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989B1 -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989B1
KR101969989B1 KR1020160142973A KR20160142973A KR101969989B1 KR 101969989 B1 KR101969989 B1 KR 101969989B1 KR 1020160142973 A KR1020160142973 A KR 1020160142973A KR 20160142973 A KR20160142973 A KR 20160142973A KR 101969989 B1 KR101969989 B1 KR 10196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ontainer body
sealing member
stopp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164A (ko
Inventor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조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호 filed Critical 조용호
Priority to KR1020160142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9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23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는, 내벽면을 따라 밀폐돌기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입구에 안착되면서 상기 용기 몸체를 밀폐시키는 마개; 상기 마개의 중심 하측에 복원력을 가진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중심부 상승시 중심부 상승과 안내부의 유도로 테두리가 용기 내벽면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밀폐돌기와 상기 용기 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밀폐부; 상기 마개 중심을 관통한 상기 밀폐부의 축부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밀폐부를 승강시키는 당김력 발생/해제부; 및 상기 밀폐돌기의 상측인 상기 마개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부의 상승시 밀착된 상기 밀폐부 테두리의 변형 방향을 외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폐 용기 {AIRTIGHT VESSEL}
본 발명은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lever) 또는 푸시업(push-up)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마개의 밀폐력으로 용기 몸체를 밀폐시키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 용기는, 음식물의 신선함을 유지함은 물론,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밀폐 용기는 음식물이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보관된 음식물이 밀폐 용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뚜껑의 사면에 개폐 가능한 잠금날개와 본체에 잠금돌기가 형성되어 뚜껑과 용기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 내부에서 용기와 맞닿는 부분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 부재가 삽입되어 뚜껑과 용기가 결합되면 패킹 부재가 용기와 밀착되도록 하여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밀폐 용기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348305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300698호에 제안된 바 있다.
종래기술 1의 밀폐용기는 용기본체 및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 및 상기 커버의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패킹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가 폐쇄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용기본체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밀폐용기는 커버의 그 측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결합부재가 회전에 의해서 용기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리게 됨으로써 용기본체를 커버하게 되는데, 결합부재에 의해서만 밀폐력을 형성시켜 밀폐력이 한정되며, 사방의 결합부재가 걸림돌기와 정확하게 체결되지 않으면 밀폐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2의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외측면에 하향돌출된 잠금돌기가 형성된 잠금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것으로서 상방으로 돌출된 소정길이의 상부걸림돌기와 하방으로 돌출된 소정길이의 하부걸림돌기가 형성된 결합부가 둘레에 형성되는 덮개; 및 내측에 상기 결합부가 끼워지는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의 전방으로 하향돌출된 하향걸림부와 상향돌출된 상향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외측 상단에 박막으로 된 박막힌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잠금부의 상기 잠금돌기에 걸려서 구속되는 잠금편이 형성된 잠금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잠금날개의 상기 상향걸림부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하향걸림부보다 더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상부걸림돌기는 상기 하부걸림돌기보다 더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는 용기본체의 변마다 4개의 외측면들의 상단에 덮개의 잠금날개와 착탈하는 잠금부가 형성되는데 잠금부와 잠금날개에 의해서만 밀폐력을 형성시킴에 따른 밀폐력 한정과, 잠금날개가 잠금부에서 약간만 이격되어도 밀폐력이 균일하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348305호(등록일: 2013.12.30.) 등록특허공보 제1300698호(등록일: 2013.08.