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367B1 -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367B1
KR101301367B1 KR20130019276A KR20130019276A KR101301367B1 KR 101301367 B1 KR101301367 B1 KR 101301367B1 KR 20130019276 A KR20130019276 A KR 20130019276A KR 20130019276 A KR20130019276 A KR 20130019276A KR 101301367 B1 KR101301367 B1 KR 101301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locking
locking memb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규
Original Assignee
박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소규 filed Critical 박소규
Priority to KR2013001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367B1/ko
Priority to PCT/KR2014/001330 priority patent/WO2014129790A1/ko
Priority to EP14753918.3A priority patent/EP2960175A4/en
Priority to JP2015559178A priority patent/JP6262773B2/ja
Priority to CN201480009923.1A priority patent/CN105073593B/zh
Priority to US14/769,462 priority patent/US971340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1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 B65D2543/00175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four straight sides, e.g. trapezium or diamond
    • B65D2543/0019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four straight sides, e.g. trapezium or diamond square or rectangular
    • B65D2543/00203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four straight sides, e.g. trapezium or diamond square or rectangular specifically squ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6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indirect by means of a gasket or similar intermediate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마련되는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하면서 밀폐시켜주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이 개시된다. 뚜껑 본체 내면을 일주하는 패킹장착홈에 고리형 패킹이 장착되고, 그 안쪽 외면에 마련된 체크밸브장착홈에 체크밸브가 장착된다. 체크밸브는 외력에 의해 용기 내부 공간과 용기 외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하였을 때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은 허용하지만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하는 것은 차단하여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게 해준다. 복수의 자체걸림턱이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의 복수 지점에 각각 마련되고, 복수의 잠금부재가 그 복수의 자체걸림턱에 인접한 구간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장착된다. 각 잠금부재는 닫힘 상태에서 그 자체걸림턱에 압입 체결되어 잠금부재가 열리지 않도록 해주는 자체잠금돌기와, 용기 내부에 걸린 부압이 약해져 패킹의 팽창에 의해 용기 뚜껑이 상승하더라도 용기 본체의 입구부 둘레나 본체걸림턱에 걸려 용기 뚜껑이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해주는 본체잠금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Container cover with locking element for sealing container in vacuum and vacuum container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하여 유지할 수 있는 진공밀폐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걸린 부압에 의한 용기 뚜껑의 용기 본체에 대한 흡착 잠금 외에 용기 뚜껑에 별도의 잠금부를 더 마련하여 부압이 약화된 경우에도 용기 뚜껑이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질 염려가 없도록 된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공기 속에 있는 각종 곰팡이균 등에 의해 서서히 변질된다. 음식물의 변질 속도를 늦추기 위해, 냉장 보관 방법 외에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용기 내부를 외부의 기압보다 낮게 진공화 하는 진공 보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진공 보관에 사용되는 진공 용기에 관한 종래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14536호(발명의 명칭: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와 제10-2010-0078576호(발명의 명칭: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가 있다.
이 두 종래기술이 개시한 진공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입구부를 패킹을 개재하여 용기 뚜껑으로 덮을 때 가해지는 압력(외력)에 의해 그 용기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용기 뚜껑에 마련된 체크밸브를 통해 바깥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그런 상태에서 그 외력이 해제되면서 패킹의 탄성으로 용기 내부 공간의 부피가 커지지만 체크밸브가 외기의 용기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용기 내부 공간이 외기에 비해 저압의 진공 분위기가 만들어진다. 이런 진공화 구조에 의하면, 용기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 차이가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조성된 압력 차이가 커서 체크밸브를 강제로 열지 않는 한 사람이 강제로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 내기가 매우 힘들다. 이러한 용기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그 자체로 용기 뚜껑의 잠금기능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추지 않았다.
그런데 종래기술이 제시한 진공용기의 실제 사용을 통해 압력차를 이용한 잠금기능에 다음과 같은 보완할 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패킹이나 체크밸브는 우수한 밀폐 기능을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을 사용하여 만들지만 완벽한 밀폐를 제공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용기 외부와 내부 간의 압력차는 점점 작아지고 그에 따라 용기 뚜껑의 용기 본체에 대한 잠금력이 약화되어 급기야는 용기 뚜껑만 잡아 올렸을 때 용기 본체와 쉽게 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용기를 계속 사용하면서 세척이 완벽하지 못한 경우 자그마한 이물질(음식물 조각 등)이 패킹이나 체크밸브와 용기 표면 사이에 스며들 수 있는데, 그 이물질이 있는 부분 때문에 밀폐가 훼손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는 압력차의 약화 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체크밸브를 잘못 건드려 원치 않게 외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위와 비슷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 강하게 밀착되어 있다고 믿고 용기 뚜껑만을 잡고 냉장고 등에서 용기를 꺼내는 경우, 용기 본체와 내용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용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서 벗겨질 수 있다. 그 경우 용기 본체가 곧바로 엎질러지거나 또는 용기 본체가 잠시 딸려 올라갔다가 떨어져 용기 속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불상사가 생기게 된다. 바깥나들이 가면서 그 용기에 음식물을 담아가지고 가는 경우, 상기 압력차의 약화로 인해 용기 뚜껑의 잠금 상태가 약화되면 흔들림이나 기울임이 있는 상황에서는 액체성 내용물이 용기 밖으로 새나오기도 한다.
