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740B1 - 뚜껑이 달린 용기 - Google Patents

뚜껑이 달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740B1
KR100424740B1 KR10-2001-0079225A KR20010079225A KR100424740B1 KR 100424740 B1 KR100424740 B1 KR 100424740B1 KR 20010079225 A KR20010079225 A KR 20010079225A KR 100424740 B1 KR100424740 B1 KR 10042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region
edge regio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005A (ko
Inventor
가와시마하루오
후카사와순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바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바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바타
Publication of KR2002004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뚜껑이 달린 용기(1)는 탄성의 연질 재료로 구성된 용기(2)와 탄성이지만 경질의 재료로 구성된 뚜껑(2)을 포함하며, 이 용기와 뚜껑은 모두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용기(2)의 개구부의 외주의 연부 영역(11)은 그 내측에 한 쌍의 원호형 제1 단부 영역(12)을 따라 연장하는 내측 리브(31)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3)의 한 쌍의 원호형 제2 단부 영역(22) 상에는 외측 리브(24)와 하부의 외주 영역(26)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은 뚜껑(3)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그 바닥면은 그 상부면 보다 약간 벌어져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이 내측 리브(31)에 스냅식으로 끼워지게 된다. 원호형 제1 단부 영역(12) 부근의 용기(2)의 폭을 감소시키도록 한 쌍의 원호형 제1 단부 영역(12)에 인접하는 제1 중간 영역(13)을 외측 리브(24)와 함께 압박함으로써, 용기(2)의 뚜껑을 용기(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뚜껑이 달린 용기{LIDDED CONTAINER}
본 발명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형이고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뚜껑이 달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1985-90145A호에는 사발(bowl)에 스냅식으로 끼워(snap-fit)지도록 하여 사발을 밀폐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사발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원형 뚜껑의 외주 연부 상에는 그 뚜껑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스냅식으로 끼워진 뚜껑을 사발로부터 개봉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손잡이를 붙들고 나머지 한 손으로 사발을 붙들어야 한다.
이러한 공지의 뚜껑이 달린 사발을 취급할 경우, 뚜껑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손잡이는 사발의 취급에 있어서 방해될 수 있다. 예컨대, 사발을 냉장고에 넣을 때, 사발의 손잡이가 냉장고의 내벽이나 다른 물건에 접촉하여 냉장고에 넣기 곤란할 수 있으며, 심지어 사발을 냉장고에 간신히 넣을 수 있을 경우 손잡이에 해당하는 부피만큼 추가의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에 스냅식으로 끼워진 뚜껑을 열기 위해 전술한 손잡이 혹은 핸들이 없는 뚜껑이 달린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뚜껑이 달린 용기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용기는 용기와 뚜껑을 포함하며, 이 뚜껑은 용기의 개구부를 에워싸는 외주의 연부 영역의 내측에 스냅식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상기 용기는 뚜껑보다 더 신축성이 있는 탄성이고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수평면에 서로 직각인 제1의 장축과 제2의 단축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축들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타원 형상을 지니며, 개구부를 에워싸는 외주의 연부 영역은 제1의 장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원호형 제1 단부 영역과, 제1 단부 영역 사이에서 제1의 장축 양측 상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원호형 제1 단부 영역 각각은 그 내면에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하고 외주의 연부 영역을 따라 연장하는 내측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리브는 용기의 수직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정점과, 용기의 외측을 향해 내측에서부터 벌어지도록 정점으로부터 연장하는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중간 영역은 매끄럽게 형성된 표면을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고 제1의 장축이 그 사이를 연장하게 되는 제1 중간 영역들의 내면 사이에서 뚜껑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의 폭뿐만 아니라 제1 장축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뚜껑은 용기 보다 신축성이 더 낮은 탄성이지만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수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제2의 장축 및 제2의 단축을 구비하며, 뚜껑은 용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타원형의 