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가요성 재질의 오목한 밀폐부 중심부를 위로 당길 때 테두리가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용기 몸체의 내벽면에 이중으로 밀폐되게 함으로써 밀폐 효율이 우수하고, 용기 몸체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1, 2 밀폐부재 중 제2 밀폐부재를 하단이 상단보다 먼저 용기 몸체 내벽면에 닿도록 연질재의 흡착판(suction cup) 형태로 구비하므로 용기 몸체 내벽면에서 떼어낼 때 상단부터 이격시켜 제2 밀폐부재의 내부 진공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으며, 마개를 용기 몸체의 4지점을 고정하는 기존 제품과 달리 위에서 한 번에 밀폐 가능하여 소요시간 단축 및 밀폐력이 균일한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는 내벽면을 따라 밀폐돌기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입구에 안착되면서 상기 용기 몸체를 밀폐시키는 마개; 상기 마개의 중심 하측에 복원력을 가진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중심부 상승시 테두리가 변형되면서 상기 밀폐돌기와 상기 용기 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밀폐부; 상기 마개 중심을 관통한 상기 밀폐부의 축부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밀폐부를 승강시키는 당김력 발생/해제부; 및 상기 밀폐돌기의 상측인 상기 마개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부의 상승시 밀착된 상기 밀폐부 테두리의 변형 방향을 외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밀폐돌기와 밀착되도록 외면에 밀폐홈이 형성되는 제1 밀폐부재; 및 상기 제1 밀폐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면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는 마개의 중심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복원력을 가지면서 상기 제1 밀폐부재와 상기 제2 밀폐부재의 테두리에 연결하며, 상면 중심에 축부가 연결되고 변형시 최대 길이가 상기 용기 몸체의 대향된 내벽 간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돌기는 돌출된 바닥면을 따라 단면 형상이 구(球)인 보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홈은 함몰된 바닥면 모서리를 따라 상기 보조돌기에 결합되도록 원호 형상의 보조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밀폐부재는 단면 형상이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밀폐부재와 연결된 상단 모서리보다 하단 모서리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내부는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력 발생/해제부는 레버 방식 또는 푸시업 방식에 의해 상기 밀폐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재질의 오목한 밀폐부 중심부를 위로 당길 때 테두리가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용기 몸체의 내벽면에 이중으로 밀폐되게 함으로써 밀폐 효율이 우수하고, 용기 몸체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1, 2 밀폐부재 중 제2 밀폐부재를 하단이 상단보다 먼저 용기 몸체 내벽면에 닿도록 연질재의 흡착판(suction cup) 형태로 구비하므로 용기 몸체 내벽면에서 떼어낼 때 상단부터 이격시켜 제2 밀폐부재의 내부 진공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으며, 마개를 용기 몸체의 4지점을 고정하는 기존 제품과 달리 위에서 한 번에 밀폐 가능하여 소요시간 단축 및 밀폐력이 균일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용기 몸체를 마개로 밀폐시키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용기 몸체를 마개로 밀폐시키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승강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승강조절부가 마개에 장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용기 몸체를 마개로 밀폐시키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는 용기 몸체(110), 마개(120), 밀폐부(130) 및 당김력 발생/해제부(140)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110)는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막혀 있으며, 상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용기 몸체(110)는 내벽면을 따라 밀폐돌기(1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폐돌기(112)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단면 형상이 구(球) 형상 등으로 적용된 보조돌기(114)가 일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폐돌기(112)는 후술할 제1 밀폐부재(132)의 밀폐홈(134a)이 밀착되면서 사각 형상의 요철(凹凸) 결합에 의해 밀폐 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조돌기(114)는 상기 제1 밀폐부재(132)의 밀폐홈(134a)의 내벽면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모서리에 원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원호 형상의 요철(凹凸) 결합에 의해 밀폐력을 배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밀폐돌기(112)는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 일체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후 상기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마개(120)는 용기 몸체(110)의 입구에 안착되면서 상기 용기 몸체(110)를 밀폐시키며, 외, 내곽 돌출부(122a, 122b), 안내부(124), 걸림고리(126) 및 패킹(128)을 포함한다.
외, 내곽 돌출부(122a, 122b)는 마개(120)의 저면 가장자리에 용기 몸체(110)의 외벽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면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외곽 돌출부(122a)가 내곽 돌출부(122b)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124)는 내곽 돌출부(122b)의 저면 중 안쪽 모서리 부분을 따라 중심 방향으로 상측이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밀폐부(130)의 상승시 저면에 밀착된 제1 밀폐부재(132)와 함께 제2 밀폐부재(136)의 테두리 변형 방향을 외측 방향인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 쪽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124)는 제1 밀폐부재(132)의 상승 높이를 제안하는 스토퍼 기능도 하게 된다.
