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36Y1 -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 Google Patents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36Y1
KR200489536Y1 KR2020170002285U KR20170002285U KR200489536Y1 KR 200489536 Y1 KR200489536 Y1 KR 200489536Y1 KR 2020170002285 U KR2020170002285 U KR 2020170002285U KR 20170002285 U KR20170002285 U KR 20170002285U KR 200489536 Y1 KR200489536 Y1 KR 200489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nection unit
trash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245U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to KR2020170002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3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5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3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local co-operating elements, e.g. projections an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07Lids or covers with fill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08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connec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24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stack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외측 하면에 홈이 형성된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고, 둘레의 일부에 도어가 형성되고, 외측 상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용기, 상기 하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고, 한 쌍으로 구비될 경우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외측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일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2연결부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A TRASH BIN HAVING A CONNECTION UNIT}
본 고안은 휴지 또는 음식물을 포함한 못쓰는 쓰레기를 버리는 휴지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휴지통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지통은 통상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생활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하여 임시로 모아두는 통으로, 위생, 편의성, 미적 외관 등을 고려하여 개발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최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의 대두로 인해 쓰레기 분리수거가 장려되고 있다.
쓰레기 분리수거는 재활용 쓰레기와 일반 쓰레기를 분리 배출하는 것으로, 같은 종류의 재활용 쓰레기는 한 곳으로 모으고, 일반 쓰레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복수의 휴지통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종류별로 분리수거가 가능하게 설치한 곳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휴지통은 분리수거를 하는 과정에서 삐뚤어지거나 넘어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휴지통이라는 고유특성상 사용자가 휴지통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분리수거는 휴지통에 버릴 수 있는 분리대상을 표시하여 복수개를 배열하는게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분리수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휴지통이 돌아가거나 본래의 자리에서 이탈하게 되면 분리수거를 하는 사용자는 휴지통이 제자리에서 이탈하거나 회전하게 되어 휴지통에 투입해야하는 분리대상을 명확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주변이나 분리대상 휴지통이 아닌 휴지통에 투입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복수개의 휴지통을 배치하면서 휴지통의 배열에 따른 공간의 활용이 불편하여 분리되는 개수를 제한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일부에서는 휴지통을 바닥에 고정하기도 하지만, 고정을 위해서는 땅에 매립, 매설을 해야해서 휴지통을 위해 발생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고안으로서, 복수의 휴지통을 정돈하여 배치할 수 있는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복수의 휴지통을 상하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하여, 복수의 휴지통을 연결유닛을 통해 나란히 연결시키고, 상하 적층도 가능하여 분리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지통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외측 하면에 홈이 형성된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고, 둘레의 일부에 도어가 형성되고, 외측 상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용기, 상기 하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고, 한 쌍으로 구비될 경우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외측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일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측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며 일부가 상기 상부용기를 향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상부용기의 둘레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연결유닛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되, 일부가 상측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의 너비에 대응되며,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결합부분 사이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기 상부용기는 기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핸들은,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용기 내부로 매립된 경우,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상기 핸들의 상면이 동일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은, 상기 돌출부에 일부가 매립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핸들이 매립된 경우 상부로 노출된 일부가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동일평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고정시키는 연결유닛을 통해 복수의 휴지통을 서로 나란히 배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부용기의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용기의 하면에 홈이 형성되어 복수의 휴지통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어서 공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에서 하부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에서 상부용기 상부에 핸들 및 핸들 삽입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에서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이 복수로 구비되어 연결유닛에 의해 서로 나란히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이 복수가 상하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에서 핸들의 상부용기에 힌지결합되어 핸들 삽입홈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4를 통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에서 하부용기(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에서 상부용기(200) 상부에 핸들(260) 및 핸들삽입홈(262)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에서 제1연결부(320) 및 제2연결부(340)를 포함하는 연결유닛(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지통(10)은 크게 하부용기(100), 상부용기(200) 및 연결유닛(30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용기(100)는 하면이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부용기(200)의 상면과 결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부용기(200)의 상면에는 홈에 대응되는 단턱형태의 돌출부(240)가 형성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부용기(200)는 하부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상부에 결합되며, 둘레를 따라 일부에 도어(2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용기(200) 및 하부용기(100)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100)는 일면에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삼면은 바닥과 직각으로 형성된다.