한편, 음식물을 담는 용기는 주발형과 접시형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용기의 형상 또한 다양하다. 주발형 용기의 경우 용기의 측벽이 바닥과 수직을 이루거나 입구 쪽으로 가면서 점점 더 벌어지는 경사면 형태의 것이 있다. 접시의 경우는 입구부 언저리는 거의 수평에 가까운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용기들은 상기 진공용기 뚜껑과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걸림턱을 가지지 않은 구조로 된 것이 대부분이다. 새로운 진공 용기 뚜껑의 개선할 점은 별도의 걸림턱이 마련되지 않은 용기에도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위와 같이 용기가 엎질러지는 등의 사태가 생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위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은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하여 그 부압에 의해 용기 본체에 흡착 결합됨과 동시에,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이 약화되더라도 별도의 자체 잠금수단에 의해 용기 본체와의 잠금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용기 뚜껑을 잡아 들다가 용기가 엎질러지거나 용기 내의 내용물의 새어나오는 등의 사태를 예방할 수 있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용기 뚜껑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걸림턱이 마련되지 않은 기존의 다양한 용기 본체에도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된 자체 잠금수단을 구비한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마련되는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하면서 밀폐시켜주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 본체의 내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주하게 마련된 패킹장착홈; 상기 패킹장착홈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상기 패킹장착홈 사이에서 압착되어 접합면을 밀폐시켜주는 고리형 패킹; 상기 뚜껑 본체의 외면에 상기 패킹장착홈의 내측에 마련된 체크밸브장착부;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 공간과 용기 외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은 허용하지만 용기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는 것은 차단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해주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두 곳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자체걸림턱; 그리고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에 상기 복수의 자체걸림턱에 인접한 구간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잠금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잠금부재 각각은, 닫힘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이 약해질 때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 둘레에 걸려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해주는 본체잠금돌기와,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자체걸림턱에 압입 체결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열리지 않도록 해주는 자체잠금돌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내부 공간과 용기 외부 간에 발생한 압력차가 지속되는 동안에 그 압력차의 크기에 상응하는 힘에 의해 상기 패킹을 압박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흡착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뚜껑 본체는, 내면의 가장자리 둘레와 외면의 상기 가장자리 둘레의 안쪽에 상기 패킹장착홈과 상기 체크밸브장착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입구커버부와, 상기 입구커버부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의 외측면을 포위하되 적어도 두 곳에 상기 복수의 잠금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잠금부재장착부와 상기 자체걸림턱이 마련된 측면포위부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부재장착부는,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포위부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길이에 상당하는 구간을 따낸 형태로 마련된 잠금부재장착홈과, 상기 잠금부재장착홈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된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이러한 잠금부재장착부에 대응하여, 양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돌기삽입홈이 상기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에 각각 외삽되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축과, 상기 선회축에서 절곡되어 상기 측면포위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내면에 상기 자체잠금돌기와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잠금날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잠금부재장착부는 상기 잠금부재장착홈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상기 잠금부재에 걸리는 힘을 지탱할 수 있도록 굵게 보강된 형태로 마련된 한 쌍의 잠금부재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는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지지부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체걸림턱은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지지부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재장착부는, 다른 구성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포위부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길이에 상당하는 구간 내 가운데 일부 구간의 상기 입구커버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측면포위부와 나란하게 소정길이 연장된 잠금부재지지부와, 상기 잠금부재지지부의 양 옆의 나머지 구간을 따낸 형태로 마련된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과, 상기 잠금부재지지부의 둘레방향의 반대쪽 양 측면에서 서로 반대쪽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잠금부재장착부의 이러한 구성에 대응하여, 상기 가운데 일부 구간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채 일렬을 이루면서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에 각각 수납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에 외삽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해주는 한 쌍의 돌기삽입홈이 마련된 한 쌍의 선회축과, 상기 한 쌍의 선회축에서 절곡되어 상기 측면포위부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잠금부재지지부에 대응하는 부위가 뚫려 있되 전체가 한 몸체로 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상기 자체잠금돌기와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잠금날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자체걸림턱은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의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양 측면의 하단과 상기 잠금부재지지부의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손가락을 걸어서 상기 용기 뚜껑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뚜껑의 용기 본체에 대한 흡착 메커니즘은, 상기 용기 뚜껑이 외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패킹을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압착되게 하면서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고압이 걸리면, 상기 체크밸브가 공기배출로를 제공하여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해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패킹이 자체 탄성에 의해 팽창하면서 상기 용기 뚜껑을 위로 밀어 올려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의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공기배출로를 폐쇄하여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린 상태를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내부 공간과 용기 외부 간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패킹을 압박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강하게 흡착 결합된다.
상기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에 있어서, 진공펌프로 상기 체크밸브를 비롯해 상기 체크밸브장착부를 포위하면서 덮어 생기는 빈 공간을 밀폐한 상태에서 펌핑하여 상기 빈 공간의 압력이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압력보다 낮아지면,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의 표면과의 밀착력 약화로 인해 공기배출로를 제공하여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로를 통해 상기 빈 공간으로 빠져나와 상기 진공펌프를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더 큰 부압이 걸리도록 해준다.
상기 용기 본체가 외면 입구부 근처에 본체걸림턱이 마련된 경우,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강하게 걸려있는 동안에는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본체걸림턱의 저면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걸림턱에 걸려있지 않지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의 감소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패킹이 팽창하면서 상기 용기 뚜껑을 밀어 올려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본체걸림턱에 걸리도록 되어,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부압이 해소되더라도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가 얇은 접시 형태이어서 입구부 언저리(운두)가 수평방향으로 향하거나 수평방향과 가깝게 경사진 형태인 경우,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강하게 걸려있는 동안에는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입구부 언저리(운두)의 저면과 이격되어 걸려있지 않지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의 감소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패킹이 팽창하면서 상기 용기 뚜껑을 밀어 올려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입구부 언저리(운두)에 걸리도록 되어,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부압이 해소되더라도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가 측벽과 상측 입구부가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경사진 모양으로 된 경우,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강하게 걸려있는 동안에는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입구부 외측면과 이격되어 걸려있지 않지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의 감소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패킹이 팽창하면서 상기 용기 뚜껑을 밀어 올려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입구부 외측면에 걸리도록 되어,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부압이 해소되더라도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밸브는, 외면이 솥뚜껑 모양을 닮고 내면이 중앙에 소정 넓이의 평편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테두리에서 절곡되어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된 경사면을 이루는 흡착밀폐부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와, 상기 오목부의 일부 영역에 얇은 필름 형태로 위로 볼록하게 성형된 진공표시부와, 상기 밸브몸체부의 외면에 위로 돌출된 돌출턱과, 상기 오목부의 내면 중심에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중간에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전체가 실리콘 또는 고무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진공표시부는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려있는 동안에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로 내려앉는다. 상기 밸브몸체부는 상기 오목부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되, 상기 흡착밀폐부는 외면의 테두리를 따라 일주하면서 두께를 보강하여 흡착력을 높여주는 고리형 가장자리돌기가 마련된다. 상기 체크밸브장착부는 상기 체크밸브를 안착할 수 있는 요홈 형태이며,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의 홈바닥에는 상기 고정부가 압입 고정되는 밸브결합공과, 상기 밸브결합공을 포위하는 환형 홈 형태의 공기유통로와, 상기 공기유통로 내에서 상기 용기 내부 공간으로 뚫린 통기공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렸을 때, 상기 체크밸브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기유통로 및 그 안쪽 영역과 이격된 채 그 위를 덮고, 상기 흡착밀폐부는 상기 공기유통로 바깥쪽의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의 바닥면에 강하게 흡착되어 그 접합면을 밀폐시킨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입구부 근처 외면에 본체걸림턱이 마련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마련되는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하면서 밀폐시켜주는 용기 뚜껑을 구비하는 진공 밀폐 용기가 제공된다. 이 진공 밀폐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 본체의 내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주하게 마련된 패킹장착홈; 상기 패킹장착홈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상기 패킹장착홈 사이에서 압착되어 접합면을 밀폐시켜주는 고리형 패킹; 상기 뚜껑 본체의 외면에 상기 패킹장착홈의 내측에 마련된 체크밸브장착홈; 상기 체크밸브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 공간과 용기 외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은 허용하지만 용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는 것은 차단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해주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두 곳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자체걸림턱; 그리고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에 상기 복수의 자체걸림턱에 인접한 구간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잠금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잠금부재 각각은, 닫힘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이 약해짐에 따라 상기 패킹이 팽창하여 상기 용기 뚜껑을 상승시키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해주는 본체잠금돌기와,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자체걸림턱에 압입 체결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열리지 않게 해주는 자체잠금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 내부공간에 걸렸던 부압이 감소하여 그 부압에 의한 용기 본체와 용기 뚜껑의 결합력이 약화되더라도 용기 뚜껑에 마련된 별도의 잠금수단이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에 밀착 결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해줄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용기 내부공간에 걸렸던 부압이 감소하였는지를 불문하고, 용기 뚜껑만을 잡아서 집어 올려도 그 용기 뚜껑이 언제나 용기 본체와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를 들다가 엎질러지는 문제나 용기가 기울어졌을 때 그 속의 내용물이 새나오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 마련된 잠금수단은 자체 걸림 구조와 용기 본체에 대한 걸림 구조를 이중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와의 걸림 여부와 상관없이 덜렁거리지 않고 언제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사용상 불편함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은 전용으로 만들어진 용기 본체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용기들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용기 본체에 대한 걸림 구조는 기존의 용기 본체에 구조적 변경(별도의 걸림턱을 마련하는 등) 없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 본체에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과 용기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도 1은 아래쪽 대각선 방향으로 본 상태를, 도 2는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본 상태를, 도 3은 측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과 용기 본체 간의 흡착 결합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4는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에 단순히 얹어 놓은 상태를, 도 5는 용기 뚜껑에 수직하방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를, 도 6은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배기하여 용기 내부에 고부압이 걸린 상태를, 그리고 도 7은 용기 내부에 걸려있던 고부압이 약화되어 잠금부재가 용기 본체에 걸린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200)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의 (a)와 (b)는 용기 뚜껑 본체의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9는 잠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용기 뚜껑 본체에 잠금부재를 장착하여 닫은 상태에 있는 용기 뚜껑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도시한 것으로, 도 12는 용기 뚜껑 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잠금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용기 뚜껑 본체에 잠금부재를 장착하여 닫은 상태에 있는 용기 뚜껑의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4200)을 통상적인 접시형 용기에 사용할 때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용기 내부에 부압이 걸리지 않은 상태이고 (b)는 용기 내부에 부압이 강하게 걸려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16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을 통상적인 원형과 사각형의 주발형 용기에 사용할 때의 결합상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200)과 이에 적합한 구조로 된 용기 본체(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 본체(100)는 바닥과 측벽으로 둘러싸이고 상부는 개방된 공간(내용물을 담는 공간임)을 제공한다. 용기 본체(100)의 측벽 상단의 입구부(110) 근처 외면에는 수평방향 둘레를 따라 본체걸림턱(120)이 마련된다. 본체걸림턱(120)은 입구부(110) 둘레를 일주하도록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잠금부재(400)의 본체잠금돌기(530)가 걸릴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면 충분하다.
