뿐만 아니라 상기 외솥 밀착부(203) 역시 포함하여 하나의 패킹으로 내솥(103)의 밀폐를 하고 있으므로, 조리 후 사용자가 세척을 할 때 상기 내솥 패킹(105)만을 분리하여 세척을 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의 몸체부(22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외솥 밀착부(203)는 상기 외솥 뚜껑(102)에 압착되어 상기 외솥 뚜껑(102) 및 내솥 뚜껑(106)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가 외솥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솥 밀착부(203)는 상기 외솥 밀착부(203)가 압착되는 부분인 상기 외솥 뚜껑(102)의 경사면(102a)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외솥 밀착부(203)가 압착되는 부분의 상기 경사면(102a)으로 인해, 상기 외솥 뚜껑(102)은 오목한 곡면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 패킹(105)의 외솥 밀착부(203)는 상기 오목한 곡면의 홈을 가득 채울 수 있는 볼록한 돌기의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외솥 밀착부(203)의 형상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내솥 패킹(105)은 지지 돌출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솥 패킹(105)의 지지 돌출부(204)는 상기 내솥 패킹(105)의 외솥 밀착부(203)와의 사이에서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220)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204)는 도 3에서 후술하는 내솥 뚜껑(106)의 압착 지지부(303)와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204)는 상기 내솥 뚜껑(106)의 압착 지지부(303)가 가하는 압력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압력은 상기 내솥 패킹(105)의 외솥 밀착부(203)에 상기 외솥 뚜껑(10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 패킹(105)의 외솥 밀착부(203)는 더욱 견고하게 상기 외솥 뚜껑(102)의 경사면(102a)에 압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의 지지 돌출부(204) 및 상기 내솥 뚜껑(106)의 압착 지지부(303)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내솥 패킹(105)은 몸체부(220)에서 하향 연장된 내솥 밀착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의 내솥 밀착부(205)는 상기 내솥(103)의 내측면에 압착하여 상기 내솥(103)의 측부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내솥 밀착부(205)는 하부에서 내솥 밀폐 돌기(20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 밀폐 돌기(205a)는 상기 내솥(103)의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내솥 패킹(105) 및 내솥(103)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온 고압의 조리 시에도, 상기 내솥 밀폐 돌기(205a)에 의해 상기 내솥 패킹(105)은 상기 내솥(103)의 측면에 압착되어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내솥(103)의 측부를 견고히 밀폐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은 내솥 뚜껑 지지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의 내솥 뚜껑 지지부(206)는 상기 내솥 패킹(105)의 몸통부(22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 지지부(206)의 상면에는 도 3의 내솥 뚜껑(106)의 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솥 뚜껑 지지부(206)의 상면의 형상은 상기 결합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의 하면의 굴곡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은 결합 홈(2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207)은 오목한 형상을 할 수 있고, 후술할 도 3의 상기 내솥 뚜껑(106)의 결합부는 상기 결합 홈(207)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207)은 상기 내솥 뚜껑(106)의 결합부의 형상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06)의 결합부는 내솥 패킹(105)에 상기 내솥(103)의 측면의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은 상기 내솥 패킹(105)의 내솥 밀착부(205)에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내솥 밀착부(205)는 더욱 견고하게 상기 내솥(103)의 측면에 압착되어 상기 내솥(103)의 측부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의 결합 홈(207) 및 상기 내솥 뚜껑(106)의 결합부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내솥 패킹(105)은 탈착 돌출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돌출부(208)는 상기 내솥 패킹(105)의 몸체부(220)에서 일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탈착 돌출부(208)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상기 탈착 돌출부(208)를 손으로 잡은 후 당겨서 상기 커버링(104)으로부터 상기 내솥 패킹(105)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탈착 돌출부(20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탈착 돌출부(208)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쉬운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상기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의 내솥 뚜껑(106)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의 내솥 뚜껑(106)은 도 1의 내솥 패킹(105)에 고정되어 조리 시 상기 내솥(103)의 개구된 공간을 덮어 상기 내솥(103)의 내부를 고온 고압으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솥 뚜껑(106)은 고온 고압에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개폐의 편의를 위하여 가벼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내솥 뚜껑(106)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내솥 뚜껑(106)은 내솥 덮개부(301), 결합부, 및 압착 지지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06)의 