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832U - 진공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진공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832U
KR20100004832U KR2020080014595U KR20080014595U KR20100004832U KR 20100004832 U KR20100004832 U KR 20100004832U KR 2020080014595 U KR2020080014595 U KR 2020080014595U KR 20080014595 U KR20080014595 U KR 20080014595U KR 20100004832 U KR20100004832 U KR 201000048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acking
container
lid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노구
Original Assignee
허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노구 filed Critical 허노구
Priority to KR2020080014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832U/ko
Publication of KR20100004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진공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배출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공기출입공이 형성되고 테두리의 내측으로 패킹장착홈이 함몰 형성된 뚜껑몸체와; 상기 공기출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뚜껑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출입공을 통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체크밸브와; 상기 패킹장착홈에 삽입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장착부를 상기 패킹장착홈에 밀착시키며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와, 상기 장착부의 하단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갖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패킹의 진공장착력을 향상시켜 패킹과 뚜껑몸체의 밀착력이 증대되며 용기본체 내의 진공도를 향상시키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진공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용기 내의 음식물 보관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용기 뚜껑{CLOSURE FOR VACUUM RECEPTACLE}
본 고안은 체크밸브를 구비한 진공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몸체에 조립되는 패킹의 구조를 개선한 진공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은 비교적 쉽게 변질되며, 따라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음식물 보관수단으로는 냉장 기술을 이용한 방법과 진공을 이용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조리된 음식물은 랩이나 비닐지에 포장하여 냉장고와 같은 냉동기기에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냉장기술을 이용한 방법은 별도의 냉장기계 및 전력을 필요로 하여 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으며, 냉장기술로도 음식물과 공기의 접촉을 막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음식물의 장기간 보관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즉, 냉동기기의 보관 형태는 소정의 기간동안은 보관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포장지의 내부에 들어있는 공기로 인해 식품 및 음식물이 산화되어 부패됨으 로써 장시간동안은 보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식품 용기는 단순히 저장통에 식품을 넣고 뚜껑만을 덮어서 밀폐시키는 구조로서 용기내의 식품이 세균번식에 의하여 쉽게 부패 변질되므로서 장기간의 보관은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뚜껑에 공기를 빼낼 수 있는 밸브가 설치하고 용기 내부를 진공화하여 음식물을 진공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진공용기 뚜껑이 알려져 있다.
도 7에는 종래의 진공용기 뚜껑이 적용된 용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용기 뚜껑(110)은, 용기본체(105)의 입구부(107)를 개폐하며 테두리의 내측으로 패킹장착홈(127)이 함몰 형성된 뚜껑몸체(111)와, 뚜껑몸체(111)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05)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체크밸브(141)와, 뚜껑몸체(111)의 패킹장착홈(127)에 삽입되어 용기본체(105)의 입구부(107) 내면에 밀착되는 패킹(131)을 가진다.
패킹(131)은 패킹장착홈(127)에 삽입되는 장착부(133)와, 장착부(133)의 하단에서 용기본체(105)의 입구부(107) 내면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 연장되어 용기본체(105)의 입구부(107)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37)를 가진다.
패킹(131)의 장착부(133)의 단부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밀착부(137)는 탄성과 유연성을 좋게 하여 용기본체(105)의 입구부(107) 내면에 긴밀히 밀착하도록 그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진공용기 뚜껑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킹(131)을 뚜껑몸체(111)에 조립하기 위해 패킹(131)의 장착부(133)를 패킹장착홈(127)에 삽입하면, 장착부(133)의 갈고리 형태의 단부가 패킹장착홈(127)에 탄성변형되면서 삽입된다.