걸림고리(126)는 마개(12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당김력 발생/해제부(140)의 선단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밀폐부(130)의 축부(138)를 잡아당길 때 상기 당김력 발생/해제부(140)의 후단이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패킹(128)은 외, 내곽 돌출부(122a, 122b)의 사이 천장면을 따라 일체로 구비되어 용기 몸체(11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밀착되면서 마개(120)와 상기 용기 몸체(110) 간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밀폐부(130)는 마개(120)의 중심 하측에 하방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중심부 상승시 테두리가 변형되면서 용기 몸체(110)의 밀폐돌기(112)와 상기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 이중으로 밀착되며, 제1 밀폐부재(132), 제2 밀폐부재(136) 및 축부(138)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밀폐부(130)는 제1 밀폐부재(132)와 제2 밀폐부재(136)의 이웃한 단부가 서로 연결되면서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직립된 축부(138)의 하단이 연결되는 밀폐부 몸체는 상기 제1, 2 밀폐부재(132, 136)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좀 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130)는 마개(120)의 중심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고 원형 등의 복원력을 가지면서 제1 밀폐부재(132)와 제2 밀폐부재(136)의 테두리에 연결하며, 변형시 상기 제1 밀폐부재(132)와 상기 제2 밀폐부재(136)의 대향된 최대 길이가 용기 몸체(110)의 대향된 내벽 간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어 변형 과정에서 상측방향으로 뒤집어 지지 않게 한다.
제1 밀폐부재(132)는 하측에 오목한 형태로 구비된 밀폐부 몸체의 가장자리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벽면을 따라 밀폐홈(134a)과, 상기 밀폐홈(134a)에 단면 형상이 구 형태인 보조홈(134b)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밀폐홈(134a)과, 상기 보조홈(134b)이 용기 몸체(110)의 밀폐돌기(112)와 보조돌기(114)에 각각 결합되면서 1차로 밀폐력을 형성시킨다.
더욱이, 상기 제1 밀폐부재(132)는 상면 내측단 모서리 부분이 안내부(124)의 단부 저면과 절첩되는 연결막(132a)에 의해 연결되어 밀폐돌기(112) 쪽으로 벌어지면 상기 연결막(132a)이 펴지고, 반대로 밀폐돌기(112) 반대 방향으로 오므라들면 상기 연결막(132a)이 접어지게 하여 마개(120)와 밀폐부(130)의 사이로 음식물 등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제2 밀폐부재(136)는 제1 밀폐부재(132)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단 둘레가 연결되도록 일체로 연장되면서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 흡착되어 2차로 밀폐력을 형성시킨다.
더욱이, 상기 제2 밀폐부재(136)는 제1 밀폐부재(132)와 연결된 상단 모서리보다 하단 모서리가 더 돌출 형성된 연질재의 흡착판(suction cup) 형태로 구비되어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밀착면에서 진공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상기 제2 밀폐부재(136)는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서 이탈시킬 때 상기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과 나중에 닿은 상단을 먼저 이격시켜 내부 진공 상태를 단시간 내에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축부(138)는 밀폐부 몸체의 상면 중심에 직립 형태로 구비되며, 직립된 상단이 마개(120)의 중심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후술할 당김력 발생/해제부(140)와 연결된다.