용기 뚜껑(200)은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10)를 덮는 입구커버부(210)와, 그 입구커버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10)의 상부 측면을 포위하도록 된 측면포위부(220)를 갖는다. 측면포위부(220)에는 잠금부재(5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따내어진 잠금부재장착홈(230)이 복수의 구간에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각 잠금부재장착홈(230)의 수평방향 양끝에는 잠금부재(500)에 걸리는 힘을 지탱해줄 수 있도록 굵게 보강된 한 쌍의 잠금부재지지부(232)가 마련되고, 한 쌍의 잠금부재지지부(232)의 내측 대응면에는 서로를 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23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재장착홈(230)의 양끝 대응면은 측면포위부(220)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두껍게 만들어 잠금부재(500)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양끝 대응면의 하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자체걸림턱(240)이 마련된다.
잠금부재(500)는 잠금부재장착홈(230) 안에 선회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선회축(510)과 잠금날개(520)를 갖는다. 선회축(510)의 좌우측 양단에는 돌기삽입홈(512)이 마련된다. 선회축(510)은 돌기삽입홈(512)이 선회축지지돌기(234)에 외삽되어 선회축지지돌기(23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잠금날개(520)는 측면포위부(220)와 닮은 모양으로 선회축(510)에서 연장되어 잠금부재장착홈(230)을 전부 메우며, 내면에는 본체잠금돌기(530)와 자체잠금돌기(540)가 각각 마련된다. 자체걸림턱(240)이 잠금부재장착홈(230)의 양 끝에 각각 마련되므로 자체잠금돌기(540)는 자체걸림턱(240)과 짝을 이루도록 잠금날개(520)의 좌우 양 끝에 각각 마련되며, 본체잠금돌기(530)는 좌우의 한 쌍의 자체잠금돌기(54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잠금부재(500)가 닫힘 상태(잠금날개(520)의 외면이 측면포위부(220)의 외면과 동일 높이로 이어진 상태)에 있을 때, 본체잠금돌기(530)는 용기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차가 약해졌을 때(용기 내부에 걸린 부압이 약해졌을 때) 본체걸림턱(120)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이고, 자체잠금돌기(540)는 용기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차에 상관없이 언제나 자체걸림턱(240)에 압입 체결되어 잠금부재(50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용기 뚜껑(200)의 입구커버부(210)의 내면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주하면서 패킹지지벽(262)이 형성되어, 그 패킹지지벽(262)과 측면포위부(220)의 사이에 패킹장착홈(260)이 마련된다. 그 패킹장착홈(260)을 따라 일주하면서 패킹(300)이 장착된다.
패킹(300)은, 용기 뚜껑(200)이 용기 본체(100)를 덮어 결합될 때,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10)와 패킹장착홈(260) 사이에서 압착되어 입구부(110)와 패킹장착홈(260) 사이의 접합면을 밀폐시켜준다. 패킹(300)은 패킹장착홈(260)의 바닥에 흡착하는 용기뚜껑흡착부(310), 상기 용기뚜껑흡착부(310)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용기본체(100)의 입구부(110)에 흡착하는 용기본체흡착부(330), 그리고 용기뚜껑흡착부(310)와 용기본체흡착부(330)를 이어주는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흡착부(330)의 흡착면을 넓게 만들어 적용 가능한 용기 본체(100)의 사이즈 범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본체흡착부(330)의 상면에는 복수 줄의 돌출라인(332)이 둘레방향을 따라 토막난 형태로 마련되어 토막난 돌출라인(332)들 사이에 통기틈(334)이 마련되도록 한다. 통기틈(334)은 용기본체흡착부(330)와 패킹장착홈(250) 간에 공기의 유출입을 허용하여 서로 흡착되지 않도록 해준다.
용기 뚜껑(200)의 입구커버부(210)의 외면에 패킹지지벽(262) 안쪽에는 체크밸브장착홈(250)이 마련된다. 체크밸브장착홈(250)의 가운데에는 밸브결합공(258)이 뚫려 있고, 그 밸브결합공(258)을 포위하도록 고리형 홈 형태로 깎아낸 공기유통로(254)가 마련되고, 그 공기유통로(254)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기공(256)이 마련된다.
체크밸브(400)는 솥뚜껑 모양을 닮은 밸브몸체부(410)를 포함한다. 밸브몸체부(410)는 내측의 오목부(412)와 이의 외측에 마련된 흡착밀폐부(414)를 포함한다. 오목부(412)는 공기유통로(254)의 바깥 원주로 둘러싸인 영역을 덮으며 내면이 거의 평편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흡착밀폐부(414)는 오목부(412)의 테두리 둘레에서 절곡되어 반경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된 경사면을 이룬다. 흡착밀폐부(414)를 경사면 구조로 만든 이유는 용기 내부에 부압이 걸려 밸브몸체부(410)가 내려앉았을 때 흡착밀폐부(414)의 가장자리가 홈바닥(252)으로 잘 들리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밀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더하여, 흡착밀폐부(414)의 외면에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주하면서 고리형 가장자리돌기(450)를 더 마련하면, 흡착밀폐부(414)의 가장자리와 홈바닥(252) 간의 밀폐력이 더 강화된다. 이 가장자리돌기(450)는 용기 내부에 부압이 걸렸을 때 흡착밀폐부(414)가 들리지 않게 지탱하여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해준다. 밸브몸체부(410)의 외면은 전체가 둥근 곡면으로 되어, 오목부(412)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412)의 내면 중심에는 아래쪽으로 고정부(420)가 끝이 뾰족하고 중간에 걸림턱이 형성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오목부(412)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흡착밀폐부(414)쪽으로 가면서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성형하되, 오목부(412)의 일부분은 매우 얇은 뚜께의 필름이 솥뚜껑 형태로 성형된 진공표시부(430)로 만든다. 밸브몸체부(410)의 외면에는 위로 돌출된 돌출턱(440)이 마련된다.