내솥 덮개부(3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솥(103)의 중앙부를 덮어 상기 내솥(103)의 내부를 고온 고압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 덮개부(301)는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내솥 덮개부(301)의 표면에 맺히게 하여 상기 증기로부터 외솥 뚜껑(102) 및 상기 외솥 뚜껑(102)에 형성된 다수의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내솥 뚜껑(106)의 내솥 덮개부(301)는 상기 압착 지지부(303)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그릇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 덮개부(301)의 하면은 일 실시예로 원판의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원판에는 복수개의 공동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06)은 상기 내솥 뚜껑(106)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상기 내솥 패킹의 결합 홈(207)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도 2의 상기 내솥 패킹(105)의 결합 홈(207)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솥 뚜껑(106)을 안정적으로 내솥 패킹(105)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302) 및 상기 제1 부분(302)으로부터 절곡된 제2 부분(30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일 실시예로 상기 내솥(103)의 중앙에서 상기 내솥(103)의 측부로 연장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302a)은 굴곡을 가지면서 상기 제1 부분(302)에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06)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제2 부분(302a)은 일 실시예로 갈고리의 형상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내솥 뚜껑(106)의 가장자리는 갈고리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다양한 감긴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형상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후술한다.
또한 상기 내솥 뚜껑(106)은 압착 지지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 지지부(303)는 상기 내솥 덮개부(30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 지지부(303)는 도 2의 상기 내솥 패킹(105)의 지지 돌출부(204)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압착 지지부(303)는 상기 지지 돌출부(204)에 외솥 뚜껑(102)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압력으로 인해 도 2의 상기 내솥 패킹(105)의 외솥 밀착부(203)는 상기 외솥 뚜껑(102)에 더욱 견고하게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압착 지지부(303)의 형상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400)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본 개시의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400)는 내솥 패킹(105) 및 내솥 뚜껑(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 및 상기 내솥 뚜껑(106)은 지지 영역(A) 및 변형 방지 영역(B)에서 상호 맞닿을 수 있다.
도 4의 상기 지지 영역(A)을 참조하면, 상기 내솥 뚜껑(106)의 압착 지지부(303) 및 상기 내솥 패킹(105)의 지지 돌출부(204)는 상호 맞닿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솥 패킹(105)의 지지 돌출부(204)는 상기 내솥 패킹(105)의 외솥 밀착부(203)와의 사이에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220)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솥 뚜껑(106)의 압착 지지부(30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204)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압착 지지부(303)의 상면의 면적은 상기 지지 돌출부(204)의 하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돌출부(204)의 돌출 길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 지지부(303)가 형성하는 수평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 돌출부(204)의 돌출 길이는 상기 압착 지지부(303)가 형성하는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06)의 압착 지지부(303)는 상기 내솥 덮개부(30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 지지부(303)는 상기 형상으로 인해 상기 내솥 패킹(105)의 상기 지지 돌출부(204)에 상기 외솥 뚜껑(102)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은 상기 내솥 패킹(105)의 상기 외솥 밀착부(203)에 전달되어 상기 외솥 밀착부(203)는 상기 외솥 뚜껑(102)에 견고하게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영역(A)에서의 상기 압착 지지부(303) 및 상기 지지 돌출부(204)의 압착으로 인해, 장기간 내솥 패킹(105)의 사용으로 인한 상기 외솥 밀착부(203)의 형상의 변화에도 상기 외솥 밀착부(203)는 상기 압착 지지부(303)가 전달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외솥 뚜껑(102)의 경사면(102a)에 밀착되어 증기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상기 변형 방지 영역(B)을 참조하면, 상기 내솥 뚜껑(106)의 가장자리에서 마련된 결합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302) 및 상기 제1 부분(302)으로부터 절곡된 제2 부분(30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방향은 내솥(103)의 중앙에서 내솥(103)의 측부로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302a)은 상기 제1 부분(302)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고,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부분(302a)은 갈고리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06)의 상기 제1 부분(302) 및 상기 제2 부분(302)은 상기 내솥 패킹(105)의 결합 