당김력 발생/해제부(140)는 마개(120)의 상면 중심을 관통한 밀폐부(130)의 축부(138) 상단에 힌지(142)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밀폐부(130)의 중심부를 상승시켜 당기거나, 상기 밀폐부(130)의 중심부를 하강시켜 하측으로 미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당김력 발생/해제부(140)는 레버 방식에 의해 상기 밀폐부(130)의 중심부를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미는 구성으로, 선단은 마개(120)의 상면과 평행 형태가 유지되게 하고, 후단은 선단에서 경사지게 연결되어 후단을 하강시키면 상단이 상향 회전되면서 밀폐부(130)의 축부(138)를 당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당김력 발생/해제부(140)는 마개(12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고리(126)에 회전시킨 후단을 걸리게 하여 상기 밀폐부(130)에 의한 용기 몸체(110)의 밀폐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의 밀폐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용기 몸체(110)의 내부에 음식물 등을 넣은 상태에서 마개(120)를 상기 용기 몸체(110)의 입구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당김력 발생/해제부(140)의 후단을 하향 회전시키기 시작하면 상기 당김력 발생/해제부(140)의 선단에 연결된 밀폐부(130)의 중심부가 축부(138)에 의해 상부로 당겨지게 된다.
다음으로, 밀폐부(130)의 중심부가 상부로 당겨지면서 상승되는 제1 밀폐부재(132)의 상면 내측단 모서리 부분이 안내부(124)에 의해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 방향으로 상기 제1 밀폐부재(132)와 제2 밀폐부재(136)를 점차 벌어지게 한다.
다음으로, 제1 밀폐부재(132)의 밀폐홈(134a)이 밀폐돌기(112)에 1차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밀폐홈(134a)에 형성된 보조홈(134b) 역시 상기 밀폐돌기(112)에 형성된 보조돌기(114)에 결합되어 이중 밀폐가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제2 밀폐부재(136)가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 하단이 흡착되기 시작하고, 그 후에 상단이 흡착되기 시작하면서 전 면적이 흡착된다.
한편, 제2 밀폐부재(136)가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 흡착 완료되면 당김력 발생/해제부(140)의 후단은 마개(12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고리(126)에 걸리면서 회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음식물 등의 섭취를 위해 마개(120)의 개방이 요구되는 경우, 당김력 발생/해제부(140)의 후단을 상기 마개(120)의 걸림고리(126)에서 이탈시킨 후 후단을 들어올리게 되면 밀폐부(130)가 축부(138)의 하강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제2 밀폐부재(136)가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서 분리되고, 그 후에 제1 밀폐부재(132)가 밀폐돌기(112)에서 분리된다.
여기서, 제2 밀폐부재(136)는 용기 몸체(110)의 내벽면에 하단보다 나중에 흡착된 상단이 먼저 분리되면서 진공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마개(120)를 용기 몸체(110)에서 분리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용기 몸체를 마개로 밀폐시키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승강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승강조절부가 마개에 장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용기(200)는 용기 몸체(210), 마개(220), 밀폐부(230) 및 당김력 발생/해제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몸체(210) 및 마개(22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상기 밀폐 용기(200)는 후술할 당김력 발생/해제부(240)의 덮개(241)를 한차례 가압하면 푸쉬-업 방식에 의해 밀폐부(230)를 상방으로 당겨 용기 몸체(210)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밀폐시키고, 재차 상기 덮개(241)를 가압하면 상기 밀폐부(230)를 하방으로 밀어 밀폐력이 해제된다.
밀폐부(230)는 마개(220)의 중심 하측에 원형형태의 복원력을 가진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중심부 상승시 테두리가 변형되면서 용기 몸체(210)의 밀폐돌기(212)와 상기 용기 몸체(210)의 내벽면에 밀착되되, 제1 밀폐부재(232), 제2 밀폐부재(236) 및 축부(23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밀폐부재(232) 및 제2 밀폐부재(236)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축부(238)는 밀폐부 몸체의 상면 중심에 직립 형태로 구비되며, 직립된 상단이 마개(220)의 중심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후술할 당김력 발생/해제부(24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축부(238)는 마개(220)의 중심부 저면에 구비된 원통 형상의 서포트(240a) 상하면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마개(220)의 상측까지 통과하게 되며, 상기 서포트(240a)의 내부에 플랜지부(238a)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238a)의 저면과 이와 대향된 상기 서포트(240a)의 바닥과의 사이에 제1 탄성부재(S1)가 개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탄성부재(S1)는 밀폐부(230)가 항시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다.