하부용기(100)는 상부용기(200)의 상면과 결합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부용기(200)의 상면과 하부용기(100)의 하면의 둘레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어(220)는 미닫이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쓰레기와 같은 대상물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220)는 상부용기(200)와 힌지(미도시)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에 스프링이 형성되어 도어(220)가 내부를 향해 회동 되었다가 처음 위치로 돌아오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말하는 처음 위치는 상부용기(200)에서 도어(220)가 형성된 일면과 동일평면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계속해서 상부용기(200)의 상면에는 핸들(26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26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용기(200)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부용기(200)의 상면에 하부용기(100)가 결합될 시, 핸들(260)은 상부용기(200)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상부용기(200)의 상면과 핸들(260)의 상면이 동일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부용기(200)와 하부용기(100)는 연결유닛(300)에 의해 결합된다.
연결유닛(300)은 상부용기(200)와 하부용기(100)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하여 상부용기(200)와 하부용기(10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부용기(200)의 하부 둘레는 하부용기(100)의 상측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된 결합부분에 연결유닛(300)이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유닛(300)은 상부용기(200)의 둘레의 일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상부용기(200)가 하부용기(100)에 결합된 후 연결유닛(300)이 힌지를 중심으로 하부용기(100)의 상측 둘레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시킨다.
따라서 하부용기(100)의 상측 둘레에 끼움결합되는 연결유닛(300)의 일부는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용기(100)의 상측 둘레의 내측으로 끼움결합된다.
계속해서 연결유닛(300)은 상부용기(200)에 힌지 결합된 상측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며 일부가 상부용기(200)의 둘레를 향해 절곡되어 고리부(360)를 형성한다.
고리부(360)는 일부가 상기 상부용기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이 상기 상부용기의 외측면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고리부(360)가 연결유닛(30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된 양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용기(200)와 하부용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수거를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쓰레기보통를 잠시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봉투 또는 백 등과 같은 사용자의 소지품을 걸어놓을 수 있게 된다.
연결유닛(300)은 제1연결부(320)와 제2연결부(340)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320)는 외측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322)가 형성되고, 제2연결부(340)는 결합돌기(322)가 삽입되도록 일부에 결합홈(34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320)의 결합돌기(322)는 외측을 향해 소정 돌출되어 상부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연결부(340)의 결합홈(343)은 결합돌기(322)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322)는 끝단부는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홈(343)에 끼움결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결합돌기(322)의 끝단부는 결합홈(343)보다 소정 크게 형성되되, 삽입이 되면서 끼움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연결유닛(300)은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여기서 말하는 탄성소재란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엘라스토머는 외력을 가하여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성질을 지닌 고분자로서, 연결유닛(300)의 재질로는 가황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외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탄성 섬유, 발포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유닛(300)의 재질은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온에서 탄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휴지통(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휴지통(10)의 둘레를 따라 제1연결부(320)와 제2연결부(340)가 도어(220)를 중심으로 양측 결합부분에 결합되는 것이 마땅하다.
이처럼 연결유닛(300)을 통해 복수의 휴지통(10)은 나란히 연결될 수 있으며 일렬로 가지런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복수의 휴지통(10)이 결합되면 분리수거의 용도에 따라 서로 나란히 연결시켜서 사용자가 휴지통(10)을 이용하면서 휴지통(1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청결감을 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은 도어(220)가 형성된 일면을 기준으로 상부용기(200)의 양측에 하단 일부에 연결유닛(300)이 힌지로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유닛(300)은 결합돌기(322)가 형성된 제1연결부(320) 및 결합홈(343)이 형성된 제2연결부(340)가 힌지로 결합되어 상부용기(200)가 하부용기(100)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경우, 상부용기(200)와 하부용기(100)를 결합시키도록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제1연결부(320)와 제2연결부(340)는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1연결부(320)의 결합돌기(322)가 제2연결부(340)의 결합홈(343)에 삽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복수의 휴지통(10)이 연결유닛(300)에 의해 서로 일렬로 배치가 가능하다.