다음, 용기본체(105)의 내부에 음식물을 넣은 상태에서 용기본체(105)의 입구부(107)에 뚜껑을 덮고서 사용자가 뚜껑몸체(111)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패킹(131)의 밀착부(137)가 용기본체(105)의 입구부(107)에 접촉하며 그 외측단부가 위로 향하는 상태로 휘어지면서 뚜껑(110)이 하강하여 용기본체(105) 내의 공기는 체크밸브(1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패킹장착홈(127)에 삽입된 패킹(131)의 장착부(133)는 뚜껑몸체(111)의 진공장착시 발생하는 비틀림모멘트에 의해 형상 변형되어 패킹장착홈(127)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장착부(133)와 패킹장착홈(127)의 내벽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패킹(131)에 균일하게 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패킹(131)의 진공장착력이 저하되어 패킹(131)과 뚜껑몸체(111)의 패킹장착홈(127)과의 밀착력이 감소하게 되고, 용기본체(105) 내의 진공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용기의 사용 도중, 장착부(133)와 패킹장착홈(127)의 내벽면 사이의 틈새로 용기본체(105) 내의 음식물이 유입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고안에 따라, 패킹의 진공장착력을 향상시켜 패킹과 뚜껑몸체의 밀착력이 증대되며, 용기본체 내의 진공도를 향상시키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공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 고안에 따라, 용기가 진공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진공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본 고안에 따라, 용기 내의 음식물 보관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진공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고안에 따라,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진공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배출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공기출입공이 형성되고 테두리의 내측으로 패킹장착홈이 함몰 형성된 뚜껑몸체와; 상기 공기출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뚜껑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출입공을 통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체크밸브와; 상기 패킹장착 홈에 삽입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장착부를 상기 패킹장착홈에 밀착시키며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와, 상기 장착부의 하단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갖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공기출입공을 둘러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뚜껑 몸체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저진공 작동에 따라 함몰되어 저진공상태를 표시하는 저진공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고진공 작동에 따라 함몰되어 고진공상태를 표시하는 고진공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의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몸체에 마련되어 숫자로 표기되는 날짜표시부와, 상기 체크밸브에 마련되어 상기 날짜표시부의 숫자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 및 상기 패킹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뚜껑몸체에 조립되는 패킹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패킹의 진공장착력을 향상시켜 패킹과 뚜껑몸체의 밀착력이 증대되며 용기본체 내의 진공도를 향상시키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에 저진공표시부와 고진공표시부를 마련함으로써, 용기가 진공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뚜껑몸체에 날짜표시부를 마련하고, 체크밸브에 날짜표시부의 숫자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마련함으로써, 용기 내의 음식물 보관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대략 원통 형태의 진공용기를 예시하고 있으며, 진공용기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 예시된 원통 형태 이외에도 삼각통, 사각통, 육각통, 팔각통 등의 다각통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그 형태에 의해 구애받지는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뚜껑(10)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있는 용기본체(5)의 개구된 입구부(7)에 장착되어 입구부(7)를 개폐하는 뚜껑몸체(11)와, 뚜껑몸체(11)에 장착되어 공기의 유출입을 통제하는 체크밸브(41)와, 패 킹(31)을 포함한다.
용기본체(5)는 원통 형태로 밑바닥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를 가지며, 진공압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로 제조된다. 용기본체(5)의 재질은 내압성이 좋은 플라스틱 계열이 바람직하다.
뚜껑몸체(11)는 중앙부분에 함몰 형성된 밸브안착홈(13)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안착홈(13)의 중심에는 체크밸브(41)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밸브안착홈(13)은 체크밸브(41)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의 원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공(15)은 밸브안착홈(13)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한 중앙돌출부(17)의 중심에 천공되어 있다.
중앙돌출부(17)는 체크밸브(41)를 밸브안착홈(13)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띄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체크밸브(41)는 작동압에 따른 상하로의 탄성이동이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다.
