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708Y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708Y1
KR200328708Y1 KR20-2003-0019388U KR20030019388U KR200328708Y1 KR 200328708 Y1 KR200328708 Y1 KR 200328708Y1 KR 20030019388 U KR20030019388 U KR 20030019388U KR 200328708 Y1 KR200328708 Y1 KR 200328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li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이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범 filed Critical 이종범
Priority to KR20-2003-0019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10), 수용부(10)를 덮는 뚜껑(20), 및 수용부(10)와 뚜껑(20)을 서로 밀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10)의 상단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11)와, 상기 돌출부(11)가 끊어져 형성된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1)의 두께는 상기 결합부재(3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뚜껑의 가이드부(24)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제1 홈(36)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수용부의 돌출부(11)에 결합되기 위한 제2 홈(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홈(37)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38)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12)에 상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밀폐용기{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수용한 후 밀폐시켜 보관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뚜껑의 착탈이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식물 등을 밀폐시켜 보관하기 위한 밀폐용기로서 여러 가지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밀폐용기는 대부분, 음식물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상단 모서리에 맞닿는 뚜껑의 하부면에 탄성을 가지는 밀봉부재를 배열하고, 뚜껑의 외주에 소정 개수의 결합부재를 설치하여 이들 결합부재를 수용부에 착탈시킴으로써 수용부에 뚜껑을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밀폐용기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통상적으로 수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 뚜껑이 수용부를 향하여 최대로 가압되는 순간, 즉 밀폐효율이 최대로 되는 순간은 결합부재가 돌출부에 결합되는 도중이다. 다시 말해서, 결합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돌출부에 결합되는 과정 중에 밀폐효율이 최대로 된다. 결국, 결합부재가 돌출부에 완전히 결합되어 수용부에 대한 뚜껑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결합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돌출부에 결합된 후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었기 때문에 밀폐효율은 최대일 때에 비하여 80% 정도이다.
따라서, 종래의 밀폐용기는 밀폐효율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는 상태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결합부재를 돌출부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힘이 많이 들고 파손의 우려가 있어 사용이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의 결합부재를 밀폐용기의 외주에 형성된 경사진 돌출부를 따라서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용기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뚜껑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밀폐용기에서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밀폐용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용부 11 : 돌출부
12 : 개구부 13 : 연장부
20 : 뚜껑 24 : 가이드부
25 : 기밀부재 30 : 결합부재
36 : 제1 홈 37 : 제2 홈
38 : 돌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음식물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이 수용부를 덮는 뚜껑, 그리고 수용부와 뚜껑을 서로 밀폐상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끊어져 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결합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슬라이딩시키면 뚜껑은 더욱 더 수용부를 향하여 밀착되며, 상기 뚜껑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뚜껑의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제1 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수용부의 돌출부에 결합되기 위한 제2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홈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에 상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결합부재를 뚜껑의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결합부재의 돌기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를 서로 정렬시켰을 때에만 수용부로부터 뚜껑을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슬라이딩되어 수용부와 뚜껑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켰을 때나, 수용부와 뚜껑 사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재가 그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고 멈춰질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돌출부의 소정 위치, 혹은 상기 뚜껑의 가이드부의 소정 위치에 스토퍼로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돌출부와 연장부에 의해서 형성된 ㄱ자형 단면형상은 상기 결합부재가 슬라이딩되는 범위까지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 부분은 막혀 있게끔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뚜껑의 외주 하부면에는 상기 수용부와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서 실리콘 재질의 기밀부재가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밀폐용기의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밀폐용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음식물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 이 수용부(10)를 덮는 뚜껑(20), 그리고 수용부(10)와 뚜껑(20)을 서로 밀폐상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10)의 상단 외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돌출부(11)는 중간 중간이 끊어져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렇게 끊어져 있는 개구부(12)를 통하여 상기 결합부재(30)가 삽입된다.
상기 돌출부(11)의 선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돌출부(11)의 두께는 상기 결합부재(3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30)를 슬라이딩시키면, 뚜껑(20)은 더욱 더 수용부(10)를 향하여 밀착되게 된다.
