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265B1 -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 Google Patents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265B1
KR101670265B1 KR1020140112889A KR20140112889A KR101670265B1 KR 101670265 B1 KR101670265 B1 KR 101670265B1 KR 1020140112889 A KR1020140112889 A KR 1020140112889A KR 20140112889 A KR20140112889 A KR 20140112889A KR 101670265 B1 KR101670265 B1 KR 101670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frame
lid
fitt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124A (ko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ublication of KR2016001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장착된 테에 패킹이 끼워 장착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lid for vacuum pot}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장착된 테에 패킹이 끼워 장착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공냄비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끓일 때에는 조리실 내부가 팽창하여 체크밸브(또는 진공해제밸브)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평상시와 같은 냄비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다 끓인 후 식히면 조리실 내부가 수축하여 체크밸브(또는 진공해제밸브)를 통해 외부 공기의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뚜껑의 테두리에 장착된 진공 가능한 패킹을 계속 아래로 당기는 일명 펌핑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내부를 진공화시켜 뚜껑이 용기에 붙어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 진공상태로 그대로 내용물을 보관하면 진공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음식물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계속 끓여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진공상태의 해제는 다시 끓이거나 체크밸브(또는 진공해제밸브)를 잡고 올리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가능한 패킹은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된 장착홈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패킹이 장착홈 또는 고정부재에 장착됨으로써, 열에 의해 패킹이 늘어나면 늘어난 고무가 밀려나갈 공간이 아래쪽밖에 없기 때문에, 테두리와 패킹 사이에 틈이 생겨 오물이 들어갔을 때 청소하기 힘들고, 세척을 위한 탈부착 등이 불편하고 쉽지 않다.
한편, 특허문헌 3의 패킹은 뚜껑의 테두리에 끼우는 ㄷ자 형상으로서, 열을 받아 팽창하게 되면 ㄷ자 형상중 테두리의 밑면에 밀착된 아래쪽 부분이 늘어나면서 테두리 밑면과 틈새가 생겨 이물질이 끼 울려가 매우 크고, 세척을 위한 분리 시 재 부착이 어렵다.(통상 접착제로 접착한 상태로 끼우기 때문에)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5784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7219호 특허문헌 3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034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를 확인하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뚜껑본체에 패킹이 구속되지 않게 끼워져 조립이 편리하면서도 진공 역할을 확실하고 자유로운 열팽창에 따른 이물질의 침투도 막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은, 용기의 내부를 진공 가능하게 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는 테; 상기 테의 밑면에 끼워져 조립되는 패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테는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제1테와, 상기 패킹이 끼워진 채 상기 제1테에 의해 지지되는 제2테로 구성되며, 상기 제2테는 상기 테두리의 밑에 배치되며 상기 제1테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제2받침테와, 상기 제2받침테의 외측단에서 위로 연장되며 상기 테두리의 측면과 상기 제1테 사이에 개재되는 제2상방테와, 상기 제2받침테의 내측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패킹이 끼워지는 제2하방테로 구성되며, 상기 패킹은 상기 제2하방테에 끼워지는 몸체 패킹과, 상기 몸체 패킹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에 놓이는 외팔보형 날개 패킹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몸체 패킹은 제2하방테의 내외측에 배치되는 제1몸체 패킹과 제2몸체 패킹, 상기 제1몸체 패킹의 하측과 상기 제2몸체 패킹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3몸체 패킹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은 상기 제2몸체 패킹의 외측에서 바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패킹과 상기 제2몸체 패킹 사이에는 상기 제2하방테가 끼워져 조립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패킹의 상단에는 내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리브 패킹과 제2리브 패킹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패킹의 상단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리브 패킹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테두리 패킹이 더 끼워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고정단은 상기 제2몸체 패킹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상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융기한 띠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띠 돌기의 소정 간격마다 상기 띠 돌기의 높이보다 더 높은 스폿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뚜껑본체의 테두리의 테 밑면에 패킹이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뚜껑본체의 실링과 진공을 동시에 행하면서도 내부의 조리물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고, 특히 패킹을 밑에서 위로 끼우거나 아래로 잡아당겨 빼낼 수 있어 조립이 매우 편리하고, 테에 매달리는 형태로 끼워져 있어 열팽창이 자유로워 테두리 또는 테와의 틈새가 생기기 않아 이물질이 낄 우려가 없다.