체크밸브(400)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요소들은 패킹(300)과 마찬가지로 흡착력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외력으로 고정부(420)를 밸브결합공(258)에 압입함으로써 체크밸브(400)가 체크밸브장착홈(250)에 장착된다. 이 체크밸브(400)는 사용자가 체크밸브(400)가 장착된 용기 뚜껑(200)을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강하게 눌렀다가 놓으면, 용기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은 허용하나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해줌으로써,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해준다(이에 관한 자세한 메커니즘은 후술함).
패킹(300), 체크밸브(400), 그리고 잠금부재(500) 모두가 장착된 용기 뚜껑(200)으로 용기 본체(100)를 덮었을 때 용기 내부의 공간에 부압이 걸리는 원리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용기 뚜껑(200)을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입구부(110) 위에 얹어 놓고 아직 아래로 누르는 외력을 가하지 않은 초기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사용자가 손으로 뚜껑을 수직 하방으로 눌러 용기 내부에 작은 부압이 걸린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진공 펌프(600) 등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바깥으로 빼내어 용기 내부에 더 높은 부압이 걸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용기 내부에 걸려있던 부압이 약화 또는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가 용기 뚜껑(200)을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단순히 덮은 상태(도 4의 상태)는 용기 내부와 외부에 압력차이가 없으므로 진공표시부(430)는 위로 볼록한 솥뚜껑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 뚜껑(200)을 위에서 수직하방으로 강하게 누르면, 패킹(300)이 패킹장착홈(260)과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10) 사이에서 압착되어 그 접합면이 밀폐되면서 순간적으로 용기(100, 200)의 내부 공간에 고압이 걸린다. 그런 고압이 걸리는 순간 체크밸브(400)의 오목부(412)는 공기유통로(254)를 막지 않고 있어서, 용기 내부의 공기가 통기공(256)을 통해 공기유통로(254)로 빠져 나오고, 그 빠져나온 공기의 압력은 충분히 커서 공기유통로(254) 바깥쪽의 홈바닥(252)과 밀착되어 있던 흡착밀폐부(414)를 들어 올리면서 바깥으로 빠져나온다. 용기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차가 해소될 정도로 공기가 빠져나가면 흡착밀폐부(414)는 다시 그 홈바닥(252)에 밀착된다(도 5 참조). 이런 작용은 순식간에 일어난다. 도 5b의 상태는 도 4의 상태에 비해 용기(100, 200)의 내부 공간의 부피가 더 작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하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패킹(300)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팽창하면서 용기 뚜껑(200)을 위로 살짝 밀어올리는데, 이에 의해 용기 내부공간의 부피가 조금 늘어난다. 용기 내부공간이 공기의 유입 없이 부피만 늘어나게 되므로, 용기 내부 공간에는 부압이 걸리게 되고, 흡착밀폐부(414)는 홈바닥(252)에 더욱 강하게 흡착되어 그들의 접합면을 통해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된다. 패킹(300)은 자신이 팽창하더라도 패킹장착홈(260) 및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10) 간의 밀폐를 보장해준다. 그러므로 용기(100, 200) 내부공간의 부압 상태는 유지되고, 진공표시부(430)의 필름은 용기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차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볼록하게 모양이 바뀐다.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용기 뚜껑(200)을 눌러서 일단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게 되면, 그 사용자 자신도 자력으로 그 용기 뚜껑(2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떼어내기가 매우 어려울 정도로 용기 뚜껑(200)은 용기 본체(100)에 강하게 밀착된다. 하지만 앞서 종래기술과 관련한 설명에서 용기 내부에 걸린 부압은 여러 가지 요인들(예: 패킹(300) 및/또는 체크밸브(400)가 이물질이나 설치 불완전 등으로 인해 그의 접합면과 완벽하게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 등)에 의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서서히 또는 급속히 약화될 수 있다. 용기 내부에 충분한 부압이 걸리지 못한 상태에서 용기 뚜껑(200)만을 잡아서 용기(100, 200)를 집어 들어도 용기 뚜껑(200)이 용기 본체(100)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잠금부재(500)를 닫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금부재(500)를 선회시켜 닫으면, 잠금부재(500)의 자체잠금돌기(540)는 자체걸림턱(240)에 압입 체결됨과 동시에, 잠금부재(500)의 본체잠금돌기(530)은 본체걸림턱(120)에 느슨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본체걸림턱(120)에 걸리지 않고 약간의 틈을 두고 그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설계한 이유는 용기 내부에 걸린 부압의 크기에 따라 용기 뚜껑(200)에 고정된 잠금부재(500)의 높이가 변하는 구조이므로, 용기 내부에 고부압이 걸릴 때에는 본체잠금돌기(530)가 본체걸림턱(120)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고부압이 약화 또는 해제된 경우에 상승하여 본체걸림턱(120)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바깥으로 더 빼내면 용기 내부의 진공도가 더 높아져 용기 내부에 담는 음식물의 부패 속도로 더 늦출 수 있다. 이를 위해 진공펌프(600)를 체크밸브장착홈(250) 위를 덮은 상태로 펌핑하여 그 체크밸브장착홈(250)과 진공펌프(600) 사이의 빈 공간의 압력이 용기 내부공간의 압력보다 더 낮아지면, 체크밸브(400)는 체크밸브장착홈(250)의 홈바닥(252) 표면과의 밀착력 약화로 인해 용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통기공(256)과 공기유통로(25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로를 제공한다. 즉, 통기공(256)과 공기유통로(254)를 통해 빠져나온 공기가 체크밸브(400)의 흡착밀폐부(414)를 들어 올려 체크밸브장착홈(250)의 상기 빈 공간으로 빠져나와서 진공펌프(600)를 통해 바깥으로 배기된다. 이에 의해 용기 내부에는 부압이 더 강하게 걸리고, 용기 뚜껑(200)은 패킹(300)을 더 세게 압박하면서 용기 본체(100) 쪽으로 더 세게 끌려간다(진공펌프(600)는 본 발명을 직접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3-0016080호와 제10-2008-0014536호 등에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이렇게 진공펌프(600)로 용기 내부에 부압을 더 세게 건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 상태에서는 잠금부재(500)의 본체잠금돌기(530)는 언제나 본체걸림턱(120)에 걸리지 않고 그와의 더 멀리 떨어져 있게 된다. 체크밸브(400)의 진공표시부(430)도 아래로 더 세게 흡착된다.
이후,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도 6과 같은 용기 내부의 고부압 상태가 점점 약화되면 그에 따라 패킹(300)이 약화된 부압의 크기에 상응하여 팽창하면서 용기 뚜껑(200)을 위쪽으로 상승시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잠금돌기(530)가 본체걸림턱(120)에 비로소 걸리게 되거나 더욱 단단히 걸리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용기 내부에 걸린 부압이 약화되면 패킹(300)이 약화된 부압의 크기에 상응하여 팽창하면서 용기 뚜껑(200)이 위쪽으로 들려지고 그에 따라 본체잠금돌기(530)가 본체걸림턱(120)에 비로소 걸리게 되거나 더욱 단단히 걸리게 된다. 본체잠금돌기(530)와 본체걸림턱(120) 간의 이런 걸림에 의해, 용기 내부의 부압이 약화되거나 해제되더라도 사용자가 잠금부재(500)를 강제로 선회시켜 열지 않는 한, 용기 뚜껑(200)이 용기 본체(100)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아 용기가 엎질러지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잠금부재(500)를 닫았을 때, 본체잠금돌기(530)가 본체걸림턱(120)에 반드시 걸리지 않아도 되는 구조이므로, 적용 가능한 용기 본체(100)가 단일 사이즈 내지 구조(특히 본체걸림턱(120)에 대하여)로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한 용기 본체(100)의 범위가 넓은 이점이 있다. 또한, 잠금부재(500)를 닫았을 때, 자체잠금돌기(540)는 자체걸림턱(240)에 반드시 압입 체결되므로, 본체잠금돌기(530)가 본체걸림턱(120)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도(즉, 본체잠금돌기(530)가 본체걸림턱(120)에 걸려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잠금부재(500)가 덜렁거리지 않고 언제나 안정적으로 닫혀있도록 구속된다.