형성을 제공하고 또 제2의 장축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원호형 제2 단부 영역과, 원호형 제2 단부 영역 사이에서 제2의 장축의 양측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원호형 제2 단부 영역과 제2 중간 영역은 외측 리브를 용기의 개구부의 외주 연부 영역의 상연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뚜껑의 외측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원호형 제2 단부 영역과 제2 중간 영역은 외측 리브 아래에 놓인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으로 추가로 형성되어 위에서부터 용기의 개구부의 외주 연부 영역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호형 제2 단부 영역을 따라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의 외면은 뚜껑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방향으로 연장하며, 뚜껑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놓인 상기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의 일부는 뚜껑이 용기 상에 배치될 때 용기의 내측 리브의 상부면에 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의 중간 영역을 따라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의 외면은 용기의 제1 중간 영역의 내면을 따르도록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뚜껑이 달린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뚜껑을 들어올렸을 때를 도시한 도 1과 유사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Ⅲ-Ⅲ 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선 Ⅳ-Ⅳ 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선 Ⅴ-Ⅴ 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용기 바로 위에 위치한 뚜껑과 그 용기를 도시한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용기 바로 위에 위치한 뚜껑과 그 용기를 도시한 도 4와 유사한 단면도이며,
도 8은 용기 바로 위에 위치한 뚜껑과 그 용기를 도시한 도 5와 유사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뚜껑이 달린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경 케이스(뚜껑이 달린 용기)
2 : 용기
3 : 뚜껑
5 : 훅
6 : 장축
7 : 단축
9 : 개구부
11 : 외주의 연부 영역
12 : 제1 단부 영역
13 : 제1 중간 영역
22 : 제2 단부 영역
23 : 제2 중간 영역
24 : 외측 리브
26 : 하부 외주의 연부 영역
31 : 내측 리브
32 : 정점
33 : 상부 경사면
34 : 하부 경사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달린 용기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안경 케이스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뚜껑(3)을 용기(2)에 스냅식으로 끼워 닫혀 있는 안경 케이스(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뚜껑(3)을 용기(2)로부터 들어 올려 열려 있는 안경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안경 케이스(1)는 예컨대 수영 혹은 다이빙 고글을 담기에 적합하고 또 쇼케이스에 걸어두기에 적합하다. 이 안경 케이스(1)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의 용기(2)와, 이 용기(2)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합치되는 형상을 갖는 뚜껑(3)을 포함한다. 용기(2)와 뚜껑(3) 양자는 안경 케이스(1)의 폭과 길이 각각을 교차하도록 수평면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장축(6)과 단축(7)을 구비한다. 상기 용기(2)는 장축(6) 방향으로 연장하는 훅(5)을 구비하며, 이 훅(5)만 제외하고 용기(2)와 뚜껑(3)은 모두 단축(7)뿐만 아니라 장축(6)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따라서, 용기(2)와 뚜껑(3) 양자는 단축(7)뿐만 아니라 장축(6)에 대해 서로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상기 훅(5)의 용도는 안경 케이스(1)를 매달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매달기가 필요하지 않으면 훅(5)을 생략해도 좋다.
용기(2)는 바닥(8)과, 외주의 연부 영역(11)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부(9)를구비하며, 상기 영역(11)은 장축(6)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한 쌍의 원호형 제1 단부 영역(12)과, 이 제1 단부 영역(12) 사이에서 장축(6)의 양측 상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중간 영역(13)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단부 영역(12)을 따라 상기 외주의 연부 영역(11)은 평평한 상연부(14)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1 중간 영역(13)을 따라 외주의 연부 영역(11)의 상연부(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영역(12) 근처에서 하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제1 영역(16)과, 이들 제1 영역(16, 16)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제2 영역(17)을 구비한다. 외주의 연부 영역(11)은 그 내면에 형성된 홈부(15)를 구비한다. 이러한 형상의 용기(2)는 뚜껑(3) 보다 더 신축성이 높은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혹은 나일론 등의 탄성이고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다.