또한, 제1몸체 패킹의 상단에 내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리브 패킹과 제2리브 패킹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리브는 압력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제2리브는 진공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고정단이 제2몸체 패킹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배치됨으로써, 끼울 때 상단이 스토퍼 역할을 하여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작동을 원할하게 한다.
또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의 상면에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조리시 체크밸브가 막혀 압력이 높아지면 돌기 사이로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벌어지게 하는 역할을 하고, 진공 시는 패킹이 냄비의 전체에 일정하게 눌러져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단면이 ㄷ자 형상의 테두리 패킹이 더 끼워짐으로써, 뚜껑본체와 테 사이를 더욱 밀폐시켜 냄비 내부의 진공 상태를 더욱더 잘 유지시킨다.
또한, 띠 돌기로 인해 진공 시 선접촉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면접촉에 비해 접촉면적이 좁아 진공 해세시 외팔보형 패킹 날개의 떨어지는 작동이 신속 정확히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가능한 냄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뚜껑을 용기에서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a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뚜껑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패킹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5의 절취 사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절취 사시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패킹이 적용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단면도.
도 7a는 체크밸브가 진공을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
도 7b는 체크밸브가 압력에 따라 넘침 방지와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가능한 냄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뚜껑을 용기에서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뚜껑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패킹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5의 절취 사시 단면도이고,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절취 사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패킹이 적용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단면도이다. 도 7a는 체크밸브가 진공을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체크밸브가 압력에 따라 넘침 방지와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유지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가능한 냄비(100)는 조리실(200a)을 갖는 용기(200)와, 용기(200)의 조리실(200a)을 개폐하는 진공 가능한 뚜껑(300)을 포함한다.
용기(200)는 도 2와 같이 내부에 조리실(200a)을 형성하도록 바닥(210)과, 바닥(210)의 가장자리에서 위로 돌출한 측벽(230)으로 형성되어 있다.
진공 가능한 뚜껑(3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용기(20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뚜껑본체(310)와, 뚜껑본체(3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크밸브(350)와, 뚜껑본체(310)의 테두리(312)를 따라 장착되는 테(400)와, 테(400)의 밑면에 끼워져 조립되는 패킹(370)을 포함한다.
뚜껑본체(310)는 전체가 투명한 유리 또는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강화 유리가 바람직하다.
특히 체크밸브(350)는 뚜껑본체(31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311)에 설치되는 뚜껑손잡이(330)에 배치되어 있다.
뚜껑손잡이(330)는 도 3,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311) 상에 배치되는 중공심부(330a)와, 중공심부(330a)와 결합되어 뚜껑본체(310)에 지지되는 중공캡부(330b)와, 중공캡부(330b)의 일측에서 뚜껑본체(31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암(330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뚜껑손잡이(330)는 열에 강한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 있다.
체크밸브(350)는 중공심부(330a) 내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체크밸브(350)의 상부는 중공캡부(330b)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뚜껑손잡이(330)의 구성에 의해, 하나의 뚜껑손잡이로 진공 기능, 넘침 방지 기능, 세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중공심부(330a)의 관통 내부는 도 7b와 같이 용기(200)에서 생긴 수증기 등이 빠지는 배출구의 통로 기능을 한다.
중공심부(330a)의 하단에는 뚜껑본체(310)의 밑면에 걸리는 걸림 플랜지(3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플랜지(331a)는 중공심부(330a)의 상단을 관통공(311)의 아래에서 위로 삽입하면 관통공(311)의 하면에 걸리게 된다.
또한, 중공심부(330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330a)는 걸림 플랜지(331a)와 중공심부(330a)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심부(330a)의 상단과 관통공(311) 사이에 어느 정도 높이의 차이가 있다.
중공캡부(330b)는 상하로 관통한 통 또는 원통 형상으로서, 수나사(333a)와 체결되는 암나사(333b)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333b)도 중공캡부(330b)의 하단에서 상단 사이 특히 중공캡부(330b)의 하단에서 후술된 배출공(3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캡부(330b)의 상하단 사이의 높이가 어느 정도 깊다.