제1 실시예는 잠금부재(500)의 구조와 이에 대응하는 잠금부재장착홈(230)의 구조를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처럼 변형할 수 있다.
먼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200)을 설명한다. 도 8의 (a)와 (b)는 용기 뚜껑(1200) 본체의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9는 잠금부재(15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용기 뚜껑(1200) 본체에 잠금부재(1500)를 장착하여 닫은 상태에 있는 용기 뚜껑(1200)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용기 뚜껑(200)에 비해 제2 실시예의 용기 뚜껑(1200)이 다른 점은 잠금부재(1500)와 이의 장착구조에 있으므로, 도 8 내지 도 11에서는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패킹(300)과 체크밸브(400)는 도시하지 않았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200)은, 제1 실시예의 용기 뚜껑(200)과 비교할 때, 잠금부재장착홈(1230)과 잠금부재(1500)의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용기 뚜껑(1200)의 측면포위부(220)(입구커버부(210)의 가장자리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음)에서 잠금부재(1500)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두 구간(잠금부재장착구간)에 각각 잠금부재지지부(1232)와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1230)이 마련된다. 잠금부재지지부(1232)는 그 잠금부재장착구간 내 가운데 일부 구간의 입구커버부(210)의 가장자리에서 측면포위부(220)와 나란하게 소정길이 연장되고,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1230)은 그 잠금부재지지부(1232)의 양 옆의 나머지 구간을 따낸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잠금부재지지부(1232)의 둘레방향의 반대쪽 양 측면에서 서로 반대쪽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1234)가 마련된다. 또한, 자체걸림턱(24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잠금부재장착구간의 양 끝 즉,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1230)의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양 측면의 하단에 마련된다.
잠금부재장착홈(1230)과 잠금부재장착부(1232)의 이런 구조에 대응하여, 한 쌍의 선회축(1510)과, 그 한 쌍의 선회축(1510)에서 절곡되어 측면포위부(220)와 나란하게 연장된 잠금날개(1520)를 갖는다. 한 쌍의 선회축(1510)은 잠금부재장착구간 내의 가운데 일부 구간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채 일렬을 이루면서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1230)에 각각 수납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1234)에 외삽되어 잠금부재(1500)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해주는 한 쌍의 돌기삽입홈(1512)이 마련된다. 잠금날개(1520)는 잠금부재지지부(1232)에 대응하는 부위가 잠금부재지지부(1232)에 외삽되도록 뚫려 있되 전체가 한 몸체로 되어 있으며, 잠금날개(1520)가 선회하여 닫힐 때 그 따낸 부위가 잠금부재지지부(1232) 및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1234)에 외삽된다. 잠금날개(1520)의 내면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은 자체잠금돌기(540)와 본체잠금돌기(5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1200)도 제1 실시예의 용기 뚜껑(200)의 닫힘과 열림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사용자가 잠금날개(1520)를 선회시켜 닫으려는 힘을 가하면, 잠금부재(1500)는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1234)에 지지되어 선회하여 닫힌다. 닫힐 때, 자체잠금돌기(540)는 자체걸림턱(240)에 압입 체결되고, 본체잠금돌기(530)는 본체걸림턱(120) 하부에 위치하다가 용기 내부의 부압이 약화됨에 따라 상승하여 본체걸림턱(120)에 걸리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2200)을 설명한다. 도 12는 용기 뚜껑(2200) 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잠금부재(2500)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용기 뚜껑(2200) 본체에 잠금부재(2500)를 장착하여 닫은 상태에 있는 용기 뚜껑(2200)의 측면도이다.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패킹(300)과 체크밸브(400)는 도시하지 않았다.
제3 실시예의 용기 뚜껑(2200)이 제2 실시예의 용기 뚜껑(1200)과 다른 점은 용기 뚜껑(2200)의 본체에 마련되는 자체걸림턱(2240)이 잠금부재지지부(1232)의 하부로 옮겨져서 마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에 따라 잠금부재(2500)의 자체잠금돌기(2540)의 위치도 그 자체걸림턱(2240)과 맞물려 걸릴 수 있도록 잠금날개(2520)의 가운데로 이동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나머지 다른 구성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잠금부재장착홈(230), 선회축지지돌기(234), 선회축(510)과 돌기삽입홈(512), 본체잠금돌기(530)는 제1 실시예와 같게 만들고, 자체걸림턱(2240)과 자체잠금돌기(2540)만 제3 실시예와 같게 만드는 방안이다.
이상에서는 용기 뚜껑(200, 1200, 2200)을 그에 대응하여 전용으로 만든 용기 본체(100)에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용기 뚜껑(200, 1200, 2200)은 기존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여러 용기들의 진공밀폐용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4200)을 접시(1000)와 같은 납작하고 입구부(1020)가 수평방향이나 수평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향하는 용기들의 진공밀폐용 뚜껑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접시(1000)는 바닥(1010)과 경사부(1015) 상단의 입구부(1020)간의 높이차가 크지 않은 납작한 모양이면서도 접시(1000)의 높이보다 음식물의 높이가 더 높게 올려놓는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접시용 용기 뚜껑(4200)의 입구커버부(4210)는 충분한 음식물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측면포위부(4220)에 비해 위쪽으로 더 높게 상승한 형상(주발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지지벽(4262)은 접시(1000)의 경사부(1015) 안쪽에 마련되어 그 사이에 패킹(300)이 배치된다. 잠금부재와 잠금부재장착홈의 구조와 결합관계는 앞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실시예들 중 어느 한 가지에 따라 구성하면 된다.