연결유닛(300)이 끼움결합되는 부분은 하부용기(100)의 상측 둘레의 하부이며, 연결유닛(300)의 고리부(360)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봉투 같은 별로의 분리수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부용기(200) 및 하부용기(100)의 형상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부용기(200)는 상부를 향해 둘레가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용기(100)는 일면이 하부를 향해 둘레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상부용기(200)의 돌출부(240)가 상부로 소정 돌출되고, 하부용기(100)의 하면에 상기 홈이 형성되어 복수의 휴지통(10)을 상하로 적층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부용기(200)의 상면에 구비되는 핸들(260)은 상부용기(200)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용기(200)의 상면에 돌출부(240)의 중심에는 핸들(260)이 삽입가능하게 핸들삽입홈(262)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삽입홈(262)은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 핸들(260)의 형상에 대응하여 핸들(260)이 휴지통(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용기(200) 내부를 향해 삽입될 경우, 돌출부(240)의 상면과 핸들(260)의 상면이 동일평면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들삽입홈(262)은 상부용기(200) 내부로 이동된 핸들(260)을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게 '+'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부용기(200)의 하측 둘레에 힌지 결합되어 연결유닛(300)은, 하부용기(100)의 상측둘레에 상부용기(200)의 하측둘레가 감싸는 형태로 삽입된 결합부분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부분을 고정시킨다.
연결유닛(300)이 결합부분을 결속시켰을 경우, 고리부(360)가 상부를 향해 돌출되면서 단부가 상부용기(200)의 둘레를 향해 소정 절곡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고리부(360)의 상기 단부는 상부용기(200)와 이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지통(10)에 담기는 상기 대상물을 제외하고 임시적으로 플라스틱 봉투 등을 이용하여 분리수거를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대상물을 휴지통(10) 내부로 삽입시키면서 소지품을 걸어둘 수 있다.
또한 고리부(360)는 상부용기(200)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는데, 이때 상부로 회전된 연결유닛(300)이 하부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리부(360)의 일부가 상부용기(200)의 둘레에 끼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된 연결유닛(300)이 다시 외력없이 하부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았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이 복수로구비되어 연결유닛(300)에 의해 서로 나란히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이 복수가 상하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300)이 구비된 휴지통(10)에서 핸들(260)의 상부용기(200)에 힌지결합되어 핸들삽입홈(262)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휴지통(10)이 형성된다.
이하 도면에서 왼쪽을 제1휴지통(10A), 오른쪽을 제2휴지통(10B)이라고 설명하겠다.
제1휴지통(10A)과 제2휴지통(10B)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특히 연결유닛(300)이 형성된 위치도 서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연결유닛(300)이 결합부분 중 일측에 제1연결부(320)가, 이에 대향하는 타측에 제2연결부(340)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도면을 바라봤을 때, 왼쪽에 있는 제1휴지통(10A)의 왼쪽에 제1연결부(320)가 형성되고 오른쪽에 제2연결부(3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연결유닛(300)의 배치는 제2휴지통(10B)도 동일하다.
따라서 제1휴지통(10A)과 제2휴지통(10B)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었을 경우, 제1휴지통(10A)의 제2연결부(340)와 제2휴지통(10B)의 제1연결부(320)가 서로 연결이 가능하다.
이는 제1연결부(320)의 결합돌기(322)가 제2연결부(340)의 결합홈(343)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복수의 휴지통(10)이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물을 분리하는 용도에 따라 휴지통(10)의 개수를 늘려서 나란히 정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뿐 아니라, 복수의 휴지통(10)은 상하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에 제2휴지통(10B)이 형성되고, 제1휴지통(10A)이 제2휴지통(10B) 상부에 적층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용기(200)에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하부용기(100)의 하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서로 적층된 휴지통(10)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며, 선택적으로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휴지통(10)을 볼트 결합 이나 끼움 결합 등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연결유닛(300) 및 돌출부(240)와 홈의 형상으로 본 고안의 휴지통(10)은 복수를 서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하로 적층도 가능하여 상기 대상물의 분류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이탈되지 않고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을 분류하는데 정렬된 형상으로 인한 상기 대상물 분리에 대한 의지를 갖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복수의 휴지통(10)을 상하 적층 및 측방으로 배열함에 있어서,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를 고정시키는 연결유닛을 이용하여 서로 나란히 배열하는 이중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상하방향 측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어서 공간을 활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제2핸들(260A)은 돌출부(240)에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용기(200) 내부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핸들(260A)이 힌지를 중심으로 매립될 수 있는 제2핸들삽입홈(262A)이 제2핸들(260A)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매립된 제2핸들(260A)에서 상부로 노출된 일면은 돌출부(240) 상면과 동일평면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복수의 휴지통(10)을 적층형태로 배치될 경우, 제2핸들(260A)을 제2핸들삽입홈(262A)에 매립시켜서 상하방향으로 휴지통(10)을 적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휴지통