중공캡부(330b)의 일측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공(320)이 더 형성되어 있다.
배출공(320)은 도 3,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심부(330a)의 상단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수증기가 배출공(320)을 빠져나갈 때 중공심부(330a)의 상단에 방해받지 않게 한다.
즉, 도 7b와 같이 수증기가 위로 빠져나오려고 할 때 배출공(320)으로도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중공캡부(330b)의 높이(깊이) 차이에 따른 수증기의 응축을 방지하여 중공캠부(330b) 내에 물이 고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배출공(320)은 상하보다 좌우로 길이가 긴 장공의 직사각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공(320)은 암(330c)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330c)은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중공캡부(330b)의 일측에서 뚜껑본체(31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측면에서 볼 때 뚜껑본체(310)의 중심측에서 테두리 쪽으로 향할수록 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330c)의 끝단과 뚜껑본체(310)의 테두리는 진공 가능한 뚜껑(300)을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캡부(330b)에는 증기를 위쪽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편(340)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가이드편(340)은 중공캡부(330b)와 암(330c)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 설치되어, 암(330c) 쪽으로 수증기 등이 직접 향하는 것을 위쪽으로 우회시키는 우회로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우회로의 기능을 위해 중공캡부(330b)의 상면 일부를 마치 벽을 둘러싼 것처럼 가이드편(340)이 설치되어 있다.
체크밸브(350)는 탄성 변형이 자유롭고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심부(330a)에 형성된 개폐공(335a)의 상면(337a)에 놓이는 개폐 플랜지(351)와, 개폐 플랜지(351)의 상부에 형성되는 꼭지부(353)와, 개폐공(335a)의 하면(338a)에 걸리는 중공 플랜지(355)와, 개폐 플랜지(351)와 중공 플랜지(355)를 연결하는 연결부(357)와, 꼭지부(353)와 개폐 플랜지(351)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359)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357)는 중공 플랜지(355)의 둘레를 따라 배출공간(S)이 형성되게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연결띠(357)로 구현되어 있다.
꼭지부(353)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개폐 플랜지(351)는 개폐공(335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꼭지부(353)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 플랜지(355)는 디스크 형상으로 그 중심에 관통공(35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체크밸브(350)는 중공 플랜지(335c)의 관통공(336)과 배출공간(S)을 통해 조리실(200a)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그 반대로의 유로는 차단하는 일방향 밸브이다.
한편, 플랜지(359)의 직경은 개폐 플랜지(351)보다 더 크게 하여 재차 우산 기능을 하게 하고, 중공캡부(330b)의 관통공의 직경보다는 작게 하여 에지 틈새(c)로 수증기 등이 빠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랜지(359)는 개폐 플랜지(351)를 통과해서 이물이 넘치는 경우 재차 넘침을 최대한 억제하는 우산 기능을 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359)에는 복수의 홀(359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틈새(c)는 매우 좁기 때문에, 배출되는 수증기가 병목현상으로 인해 머무는 시간이 생겨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물방울이 맺히면 계속 수증기가 배출될 때 그 압력으로 물방울이 바깥으로 튀겨 지저분해지거나 화상이 우려된다.
따라서, 홀(359a)은 도 7b와 같이 수증기의 배출 통로 역할을 하여, 수증기의 배출 병목현상을 완화시켜 틈새(c)에서 물방울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
테(40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본체(310)의 테두리(312)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고리형상의 제1테(430)와, 패킹(370)이 끼워진 채 제1테(430)에 의해 지지되는 고리형상의 제2테(410)로 구성되어 있다.
테(400)의 조립 시, 제2테(410)를 테두리(312)에 끼운 후 제1테(430)를 삽입하면 제2테(430)가 제1테(410)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테(430)는 테두리(312)의 상면을 감싸는 제1상면테(431)와, 테두리(312)의 측면을 감싸는 제1측면테(433)과, 제1측면테(433)의 하단에 U자 형태로 절곡되는 받침편(4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상면테(431)는 뚜껑본체(310)의 곡면과 같은 형태로 배치되는 제1-1상면테(431a)와, 제1-1상면테(431a)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2상면테(431b)로 구성되어 있다.