중앙돌출부(17)의 측면에는 용기본체(5) 내부의 공기가 배출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공기출입공(19)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뚜껑(10) 밀폐시 공기출입공(19)을 통해 용기본체(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본체(5)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뚜껑(10) 개방시에는 공기출입공(19)을 통해 외기를 유입시켜 용기본체(5)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게 된다. 공기출입공(1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돌출부(17)의 둘레를 따라 대략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마치 사람의 입구조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공기 유출입시 특유의 공기 빠지는 소리를 발생하게 한다.
뚜껑몸체(11)는 용기본체(5) 내부의 고진공에서도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압성을 갖도록 밸브안착홈(13)으로부터 외곽을 향해 구면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뚜껑몸체(11)의 상면에는 체크밸브(41)의 둘레를 따라, 즉 밸브안착홈(13)의 둘레를 따라 숫자로 표기된 날짜표시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뚜껑몸체(11)의 테두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5)의 입구부(7)를 일정부분 덮을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날개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뚜껑몸체(11)의 테두리의 내측에는, 용기본체(5)의 밀폐시 용기본체(5)의 입구부(7) 내면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31)이 장착되는 패킹장착홈(27)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패킹장착홈(27)은 용기본체(5)를 향해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패킹(31)은 용기본체(5)가 원통 형상을 가지므로, 그와 밀착되는 용기본체(5)의 입구부(7)에 대응하는 형상, 즉 원형단면의 링 형상을 가진다. 패킹(31)은 뚜껑몸체(11)의 패킹장착홈(27)에 삽입되는 장착부(33)와, 장착부(33)를 패킹장착홈(27)에 밀착시키며 보강하는 한 쌍의 리브(35)와, 장착부(33)의 하단에서 용기본체(5)의 입구부(7) 내면을 향해 절곡 연장된 밀착부(37)를 가진다.
장착부(33)는 원형단면의 링 형상을 가지며, 패킹장착홈(27)에 삽입된다. 장착부(33)의 자유단부는, 즉 패킹장착홈(27)의 바닥면을 향하는 단부는 패킹장착홈(27)의 바닥면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사각단면형상을 가지며, 이에 장착부(33)의 자유단부가 패킹장착홈(27)에 삽입될 때 탄성력을 증대시켜 밀착력을 좋게 함으로써 진공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리브(35)는 장착부(33)의 둘레를 따라 뚜껑몸체(11)의 테두리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리브(35)는 뚜껑몸체(11)의 진공장착시 장착부(33)가 형상 변형되지 않도록 장착부(33)를 보강하고, 또한 장착부(33)와 패킹장착홈(27)의 내벽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장착부(33)를 패킹장착홈(27)에 긴밀하게 밀착시키며 진공상태로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밀착부(37)는 장착부(33)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대략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뚜껑몸체(11)의 하강에 따라 용기본체(5)의 입구부(7) 내면에 밀착되며 용기본체(5) 내부를 진공화시킨다. 밀착부(37)는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탄성과 유연성을 좋게 하여 용기본체(5)의 내면에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패킹(31)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제조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기에 의해 변색이나 부식이 없는 실리콘이 적합하다.
체크밸브(41)는 공기출입공(19)을 둘러싸는 몸체부(43)와, 몸체부(43)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뚜껑 몸체(11)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5)를 포함한다.
몸체부(43)는 공기출입공(19)을 둘러싸도록 반구형의 형상을 가진다.