뚜껑(3)은 정상 영역(18)과 외주의 벽 영역(21)을 구비하며, 상기 벽 영역(21)은 장축(6)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한 쌍의 원호형 제2 단부 영역(22)과, 이 제2 단부 영역(22) 사이에서 장축(6)의 양측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중간 영역(23)을 포함한다. 상기 외주의 벽 영역(21)은 그 외면에 형성되어 뚜껑(3)을 에워싸는 외측 리브(24)를 구비한다. 이 외측 리브(24)는 용기(2)의 상연부(14)를 뒤따르는 곡선 형상으로 연장한다. 구체적으로, 외측 리브(24)는 제2 단부 영역(22)을 따라 연장하는 평평한 영역(41)과, 제2 중간 영역(23)에서 제2 단부 영역(22)으로 과도적으로 연장하고 서서히 경사진 영역(43)과, 용기(2)의 제1 영역(16) 바로 위에서 하방향으로 만곡하는 영역(25)과, 그리고 인접하는 영역(25, 25)의 각 쌍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급격하게 만곡되는 영역(4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외주의 연부 영역(26)은 외측 리브(24) 아래에 놓인다. 뚜껑(3)에 의해 용기(2)가 폐쇄되면, 하부 외주의 연부 영역(26)은 용기(2)의 홈부(15)에 수용되며, 외측 리브(24)는 용기(2)의 상연부(14)로부터 상방향으로 약간 거리를 두고 또는 그것에 반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형상의 뚜껑(3)은 용기(2) 보다 신축성이 더 낮은 예컨대,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 수지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탄성이지만 경질의 재료로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는 용기(2)와 뚜껑(3)이 서로 스냅식으로 끼워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의 해당하는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단부 영역(12)들 중 하나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도 1의 선 Ⅲ-Ⅲ 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2)의 외부의 연부 영역(11)은 용기(2)의 내측에서 수평으로 돌출하는 내측 리브(31)를 구비한다. 이 내측 리브(31)는 정점(32), 상부 경사면(33) 및 하부 경사면(34)을 구비하며, 이들 경사면은 모두 정점(32)으로부터 용기(2)의 외주의 연부 영역(11)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부 경사면(33)은 상연부(14)로 연장하며 하부 경사면(34)은 홈부(15)의 바닥(35)으로 연장한다. 도 3에서, 뚜껑(3)의 외측 리브(24)는 용기(2)의 상연부(14)에 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뚜껑(3)의 하부 외주 영역(26) 혹은 이 하부 외주 영역(26)의 최소한 외면(3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뚜껑(3)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뚜껑(3)을 닫으면, 외면(39)은 내측 리브(31)의 하부 경사면(34)과 밀접하게되도록 내측 리브(31)에 스냅식으로 끼워지게 된다.
도 4는 용기(2)의 제1 단부 영역(16)들 중 하나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도 1의 선 Ⅳ-Ⅳ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2)의 제1 영역(16)에는 내측 리브(31)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제1 영역(16)을 형성하는 외주의 연부 영역(11)의 내면 및 외면(36, 37)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뚜껑(3)의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의 내면 및 외면(36, 37)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향되어 있고, 상기 외면(39)은 외주의 연부 영역(11)의 내면(36)에 반하여 밀접하게 지지된다.
도 5는 제1 영역(16, 16) 사이에서 용기(2)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도 1의 선 Ⅴ-Ⅴ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외주의 연부 영역(11)은 내측 리브(31)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수직의 높고 매끄러운 표면을 구비한다. 또한, 뚜껑(3)의 하부 외주의 연부 영역(26)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높고, 용기(2)의 내면(36)에 반하여 밀접하게 지지되는 매끄러운 외면(39)을 구비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케이스를 완전히 닫기 직전에 뚜껑(3)이 용기(2) 위에 놓일 때 안경 케이스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에 대한 뚜껑(3)의 위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의 것과 유사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의 하부 외주의 연부 영역(26)은 그것의 하단부 근처, 즉 위로부터 내측 리브(31)의 상부 경사면(33)에 반하여 평평한영역(41)에 지지된다. 뚜껑(3)이 이 상태로부터 가상의 2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압박될 때, 상대적으로 신축적이고 변형 가능한 용기의 외주 연부 영역(11)은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변형하게 되는 덜 신축적이고 덜 변형 가능한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에 의해 힘을 받게 된다. 뚜껑(3)의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이 홈부(15)에 수용되면, 상기 외주의 연부 영역(11)은 탄성적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하며, 뚜껑(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에 스냅식으로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용기(2)의 내측 리브(31)는 뚜껑(3)이 용기(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뚜껑(3)의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의 외면(39)에 반하여 그것의 하부 경사면(34)을 밀접하게 지지시킨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의 외주 여부 영역(11)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혹은 약간 경사져 내측으로 상승한다. 뚜껑(3)의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의 외면(39)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연부 영역(11) 위로 비스듬히 놓이거나, 혹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연부 영역(11)의 상부에 인접하게 놓인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의 연부 영역(11)과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의 상대 위치에서의 이러한 차이는 이들 두 영역(11, 26)의 길이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뚜껑(3)을 하강시키면, 하부의 외주 영역(26)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5)에 수용되도록 하며, 외주의 연부 영역(11)의 내면(36)은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의 외면(39)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외주의 연부 영역(11)은 약간 외측으로 변형된다.