더욱이, 상기 축부(238)의 상단은 후술할 당김력 발생/해제부(240)의 고정부재(248) 내주면에 삽입되어 승강조절부(244)의 조작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서포트(240a)는 축부(238)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S1)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면이 마개(220)의 저면에 결합된다.
당김력 발생/해제부(240)는 마개(220)의 상면 중심을 관통한 밀폐부(230)의 축부(238)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부(230)의 중심부를 상승시켜 상측으로 당기거나, 상기 밀폐부(230)의 중심부를 하강시켜 하측으로 미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당김력 발생/해제부(240)는 푸시업 방식에 의해 밀폐부(230)의 중심부를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미는 구성으로, 상단을 한 차례 가압하면 상기 밀폐부(230)를 하방향으로 밀고, 재차 가압하면 상기 밀폐부(230)를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당김력 발생/해제부(240)는 덮개(241) 및 승강조절부(242)를 포함한다.
덮개(241)는 후술할 승강조절부(242)를 덮고 있는 돔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 가장자리가 마개(22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가압하면 상단이 상기 승강조절부(244)의 승강부재(244) 높이에 따라 변형되는 연질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덮개(241)는 천장면 중심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내주면이 승강부재(244)의 상단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승강조절부(242)는 승강부재(244), 회전부재(246), 고정부재(248), 출몰부재(250), 제2 탄성부재(S2) 및 제3 탄성부재(S3)를 포함한다.
승강부재(244)는 직립된 원통 형상으로 중심에 삽입홀(244a)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 방사상의 제1 결속홈(244b)이 바닥면에서부터 상단까지 연결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홈(244b)과 교차 방향으로 바닥면에 경사면(244d)이 형성된 톱니결속부재(244c)가 형성된다.
이때, 경사면(244d)은 톱니결속부재(244c)의 바닥에서부터 제1 결속홈(244b)의 바닥까지 대칭 형태로 양쪽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속홈(244b)과 상기 톱니결속부재(244c)는 후술할 회전부재(246)가 180°씩 회전되도록 2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가가 가능하다.
회전부재(246)는 승강부재(24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244)의 승강에 의해 180°씩 회전되면서 후술할 고정부재(248)의 가이드돌기(248b) 저면이 걸리는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밀폐부(230)의 축부(238)를 위로 당기거나 아래로 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46)는 직립된 원통 형상으로 상단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며, 축(246a), 제2 결속홈(246b), 결속경사면(246c) 및 수직면(246d)을 포함한다.
축(246a)은 회전부재(246)의 상단에 승강부재(244)의 삽입홀(244a)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제2 결속홈(246b)은 승강부재(244)의 제1 결속홈(244b)과 대응되는 폭으로 회전부재(246)의 상면에서부터 하단까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결속홈(246b)은 제1 결속홈(244b)과 같이 180°씩 2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가가 가능하다.
결속경사면(246c)은 승강부재(244)의 톱니결속부재(244c)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승강부재(244)가 하강하면 상기 톱니결속부재(244c)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부재(246)가 수직면(246d)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수직면(246d)은 결속경사면(246c)의 최저 경사면 단부에 직립 형성되어 회전부재(246)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되며, 상기 회전부재(246)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다가 승강부재(244)에 의해 회전부재(246)가 더 가압되어 후술할 고정부재(248)의 가이드돌기(248b) 하단 경사면이 정점 부위를 통과하면 상기 회전부재(246)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제한을 해제하게 된다.