상기 뚜껑(20)의 외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의 두께가 외측의 두께보다 얇은 단면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뚜껑(20)의 외주 하부면에는 상기 수용부(10)와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서 실리콘 재질의 기밀부재(25)가 매립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뚜껑의 가이드부(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0)는 상부에 제1 홈(36)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 홈(37)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홈(36)은 상기 결합부재(30)가 뚜껑의 가이드부(24)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홈(37)은 상기 결합부재(30)가 수용부의 돌출부(11)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홈(37)의 하부에 ㄴ자 단면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38)는 결합부재(3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수용부의돌출부(11)가 끊어져 형성된 개구부(12)에 상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를 뚜껑의 가이드부(24)를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결합부재의 돌기(38)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12)를 서로 정렬시켰을 때에만 수용부(10)로부터 뚜껑(20)을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부(10)에 뚜껑(20)을 결합시켜 밀폐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결합부재(30)를 이동시켜 수용부의 개구부(12)와 정렬시킨 다음, 수용부(10)에 뚜껑(20)을 씌우고, 상기 결합부재(30)를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켜 수용부(10)와 뚜껑(20)을 밀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의 돌출부(11) 두께는 상기 결합부재(3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재(30)를 이동시키면 뚜껑(20)은 더욱 더 수용부(10)를 향하여 밀착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밀폐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형, 원형, 반원형 혹은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의 밀폐용기는 상기 결합부재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직선 혹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하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되어 수용부(10)와 뚜껑(20)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켰을 때나, 수용부(10)와 뚜껑(20) 사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재(30)가 그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고 멈춰질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연장부(13)의 소정 위치, 혹은 상기 뚜껑의 가이드부(24)의 소정 위치에 스토퍼로서의 돌기(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돌기(14)를 형성하는 대신에, 상기 돌기(14)가 형성될 위치, 즉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되는 범위까지만 돌출부(11)와 연장부(13)에 의해서 형성된 ㄱ자형 단면형상을 유지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막혀 있게끔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상기 결합부재(30)는 돌출부(11)와 연장부(13)에 의해서 ㄱ자형 단면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만 슬라이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개의 결합부재를 밀폐용기의 외주에 형성된 경사진 돌출부를 따라서 슬라이딩시킴에 의해 용기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뚜껑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음식물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0), 이 수용부(10)를 덮는 뚜껑(20), 그리고 수용부(10)와 뚜껑(20)을 서로 밀폐상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의 상단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11)와, 상기 돌출부(11)가 끊어져 형성된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1)의 두께는 상기 결합부재(3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30)를 슬라이딩시키면 뚜껑(20)은 더욱 더 수용부(10)를 향하여 밀착되며,
    상기 뚜껑(20)의 외주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0)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뚜껑의 가이드부(24)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제1 홈(36)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30)가 수용부의 돌출부(11)에 결합되기 위한 제2 홈(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홈(37)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38)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12)에 상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결합부재(30)를 뚜껑의 가이드부(24)를 따라서 이동시켜 상기 결합부재의 돌기(38)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12)를 서로 정렬시켰을 때에만 수용부(10)로부터 뚜껑(20)을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되어 수용부(10)와 뚜껑(20)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켰을 때나, 수용부(10)와 뚜껑(20) 사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재(30)가 그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고 멈춰질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돌출부(11)의 소정 위치, 혹은 상기 뚜껑의 가이드부(24)의 소정 위치에 스토퍼로서의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11)와 연장부(13)에 의해서 형성된 ㄱ자형 단면형상은 상기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되는 범위까지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 부분은 막혀 있게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외주 하부면에는 상기 수용부(10)와 접촉되는 부분을 따라서 실리콘 재질의 기밀부재(25)가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20-2003-0019388U 2003-06-19 2003-06-19 밀폐용기 KR200328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388U KR200328708Y1 (ko) 2003-06-19 2003-06-19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388U KR200328708Y1 (ko) 2003-06-19 2003-06-19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708Y1 true KR200328708Y1 (ko) 2003-10-04

Family

ID=4933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388U KR200328708Y1 (ko) 2003-06-19 2003-06-19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7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45U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미도화학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245U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미도화학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KR200489536Y1 (ko) 2017-05-10 2019-07-03 주식회사 미도화학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2480B1 (en) Cap element for a beverage can
JP2002306234A (ja) 気密容器
KR101396617B1 (ko) 캔 덮개의 4중 밀폐구조
KR200328708Y1 (ko) 밀폐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340174Y1 (ko) 밀폐용기
KR100424740B1 (ko) 뚜껑이 달린 용기
KR20150003532U (ko) 기울이면 자동으로 개방이 되는 물병
KR20140002515U (ko) 밀폐뚜껑
JPS624521Y2 (ko)
KR100575259B1 (ko) 원터치식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KR200394215Y1 (ko) 강력 접착제 보관용기
KR200261828Y1 (ko) 밀폐용기용 뚜껑
JP5900870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961112B1 (ko)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JPH033485Y2 (ko)
KR200217938Y1 (ko) 원터치 용기 캡
KR200197515Y1 (ko) 용기
KR101738011B1 (ko) 노출형 패킹이 구비된 밀폐용기
KR200248975Y1 (ko) 밀폐용기
KR200311105Y1 (ko) 밀폐용기용 뚜껑
JP5114619B1 (ja) プルトップ缶
KR200236969Y1 (ko) 식품용기 뚜껑
KR20140122984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200301586Y1 (ko) 액체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