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137B1 - 조리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137B1
KR101399137B1 KR1020140009586A KR20140009586A KR101399137B1 KR 101399137 B1 KR101399137 B1 KR 101399137B1 KR 1020140009586 A KR1020140009586 A KR 1020140009586A KR 20140009586 A KR20140009586 A KR 20140009586A KR 101399137 B1 KR101399137 B1 KR 101399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lid
lid body
flange por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월식
Original Assignee
서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8952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991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월식 filed Critical 서월식
Priority to KR102014000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킹이 구비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패킹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조리시 발생되는 음식물이 패킹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위생 부분에서도 우수함은 물론이고 미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킹의 결합부를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하게 되는 방식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패킹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고정부재의 수평부재에 밀착부를 형성하여 패킹의 결합부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게 되므로 조리시 발생되는 음식물이 패킹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위생 부분에서도 우수함은 물론이고 패킹의 외부 노출을 방지함에 따라 미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뚜껑{A lid for cooking receptacle}
본 발명은 패킹이 구비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패킹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조리시 발생되는 음식물이 패킹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위생 부분에서도 우수함은 물론이고 미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용 뚜껑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기본체의 상면을 밀폐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음식물이 다량 넘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근래에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패킹을 구비하여 용기본체와 밀폐력을 향상시켜 조리시 음식물이 넘치지 않거나 조리 후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기능성 조리용기용 뚜껑이 주방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상기한 패킹이 구비된 조리용기용 뚜껑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킹에 의해 용기본체와 밀폐력이 우수하여 그로 인한 장점들이 발생되나, 상기 패킹은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그 재질(실리콘) 특성상 느슨해져 뚜껑에서 무단으로 분리되는 큰 단점이 있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204호 및 20-2010-0000110호를 참조로 하면, 패킹은 뚜껑의 가장자리 하면에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어 용기본체의 상면을 밀폐하게 되는데, 단순 끼움 방식으로 된 패킹은 장시간 사용에 의해 느슨해지면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을 2011년 06월 01일자로 특허 출원하여 특허등록번호 제10-1117219호로 등록받았다.
즉,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패킹을 뚜껑몸체의 가장자리 측면에 밀착 고정하도록 하여 패킹이 견고하게 뚜껑몸체에 결합되도록 하면서 고정부재를 포인트화 시켜 외관을 향상시키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물론, 상기한 결합구조로 인해 패킹이 무단으로 뚜껑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었으나, 뚜껑몸체의 가장자리 상면에서 고정부재가 패킹의 상면에 위치되는 상태로 패킹을 고정하는 구성을 가져 조리시 음식물이 뚜껑 상면을 통해서 하향 배출될 때 일부 음식물이 패킹과 뚜껑몸체 사이로 유입되어 위생적으로 단점이 발생되었고, 외관적으로도 뚜껑몸체의 가장자리 상면에서 패킹과 고정부재가 2단으로 적층되어서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므로 미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새로운 구조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패킹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조리시 발생되는 음식물이 패킹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위생 부분에서도 우수함은 물론이고 미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조리용기용 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가장자리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된 뚜껑몸체; 상기 뚜껑몸체의 플랜지부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상측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패킹; 및 상기 뚜껑몸체의 플랜지부 측면에서 밀착되면서 상기 패킹의 결합부를 밀착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에서 내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밀착되기 위한 수평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에 직접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패킹의 결합부의 끝부분이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을 통해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고,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는 제2밀착부를 형성하여 패킹을 밀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부 및 제2밀착부는 끝단을 말아서 형성함으로써 외부는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된 형상 혹은 끝단을 절곡하여서 형성된 절곡부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가장자리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된 뚜껑몸체; 상기 뚜껑몸체의 플랜지부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상측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패킹; 및 상기 뚜껑몸체의 플랜지부 측면에서 밀착되면서 상기 패킹의 결합부를 밀착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에서 내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밀착되기 위한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측에서 내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패킹의 결합부를 밀착하는 수평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에 직접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패킹의 결합부의 끝부분이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을 통해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끝단에는 제2밀착부를 형성하여 패킹을 밀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부 및 제2밀착부는 끝단을 말아서 형성함으로써 외부는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된 형상 혹은 끝단을 절곡하여서 형성된 절곡부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킹의 결합부를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하게 되는 방식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패킹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고정부재의 수평부재에 밀착부를 형성하여 패킹의 결합부 끝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게 되므로 조리시 발생되는 음식물이 패킹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위생 부분에서도 우수함은 물론이고 패킹의 외부 노출을 방지함에 따라 미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분리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고, "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며, "다"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며, "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고, "다"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분리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크게 뚜껑몸체(110), 패킹(120) 및 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뚜껑몸체(11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 형상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명백히 한다.