제1상면테(431)가 스테인리스 재질이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제1-1상면테(431a)의 내측 부분을 안쪽으로 컬링한 접힘부(432)가 형성되면, 메탈의 에지가 둥근 라운지 형태로 되어 날카로운 부분이 없어져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입을 막는 마감부의 역할도 한다.
제2테(410)는 테두리(312)의 밑에 배치되며 제1테(430)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제2받침테인 제2수평테(411)와, 제2수평테(411)의 외측단에서 위로 연장되며 테두리(312)의 측면과 제1측면테(433) 사이에 개재되는 제2상방테(413)와, 제2수평테(411)의 내측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패킹(370)이 끼워지는 제2하방테(414)로 구성되어 있다.
제2하방테(414)의 하단에는 끼움 효과를 높이기 위한 원형의 컬링부(415)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받침편(435)은 제2수평테(411)를 받쳐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패킹(370)은 폐루프의 일체형 고리 형상으로서, 도 3a, 도 5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하방테(414)의 컬링부(415)에 끼워지는 몸체 패킹(371)과, 몸체 패킹(371)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용기(200)의 상단(231)에 놓이는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으로 이루어진다.
몸체 패킹(371)은 마치 단면U자와 비슷하게 제2하방테(414)의 내외측에 배치되는 제1몸체 패킹(372)과 제2몸체 패킹(373), 제1몸체 패킹(372)의 하측과 제2몸체 패킹(373)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3몸체 패킹(37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몸체 패킹(372)과 제2몸체 패킹(373) 사이에는 컬링부(415)가 끼워지는 안내통로(375a)가 형성되고, 그 안내통로(375a)의 하면에는 컬링부(415)가 끼워지는 끼움홈(375b)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패킹(370)이 테(400)의 밑면에 끼우거나 빼내기 쉽게 조립되어 있다.
또한, 제1몸체 패킹(372)의 상단에는 내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리브 패킹(376)과 제2리브 패킹(377)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리브 패킹(376)의 상단과 제2리브 패킹(377)의 상단은 뚜껑본체(310)의 밀면에 접촉 또는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팽창을 받아도 계속 밀착되는 효과를 준다.
뿐만 아니라, 제1리브 패킹(376)의 상단과 제2리브 패킹(377)의 V자 공간(376a)은 제1리브 패킹(376)은 외부의 압력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제2리브 패킹(377)은 진공 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울어져 생긴 공간이다.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은 제2몸체 패킹(373)의 외측에서 바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자유단은 고정단보다 약간 아래로 처지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고정단은 제2몸체 패킹(373)의 상단(373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몸체 패킹(373)의 상단(373a)은 패킹(370)이 테(400)에 끼워질 때 스토퍼의 기능을 하면서도 밀폐 기능도 하고,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과 제2수평테(411) 사이에 틈새를 주어 달라붙어 작동이 불완전한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한편,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상면에는 스폿 돌기(379)가 형성되어 있다.
스폿 돌기(379)는 그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증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막힘 등으로 인해 용기(2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스폿 돌기(379) 사이로 압력이 배출되고, 진공 시에는 스폿 돌기(379)가 완전히 눌려 그 상면 둘레 전체가 제2수평테(411)에 밀착되게 한다.
물론 스폿 돌기(379)는 밀착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떨어지는 탄성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뚜껑본체(310)의 테두리(312)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테두리 패킹(390)이 더 끼워지는 것이, 테(400) 사이로 진공이 해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테두리 패킹(390)은 테두리(312)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는 상면 패킹(391) 및 하면 패킹(393), 테두리(312)의 바깥 측면을 감싸는 측면 패킹(39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테두리 패킹(390)이 테두리(312)의 상하 및 측면을 둘러 감싸기 때문에 내외부와의 실링이 더욱더 잘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두리 패킹(390)은 제1테(430)와 제2테(410)가 감싸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냥 끼워도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진공 가능한 뚜껑(300)과 용기(200)를 갖는 진공 가능한 냄비(100)를 끓이면, 용기(200)의 내부 압력은 팽창하면서 체크밸브(350)를 통해 빠져나가고(도 7b 참조), 냄비(100)를 끓이지 않으면 식으면서 용기(200)의 내부 압력은 수축하면서 진공 가능한 뚜껑(300)과 체크밸브(350)가 당기게 된다.