고정부재(248)는 상단과 하단 직경이 상이하면서 중간 부위에서 점차 면적이 확대되도록 연결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상단에서 하단으로 승강부재(244), 회전부재(246), 고정부재(248), 출몰부재(250), 제2 탄성부재(S2) 및 제3 탄성부재(S3)가 배치되도록 내부에 홀(248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홀(248a)의 상단 내주면에 방사상의 가이드돌기(248b)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돌기(248b)는 승강부재(244)의 제1 결속홈(244b)과 회전부재(246)의 제2 결속홈(246b)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저면에 승강부재(244)의 경사면(244d) 및 회전부재(246)의 결속경사면(246c)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2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가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돌기(248b)는 승강부재(244)의 제1 결속홈(244b) 내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부재(244)가 회전되지 못하게 하면서 하단 경사면에 상기 회전부재(246)의 결속경사면(246c)이 위치되면 밀폐부(230)의 축부(238)를 위로 당길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고, 하단이 회전부재(246)의 제2 결속홈(246b)이 위치되면 상기 축부(238)를 아래로 밀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48)는 하단 내주면에 마개(220)의 중심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밀폐부(230)의 축부(238) 상단 외주면이 삽입 고정된다.
출몰부재(250)는 회전부재(246)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밀폐부(230)의 축부(238)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246)에 의해 연동되며,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단차가 고정부재(248)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턱에 의해 승강 높이가 제한된다.
제2 탄성부재(S2)는 승강부재(244)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단차 저면과 고정부재(248)의 상면과의 사이에 상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승강부재(244)가 항시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3 탄성부재(S3)는 출몰부재(25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단차 저면과 출몰부재(25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턱과의 사이에 상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출몰부재(250)가 항시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승강조절부(242)의 조작에 의해 밀폐부(230)를 당기고 미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덮개(141)를 가압하기 시작하면 승강부재(244)가 회전부재(246)를 가압하게 되며, 이때, 가이드돌기(248b)의 상하단이 제1 결속홈(244b)과 제2 결속홈(246b) 내에 위치되므로 상기 승강부재(244)의 경사면(244d)이 상기 회전부재(246)의 결속경사면(246c)에 밀착된 상태이지만 상기 회전부재(246)는 회전되지 못한다.
다음으로, 덮개(141)를 더 가압한 후 가압 해제하여 승강부재(244)가 회전부재(246)를 더 가합하면 상기 승강부재(244)의 톱니결속부재(244c) 경사면(244d) 최하단과 고정부재(248)의 가이드돌기(248b) 최상단이 일치되므로 이 연결된 경사면을 따라 상기 회전부재(246)의 결속경사면(246c)에 의해 수직면(246d)까지 180°회전된다.
다음으로, 회전부재(246)가 회전되면서 결속경사면(246c) 상에 고정부재(248)의 가이드돌기(248b)가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248b)의 저면이 상기 회전부재(246)의 결속경사면(246c)과 이와 이웃한 수직면(246d)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밀폐부(230)의 축부(238)가 상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다음으로, 밀폐부(230)는 앞선 실시예에서 같이 용기 몸체(210)의 밀폐돌기(212)와 보조돌기(214)에 제1 밀폐부재(232)의 밀폐홈(234a)과 보조홈(234b)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용기 몸체(210)의 내주면에 제2 밀폐부재(236)가 흡착되어 마개(220)가 용기 몸체(210)를 밀폐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마개(220)의 개방이 요구되어 덮개(141)를 재차 가압하면 승강부재(244)의 톱니결속부재(244c) 최하단이 회전부재(246)의 수직면(246d) 최상단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회전부재(246)가 결속경사면(246c)과 제1 탄성부재(S1)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된다.
다음으로, 제2 밀폐부재(236)가 먼저 용기 몸체(210)의 내주면에서 먼저 분리된 후 후에 제1 밀폐부재(232)가 용기 몸체(210)의 밀폐돌기(212)와 보조돌기(214)에서 분리된다.