이러한, 뚜껑몸체(11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플랜지부(1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플랜지부(112)는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통상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몸체(110)의 가운데 부분에는 손잡이(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조리자가 뚜껑몸체(110)를 열 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역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몸체(110)의 일측에는 압력배출밸브(118)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조리시 발생되는 압력을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몸체(110)의 플랜지부(112) 하면 내측에는 환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패킹(120)을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상기 패킹(120)은 내열성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뚜껑몸체(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112) 하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환돌기(114)에 내측이 지지되면서 용기본체의 상면에 직접 안치되는 밀폐부(122) 및 상기 밀폐부(122)의 상측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플랜지부(112)에 상기 밀폐부(122)를 포함한 패킹(120)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122)는 밀폐력이 우수하여 용기본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종래와 마찬가지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124)는 단면상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뚜껑몸체(110)의 플랜지부(112)의 측면과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패킹(120)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124)의 형상이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플랜지부(112)의 측면과 상면에 동시에 밀착되므로 그 결합력이 우수하고 안정감이 있어 가장 바람직한 일예이다.
그러나, 상기 패킹(120)의 결합부(124)의 형상을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다른 일실시예를 통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부재(130)는 녹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뚜껑몸체(110)의 플랜지부(112)에 지지되면서 상기 패킹(120)의 결합부(124)를 밀착 고정하여서 상기 패킹(120)이 무단으로 뚜껑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몸체(110)의 플랜지부(112) 측면에서 밀착되면서 상기 패킹(120)의 결합부(124)를 밀착하는 수직부재(132) 및 상기 수직부재(132)의 상측에서 내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112)의 상면에 밀착되기 위한 수평부재(134)로 이루어져 단면상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링 형태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수평부재(134)의 끝단에는 상기 뚜껑몸체(110)의 상면에 직접 밀착되는 밀착부(136)를 형성하여 상기 패킹(120)의 결합부(124)의 끝부분이 상기 뚜껑몸체(110)의 상면을 통해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134)에 형성된 밀착부(136)는 고정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그 두께를 두껍게 하여 그 내측에 패킹(120)의 결합부(124)가 위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몸체(110)에 직접 밀착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부(136)는 상기 수평부재(134)의 끝단을 내향되게 말아서 외관이 라운딩 처리되도록 한 것이 좋다.
결국, 상기 고정부재(130)는 패킹(120)의 결합부(124)를 뚜껑몸체(110)의 플랜지부(112)에 고정시키면서도 밀착부(136) 형성을 통해 결합부(124)의 끝부분이 뚜껑몸체(110)의 상면을 통해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상을 변화가 초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패킹(120) 및 고정부재(130)는 상기 뚜껑몸체(110)에 도 3과 같이 결합된다.
즉, 뚜껑몸체(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112)의 하측에는 패킹(120)의 밀폐부(122)가 위치되며, 결합부(124)를 매개로 상기 플랜지부(112)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30)가 상기 플랜지부(112)에 장착되면서 수직부재(132)를 통해서는 상기 패킹(120)의 결합부(124) 측면을 상기 플랜지부(112)에 밀착하고, 수평부재(134)를 통해서는 상기 패킹(120)의 결합부(124) 상면을 상기 플랜지부(112)에 밀착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134)의 끝단에 형성된 밀착부(136)가 뚜껑몸체(110)에 직접 밀착되고, 그 내부에 패킹(120)의 결합부(124)가 위치하게 되도록 결합함으로써 뚜껑몸체(110)의 상면을 통해서는 상기 패킹(120)의 결합부(12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분리 방지를 위해 수직부재(132)의 전체 혹은 끝단을 미도시 된 롤러의 롤링 공정을 통해서 내측 방향으로 밀착하여서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용기본체(200)의 상면에 안치되어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즉, 뚜껑몸체(110)의 가장자리 부분인 플랜지부(112)에 장착된 패킹(120)이 용기본체(200) 상면에 안치되어서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미도시 하였으나 용기본체(200)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를 하게 되면 가열시 발생되는 고압의 공기는 상기 뚜껑몸체(110)의 일측에 구비된 압력배출밸브(118)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압력배출밸브(118)의 상세한 작동원리는 종래에서도 이미 제안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패킹(120)은 고압의 열기에 노출되고, 특히 수축 작용시에는 패킹(120)의 밀폐부(122)가 강하게 용기본체(200)에 밀착되므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패킹(120)이 느슨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130)가 패킹(120)의 결합부(124)를 단단히 밀착 고정하게 있으므로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0)의 밀착력으로 인해 패킹(120)과 플랜지부(112) 사이에 틈새 발생이 거의 없어 밀폐력도 증진될 것은 당연하다.