몸체부(43)의 저면 중심에는 뚜껑몸체(11)의 결합공(1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45)의 하단부는 결합공(15)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방향으로 하단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크밸브(41)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이나 고 무 등으로 제조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기에 의해 변색이나 부식이 없는 실리콘이 적합하다. 체크밸브(41)는 밀착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몸체부(43)가 공기출입공(19)을 둘러싼 상태에서 몸체부(43)의 연부가 그와 대면하는 뚜껑(10)의 표면에 밀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41)의 몸체부(43)는 공기출입공(19)을 둘러싸고 있어, 공기출입공(19)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뚜껑몸체(11)에 밀착된 몸체부(43)의 테두리를 띄우면서 배출된다. 좀 더 부연설명하면, 체크밸브(41)의 구조에 의하여 용기본체(5) 내부의 공기는 몸체부(43)를 밀어 뚜껑몸체(11)에 밀착되어 있던 몸체부(43)의 일측 연부가 들리면서 뚜껑몸체(11)와 몸체부(43)의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지만, 외기에 의해 몸체부(43)에 작용하는 가압력은 뚜껑몸체(11)쪽으로 작동하므로 몸체부(43)가 더욱 뚜껑(10)에 밀착되어 외기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41)는 일방향(내부공기의 배출방향)으로만 공기유동을 허락하고, 반대방향으로의 공기유동(외기 유입)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밀폐된 진공 상태의 용기에서 뚜껑(1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체크밸브(41)를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약간 들어올림에 의해 외기가 용기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뚜껑(10)의 진공압을 해제시킴으로써 쉽게 열리게 한다.
또한, 체크밸브(41)는 저진공표시부(47)와 고진공표시부(49)를 더 포함한다.
저진공표시부(47)는 몸체부(43)의 상면으로부터 작은 반구형태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뚜껑(10)을 닫아 용기본체(5) 내부에 저진공을 형성한 경우 돌출된 반구형 부분(47a)이 내부로 빨려들어가서 함몰된 상태로 변형되므로 용기 사용자는 이를 보고서 용기 내부가 저진공 상태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용기 내부 에 진공이 해제되면 저진공표시부(47)의 빨려들어간 반구형 부분(47a)이 원상태로 돌출하여 복귀하게 된다.
고진공표시부(49)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면이 반구형으로 폐쇄된 기둥 형태로 몸체부(4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진공표시부(47)보다 작은 직경의 원기둥 형태로 돌출하여 밀폐된 용기본체(5) 내부에 고진공이 형성된 경우 그 상면의 반구형 부분(49a)이 내부로 빨려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용기본체(5) 내부에 진공이 해제되면 고진공표시부(49)의 빨려들어간 반구형 부분(49a)이 원상태로 돌출하여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의 고진공표시부(49)는 그 원기둥형태의 측벽을 두껍게 성형하여 어느 정도 단단한 상태로 제조함으로써 용기본체(5) 내부로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고자 하는 경우 체크밸브(41)를 사용자가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로 겸용할 수 있다. 한편, 저진공으로 충분하고 고진공의 필요성이 없는 용기의 경우에는 고진공표시부(49)의 내부를 완전히 메워 손잡이로만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체크밸브(41)의 몸체부(43)에는 뚜껑몸체(11)에 마련된 날짜표시부(23)의 숫자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51)가 마련되어 있다. 인디케이터(51)는 몸체부(43)의 표면을 삼각형태로 돌출하여 구성되며, 이 외에도 화살표나 점 등으로 돌출하거나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도 있다. 인디케이터(51)는 체크밸브(41)가 결합돌기(45)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체크밸브(41)의 주변의 뚜껑몸체(11)에 환형으로 돌아가면서 표기된 날짜표시부(23)의 해당 날짜를 지시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체크밸브(41)를 회전시켜 인디케이터(51)가 날짜표시부(23)의 보관일 을 지시하게 함으로써, 용기본체(5)에 보관된 음식물이 어느 정도 지났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용기본체(5) 또는 뚜껑몸체(11)의 적어도 어느 일측 부재에는 그 표면의 대응하는 양측면으로 손잡이들(미도시)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진공용기(1)를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뚜껑(10)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킹(31)을 뚜껑몸체(11)에 조립하기 위해 패킹(31)의 장착부(33)를 패킹장착홈(27)에 삽입하면, 장착부(33)가 패킹장착홈(27)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패킹장착홈(27) 내에 있던 공기가 완전히 빠져나가 진공상태로 되면서 그 압력에 의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며 삽입된다.
