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174Y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174Y1
KR200340174Y1 KR20-2003-0034155U KR20030034155U KR200340174Y1 KR 200340174 Y1 KR200340174 Y1 KR 200340174Y1 KR 20030034155 U KR20030034155 U KR 20030034155U KR 200340174 Y1 KR200340174 Y1 KR 200340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id
groove
dimension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이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범 filed Critical 이종범
Priority to KR20-2003-0034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1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7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secured locally, i.e. a lot less than half the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75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694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87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805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10), 수용부(10)를 덮는 뚜껑(20), 및 수용부(10)와 뚜껑(20)을 서로 밀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10)의 상단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11)와, 상기 돌출부(11)가 끊어져 형성된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1)의 두께는 상기 결합부재(3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뚜껑의 가이드부(24)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제1 홈(36)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수용부의 돌출부(11)에 결합되기 위한 제2 홈(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홈(37)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38)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12)에 상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밀폐용기{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수용한 후 밀폐시켜 보관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식물 등을 밀폐시켜 보관하기 위한 밀폐용기로서 여러 가지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밀폐용기는 대부분, 음식물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상단 모서리에 맞닿는 뚜껑의 하부면에 탄성을 가지는 밀봉부재를 배열하고, 뚜껑의 외주에 소정 개수의 결합부재를 설치하여 이들 결합부재를 수용부에 착탈시킴으로써 수용부에 뚜껑을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밀폐용기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통상적으로 수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 뚜껑이 수용부를 향하여 최대로 가압되는 순간, 즉 밀폐효율이 최대로 되는 순간은 결합부재가 돌출부에 결합되는 도중이다. 다시 말해서, 결합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돌출부에 결합되는 과정 중에 밀폐효율이 최대로 된다. 결국, 결합부재가 돌출부에 완전히 결합되어 수용부에 대한 뚜껑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결합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돌출부에 결합된 후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었기 때문에 밀폐효율은 최대일 때에 비하여 80% 정도이다.
따라서, 종래의 밀폐용기는 밀폐효율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는 상태로 사용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밀폐용기의 수용부와 뚜껑 사이의 결합수단을 개선함에 의해 수용부에 대한 뚜껑의 결합이 완료된 순간에 있어서의 밀폐효율을 최대한 향상시켜 용기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밀폐용기에서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밀폐용기의 뚜껑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밀폐용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5a는 결합수단으로서의 돌기와 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b는 결합수단으로서의 돌기와 홈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뚜껑의 배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용부 11 : 돌출부
12 : 돌기 20, 40 : 뚜껑
24, 44 : 선회축 부재 25, 45 : 기밀부재
30 : 결합부재 37 : 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음식물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이 수용부를 덮는 뚜껑, 그리고 수용부와 뚜껑을 서로 밀폐상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로서, 상기 수용부의 각각의 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상단 외주의 돌출부에는 한 쌍씩의 결합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선회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의 내부표면에는 상기 수용부의 돌기에 탄성적으로 결합 및 이탈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수용부와 뚜껑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밀폐효율이 최대로 되기 위해서, 상기 돌기의 경우에는 돌기의 원형부를 수용부의 돌출부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로부터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c1)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한 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d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의 경우에는 상기 돌기의 경우와는 반대로 상부 및 하부 중 한 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c2)가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한 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d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또, 상기 돌기의 원형부의 한 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c1)와 상기 홈의 다른 한 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d2)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돌기의 