즉 진공 가능한 뚜껑(300)이 아래로 눌려지면서 당겨지면 용기(200)의 내부 공기가 날개 패킹(378)과 상단(231) 사이로 빠져나가면서 내부를 진공화한다.
따라서, 날개 패킹(378)과 체크밸브(350)로는 외부의 공기 유입이 없게 만들어 냄비의 조리실(200a)을 진공 상태로 형성시킨다(도 7a 참조).
진공 상태의 해제는 냄비(100)를 끓이거나, 체크밸브(350)의 꼭지부(353)를 잡고 위로 잠시 당겨 올려주면 된다.
한편, 요리가 끓을 때 진공 가능한 뚜껑(300)이 들썩들썩 거리면 들리는 와중에 용기(200)의 상단(231)으로 먼저 넘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200)에 설치된 용기손잡이(500)에는 뚜껑록킹부재(70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손잡이(500)는 용기(200)의 측벽(230)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뚜껑록킹부재(7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슬라이더(710)와, 용기손잡이(500)에 대해 록킹슬라이더(710)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7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안내부재(730)에는 록킹슬라이더(710)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성클립(미도시)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패킹(370')은 제1실시예에 따른 패킹(370)과 그 구조 및 기능은 거의 유사하지만, 제1몸체 패킹(372)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리브 패킹(37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 패킹(377a)의 상면은 뚜껑본체(310)의 기울기와 같게 경사면을 가지고, 리브 패킹(377a)의 끝 부분은 제2받침테(411a)와 제2하방연장편(414)이 만나는 위쪽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리브 패킹(377a)은 압력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진공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한편,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상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융기한 띠 돌기(379a)가 형성되되, 띠 돌기(379a)의 소정 간격마다 띠 돌기(379a)의 높이보다 더 높은 스폿 돌기(379)가 형성되어 있다.
띠 돌기(379a)는 진공 시 선접촉으로 접촉면적을 줄여 진공 해제시 잘 떨어지게 하고, 통상적으로 끓일 때(진공 상태가 아닌 경우) 체크밸브(350)가 막혀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스폿 돌기(379) 사이로 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실시예의 제2받침테(411a)는 테두리 패킹(390)의 하면 패킹(393)을 밀착 받치게 제2경사테(411a)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진공 가능한 냄비 200 : 용기
200a : 조리실 210 : 바닥
230 : 측벽 231 : 상단
300 : 뚜껑 310 : 뚜껑본체
311 : 관통공 312 : 테두리
320 : 배출공 330 : 뚜껑손잡이
330a : 중공심부 331a : 걸림 플랜지
333a : 수나사 335a : 개폐공
337a : 상면 338a : 하면
330b : 중공캡부 333b : 암나사
330c : 암 340 : 가이드편
350 : 체크밸브 351 : 개폐 플랜지
353 : 꼭지부 355 : 중공 플랜지
357 : 연결부(연결띠) 359 : 플랜지
359a : 홀 336 : 관통공
338 : 걸림돌기 370,370' : 패킹
371 : 몸체 패킹 376,377 : 제1,2리브
377a : 리브 패킹 378 : 외팔보형 날개 패킹
379 : 스폿 돌기 379a : 띠 돌기
390 : 테두리 패킹 400 : 테
410 : 제2테 430 : 제1테
500 : 용기손잡이 700 : 뚜껑록킹부재
710 : 록킹슬라이더 730 : 안내부재
c,cl,c2 : 틈새 S : 배출공간

Claims (8)

  1. 용기(20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뚜껑본체(310);
    상기 뚜껑본체(3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크밸브(350);
    상기 뚜껑본체(310)의 테두리(312)를 따라 장착되는 테(400);
    상기 테(400)의 밑면에 끼워져 조립되는 패킹(370);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본체(310)의 테두리(312)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테두리 패킹(390)이 더 끼워지되,
    상기 테두리 패킹(390)은 테두리(312)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는 상면 패킹(391) 및 하면 패킹(393), 테두리(312)의 바깥 측면을 감싸는 측면 패킹(39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370)은 상기 테(400)의 밑면에 끼워져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400)는 상기 뚜껑본체(310)의 테두리(312)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제1테(430)와, 상기 패킹(370)이 끼워진 채 상기 제1테(430)에 의해 지지되는 제2테(410)로 구성되며,
    상기 제2테(410)는 상기 테두리(312)의 밑에 배치되며 상기 제1테(430)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제2받침테(411)와, 상기 제2받침테(411)의 외측단에서 위로 연장되며 상기 테두리(312)의 측면과 상기 제1테(430) 사이에 개재되는 제2상방테(413)와, 상기 제2받침테(411)의 내측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패킹(370)이 끼워지는 제2하방테(414)로 구성되며,