100: 하부용기
200: 상부용기
220: 도어
240: 돌출부
260: 핸들
262: 핸들삽입홈
300: 연결유닛
320: 제1연결부
322: 결합돌기
340: 제2연결부
343: 결합홈
360: 고리부
A: 결합부분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외측 하면에 홈이 형성된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고, 둘레의 일부에 도어가 형성되고, 외측 상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부용기;
    상기 하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가 결합되는 결합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고, 한 쌍으로 구비될 경우 서로 연결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유닛은,
    외측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일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일부가 상기 상부용기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이 상기 상부용기의 외측면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고리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온에서 탄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구성되되 착탈 가능하게 상부용기의 둘레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연결유닛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되, 일부가 상측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의 너비에 대응되며,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결합부분 사이 공간과 연통되는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용기 내부로 매립된 경우,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상기 핸들의 상면이 동일평면으로 형성되는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돌출부에 일부가 매립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핸들이 매립된 경우 상부로 노출된 일부가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동일평면으로 형성되는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KR2020170002285U 2017-05-10 2017-05-10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KR200489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85U KR200489536Y1 (ko) 2017-05-10 2017-05-10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85U KR200489536Y1 (ko) 2017-05-10 2017-05-10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45U KR20180003245U (ko) 2018-11-20
KR200489536Y1 true KR200489536Y1 (ko) 2019-07-03

Family

ID=6455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85U KR200489536Y1 (ko) 2017-05-10 2017-05-10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3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524B2 (ja) 1989-08-07 2000-11-06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ホワイトウェアセラミック製品の製造方法
KR200328708Y1 (ko) 2003-06-19 2003-10-04 이종범 밀폐용기
KR100779058B1 (ko) * 2006-12-11 2007-11-27 나형순 적층식 쓰레기통
CN202575141U (zh) * 2012-04-10 2012-12-05 邱锦辉 可叠垃圾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01A (ja) * 1992-06-25 1994-01-18 Misawa Homes Co Ltd 簡易ゴミ箱用連結部材
KR0114472Y1 (ko) * 1995-08-31 1998-04-16 이영철 가정용 쓰레기통 세트
JP3105524U (ja) * 2004-05-27 2004-11-18 行男 近藤 10l用ゴミ袋用ゴミ箱
KR20140005944U (ko) * 2013-05-16 2014-11-26 김성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524B2 (ja) 1989-08-07 2000-11-06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ホワイトウェアセラミック製品の製造方法
KR200328708Y1 (ko) 2003-06-19 2003-10-04 이종범 밀폐용기
KR100779058B1 (ko) * 2006-12-11 2007-11-27 나형순 적층식 쓰레기통
CN202575141U (zh) * 2012-04-10 2012-12-05 邱锦辉 可叠垃圾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45U (ko)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833B2 (en) Lawn bag apparatus
US9150351B2 (en) Storage container
US4695020A (en) Apparatus for holding disposable bags
US6209596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 flexible bag
US9051119B2 (en) Bag retention system and field configurable waste and recycling receptacles and systems employing same
US5058763A (en) Waste separation apparatus
US20130233874A1 (en) Container with multiple covers
US10618682B2 (en) Versatile trash bag
US4978018A (en) Trash container and bag liner sorter
KR200489536Y1 (ko) 연결유닛이 구비된 휴지통
US5269435A (en) Garbage pail
JP2006327751A (ja) 分別式ごみ箱
US10822144B2 (en) Versatile trash bag
US4667911A (en) Device for supporting a trash receptacle
KR101558972B1 (ko) 봉투고정장치
KR101813990B1 (ko) 쓰레기봉투 고정형 쓰레기통
US20070102430A1 (en) Self closing bag hanger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452636Y1 (ko) 조립식 쓰레기통
KR100779058B1 (ko) 적층식 쓰레기통
US10207864B2 (en) Waste bin liners and methods of use
CA2302043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 flexible bag
JP2018012585A (ja) 合成樹脂製袋体の収納容器及び合成樹脂製ごみ袋体の収納容器
KR200493819Y1 (ko) 접이식 쓰레기통
US20230143316A1 (en) Wast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