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615B1 - 조리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615B1
KR101499615B1 KR20130140309A KR20130140309A KR101499615B1 KR 101499615 B1 KR101499615 B1 KR 101499615B1 KR 20130140309 A KR20130140309 A KR 20130140309A KR 20130140309 A KR20130140309 A KR 20130140309A KR 101499615 B1 KR101499615 B1 KR 101499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dy
rim
ring
lid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2013014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링 자체에 걸림턱을 두어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는 조립을 통해 제1뚜껑본체의 걸림턱에 걸려 제2뚜껑본체를 제1뚜껑본체에 간단히 고정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뚜껑{Lip for Cooking kettle}
본 발명은 지지 링 자체에 걸림턱을 두어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는 조립을 통해 제1뚜껑본체의 걸림턱에 걸려 제2뚜껑본체를 제1뚜껑본체에 간단히 고정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통상 조리용기에는 그 안의 음식이 조리되는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시창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투시창은 대개는 뚜껑에 설치되어 있다.
투시창이 부착되어 있는 종래의 조리용기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1755호에 게시된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조리용기는 지지테를 매개로 하여 투시창이 부착되되, 그 지지테(600)는 결합돌기(700)에 지지되는 상측지지테(610)와 투시창(500)을 지지하는 하측지지테(620)로 이루어져 있고, 투시창(500)과 후육부(400) 사이에 배치되어 안치부(630)가 후육부(400)의 측면에 안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안치된 지지테(600)는 상측지지테(610)가 하향 절곡되어 결합돌기(700)와 결합되고 하측지지테(620)가 상향 절곡되어 투시창(500)과 결합된다. 투시창에 결합된 하측지지테(620)는 수용부(710)에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종래의 부착방식에서는 우선, 지지테(600)의 안치부(630)에 투시창(500)을 설치한 후 지지테(600)를 변형시켜 그 하측지지테(620)가 상기 투시창(500)에 접하도록 한 후, 이와 같이 결합된 지지테(600)와 투시창(500)의 조립체를 덮개(100)에 형성된 개구부(300)에 설치하고, 지지테(600)를 절곡시켜 그 상측지지테(610)가 덮개(100)의 후육부(400)와 접하도록 함으로서 투시창(500)을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부착방식은 지지테(600)와 투시창(500)이 결합된 조립체를 덮개(100)에 설치하기 전에 지지테(600)와 투시창(500)을 완전히 결합시켜야 하는 작업을 수반하게 되며, 그만큼 작업공수가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덮개(100)에 형성된 결합돌기(700)를 지지테(600)가 감싸면서 결합되어 있다.
즉, 지지테(600)의 상측지지테(610)와 안치부(630)가 상기의 결합돌기(700)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있다. 따라서, 지지테(600)의 상측지지테(610)가 후육부(400)에 접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테(600) 상부를 변형시켜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하측지지테(620)의 그 끝단이 투시창(500)과 그 자체로는 완전히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소정의 틈을 제공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음식물 등이 그 틈에 끼는 문제를 일으키거나 음식물의 국물 등이 새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절곡 변형 방식(스텐링 커링 방식)으로 조립 시 설계와 실제 제품 간의 오차로 인해 유리 깨짐 불량이 자주 발생하고, 커링 전용 설비와 숙련공만이 조립할 수밖에 없다.
또한, 지지테(600)가 스테인리스 등 금속재료이기 때문에 유리에 손상을 줄 우려가 크다.
또한, 실링이 오링 형태로 감싸기 때문에, 실링이 1면에만 행해져 그 효과가 3면에 비해 매우 약하다.
특히 실링의 1면은 측면에서 이루어져, 유리의 상하면을 금속재료인 지지테로 받치고 있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깨지기 쉽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175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링 방식에 의한 조립이 아니라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 조립이 간단히 행해지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조리용기용 뚜껑은 내측 테두리와 외측 테두리를 갖는 제1뚜껑본체; 상기 내측 테두리에서 연장되는 받침부에 테두리의 밑면이 받치는 제2뚜껑본체; ; 상기 제1뚜껑본체에 상기 제2뚜껑본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면을 누르면서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뚜껑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링과, 상기 지지 링을 상기 제1뚜껑본체에 걸리는 걸림부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 링은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 링과, 상기 누름 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직 링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턱이 걸리는 제2걸림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누름 링은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의 상면을 더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에는 패킹이 더 장착되되, 상기 패킹은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하면에 놓이는 상하면 플랜지와, 상기 상하면 플랜지를 연결하여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측면에 놓이는 웨브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제2뚜껑본체는 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고정부재가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와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 사이로 삽입하여 제1뚜껑본체의 받침부와 함께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하면을 누르면서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에 걸리게 함으로써, 조립이 매우 간단하면서 제2뚜껑본체의 조립에 따른 불량을 훨씬 줄인다.
또한, 고정부재의 누름 링이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의 상면을 더 누르게 구현됨으로써, 한쪽으로 치우쳐 고정부재의 지지 링이 헐거워 빠질 우려를 없앤다.
