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019U -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 Google Patents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019U
KR19990042019U KR2019980009109U KR19980009109U KR19990042019U KR 19990042019 U KR19990042019 U KR 19990042019U KR 2019980009109 U KR2019980009109 U KR 2019980009109U KR 19980009109 U KR19980009109 U KR 19980009109U KR 19990042019 U KR19990042019 U KR 199900420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ner cylinder
packing
lid
pressur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유경상
Original Assignee
김용진
대웅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대웅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2019980009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019U/ko
Publication of KR19990042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019U/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에 관한 것으로, 특히 뚜껑의 내측 가장자리에 벤딩 작업을 통해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내통의 입구 내벽 면에 완전 밀착되는 돌기부와 탄성부를 일체 형성하여서 이루어진 압력 패킹을 전기보온 압력 밥솥에 적용한 것으로서, 불 필요시에 압력 패킹이 내통 뚜껑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없으며, 압력패킹 변형으로 인한 패킹 교환시 기존 결합된 압력패킹이 쉽게 빠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본 고안은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조리 시에 발생되는 고열과 고압에 의한 압력패킹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내통 뚜껑에서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에 관한 것이다.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보온압력밥솥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내통 즉, 밥솥에 장입된 조리대상물에 대해 고온, 고압의 조건으로 조리를 이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보온압력밥솥은 조리대상물을 장입하는 내부용기에 대해 뚜껑을 닫았을 경우 조리상황시 설정된 고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밀성이 절대 요구조건이다.
상기와 같은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여러 형태의 압력패킹이 소개되었고,
그중 대표적인 것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통 뚜껑(10)내측 가장자리 주변 상단과 외측에는 결합홈(1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내통(12)내측 상단에는 경사면(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뚜껑(10)과 내통(12) 사이에 위치하여 뚜껑(10)과 내통(12) 사이를 통하여 고온, 고압의 압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패킹(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력패킹(12)을 결합돌기(21)(21a)를 결합홈(11)에 약간 강압적으로 끼워 상기 압력패킹(12)을 뚜껑(11) 내측 면에 결합시키고, 이후 조리를 행하고자 뚜껑(10)을 닫으면 뚜껑(10)의 닫힘 동작에 의해 내통(12)의 경사면(10a)에 탄성부(21b)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고온, 고압의 압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되어 조리가 원활하게 이행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압력패킹(20)은 전기보온압력밥솥을 사용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압력이 외부로 방출됨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으나, 고온 고압의 조건하에서 일정기간 경과 후에는 압력패킹이 경화되어 수축됨으로서 변형되고, 내통 뚜껑의 세척시 내통 뚜껑에서 압력패킹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통뚜껑의 세척시 내통뚜껑에서 압력패킹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갖게 하여 압력패킹의 본래 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만 압력패킹을 분리할 수 있게 된 구조를 갖는 전기보온압력밥솥용 압력패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이 뚜껑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압력패킹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내통 2...,내통뚜껑 21...,고정홈
10...,압력패킹 11...,고정부 12...,탄성부
111...,만곡부 121...,돌기부 122...,굴곡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내통뚜껑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압력 패킹의 탄성부가 내통에 완전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한 형상으로 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압력패킹의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서, 내통뚜껑(1)과 같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압력패킹(10)의 일측은 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일정 크기의 홈에 의한 만곡부(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측에는 돌기부(121)와 굴곡부(122)를 갖는 탄성부(12)가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이 뚜껑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내통뚜껑(2)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압력패킹(10)의 고정부(11)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21)을 형성하고, 압력패킹(3)에는 내통뚜껑(2)의 고정홈(21)에 정확히 삽입되는 구조의 고정부(11)를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내통(1)과 결합되는 내통 뚜껑(2)과, 상기 내통 뚜껑(2) 내측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내통(1)과 내통 뚜껑이 맞닿는 부분에 밀착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압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력패킹(10)으로 구성되어 기본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뚜껑에서 압력패킹(10)이 불 필요시에 이탈됨을 방지하고, 압력 패킹(10)의 기능을 강화 하고자 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통 뚜껑(2)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고정홈(21)이 형성되도록 하여, 압력 패킹(10)을 고정 시에는 고정부(11)를 내통뚜껑(2)의 고정홈(21)내측으로 약간 강압적으로 밀어 넣게 되면, 압력패킹(10)은 만곡부(111)의 휘어짐으로 인해 그 표면적이 작아져 고정홈(21)내에 용이하게 끼워 맞춤 되고, 고정된 상태에서는 자체 탄력에 의해 