특히, 고정부재(130)의 수평부재(134) 끝단에 형성된 밀착부(136)가 뚜껑몸체(110)에 직접 밀착되면서 그 내부에 상기 패킹(120)의 결합부(124)가 위치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뚜껑몸체(110)의 상면을 통해서 흘러내리는 음식물(300)이 패킹(120)의 결합부(124)와 뚜껑몸체(110) 사이에 끼움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인 조리용기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패킹(120)의 결합부(124)가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의 미려함도 크게 개선되는 큰 효과가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다른 일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패킹(120) 및 고정부재(130)의 변화될 수 있는 다른 형상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고, "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며, "다"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며, "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고, "다"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도시된 구성요소 중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과 동시에 상술은 생략하였음을 인지해야 된다.
먼저, 도 5의 "가"를 참조로 하면, 뚜껑몸체(110)의 플랜지부(112)에 결합부(124)를 매개로 장착되어 있는 패킹(12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30)의 형상 변화인데, 고정부재(130)의 수직부재(132) 하측에 내향 절곡된 수평지지부재(137)를 형성하여 패킹(120)의 결합부(124)를 플랜지부(112) 하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패킹(12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성이다.
또한, "나"를 참조로 하면, 고정부재(130)의 수직부재(132) 및 수평부재(134)에 오목부(138)가 적어도 한 군데 이상 형성되어서 내측에 구비된 패킹(120)의 결합부(124)를 더 강하게 밀착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오목부(138)는 상기 수직부재(132) 혹은 수평부재(134)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 위치될 수도 있고, 양 측에 같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외관상 상기 오목부(138)로 인해서 평평한 수직부재(132) 혹은 수평부재(134)에 띠 모양의 포인트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미려감 또한 상승될 것이다.
이렇게 상기 "가"와 "나"는 고정부재(130)의 구성 변화에 따라 패킹(120)을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또한 본원의 구성에 해당되는 것이다.
한편, "다"를 참조로 하면, 패킹(120)의 결합부(124)가 일자 형상의 구성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일자 형상의 결합부(124)는 뚜껑몸체(110)의 플랜지부(112) 측면에만 지지되어 있고, 역시 고정부재(130)가 상기 결합부(124)를 밀착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패킹(120)의 결합부(124)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 6의 "가"를 참조로 하면, 패킹(120)과 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30)의 또 다른 형상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즉, 패킹(120)의 밀폐부(122) 상측에 형성된 결합부(124)가 외측으로 개방된 삽입홈(126)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5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30)의 수직부재(132) 하측에 내향 절곡된 수평지지부재(137)가 상기 삽입홈(126)으로 삽입되도록 하되, 그 끝단에 제2밀착부(139)를 형성하여 이 제2밀착부(139)가 상기 삽입홈(126) 내에서 결합부(124)를 플랜지부(112)에 강하게 밀착하도록 하는 형상이며, 이때 형성되는 제2밀착부(139) 역시, 끝단을 내측으로 말아서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의 "나"를 참조로 하면, 고정부재(130)의 수평부재(134)에 형성되는 밀착부(136)의 형상이 말아서 형성되지 않고, 절곡 형성된 절곡부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밀착부(136)를 말아서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하게 되면 외관적으로 우수할 것이나, 절곡 타입으로 형성하여서 그 절곡부 끝단이 뚜껑몸체(110)에 직접 밀착되도록 하면서 패킹(120)의 결합부(124)가 그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도 전술한 본원(말아서 형성된 타입)과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각 부분 또한 새로운 외관을 형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6의 "다"를 참조로 하면, 도 6의 "가"와 같이 고정부재(130)의 수직부재(132) 끝단에 수평지지부재(137)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수직부재(132)의 끝부분에 제2밀착부(139)를 직접 형성하여 패킹(120)의 결합부(122)를 밀착하도록 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또한 패킹(120)을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이고 끝단을 말아서 형성하게 되므로 끝부분이 라운딩 처리되어서 곡선의 미려감이 우수하다.