도 9는 뚜껑이 달린 용기(1)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로서 내측 리브(31)가 점선을 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에 해당하는 상태에 있는 뚜껑이 달린 용기의 사시도로서 도시한 도 1을 참조하여 이 용기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용기(2)의 제1 영역(16)과, 대응하는 제1 영역(16)에 바로 가까이 위치한 영역에서의 뚜껑(3)의 외측 리브(24)에 손가락을 대고, 뚜껑이 달린 용기(1)의 폭을 압박하기 위해 장축(6)의 양측으로부터 도 1에서 화살표(43, 44)로 표시된 방향으로 뚜껑이 달린 용기(2)에 힘을 가한다. 그 결과, 이러한 방식으로 압박된 각각의 제1 영역(16)에 인접하고 있는 용기(2)의 제2 단부 영역(12)과, 대응하는 제1 영역(16)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3)의 제2 단부 영역(22)은 장축(6) 방향으로 가늘고 길이지게 되도록 변형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단부 영역(12)은 약간 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뚜껑(3)의 제2 단부 영역(22)은 약간 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한다. 이러한 변형은 용기(2)의 내측 리브(31)를 뚜껑(3)의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26)으로부터 분리시키기 때문에 뚜껑이 달린 용기(1)는 개봉될 수 있다. 뚜껑(3)과 용기(2)가 서로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한, 용기(2)의 내측 리브(31)는 실질적으로 연속한 단일의 선을 한정하는 뚜껑(3)의 외측 리브(24)의 영역(25)과 동일한 평평한 평면상에 있게 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의 경질재로 형성된 뚜껑(3)의 외측 리브(24)를 따라, 뚜껑(3)의 제2 단부 영역(22)을 따라 연장하는 평평한 영역(41)은 완만하게 경사진 영역(43)을 통해 용기(2)의 제1 영역(16)에 바로 가까이 위치한 영역(25)에 연결된다. 외측 리브(24)의 영역(25)은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되어 있다. 외측 리브(24)의 영역(25)이 내측으로 압박되면, 이들 영역(25)의 변형은 외측 리브(24)의 나머지 영역의 변형을 유발하게 되며, 그 결과도 9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제2 단부 영역(22)이 변형하게 된다. 또한, 용기(2)가 연질의 재료로 형성될 경우, 압박에 의한 제1 영역(16)의 변형은 내측 리브(31)가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영역(12)을 변형시키게 되는데, 그 이유는 내측 리브(31)의 존재가 제1 단부 영역(12)을 변형시키기 위해 그것을 한정하는 외주의 연부 영역(11)의 강성을 충분히 높게 보장하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뚜껑(3)은 외주의 연부 영역(11) 전체에 걸쳐서가 아니라 용기(2)의 대응하는 제1 단부 영역(12)에 걸쳐 용기(2)에 스냅식으로 끼워지기 때문에, 제1 및 제2 단부 영역(12, 22)들이 약간 수직하게 양방향으로 변형될 때 뚜껑(3)은 용기(2)에서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뚜껑(3)을 용기(2)에서 분리하기 위해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손잡이 혹은 핸들을 용기(2)에 또는 뚜껑(3)에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손잡이 혹은 핸들을 사용하지 않고 뚜껑(3)을 용기(2)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혹(5)은 뚜껑이 달린 용기(2)를 매달아 둘 필요가 없는 한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뚜껑이 달린 용기는 그 크기에 상관없이 뚜껑과 용기를 수직한 양방향으로 단지 압박함으로써 뚜껑을 용기에 결합할 수 있고, 또 뚜껑이 달린 용기를 횡방향 내측으로 단지 압박함으로써 뚜껑을 용기에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을 용기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손잡이 혹은 핸들 등의 돌출 부분이 용기나 뚜껑에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Claims (2)

  1. 용기와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에워싸는 외주의 연부 영역의 내측에 스냅식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뚜껑이 달린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뚜껑보다 더 신축성이 있는 탄성이고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수평면에 서로 직각인 제1의 장축과 제2의 단축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축들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타원 형상을 지니며,