다음, 용기본체(5)의 내부에 내용물, 예컨대 음식물(미도시)을 넣은 상태에서 용기본체(5)의 입구부(7)에 뚜껑(10)을 덮고서 사용자가 뚜껑몸체(11)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31)의 밀착부(37)가 용기본체(5)의 입구부(7)에 접촉하며 그 외측단부가 위로 향하는 상태로 휘어지면서 뚜껑(10)이 하강하여 용기본체(5) 내의 공기는 공기출입공(19)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공기가 공기출입공(19)을 통해 배출되면서 공기 빠지는 소리를 내게 된다. 사용자는 이 소리를 듣고서 진공작동이 되고 있는지를 소리로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패킹장착홈(27)에 삽입된 패킹(31)의 장착부(33)는 리브(35)에 의해 뚜껑몸체(11)의 진공 장착시 발생하는 비틀림모멘트에도 형상 변형되지 않고 패킹장착홈(27)에 긴밀하게 밀착하며 진공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장착부(33)가 패킹장착홈(27)에 밀착 결합됨에 따라 장착부(33)와 패킹장착홈(27)의 내벽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패킹(31)에 균일하게 압력이 작용하여 패킹(31)의 진공장착력을 향상시켜 패킹(31)과 뚜껑몸체(11)의 패킹장착홈(27)과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며, 용기본체(5) 내의 진공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착부(33)와 패킹장착홈(27)의 내벽면 사이에 용기본체(5) 내의 음식물이 유입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진공장착에 의해, 패킹장착홈(27)으로부터 분리되려는 압력이 패킹(31)에 균일하게 작용할 경우에는 패킹(31)이 패킹장착홈(27)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되고, 반면에 패킹(31)의 일부위를 손으로 잡아당겨 진공상태를 해제시킨 후 패킹장착홈(27)으로부터 패킹(31)을 점차적으로 분리하면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용기본체(5)에 뚜껑(10)을 닫거나 여는 평상적인 작동에서는 패킹(31)의 전구간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여 분리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청소시와 같이 사용자가 패킹(31)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패킹(31)의 일부분을 손으로 잡아당겨 일 지점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패킹장착홈(27)으로부터 패킹(31)을 쉽게 분리한 후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뚜껑몸체(11)의 진공장착에 따라 공기출입공(19)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뚜껑몸체(11)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던 체크밸브(41)를 들어올리면서 용기본체(5)로부터 배출되고, 사용자의 누르는 작동력이 제거되면 하강된 뚜껑(10)은 패 킹(31)의 밀착부(3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약간 상승하면서 용기 내부의 공기를 팽창시켜 용기본체(5) 내를 진공화시키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41)의 저진공표시부(47)의 반구형 부분(47a)은 내부로 함몰되어 용기가 저진공상태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진공포장된 진공용기를 개방하여 음식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고진공표시부(49)를 잡고 들어올리면 체크밸브(41)의 일측이 밀착되어 있던 뚜껑몸체(11)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그 틈새로 외기가 유입되어 뚜껑몸체(11)의 공기출입공(19)을 통해 용기본체(5)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본체(5)의 진공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5)에서 뚜껑(10)이 상승하면서 뚜껑몸체(11)에 장착된 패킹(31)이 용기본체(5)의 입구부(7)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동시에, 체크밸브(41)의 저진공표시부(47)의 반구형 부분(47a)이 함몰된 상태에서 돌출하여 원상태의 돌출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10)을 들어올리면 가볍게 용기본체(5)에서 뚜껑(10)이 분리된다.