다만, 제4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4200)의 잠금부재(4500)는 높이가 낮은 접시(1000)를 고려한 약간의 구조적 변형이 필요하다. 잠금부재(4500)의 잠금날개(4520)는 선회축(510)으로부터 연장된 길이를 정함에 있어서 잠금부재(4500)를 선회시켜 닫았을 때 접시(1000)를 올려놓은 바닥면에 잠금날개(4520)가 닿지 않는 범위에서 본체잠금돌기(530)를 최대한 낮게 배치할 수 있는 길이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포위부(4220)도 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잠금날개(4520)와 측면포위부(4220)를 이와 같이 마련하면, 접시(1000)가 놓인 바닥면과 잠금날개(4520) 및 측면포위부(4220)의 하단 사이에는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작게 틈 정도만 마련될 수 있어, 사용자가 용기 뚜껑(4200)이 결합된 접시(1000)를 들어올리기가 불편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잠금날개(4520)의 외면에 손잡이(4550)를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편하게 손잡이(4550)에 손을 걸거나 그 손잡이(4550)를 잡아 용기 전체를 들어 올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상적인 접시(1000)에는 당연히 본체걸림턱(120)과 같은 별도의 걸림턱은 없다. 대신 접시(1000)는 입구부(1020)가 수평이나 수평에 가깝게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 입구부(1020)를 본체걸림턱(120)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5의 (a)는 용기 뚜껑(4200)을 접시(1000) 위에 단순히 올려놓은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그 용기 뚜껑(4200)을 수직하방으로 눌렀다 놓아 접시(1000)와 용기 뚜껑(4200) 사이의 내부공간에 부압이 걸리게 한 다음 잠금부재(4500)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의 (a) 상태에서는 용기 뚜껑(4200)이 접시(1000) 위에 단순히 얹혀 있어 패킹(300)은 거의 압박을 받지 않고 용기본체흡착부(330)가 접시(1000)의 입구부(1020)에 걸쳐있다. 이 때 잠금부재(4500)를 닫으면, 자체잠금돌기(540)는 자체걸림턱(240)에 압입 체결되고, 본체잠금돌기(530)는 접시(1000)의 입구부(1020)에 느슨하게 걸린다. 물론 접시(1000)의 모양에 따라 본체잠금돌기(530)가 입구부(1020)에 걸리지 않고 약간의 틈을 두고 그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 뚜껑(4200)을 수직하방으로 눌렀다 놓으면, 접시(1000)와 용기 뚜껑(4200)으로 규정되는 내부 공간은 공기가 체크밸브(40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 다음 크게 압축되었던 패킹(300)이 약간 팽창하면서 용기 내부공간에 부압이 걸린다. 이 상태에서는 도 1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체크밸브(400)와 패킹(300)은 각각이 접하는 체크밸브장착홈(250) 그리고 패킹장착홈(260) 및 접시 입구부(1020)에 흡착되어 접합면을 밀폐시킨다. 이 때, 본체잠금돌기(530)는 접시(1000)의 입구부(1020)에 닿지 않고 그 아래쪽으로 하강한다. 그 후, 접시(1000)와 용기 뚜껑(4200)의 내부공간에 걸린 부압이 약화되거나 해제되어 패킹(300)이 팽창하면 본체잠금돌기(530)가 상승하여 접시(1000)의 입구부(1020)에 걸리게 된다. 입구부(1020)가 걸림턱 기능을 대신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접시(1000)와 용기 뚜껑(4200)의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이 약해지더라도 용기 뚜껑(4200)이 접시(1000)로부터 벗겨지지는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6은 본 발명의 용기 뚜껑(200)이 깊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측벽(2020, 3020)이 수직에 가까운 경사면을 갖는 주발형 용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6의 (a)는 용기 뚜껑(200)이 원형의 용기 입구를 갖는 주발형 용기(2100)에 사용한 예를 도시하며, (b)는 용기 뚜껑(200)이 사각형의 용기 입구를 갖는 주발형 용기(3100)에 사용한 예를 도시한다. 용기 본체(2100, 3100)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린 상태에서 잠금부재(500)를 닫았을 때 본체잠금돌기(530)는 주발형 용기 본체(2100, 3100)의 측벽(2020, 3020)에 느슨하게 걸쳐지거나 약간 떨어져 있다가, 그 부압이 약화되거나 해소되면 패킹(300)의 팽창에 의해 용기 뚜껑(200)이 상승하여 본체잠금돌기(530)가 용기 본체(2100, 3100)의 측벽(2020, 3020)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용기 내부에 부압이 걸려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용기 뚜껑(200)은 용기 본체(2100, 3100)에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의 용기 뚜껑(1200, 2200, 4200)들도 이런 주발형 용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비롯한 다양한 내용물을 담는 여러 종류의 상부 개방형 용기들의 진공밀폐용 뚜껑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골을 담는 유골함의 경우 유골함 내부에 고진공을 걸어두면 유골의 부폐를 방지하는 데 매우 유리하므로, 본 발명은 유골함 뚜껑과 유골함 본체를 제작하는 데 활용하면 좋을 것이다.
100, 2100, 3100: 용기 본체 110, 1020: 입구부
120: 본체 걸림턱 200, 1200, 2200, 4200: 용기 뚜껑
210, 4210: 입구커버부 220, 4220: 측면포위부
230, 1230: 잠금부재장착홈 232,1232: 잠금부재지지부
234, 1234: 선회축지지돌기 240, 2240: 자체걸림턱
250: 체크밸브장착홈 252: 홈바닥
254: 공기유통로 256: 통기공
258: 밸브결합공 260: 패킹장착홈
262, 4262: 패킹지지벽 300: 패킹
310: 용기뚜껑흡착부 320: 연결부
330: 용기본체흡착부 332: 돌출라인
334: 통기틈 400: 체크밸브
410: 밸브몸체부 412: 오목부
414: 흡착밀폐부 420: 고정부
430: 진공표시부 440: 돌출턱
450: 가장자리 돌기 500, 1500, 4500: 잠금부재
510, 1510: 선회축 512: 돌기삽입홈
520, 1520, 4520: 잠금날개 530: 본체잠금돌기
540, 2540: 자체잠금돌기 600: 진공 펌프
1000: 통상적인 접시 1010: 바닥
1015: 경사부 1020: 입구부
4550: 손잡이

Claims (18)

  1.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마련되는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하면서 밀폐시켜주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으로서,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 본체의 내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주하게 마련된 패킹장착홈;
    상기 패킹장착홈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상기 패킹장착홈 사이에서 압착되어 접합면을 밀폐시켜주는 고리형 패킹;
    상기 뚜껑 본체의 외면에 상기 패킹장착홈의 내측에 마련된 체크밸브장착부;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 공간과 용기 외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은 허용하지만 용기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는 것은 차단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해주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두 곳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자체걸림턱; 그리고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에 상기 복수의 자체걸림턱에 인접한 구간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잠금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잠금부재 각각은, 닫힘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이 약해질 때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 둘레에 걸려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해주는 본체잠금돌기와,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자체걸림턱에 압입 체결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열리지 않도록 해주는 자체잠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내부 공간과 용기 외부 간에 발생한 압력차가 지속되는 동안에 그 압력차의 크기에 상응하는 힘에 의해 상기 패킹을 압박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흡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는, 내면의 가장자리 둘레와 외면의 상기 가장자리 둘레의 안쪽에 상기 패킹장착홈과 상기 체크밸브장착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입구커버부와, 상기 입구커버부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의 외측면을 포위하되 적어도 두 곳에 상기 복수의 잠금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잠금부재장착부와 상기 자체걸림턱이 마련된 측면포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장착부는, 상기 측면포위부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길이에 상당하는 구간을 따낸 형태로 마련된 잠금부재장착홈과, 상기 잠금부재장착홈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된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양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돌기삽입홈이 상기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에 각각 외삽되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축과, 상기 선회축에서 절곡되어 상기 측면포위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내면에 상기 자체잠금돌기와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잠금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장착부는 상기 잠금부재장착홈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상기 잠금부재에 걸리는 힘을 지탱할 수 있도록 굵게 보강된 형태로 마련된 한 쌍의 잠금부재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는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지지부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마련되며, 상기 자체걸림턱은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지지부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장착부는, 상기 측면포위부에서 상기 잠금부재의 길이에 상당하는 구간 내 가운데 일부 구간의 상기 입구커버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측면포위부와 나란하게 소정길이 연장된 잠금부재지지부와, 상기 잠금부재지지부의 양 옆의 나머지 구간을 따낸 형태로 마련된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과, 상기 잠금부재지지부의 둘레방향의 반대쪽 양 측면에서 서로 반대쪽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가운데 일부 구간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채 일렬을 이루면서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에 각각 수납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한 쌍의 선회축지지돌기에 외삽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해주는 한 쌍의 돌기삽입홈이 마련된 한 쌍의 선회축과, 상기 한 쌍의 선회축에서 절곡되어 상기 측면포위부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잠금부재지지부에 대응하는 부위가 뚫려 있되 전체가 한 몸체로 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상기 자체잠금돌기와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잠금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걸림턱은 상기 한 쌍의 잠금부재장착홈의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양 측면의 하단과 상기 잠금부재지지부의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손가락을 걸어서 상기 용기 뚜껑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이 외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패킹을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압착되게 하면서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고압이 걸리면, 상기 체크밸브가 공기배출로를 제공하여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해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패킹이 자체 탄성에 의해 팽창하면서 상기 용기 뚜껑을 위로 밀어 올려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의 표면에 흡착되어 상기 공기배출로를 폐쇄하여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린 상태를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내부 공간과 용기 외부 간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패킹을 압박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강하게 흡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10. 