그 형태가 온전해지면서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통 뚜껑(2) 고정홈(21)내에 밀착 고정된 압력패킹(10)은 그 몸체를 하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횡축을 갖는 고정부(11)가 고정홈(2a)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불 필요시에 압력패킹(10) 이탈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리를 하고자 내통 뚜껑(2)을 닫게 되면, 압력패킹(3)의 탄성부(12)가 내통(1)의 입구를 따라 하부로 미끌리면서 이동되고, 이때, 돌기부(121)는 내통(1)의 입구측 내벽과 완전 밀착되면서 기밀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조리가 끝난 상태에서는 내통(1)에는 약간의 압력이 잔존하고 있으며 이때에 내통 뚜껑(2)을 열게 되면, 압력 패킹(10)의 굴곡부(122)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되면서 돌기부(121)의 밀착을 해제시키게 되므로, 압력이 쉽게 빠져나가므로 압력에 의해, 압력 패킹(10)이 내통 뚜껑(2) 고정홈(21)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유사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과 수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횡축으로 연장한 고정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내통 뚜껑에 형성한 고정홈에서 불 필요시에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를 갖으며, 압력 패킹의 기능을 한층 더 강화시키게 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기보온압력밥솥에 장입되는 조리물을 수용하는 내통(1)과, 상기 내통(1)과 결합되는 내통뚜껑(2)과, 상기 내통뚜껑(2)과 내통(1)사이에 삽입 고정된 압력패킹(10)으로 이루어진 전기보온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압력패킹(10)은 몸체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통뚜껑(2)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11)와,
    몸체 하부에서 돌출테 형성되어 상기 내통(1)의 입구에 밀착되는 돌기부(121)와, 몸체 하부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요홈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21)의 밀착 및 해제를 도모하는 굴곡부(122)를 갖는 탄성부(12)를 구비하는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패킹(10)의 상단면에서 몸체 내측으로 요홈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1)와 내통뚜껑(2)의 결합시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만곡부(111)를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2019980009109U 1998-05-29 1998-05-29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199900420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109U KR19990042019U (ko) 1998-05-29 1998-05-29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109U KR19990042019U (ko) 1998-05-29 1998-05-29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19U true KR19990042019U (ko) 1999-12-27

Family

ID=6951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109U KR19990042019U (ko) 1998-05-29 1998-05-29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019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401A (ko) * 2000-07-05 2002-01-16 정 담 숯이 포함된 패킹
KR101240668B1 (ko) * 2010-10-15 2013-03-11 김차식 저진공 조리용기의 밀폐장치
WO2013125813A1 (en) * 2012-02-24 2013-08-29 Boru International Co., Ltd.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KR101353079B1 (ko) * 2012-03-09 2014-01-17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압력밥솥의 패킹 구조체
KR20140083328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압력 밥솥용 패킹 구조체
KR101435756B1 (ko) * 2013-11-28 2014-08-28 서월식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401A (ko) * 2000-07-05 2002-01-16 정 담 숯이 포함된 패킹
KR101240668B1 (ko) * 2010-10-15 2013-03-11 김차식 저진공 조리용기의 밀폐장치
WO2013125813A1 (en) * 2012-02-24 2013-08-29 Boru International Co., Ltd.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CN104114457A (zh) * 2012-02-24 2014-10-22 株式会社堡垒国际服务公司 用于真空容器的橡胶密封件及使用该密封件的真空容器盖
US9731887B2 (en) 2012-02-24 2017-08-15 Boru International Co. Ltd.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KR101353079B1 (ko) * 2012-03-09 2014-01-17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압력밥솥의 패킹 구조체
KR20140083328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리홈쿠첸 전기 압력 밥솥용 패킹 구조체
KR101435756B1 (ko) * 2013-11-28 2014-08-28 서월식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2019U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101353079B1 (ko) 전기압력밥솥의 패킹 구조체
CA2346399A1 (en) Container
KR200185689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CN109984597A (zh) 一种液体加热器
US6593550B1 (en) Energy savings circumferential base for cooking utensils
KR20170002761U (ko) 음식물 보관용 실리콘 용기
KR200185690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200185688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용 압력패킹
KR102350876B1 (ko) 전기압력밥솥용 내솥커버
KR200157153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CN209032006U (zh) 煎烤机及烹饪组件
CN209032009U (zh) 煎烤机及烹饪组件
CN210055660U (zh) 盖体和烹饪器具
KR20180009162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KR200322516Y1 (ko) 취사용기
KR102159814B1 (ko) 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CN217792593U (zh) 一种具有新型密封结构的上开式烹饪器
KR0121425Y1 (ko) 전기밥솥
CN209610836U (zh) 料理机的杯盖组件及料理机
CN220778126U (zh) 一种顶紧式多重导热系统及电饭锅
CN209391799U (zh) 料理机的杯盖组件及料理机
KR200157495Y1 (ko) 밥솥
KR970000145A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잠금장치
JP5321265B2 (ja) 電気炊飯器の蓋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