홈(207)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홈(207)의 크기는 상기 내솥 뚜껑(106)의 결합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내솥 패킹(105)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 홈(207)의 크기가 상기 결합부의 크기보다 작아도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 홈(207)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 홈(207)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내솥 패킹(105)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결합부는 안정적으로 상기 결합 홈(207)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 홈(207)의 형상은 상기 내솥 뚜껑(106)의 결합부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비슷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06)의 결합부의 상기 제2 부분(302a)은 상기 내솥 패킹(105)의 결합 홈(207)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내솥 뚜껑(106)이 내솥 패킹(105)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의 제2 부분(302a)은 시계 방향으로 휘어진 갈고리 형상을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시계 방향으로 휘어진 갈고리 형상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제2 부분(302a)은 상기 내솥 패킹(105)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상기 내솥 패킹(105)으로부터 더 큰 탄성력 및 마찰력을 받기 위해 갈고리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다양한 감긴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4의 상기 변형 방지 영역(B)을 참조하면, 상기 내솥 뚜껑(106)의 결합부의 상기 제2 부분(302a)은 상기 내솥 패킹(105)의 내솥 밀착부(205)에 내솥(103)의 측면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내솥 뚜껑(106)의 제2 부분(302a)이 가하는 압력은 상기 내솥 패킹(105)의 내솥 밀착부(205)에 전달되어, 상기 내솥 밀착부(205)는 보다 견고하게 상기 내솥(103)의 측면과 압착되어 상기 내솥(103)의 측부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영역(B)의 결합부 및 결합 홈(207)에 의해 본 개시의 전기 압력 조리기기는 상기 내솥 패킹(105)의 내솥 밀착부(205)가 내솥(103)의 측면과의 마찰에 의해, 또한 고온 고압의 증기의 지속적인 노출에 의해 형상이 변하여 내솥(103)과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패킹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500)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상기 패킹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500)는 도 1에서 설명한 외솥, 외솥 뚜껑(501), 내솥(103), 커버링(104), 내솥 패킹(503), 및 내솥 뚜껑(106)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성들의 기술적 사상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도 5의 상기 외솥 뚜껑(501)은 도 1의 상기 외솥 뚜껑(102)과 달리 상기 내솥 패킹(503)의 외솥 밀착부(502)가 상기 외솥 뚜껑(501)에 압착하는 위치에서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솥 밀착부(50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솥 뚜껑(501)의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인 상기 내솥 패킹(503)의 외솥 밀착부(502)와 상기 외솥 밀착부(502)가 압착되는 위치의 외솥 뚜껑(501)의 형상은 도 1 및 도 5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내솥의 밀폐를 이룰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패킹(600)의 외솥 밀착부(601) 및 지지 돌출부(602)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할 때, 상기 내솥 패킹(600)의 외솥 밀착부(601)는 상기 지지 돌출부(602)의 하면에서부터 소정 각도(a)를 가지면서 외솥 뚜껑(102)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내솥 패킹(600)의 외솥 밀착부(601)는 상기 지지 돌출부(602)와의 사이에서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솥 패킹(600)의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할 때, 상기 내솥 패킹(600)의 상기 외솥 밀착부(601) 및 상기 지지 돌출부(602)는 상기 외솥 뚜껑(102)과 상기 내솥 뚜껑의 압착 지지부(303)의 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솥 밀착부(601)는 상기 외솥 뚜껑(102)으로부터 내솥의 방향으로 압력을 받을 수 있고, 상기 지지 돌출부(602)는 상기 내솥 뚜껑의 압착 지지부(303)로부터 외솥 뚜껑(102)의 방향으로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 패킹(600)이 결합될 때의 상기 외솥 밀착부(601)와 상기 지지 돌출부(602)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b)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결합되기 전의 상기 외솥 밀착부(601)와 상기 지지 돌출부(602)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a)보다 실질적으로 작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솥 패킹(600)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솥 패킹(600)의 결합 시, 상기 내솥 패킹(600)의 외솥 밀착부(601)는 탄성력에 의해 더욱 견고히 상기 외솥 뚜껑(102)에 압착되어 상기 외솥 뚜껑(102) 및 내솥 뚜껑(106)이 이루는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외솥 뚜껑(102)은 경사면(102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외솥 뚜껑(102)은 상기 내솥 패킹(600)의 외솥 밀착부(601)가 상기 외솥 뚜껑(102)에 압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외솥 밀착부(601)가 밀착될 수 있는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솥 뚜껑(102)의 경사면에 압착하기 위해, 상기 내솥 패킹(600)의 외솥 밀착부(601)는 소정의 각도(a)를 가지면서 외솥 뚜껑(102)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솥 뚜껑(102)은 경사면(102a)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 패킹(600)의 외솥 밀착부(601) 및 상기 지지 돌출부(602)가 이루는 각도(a)는 실질적으로 0도에 가까울 수 있고, 상기 외솥 밀착부(601)는 상기 외솥 뚜껑(102)의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조리기기의 외솥 뚜껑에 장착된 패킹 조립체로서,