제1항에 있어서, 진공펌프로 상기 체크밸브를 비롯해 상기 체크밸브장착부를 포위하면서 덮어 생기는 빈 공간을 밀폐한 상태에서 펌핑하여 상기 빈 공간의 압력이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압력보다 낮아지면,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의 표면과의 밀착력 약화로 인해 공기배출로를 제공하여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로를 통해 상기 빈 공간으로 빠져나와 상기 진공펌프를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더 큰 부압이 걸리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외면 입구부 근처에 본체걸림턱이 마련된 경우,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강하게 걸려있는 동안에는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본체걸림턱의 저면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걸림턱에 걸려있지 않지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의 감소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패킹이 팽창하면서 상기 용기 뚜껑을 밀어 올려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본체걸림턱에 걸리도록 되어,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부압이 해소되더라도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측방으로 연장된 경사면으로 된 입구부 언저리(운두)를 갖는 접시형인 경우,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강하게 걸려있는 동안에는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입구부 언저리(운두)의 저면과 이격되어 걸려있지 않지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의 감소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패킹이 팽창하면서 상기 용기 뚜껑을 밀어 올려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입구부 언저리(운두)에 걸리도록 되어,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부압이 해소되더라도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상방으로 연장된 경사면으로 된 측벽과 상측 입구부를 갖는 주발형인 경우,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강하게 걸려있는 동안에는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입구부 외측면과 이격되어 걸려있지 않지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의 감소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패킹이 팽창하면서 상기 용기 뚜껑을 밀어 올려 상기 본체잠금돌기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입구부 외측면에 걸리도록 되어,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부압이 해소되더라도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외면이 솥뚜껑 모양을 닮고 내면이 중앙에 소정 넓이의 평편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테두리에서 절곡되어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된 경사면을 이루는 흡착밀폐부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와, 상기 오목부의 일부 영역에 얇은 필름 형태로 위로 볼록하게 성형된 진공표시부와, 상기 밸브몸체부의 외면에 위로 돌출된 돌출턱과, 상기 오목부의 내면 중심에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중간에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전체가 실리콘 또는 고무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표시부는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려있는 동안에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로 내려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부는 상기 오목부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되, 상기 흡착밀폐부는 외면의 테두리를 따라 일주하면서 두께를 보강하여 흡착력을 높여주는 고리형 가장자리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장착부는 상기 체크밸브를 안착할 수 있는 요홈 형태이며,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의 홈바닥에는 상기 고정부가 압입 고정되는 밸브결합공과, 상기 밸브결합공을 포위하는 환형 홈 형태의 공기유통로와, 상기 공기유통로 내에서 상기 용기 내부 공간으로 뚫린 통기공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렸을 때, 상기 체크밸브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기유통로 및 그 안쪽 영역과 이격된 채 그 위를 덮고, 상기 흡착밀폐부는 상기 공기유통로 바깥쪽의 상기 체크밸브장착부의 바닥면에 강하게 흡착되어 그 접합면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
  18.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입구부 근처 외면에 본체걸림턱이 마련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마련되는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하면서 밀폐시켜주는 용기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 본체의 내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주하게 마련된 패킹장착홈;
    상기 패킹장착홈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상기 패킹장착홈 사이에서 압착되어 접합면을 밀폐시켜주는 고리형 패킹;
    상기 뚜껑 본체의 외면에 상기 패킹장착홈의 내측에 마련된 체크밸브장착홈;
    상기 체크밸브장착홈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 공간과 용기 외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용기 내부 공간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은 허용하지만 용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는 것은 차단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걸리도록 해주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두 곳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자체걸림턱; 그리고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에 상기 복수의 자체걸림턱에 인접한 구간에 선회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잠금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잠금부재 각각은, 닫힘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부 공간에 걸린 부압이 약해짐에 따라 상기 패킹이 팽창하여 상기 용기 뚜껑을 상승시키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용기 뚜껑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해주는 본체잠금돌기와,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자체걸림턱에 압입 체결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열리지 않게 해주는 자체잠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 용기.
KR20130019276A 2013-02-22 2013-02-22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KR101301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9276A KR101301367B1 (ko) 2013-02-22 2013-02-22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PCT/KR2014/001330 WO2014129790A1 (ko) 2013-02-22 2014-02-19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EP14753918.3A EP2960175A4 (en) 2013-02-22 2014-02-19 Container lid for vacuum sealing having locking parts and vacuum-sealed container employing same
JP2015559178A JP6262773B2 (ja) 2013-02-22 2014-02-19 掛止部を有する真空密閉用容器蓋及びこれを採用した真空密閉容器
CN201480009923.1A CN105073593B (zh) 2013-02-22 2014-02-19 具有锁定部的真空密封用容器盖子及利用其的真空密封容器
US14/769,462 US9713402B2 (en) 2013-02-22 2014-02-19 Container lid for vacuum sealing having locking parts and vacuum-sealed container employ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9276A KR101301367B1 (ko) 2013-02-22 2013-02-22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367B1 true KR101301367B1 (ko) 2013-08-29

Family

ID=4922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9276A KR101301367B1 (ko) 2013-02-22 2013-02-22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13402B2 (ko)
EP (1) EP2960175A4 (ko)
JP (1) JP6262773B2 (ko)
KR (1) KR101301367B1 (ko)
CN (1) CN105073593B (ko)
WO (1) WO2014129790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3352A (zh) * 2014-01-10 2014-04-16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保鲜盒
KR101461442B1 (ko) * 2013-09-11 2014-11-18 주식회사 로이첸 플라스틱 용기의 진공유지 펌프
KR101480290B1 (ko) * 2013-12-31 2015-01-21 주식회사 로이첸 펌핑에 의한 진공을 유도하는 쳇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KR20170139292A (ko) 2016-06-09 2017-12-19 김현진 가루제품 보관을 위한 진공 밀폐형 뚜껑 모듈 및 이를 갖는 진공 밀폐 용기
KR101974385B1 (ko) * 2019-01-31 2019-05-02 주식회사 대디홈 진공 포장 시스템
CN111989201A (zh) * 2019-03-22 2020-11-24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用于材料样品的环氧树脂安装的真空系统
KR20220000117A (ko) 2020-06-25 2022-01-03 맹현배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6674S1 (en) * 2015-08-31 2017-05-16 Cvs Pharmacy, Inc. Bottle cap
USD825285S1 (en) * 2015-10-22 2018-08-14 Tefal Food storage box
KR101785053B1 (ko) * 2015-11-23 2017-10-12 주식회사 하우스일렉 진공 텀블러
CN106419742A (zh) * 2016-08-26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BR112019004220A2 (pt) * 2016-09-02 2019-05-28 Helen Of Troy Ltd conjunto de recipiente de armazenamento, método para montar uma tampa, e, tela para expandir uma gaxeta.