또한, 체크밸브(41)는 뚜껑몸체(11)에 마련된 밸브안착홈(13) 내에서 그 결합돌기(45)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체크밸브(41)에 인접한 뚜껑몸체(11) 표면에는 체크밸브(41)를 에워싸면서 날짜표시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크밸브(41)를 회전시켜 인디케이터(51)가 뚜껑몸체(11)에 표시된 날짜표시부(23)의 해당 날짜를 지시하게 함으로써, 용기 내의 음식물 보 관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오늘이 진공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을 보관한 지가 2일째라면, 체크밸브(41)를 회전시켜 인디케이터(51)가 뚜껑몸체(11)에 표시된 날짜표시부(23)의 2를 지시하게 함으로써 2일째라는 것을 알리고, 내일에는 3자로 체크밸브(41)의 인디케이터(51)를 돌려놓아 보관일이 3일째라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 뚜껑이 적용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진공용기 뚜껑의 진공밀폐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진공용기 뚜껑의 개방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종래의 진공용기 뚜껑이 적용된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용기본체 7 : 입구부
10 : 진공용기 뚜껑 11 : 뚜껑몸체
13 : 밸브안착홈 19 : 공기출입공
23 : 날짜표시부 27 : 패킹장착홈
31 : 패킹 33 : 장착부
35 : 리브 37 : 밀착부
41 : 체크밸브 43 : 몸체부
47 : 저진공표시부 49 : 고진공표시부
51 : 인디케이터

Claims (6)

  1.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진공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배출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공기출입공이 형성되고 테두리의 내측으로 패킹장착홈이 함몰 형성된 뚜껑몸체와;
    상기 공기출입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뚜껑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출입공을 통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체크밸브와;
    상기 패킹장착홈에 삽입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장착부를 상기 패킹장착홈에 밀착시키며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와, 상기 장착부의 하단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갖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공기출입공을 둘러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뚜껑 몸체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저진공 작동에 따라 함몰되어 저진공상태를 표시하는 저진공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고진공 작동에 따라 함몰되어 고진공상태를 표시하는 고진공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몸체에 마련되어 숫자로 표기되는 날짜표시부와.
    상기 체크밸브에 마련되어 상기 날짜표시부의 숫자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 및 상기 패킹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
KR2020080014595U 2008-10-31 2008-10-31 진공용기 뚜껑 KR201000048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95U KR20100004832U (ko) 2008-10-31 2008-10-31 진공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95U KR20100004832U (ko) 2008-10-31 2008-10-31 진공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32U true KR20100004832U (ko) 2010-05-11

Family

ID=4445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595U KR20100004832U (ko) 2008-10-31 2008-10-31 진공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83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656B1 (ko) * 2011-12-26 2012-05-21 황재일 약병용 날짜표시 뚜껑
EP2672208A3 (de) * 2012-06-08 2015-06-24 V-Zug AG Kühlgerät mit Unterdruckbehäl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656B1 (ko) * 2011-12-26 2012-05-21 황재일 약병용 날짜표시 뚜껑
EP2672208A3 (de) * 2012-06-08 2015-06-24 V-Zug AG Kühlgerät mit Unterdruckbehä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979B1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KR20080014536A (ko)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
US9731887B2 (en)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RU2502655C2 (ru) Крышка
AU2010239132B2 (en) Sealable container
WO2004041662A2 (en)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KR100548059B1 (ko) 발효식품용 밀폐용기
KR20120060568A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100004832U (ko) 진공용기 뚜껑
KR200403803Y1 (ko) 밀폐 용기
KR101625494B1 (ko) 진공 밀폐용기
KR200406683Y1 (ko) 체적 가변형 밀폐 용기
KR200484035Y1 (ko) 찬바트 전용 냉장고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내측손잡이가 구비된 밀폐형 찬바트
JP5962433B2 (ja) 加圧注出式液体容器
KR200473793Y1 (ko)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KR200403804Y1 (ko) 공기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밀폐 용기
KR20030067014A (ko) 밀폐형 식품용기
KR200350989Y1 (ko) 발효식품용 밀폐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100717155B1 (ko) 공기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밀폐 용기
KR200430222Y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 통
KR200469427Y1 (ko) 원터치형 진공수단 및 누름수단을 갖는 김치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