또한, ㄷ자 형상의 패킹을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에 끼워 장착함으로써, 제1뚜껑본체와 제2뚜껑본체 사이의 3면을 실링하여 실링효과를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뚜껑본체를 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투시 또는 반투시로 내부의 조리 상황을 볼 수 있고, 패킹에 테두리가 둘러싸여 깨질 우려를 현저히 줄인다.
또한, 상기 지지 링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유리나 강화플라스틱 재질에 스크래치 등의 염려를 줄이면서 전체적인 중량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조리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4-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크게 용기(20A)와 용기(20A)를 개폐하는 뚜껑(10A)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10A)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20A)를 개폐하는 제1뚜껑본체(10)와 제2뚜껑본체(30), 제1뚜껑본체(10)에 제2뚜껑본체(3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뚜껑본체(10)는 용기(20A)와 힌지부(270)에 의해 결합된다.
제1뚜껑본체(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11)이 형성되면서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10a)와, 최외각을 이루는 외측 테두리(10b)를 가져, 관통공(11) 부분을 제외한 용기(20A)를 개폐한다.
제2뚜껑본체(30)는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하여 용기(20A)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한다.
즉, 제2뚜껑본체(30)는 내열성 강화유리나 내열성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뚜껑본체(30)의 테두리(31)의 밑면은 제1뚜껑본체(10)의 내측 테두리(10a)에서 연장된 받침부(15)에 받치게 된다.
받침부(15)는 수평하게 연장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뚜껑본체(30)가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인 경우 받침부(15)가 바깥쪽으로 연장될수록 위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받침밀착효율이 좋다.
받침부(15)는 제1뚜껑본체(10)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게 하여, 제1뚜껑본체(10)의 내측 테두리(10a)와 제2뚜껑본체(30)의 테두리(31)가 마주하게 받치게 하는 게 좋다.
즉, 받침부(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뚜껑본체(10)의 내측 테두리(10a)의 밑면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편(13)에서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방 연장편(13)과 받침부(15)는 거의 단면 'ㄴ'자 형상이다.
고정부재(50)는 제2뚜껑본체(30)를 지지하는 지지 링(60)과, 지지 링(60)을 제1뚜껑본체(10)에 걸리는 걸림부(70)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링(60)은 제2뚜껑본체(30)의 테두리(31)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 링(61)과, 누름 링(61)에서 연장되어 제1뚜껑본체(10)의 내측 테두리(10a)와 제2뚜껑본체(30)의 테두리(31)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링(63)으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70)는 수직 링(63)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71)과, 제1뚜껑본체(10)의 내측 테두리(10a)에 형성되어 제1걸림턱(71)이 걸리는 제2걸림턱(7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걸림턱(71)은 제1뚜껑본체(10)의 내측 테두리(10a)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제1걸림턱(71)은 제1뚜껑본체(10)의 내측 테두리(10a)의 측면에서 관통공(11) 쪽으로 연장 돌출하면서 생긴 턱으로서 마치 화살촉이 반쪽을 이루며 위로 향하는 형상이다.
제2걸림턱(73)은 도 2와 같이 수직 링(63)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즉 제2걸림턱(73)은 수직 링(63)의 외측에서 살 두께가 두꺼워지게 위쪽으로 향하면서 생긴 턱으로서 마치 화살촉이 반쪽을 이루며 아래로 향하는 형상이다.
누름 링(61)은 제1뚜껑본체(10)의 내측 테두리(10a)의 상면을 더 누르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3과 같이, 제1뚜껑본체(10)의 내측 테두리(10a)에는 그 상면보다 약간 높은 돌기 또는 돌기테(17)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돌기테(17)는 누름 링(61)의 한쪽 치우침을 해소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이처럼 누름 링(61)이 전후에서 누르는 구조로 됨으로써, 지지 링(60)은 T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제2뚜껑본체(30)의 테두리(31)에는 패킹(80)이 더 장착되는 것이 좋다.
패킹(80)은 제2뚜껑본체(30)의 테두리(31)의 상하면에 놓이는 상하면 플랜지(81)(83)와, 상하면 플랜지(81)(83)를 연결하여 제2뚜껑본체(30)의 테두리(31)의 측면에 놓이는 웨브(8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면 ㄷ자 형상의 패킹(80)은 3면이 실링되는 효과를 준다.
특히 돌기 또는 돌기테(17)는 패킹(80)이 장착되었을 때 상면 플랜지(81)와의 높이 차이를 맞추어주는 역할도 한다.
지지 링(6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 링(60)은 금속인 제1뚜껑본체(10) 또는 실리콘의 패킹(80)과의 상대적 접촉에 따른 스크래치가 생기지 않게 한다.
특히 지지 링(60)이 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제2뚜껑본체(30)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금속보다 덜 깨지기 쉽니다.
또한, 지지 링(60)이 플라스틱인 경우 패킹(80)을 교환하는 등의 A/S를 위해서 파손하더라도 다른 것으로 쉽게 교체가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뚜껑(10A)의 무게를 줄인다.