원형부의 다른 한 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d1)와 상기 홈의 한 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c2)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며, 상기 c1(d2)의 값은 상기 d1(c2)의 값에 비하여 1.3 내지 2.7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기의 상단으로부터 홈의 하부 턱부에 이르는 거리(A)는 홈의 원형부 치수(B)에 비하여 0.83 내지 0.97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뚜껑의 외주 부분은 상기 선회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거나, 상기 뚜껑의 외주 부분은 각각의 면에 한 쌍씩 마련되어 있는 상기 선회축 부재 사이의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축 부재 사이의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선회축 부재의 말단에 결합부재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밀폐용기에서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상기 밀폐용기의 뚜껑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음식물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 이 수용부(10)를 덮는 뚜껑(20),그리고 수용부(10)와 뚜껑(20)을 서로 밀폐상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10)의 상단 외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1)는 수용부(10)의 외주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밀폐용기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4각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각각의 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외주의 돌출부(11)에는 한 쌍씩의 결합용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2)는 돌출부(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용기가 4각형상 이외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돌기가 한 쌍씩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뚜껑(20)의 외주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0)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선회축 부재(2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의 외주 근처의 하부면에는 상기 수용부(10)와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서 실리콘 재질의 기밀부재(25)가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외주 부분은 상기 선회축 부재(2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뚜껑의 선회축 부재(24)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30)의 내부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결합용 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37)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돌기(12)와 서로 상응하는 형상, 위치 및 크기를 가진다. 상기 홈(37)은 상기 수용부의 돌기(12)에 탄성적으로 결합 및 이탈될 수 있으며, 상기 홈(37)이 돌기(1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뚜껑(20)과 수용부(10) 사이의 밀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기(12)와 홈(37) 사이의 결합은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는 상기 밀폐용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5a는 결합수단으로서의 돌기와 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b는 결합수단으로서의 돌기와 홈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돌기(12)와 홈(37)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12)의 단면은 대략 원형을 가지며, 상기 홈(37)의 단면은 상기 돌기(12)의 단면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돌기(12)와 홈(37)의 결합상태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도 5a를 참조하면, 돌기의 상단으로부터 홈의 하부 턱부에 이르는 거리(A)는 홈의 원형부(37a) 치수(B)에 비하여 바람직하게는 0.83 내지 0.97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 내지 0.95배이다. A의 값이 B의 값에 비하여 0.83배 미만이면, 돌기의 원형부(12a) 치수가 홈의 연결부(37b) 치수에 비해 지나치게 작아져 돌기와 홈의 결합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A의 값이 B의 값에 비하여 0.97배를 넘으면, 돌기의 원형부(12a) 치수가 홈의 연결부(37b) 치수에 비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돌기(12)와 홈(37)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5b를 참조하면,수용부(10)와 뚜껑(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밀폐효율이 최대로 되기 위해서, 상기 돌기(12)의 경우에는 돌기의 원형부(12a)를 수용부의 돌출부(11)에 연결시키는 연결부(12b)로부터 상부쪽(도면에서 볼 때 위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c1)가, 상기 연결부(12b)로부터 하부쪽(도면에서 볼 때 아래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d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홈(37)의 경우에는 상기 돌기(12)의 경우와는 반대로 상부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c2)가 하부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d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c1과 d2, 그리고 d1과 c2는 각각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c1(d2)의 값은 d1(c2)의 값에 비하여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7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배이다. c1(d2)의 값이 d1(c2)의 값에 비하여 1.3배 미만이면, 밀폐효율의 개선효과를 거의 거둘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c1(d2)의 값이 d1(c2)의 값에 비하여 2.7배를 넘으면, 돌기와 홈의 결합이 어려워 사용자가 밀폐용기를 사용하기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다.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상기 도 1에 나타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비하여 뚜껑(40)과 결합부재(30)가 연결되는 부분에서만 차이점을 가지며 그밖의 사항은 모두 동일하다.