USD821822S1 (en) * 2017-01-13 2018-07-03 Pa Brown Container
AU201710733S (en) * 2017-02-09 2017-04-21 Decor Corp Pty Ltd Container base
USD908440S1 (en) * 2017-02-09 2021-01-26 The Decor Corporation Pty Ltd. Container base
USD908441S1 (en) * 2017-02-09 2021-01-26 The Decor Corporation Pty. Ltd. Container base
USD934635S1 (en) * 2017-02-09 2021-11-02 The Decor Corporation Pty Ltd. Container base
USD876906S1 (en) * 2017-04-24 2020-03-03 Thankhot Biotechnology Co., Ltd. Container
KR101877829B1 (ko) * 2017-06-27 2018-07-12 펌텍코리아(주) 공기순환면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TWI626196B (zh) * 2017-09-15 2018-06-11 成鈺興業有限公司 螺絲包裝容器
CN107550218B (zh) * 2017-09-28 2022-10-04 宁波凯普电子有限公司 食品搅拌机
JP6581644B2 (ja) * 2017-12-06 2019-09-25 CSG Investments株式会社 密閉容器用蓋
USD948967S1 (en) * 2017-12-07 2022-04-19 The Decor Corporation Pty Ltd Container base
USD901255S1 (en) * 2017-12-07 2020-11-10 The Decor Corporation Pty Ltd. Container base
JP1621799S (ko) * 2018-03-12 2019-01-15
CN108275373A (zh) * 2018-03-13 2018-07-13 上海出版印刷高等专科学校 一种抽气密封盖
US11607075B2 (en) 2018-04-17 2023-03-21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with a valve
CN108438497B (zh) * 2018-04-27 2024-04-05 南通白蒲黄酒有限公司 一种黄酒密封容器
WO2020029242A1 (en) * 2018-08-10 2020-02-13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system with vibration proof seal
DE102019000133A1 (de) * 2019-01-11 2020-07-16 Zwilling J. A. Henckels Aktiengesellschaft Frischhalte-Unterdruckbehälter für Lebensmittel
US11745921B2 (en) * 2019-02-06 2023-09-05 Free-Free Industrial Corp Sealing cover with two-way embedding buckle mechanism
KR102249852B1 (ko) * 2019-06-28 2021-05-10 (주)착한음식 수증기 밀폐용기
BR122022027026B1 (pt) * 2019-08-30 2023-11-21 Stanley Kin Sui Cheng Vasilha de cozimento e armazenamento de alimento com uma válvula
CN114401776B (zh) * 2019-09-13 2023-11-14 Kx技术有限公司 用于电子连接到配合过滤器壳体组件的过滤器基座
WO2021257175A1 (en) * 2020-06-15 2021-12-23 MorePeas LLC Modular storage system
US11440710B2 (en) * 2020-06-30 2022-09-13 Silgan Dispensing Systems Slatersville, Llc Self-venting closure
CN113955319B (zh) * 2021-11-19 2024-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负压发生结构和保鲜盒
CN114148607B (zh) * 2021-11-23 2022-08-16 江林(贵州)高科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果皮白霜破损的生物可降解气调保鲜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439B1 (ko) 2012-06-29 2012-12-26 주식회사 혜성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195B2 (ja) * 1997-04-16 2000-01-24 光金属工業株式会社 加熱調理食品の保存法とそれに用いる真空密閉保存容器
JP4473989B2 (ja) * 1999-10-13 2010-06-02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開閉容器におけるロック構造
KR100455105B1 (ko) 2001-08-20 2004-11-12 박윤식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JP3615747B2 (ja) * 2001-08-21 2005-02-02 光金属工業株式会社 電子レンジによる食品の真空調理法とそれに用いる真空密閉容器
US7048136B2 (en) * 2002-11-05 2006-05-23 Tilia International, Inc.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KR100648004B1 (ko) * 2005-11-01 2006-11-23 하나코비 주식회사 진공밸브 작동식의 밀폐 용기 뚜껑
US20070265587A1 (en) * 2006-05-11 2007-11-15 Hsin-Yu Chen Vacuum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R100780813B1 (ko) 2006-05-30 2007-11-29 주식회사 락앤락 잠금날개 결착식 진공 밀폐용기
US7594586B2 (en) * 2006-08-05 2009-09-29 Cai Edward Z Vacuum generating device for sealing perishable products and method of use
KR20080014536A (ko) 2006-08-11 2008-02-14 박윤식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
KR20090034673A (ko) 2007-10-04 2009-04-08 삼광유리공업주식회사 밀폐용기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밀폐용기
EP2177457A1 (en) 2008-10-16 2010-04-21 Gio' Style Lifestyle S.p.A. Vacuum container
KR101133979B1 (ko) 2008-12-30 2012-04-12 박준영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EP2508442A3 (en) * 2011-04-04 2013-05-29 Curver Luxembourg SARL Storage container
CN202244660U (zh) * 2011-08-23 2012-05-30 蔡建华 一种半真空式密封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439B1 (ko) 2012-06-29 2012-12-26 주식회사 혜성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442B1 (ko) * 2013-09-11 2014-11-18 주식회사 로이첸 플라스틱 용기의 진공유지 펌프
KR101480290B1 (ko) * 2013-12-31 2015-01-21 주식회사 로이첸 펌핑에 의한 진공을 유도하는 쳇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CN103723352A (zh) * 2014-01-10 2014-04-16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保鲜盒
KR20170139292A (ko) 2016-06-09 2017-12-19 김현진 가루제품 보관을 위한 진공 밀폐형 뚜껑 모듈 및 이를 갖는 진공 밀폐 용기
KR101974385B1 (ko) * 2019-01-31 2019-05-02 주식회사 대디홈 진공 포장 시스템
CN111989201A (zh) * 2019-03-22 2020-11-24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用于材料样品的环氧树脂安装的真空系统
KR20220000117A (ko) 2020-06-25 2022-01-03 맹현배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73593A (zh) 2015-11-18
US20160000271A1 (en) 2016-01-07
EP2960175A1 (en) 2015-12-30
WO2014129790A1 (ko) 2014-08-28
JP2016511727A (ja) 2016-04-21
JP6262773B2 (ja) 2018-01-17
US9713402B2 (en) 2017-07-25
EP2960175A4 (en) 2017-08-23
CN105073593B (zh)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US9731887B2 (en)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KR101133979B1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KR20080014536A (ko)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
JP2016513050A (ja) 真空容器用チェックバルブ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EP3403945B1 (en) Airtight container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101372306B1 (ko) 진공 포장용기용 진공밸브장치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969989B1 (ko) 밀폐 용기
KR101480290B1 (ko) 펌핑에 의한 진공을 유도하는 쳇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KR20060071602A (ko) 밀폐 용기 뚜껑
KR200413413Y1 (ko) 밸브 작동식 밀폐 용기용 뚜껑
US20220061613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KR20100004832U (ko) 진공용기 뚜껑
KR200332153Y1 (ko) 진공용기
KR20190015000A (ko) 진공포장용 흡입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및 진공팩
KR200394931Y1 (ko) 감압펌프 기능을 가진 병뚜껑
KR100614594B1 (ko) 밀폐용 식품용기
KR200187987Y1 (ko) 식품 진공보존용기의 공기 유출/입 밸브
KR100878107B1 (ko) 식품 보관용기
KR101074986B1 (ko) 이동형 배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의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