이와 같이, 패킹(80)이 장착한 제2뚜껑본체(30)를 받침부(15)에 올려놓고 지지 링(60)을 돌기테(17)와 상면 플랜지(81)에 닿을 때까지 삽입하면, 누름 링(61)의 탄성 변형에 따라 제2걸림턱(73)이 제1걸림턱(71)에 걸리면서 누름 링(61)과 받침부(15) 사이에서 제2뚜껑본체(30)가 간단히 견고하게 지지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A : 뚜껑 10 : 제1뚜껑본체
10a : 내측 테두리 10b : 외측 테두리
11 : 관통공 13 : 하방 연장편
15 : 받침부 17 : 돌기테
30 : 제2뚜껑본체 31 : 테두리
50 : 고정부재 60 : 지지 링
61 : 누름 링 63 : 수직 링
70 : 걸림부 71 : 제1걸림턱
73 : 제2걸림턱 80 : 패킹
81 : 상면 플랜지 83 : 하면 플랜지
85 : 웨브 20A : 용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측 테두리와 외측 테두리를 갖는 제1뚜껑본체; 상기 내측 테두리에서 연장되는 받침부에 테두리의 밑면이 받치는 제2뚜껑본체; 상기 제1뚜껑본체에 상기 제2뚜껑본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면을 누르면서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에 걸리도록 상기 제2뚜껑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링과, 상기 지지 링을 상기 제1뚜껑본체에 걸리는 걸림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링은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 링과, 상기 누름 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와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직 링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1뚜껑본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턱이 걸리는 제2걸림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에는 패킹이 더 장착되되,
    상기 패킹은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하면에 놓이는 상하면 플랜지와, 상기 상하면 플랜지를 연결하여 상기 제2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측면에 놓이는 웨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2뚜껑본체는 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용 뚜껑.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용 뚜껑.
KR20130140309A 2013-11-19 2013-11-19 조리용기용 뚜껑 KR101499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309A KR101499615B1 (ko) 2013-11-19 2013-11-19 조리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309A KR101499615B1 (ko) 2013-11-19 2013-11-19 조리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615B1 true KR101499615B1 (ko) 2015-03-09

Family

ID=5302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0309A KR101499615B1 (ko) 2013-11-19 2013-11-19 조리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1975A (zh) * 2017-05-12 2018-11-23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双层水壶的水窗结构及其制作方法
EP3593682A1 (fr) * 2018-07-13 2020-01-15 Seb S.A. Couvercle comportant une pièce en ver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380A (ko) * 1999-07-20 2001-02-05 장형수 압력솥의 안전밸브 장치
KR200334301Y1 (ko) * 2003-08-28 2003-11-21 황수연 조리기 뚜껑용 유리고정테
JP2013056680A (ja) * 2011-09-07 2013-03-28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380A (ko) * 1999-07-20 2001-02-05 장형수 압력솥의 안전밸브 장치
KR200334301Y1 (ko) * 2003-08-28 2003-11-21 황수연 조리기 뚜껑용 유리고정테
JP2013056680A (ja) * 2011-09-07 2013-03-28 Thermos Kk 飲料用容器の栓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1975A (zh) * 2017-05-12 2018-11-23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双层水壶的水窗结构及其制作方法
CN108851975B (zh) * 2017-05-12 2023-11-24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双层水壶的水窗结构及其制作方法
EP3593682A1 (fr) * 2018-07-13 2020-01-15 Seb S.A. Couvercle comportant une pièce en verre
FR3083687A1 (fr) * 2018-07-13 2020-01-17 Seb S.A. Couvercle comportant une piece en ver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0390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рышки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стоящая из прозрачной крышки и каркаса
KR2017007113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US8887949B2 (en) Foldable food container
KR101272819B1 (ko) 음식 용기용 진공 패킹
KR101616073B1 (ko) 패킹, 이 패킹을 이용한 진공냄비용 뚜껑 및 진공냄비
KR101499615B1 (ko) 조리용기용 뚜껑
RU148678U1 (ru) Емкость, содержащая сосуд и крышку
JP5656767B2 (ja) 炊飯器
JP2008167890A (ja) 炊飯器
KR101353079B1 (ko) 전기압력밥솥의 패킹 구조체
JP2014229369A (ja) 組込み式の加熱調理器
KR101442422B1 (ko) 식품용 용기
USD675235S1 (en) Food drawer cover plate with a sealing system
KR101568168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399137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17007060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WO2015147520A1 (ko) 유리뚜껑용 진공패킹
CN211270149U (zh) 内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1499576B1 (ko) 조리용기
JP3733985B2 (ja) ドロップインこんろのシール装置
JP2009225926A (ja) 炊飯器
CN220097186U (zh) 一种盒子
CN217137586U (zh) 一种防漏的密封组合盖结构
KR101614244B1 (ko) 유리뚜껑용 진공 패킹
CN211559681U (zh) 内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