    상기 조리기기의 외솥에 수용된 내솥을 덮는 내솥 뚜껑으로서, 상기 내솥의 중앙부를 덮는 내솥 덮개부, 상기 내솥 덮개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압착 지지부, 및 상기 내솥 뚜껑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내솥 뚜껑; 및
    상기 내솥 뚜껑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하도록 구성된 내솥 패킹;
    을 포함하고,
    상기 내솥 패킹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상기 내솥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구성된 내솥 밀착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솥 뚜껑에 압착되어 상기 외솥 뚜껑과 상기 내솥 뚜껑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외솥 밀착부; 및
    상기 외솥 밀착부와의 사이에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솥 뚜껑의 상기 압착 지지부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솥 패킹에는 상기 내솥 뚜껑의 결합부가 억지 끼움으로 삽입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패킹의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내솥 뚜껑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외솥 밀착부에 상기 외솥 뚜껑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솥 뚜껑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솥 패킹에 상기 내솥의 측면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내솥 밀착부에 상기 내솥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뚜껑의 결합부의 상기 제2 부분은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 뚜껑은
    상기 내솥 패킹의 상기 외솥 밀착부가 상기 외솥 뚜껑에 압착하는 위치에서 경사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패킹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KR1020180104013A 2018-08-31 2018-08-31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KR102057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013A KR102057941B1 (ko) 2018-08-31 2018-08-31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013A KR102057941B1 (ko) 2018-08-31 2018-08-31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941B1 true KR102057941B1 (ko) 2019-12-20

Family

ID=6906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013A KR102057941B1 (ko) 2018-08-31 2018-08-31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82B1 (ko) * 2019-09-27 2020-10-14 (주)쿠첸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106B1 (ko) * 2012-02-07 2013-05-16 김차식 전기밥솥
KR200476549Y1 (ko) * 2014-01-22 2015-03-10 구정오 압력밥솥용 진공 패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106B1 (ko) * 2012-02-07 2013-05-16 김차식 전기밥솥
KR200476549Y1 (ko) * 2014-01-22 2015-03-10 구정오 압력밥솥용 진공 패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82B1 (ko) * 2019-09-27 2020-10-14 (주)쿠첸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033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102057941B1 (ko)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KR101325514B1 (ko) 밀폐구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353079B1 (ko) 전기압력밥솥의 패킹 구조체
KR102057938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20150106522A (ko) 진공과 밀폐가 가능한 패킹이 테두리를 감싸면서 탈착가능하게 장설된 조리용 냄비 뚜껑
KR102057940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102142409B1 (ko)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KR102330145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102057939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20130032709A (ko)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102142410B1 (ko)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KR101931762B1 (ko) 이중밀폐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200185688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용 압력패킹
KR102177249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102187894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102120177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101499615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102410436B1 (ko) 용기 덮개용 진공 패킹
KR19990042019U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CN215127194U (zh) 门体组件和烹饪设备
KR20090011961U (ko) 밀폐용기
KR101648067B1 (ko) 밀폐용기 잠금장치
KR101772842B1 (ko)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CN111839208A (zh) 液体加热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