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밀폐용기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번호를 사용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의 외주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0)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선회축 부재(4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뚜껑(40)의 외주 근처의 하부면에는 상기 수용부(10)와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서 실리콘 재질의 기밀부재(25)가 매립되어 있는 것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의 외주 부분은 각각의 면에 한 쌍씩 마련되어 있는 상기 선회축 부재(44) 사이의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된다는 점과, 상기 선회축 부재(44)의 말단에 결합부재(3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 단턱부(44a)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본 고안의 밀폐용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 원형, 반원형 혹은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밀폐용기의 수용부와 뚜껑 사이의 결합수단을 개선함에 의해 수용부에 대한 뚜껑의 결합이 완료된 순간에 있어서의 밀폐효율을 최대한 향상시켜 용기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음식물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 이 수용부(10)를 덮는 뚜껑(20, 40), 그리고 수용부(10)와 뚜껑(20, 40)을 서로 밀폐상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로서,
    상기 수용부(10)의 각각의 면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상단 외주의 돌출부(11)에는 한 쌍씩의 결합용 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0, 40)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선회축 부재(24, 44)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0)의 내부표면에는 상기 수용부의 돌기(12)에 탄성적으로 결합 및 이탈될 수 있는 홈(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수용부(10)와 뚜껑(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밀폐효율이 최대로 되기 위해서, 상기 돌기(12)의 경우에는 돌기의 원형부(12a)를 수용부의 돌출부(11)에 연결시키는 연결부(12b)로부터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c1)가, 상기 연결부(12b)로부터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한 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d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37)의 경우에는 상기 돌기(12)의 경우와는 반대로 상부 및 하부 중 한 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c2)가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한 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d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원형부(12a)의 한 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c1)와 상기 홈의 다른 한 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d2)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돌기의 원형부(12a)의 다른 한 쪽으로 볼록한 부분의 치수(d1)와 상기 홈의 한 쪽으로 오목한 부분의 치수(c2)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며,
    상기 c1(d2)의 값은 상기 d1(c2)의 값에 비하여 1.3 내지 2.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돌기의 상단으로부터 홈의 하부 턱부에 이르는 거리(A)는 홈의 원형부(37a) 치수(B)에 비하여 0.83 내지 0.9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외주 부분은 상기 선회축 부재(24)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거나,
    상기 뚜껑(40)의 외주 부분은 각각의 면에 한 쌍씩 마련되어 있는 상기 선회축 부재(44) 사이의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축 부재(44) 사이의 부분이 절취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선회축 부재(44)의 말단에 결합부재(3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 단턱부(44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20-2003-0034155U 2003-10-31 2003-10-31 밀폐용기 KR200340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55U KR200340174Y1 (ko) 2003-10-31 2003-10-31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55U KR200340174Y1 (ko) 2003-10-31 2003-10-31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174Y1 true KR200340174Y1 (ko) 2004-01-31

Family

ID=4942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155U KR200340174Y1 (ko) 2003-10-31 2003-10-31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1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05B1 (ko) 2005-12-01 2006-12-27 하나코비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05B1 (ko) 2005-12-01 2006-12-27 하나코비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0174Y1 (ko) 밀폐용기
JP4184066B2 (ja) 部材間の密着構造
EP2666731A2 (en) Handle assembly for an airtight container
JP3579085B2 (ja) 気密化粧料容器
KR200328708Y1 (ko) 밀폐용기
KR100424740B1 (ko) 뚜껑이 달린 용기
US5497898A (en) Container/closure assembly
KR200197515Y1 (ko) 용기
KR200340188Y1 (ko) 음식물 보관용기
JP5236891B2 (ja) 鏡餅容器
JPH033485Y2 (ko)
KR200217938Y1 (ko) 원터치 용기 캡
KR200263639Y1 (ko) 밀폐 뚜껑
JP5114619B1 (ja) プルトップ缶
KR200261828Y1 (ko) 밀폐용기용 뚜껑
CN114466801B (zh) 密闭容器
KR200236868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101962038B1 (ko) 용기 뚜껑 및 용기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 조립체
KR200406687Y1 (ko) 밀폐용기
KR102221829B1 (ko) 밀폐용기 커버
KR20080000506U (ko) 밀폐용기 결합구조
KR200157194Y1 (ko) 용기용 뚜껑
KR200207088Y1 (ko) 음식물용 밀폐용기
KR200248975Y1 (ko) 밀폐용기
KR200221661Y1 (ko) 식품용기뚜껑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