결국, 본 발명은 고정부재(130)의 수평부재(134) 끝단에 뚜껑몸체(110)에 직접 밀착되는 밀착부(136)(말아서 형성된 타입 혹은 절곡부 타입)를 형성하면서 패킹(120)의 결합부(124)를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뚜껑몸체(110)의 상측으로는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서 음식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도 우수한 것은 물론이고 외관적으로 우수한 디자인 효과를 창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패킹(120)의 결합부(124)를 고정부재(130)의 다양한 형태(수직부재의 절곡,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에 오목부 형성 혹은 제2밀착부)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큰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뚜껑 110 : 뚜껑몸체
112 : 플랜지부 114 : 환돌기
116 : 손잡이 118 : 압력배출밸브
120 : 패킹 122 : 밀폐부
124 : 결합부 126 : 삽입홈
130 : 고정부재 132 : 수직부재
134 : 수평부재 136 : 밀착부
137 : 수평지지부재 138 : 오목부
139 : 제2밀착부 200 : 용기본체
300 : 음식물

Claims (7)

  1.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가장자리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된 뚜껑몸체;
    상기 뚜껑몸체의 플랜지부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상측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패킹; 및
    상기 뚜껑몸체의 플랜지부 측면에서 밀착되면서 상기 패킹의 결합부를 밀착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에서 내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밀착되기 위한 수평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에 직접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패킹의 결합부의 끝부분이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을 통해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고,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는 제2밀착부를 형성하여 패킹을 밀착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 및 제2밀착부는 끝단을 말아서 형성함으로써 외부는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된 형상 혹은 끝단을 절곡하여서 형성된 절곡부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3.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가장자리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된 뚜껑몸체;
    상기 뚜껑몸체의 플랜지부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상측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패킹; 및
    상기 뚜껑몸체의 플랜지부 측면에서 밀착되면서 상기 패킹의 결합부를 밀착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에서 내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밀착되기 위한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측에서 내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패킹의 결합부를 밀착하는 수평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에 직접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패킹의 결합부의 끝부분이 상기 뚜껑몸체의 상면을 통해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끝단에는 제2밀착부를 형성하여 패킹을 밀착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 및 제2밀착부는 끝단을 말아서 형성함으로써 외부는 라운딩 처리되도록 형성된 형상 혹은 끝단을 절곡하여서 형성된 절곡부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09586A 2014-01-27 2014-01-27 조리용기용 뚜껑 KR101399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586A KR101399137B1 (ko) 2014-01-27 2014-01-27 조리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586A KR101399137B1 (ko) 2014-01-27 2014-01-27 조리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137B1 true KR101399137B1 (ko) 2014-05-27

Family

ID=5089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586A KR101399137B1 (ko) 2014-01-27 2014-01-27 조리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124A (ko) * 2014-07-30 2016-02-12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993190B1 (ko) 2018-05-05 2019-06-27 구정오 용기 뚜껑의 스테인리스 링 체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822A (ko) * 2010-04-22 2011-10-28 주식회사 리홈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뚜껑 탈거형 전기압력조리기
KR101117219B1 (ko) * 2011-06-01 2012-03-16 (주)홍산경금속 조리용기용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822A (ko) * 2010-04-22 2011-10-28 주식회사 리홈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뚜껑 탈거형 전기압력조리기
KR101117219B1 (ko) * 2011-06-01 2012-03-16 (주)홍산경금속 조리용기용 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124A (ko) * 2014-07-30 2016-02-12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670265B1 (ko) * 2014-07-30 2016-10-28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993190B1 (ko) 2018-05-05 2019-06-27 구정오 용기 뚜껑의 스테인리스 링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413B2 (en) Ceramic metallic liquid holding vessel
KR101117219B1 (ko) 조리용기용 뚜껑
US7617948B2 (en) Cookware with multiple component lid
ITTO20090093U1 (it) Scodella di articolo culinario, in particolare spremiagrumi, centrifuga per insalata o grattugia
KR101399137B1 (ko) 조리용기용 뚜껑
US20220133083A1 (en) Cooking container lid having auxiliary lid
JP3171801U (ja) 携帯用飲料容器
CN204218707U (zh) 一种密封玻璃盖的结构
CN203749205U (zh) 滤茶器
JP2019013446A (ja) 加熱調理器
KR20100010006U (ko) 패킹 끼움턱이 형성된 조리용 용기뚜껑
KR200475469Y1 (ko) 진공 냄비
KR200458533Y1 (ko) 압력조리기구의 패킹재
KR101993190B1 (ko) 용기 뚜껑의 스테인리스 링 체결구조
KR101491420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KR200476728Y1 (ko) 진공 냄비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CN206080105U (zh) 一种防止锅盖上水滴滴落的可视汤锅
KR101432964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KR101486701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CN209058662U (zh) 一种分离茶水的泡茶杯
KR200359212Y1 (ko) 냄비뚜껑의 결속링구조
CN211108551U (zh) 一种改进型茶罐
CN209863329U (zh) 一种烹饪器具的内盖结构
CN108402881A (zh) 一种带把手的搪瓷铁锅及电热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06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406

Effective date: 201808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