    상기 패킹(370)은 상기 제2하방테(414)에 끼워지는 몸체 패킹(371)과, 상기 몸체 패킹(371)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200)의 상단(231)에 놓이는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으로 이루어진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 패킹(371)은 상기 제2하방테(414)의 내외측에 배치되는 제1몸체 패킹(372)과 제2몸체 패킹(373), 상기 제1몸체 패킹(372)의 하측과 상기 제2몸체 패킹(373)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3몸체 패킹(374)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은 상기 제2몸체 패킹(373)의 외측에서 바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패킹(372)과 상기 제2몸체 패킹(373) 사이에는 상기 제2하방테(414)가 끼워져 조립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패킹(372)의 상단에는 내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리브 패킹(376)과 제2리브 패킹(377)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패킹(372)의 상단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리브 패킹(377a)이 더 형성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6. 삭제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고정단은 상기 제2몸체 패킹(373)의 상단(373a)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날개 패킹(378)의 상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융기한 띠 돌기(379a)가 형성되되,
    상기 띠 돌기(379a)의 소정 간격마다 상기 띠 돌기(379a)의 높이보다 더 높은 스폿 돌기(379)가 형성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20140112889A 2014-07-30 2014-08-28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670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7301 2014-07-30
KR1020140097301 2014-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124A KR20160015124A (ko) 2016-02-12
KR101670265B1 true KR101670265B1 (ko) 2016-10-28

Family

ID=5535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889A KR101670265B1 (ko) 2014-07-30 2014-08-28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195B1 (ko) * 2020-11-20 2022-09-08 김경섭 냄비 뚜껑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24B1 (ko) * 2012-02-28 2014-02-04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 유리뚜껑의 지지테
KR101399137B1 (ko) * 2014-01-27 2014-05-27 서월식 조리용기용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147A (ko) * 2002-08-20 200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패킹구조
KR101117219B1 (ko) 2011-06-01 2012-03-16 (주)홍산경금속 조리용기용 뚜껑
KR20130030345A (ko) 2011-09-17 2013-03-27 한아툴스 (주) 프라이팬 뚜껑의 패킹
KR101415804B1 (ko) * 2012-11-22 2014-07-08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냄비뚜껑용 체크밸브
KR101325784B1 (ko) 2013-08-08 2013-11-20 주식회사 로이첸 진공가능한 밀폐냄비의 패킹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24B1 (ko) * 2012-02-28 2014-02-04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 유리뚜껑의 지지테
KR101399137B1 (ko) * 2014-01-27 2014-05-27 서월식 조리용기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124A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979B1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JP6189871B2 (ja) 真空容器用ゴム封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AU2013244235B2 (en) Lid for vacuum cooking pot and cooking pot using same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KR101485171B1 (ko) 빨대삽입밸브를 구비하는 빨대컵
KR101616073B1 (ko) 패킹, 이 패킹을 이용한 진공냄비용 뚜껑 및 진공냄비
KR101426852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20130012873A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
KR101670265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JP4794967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436886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의 뚜껑용 패킹
KR101568168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358244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BR112020006542A2 (pt) aparelho de cozimento de alimento sob pressão e junta de vedação anular flexível projetada para equipá-lo
KR101415804B1 (ko) 진공냄비뚜껑용 체크밸브
KR101452913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452914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357125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20130113141A (ko) 진공 가능한 냄비
KR101597152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200476728Y1 (ko) 진공 냄비
KR200308263Y1 (ko) 압력 양면 프라이 팬
KR101795729B1 (ko) 진공 가능한 냄비 뚜껑용 체크밸브 및 이를 이용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432964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KR101466321B1 (ko) 진공냄비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