다음으로, 마개(220)를 용기 몸체(210)에서 이격시킨 후 내부에 음식물 등을 넣게 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22a, 222b는 외, 내곽 돌출부이고, 224는 안내부이고, 228은 패킹이고, 232a는 연결막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밀폐 용기 110, 210: 용기 몸체
112, 212: 밀폐돌기 114, 214: 보조돌기
120, 220: 마개 122a, 222a: 외곽 돌출부
122b, 222b: 내곽 돌출부 124, 224: 안내부
126: 걸림고리 130, 230: 밀폐부
132, 232: 제1 밀폐부재 132a, 232a: 연결막
134a, 234a: 밀폐홈 134b, 234b: 보조홈
136, 236: 제2 밀폐부재 138, 238: 축부
140, 240: 당김력 발생/해제부 241: 덮개
242: 승강조절부 244: 승강부재
246: 회전부재 248: 고정부재
250: 출몰부재 S1, S2, S3: 제1, 2, 3 탄성부재

Claims (7)

  1. 내벽면을 따라 밀폐돌기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입구에 안착되면서 상기 용기 몸체를 밀폐시키는 마개;
    상기 마개의 중심 하측에 복원력을 가진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중심부 상승시 테두리가 변형되면서 상기 밀폐돌기와 상기 용기 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밀폐부;
    상기 마개 중심을 관통한 상기 밀폐부의 축부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밀폐부를 승강시키는 당김력 발생/해제부; 및
    상기 밀폐돌기의 상측인 상기 마개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밀폐부의 상승시 밀착된 상기 밀폐부 테두리의 변형 방향을 외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밀폐돌기와 밀착되도록 외면에 밀폐홈이 형성되는 제1 밀폐부재; 및
    상기 제1 밀폐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면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제2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마개의 중심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복원력을 가지면서 상기 제1 밀폐부재와 상기 제2 밀폐부재의 테두리에 연결하며, 상면 중심에 축부가 연결되고 변형시 최대 길이가 상기 용기 몸체의 대향된 내벽 간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돌기는 돌출된 바닥면을 따라 단면 형상이 구(球)인 보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홈은 함몰된 바닥면 모서리를 따라 상기 보조돌기에 결합되도록 원호 형상의 보조홈이 형성되는 밀폐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폐부재는 단면 형상이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밀폐부재와 연결된 상단 모서리보다 하단 모서리가 더 돌출 형성되는 밀폐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밀폐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력 발생/해제부는 레버 방식 또는 푸시업 방식에 의해 상기 밀폐부를 승강시키는 밀폐 용기.
KR1020160142973A 2016-10-31 2016-10-31 밀폐 용기 KR101969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73A KR101969989B1 (ko) 2016-10-31 2016-10-31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73A KR101969989B1 (ko) 2016-10-31 2016-10-31 밀폐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64A KR20180047164A (ko) 2018-05-10
KR101969989B1 true KR101969989B1 (ko) 2019-04-17

Family

ID=6218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973A KR101969989B1 (ko) 2016-10-31 2016-10-31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9219A (zh) * 2019-09-19 2019-12-20 浙江飞剑工贸有限公司 一种容器密封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964A (ja) * 2002-01-17 2003-07-22 Asuka Corporation:Kk 密閉蓋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305B1 (ko) 2012-01-20 2014-01-08 구홍식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101300698B1 (ko) 2012-05-15 2013-08-26 주식회사 혜성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
KR20140002515U (ko) * 2012-10-22 2014-04-30 황영조 밀폐뚜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5964A (ja) * 2002-01-17 2003-07-22 Asuka Corporation:Kk 密閉蓋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64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KR200452037Y1 (ko) 내부압력 해제기능을 갖춘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ZA200409270B (en) Hose direct canister lid
CN106395118A (zh) 饮料容器
US10589905B2 (en) Airtight container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101969989B1 (ko) 밀폐 용기
KR101445641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372306B1 (ko) 진공 포장용기용 진공밸브장치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20170140986A (ko) 용기구조체
US11655084B2 (en) Sealing packing coupled to container lid
JP7178795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224198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1496238B1 (ko)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EP3786083A1 (en) Steam-tight container
KR101996881B1 (ko) 수증기 밀폐용기
KR101652409B1 (ko) 이중덮개형 진공 밀폐용기
WO2008131583A1 (fr) Récipient étanche à pompage sous vide
KR200371206Y1 (ko) 밀폐용기 뚜껑
KR200350989Y1 (ko) 발효식품용 밀폐용기
JP2007204095A (ja) 蓋付き高気密容器
KR20190007728A (ko) 식품 보관용 진공 방식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