    상기 개구부를 에워싸는 상기 외주의 연부 영역은 상기 제1의 장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원호형 제1 단부 영역과, 상기 제1 단부 영역 사이에서 상기 제1의 장축 양측 상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원호형 제1 단부 영역 각각은 그 내면에 상기 개구부의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하고 상기 외주의 연부 영역을 따라 연장하는 내측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리브는 상기 용기의 수직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정점과,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해 내측에서부터 벌어지도록 상기 정점으로부터 연장하는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중간 영역은 매끄럽게 형성된 표면을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1의 장축이 그 사이를 연장하게 되는 상기 제1 중간 영역들의 내면 사이에서 상기 뚜껑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제1 장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보다 신축성이 더 낮은 탄성이지만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수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제2의 장축 및 제2의 단축을 구비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타원형의 형성을 제공하고 또 상기 제2의 장축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원호형 제2 단부 영역과, 상기 원호형 제2 단부 영역 사이에서 상기 제2의 장축의 양측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중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원호형 제2 단부 영역과 제2 중간 영역은 외측 리브를 상기 용기의 개구부의 외주 연부 영역의 상연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뚜껑의 외측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원호형 제2 단부 영역과 제2 중간 영역은 상기 외측 리브 아래에 놓인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으로 추가로 형성되어 위에서부터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의 외주 연부 영역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호형 제2 단부 영역을 따라 상기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의 외면은 상기 뚜껑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방향으로 연장하며, 뚜껑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놓인 상기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의 일부는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 상에 배치될 때 상기 용기의 내측 리브의 상부면에 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의 중간 영역을 따라 상기 하부의 외주 연부 영역의 외면은 상기 용기의 제1 중간 영역의 내면을 따르도록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이 달린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상기 뚜껑으로 스냅식으로 끼운 후에, 상기 뚜껑의 상기 원호형 제2 단부 영역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용기의 원호형 제1 단부 영역 위에 놓이며, 상기 제2 중간 영역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용기의 상기 개구부 둘레에 실질적으로 연속한 단일 선을 한정하는 상기 원호형 단부 영역에 인접하게 상기 용기의 내측 리브와 동일한 평평한 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이 달린 용기.
KR10-2001-0079225A 2000-12-14 2001-12-14 뚜껑이 달린 용기 KR100424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80804 2000-12-14
JP2000380804A JP3588587B2 (ja) 2000-12-14 2000-12-14 蓋付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005A KR20020047005A (ko) 2002-06-21
KR100424740B1 true KR100424740B1 (ko) 2004-03-30

Family

ID=1884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225A KR100424740B1 (ko) 2000-12-14 2001-12-14 뚜껑이 달린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88587B2 (ko)
KR (1) KR100424740B1 (ko)
CN (1) CN12149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1468A (en) * 2002-07-05 2004-02-11 Totes Isotoner Uk Ltd Rigid case for an umbrella
DE102005012847A1 (de) * 2005-03-17 2006-09-21 Roericht, Hans, Prof. Behälter zur Aufnahme von Gegenständen
JP6936643B2 (ja) * 2017-07-07 2021-09-22 リスパック株式会社 内嵌合容器
JP7320980B2 (ja) * 2019-04-26 2023-08-04 リスパック株式会社 容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145A (ja) * 1983-10-03 1985-05-21 ラバーメイド・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外側密封のボール蓋
JPH08118409A (ja) * 1994-10-21 1996-05-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加飾成形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眼鏡ケース
KR980000357U (ko) * 1996-06-25 1998-03-30 주식회사한국오.지.케이 안경 케이스
KR19980065602U (ko) * 1997-05-02 1998-12-05 하복수 콘택트렌즈 보관 케이스
WO1999067147A1 (en) * 1998-06-25 1999-12-29 S. C. Johnson Home Storage, Inc. Container having a snap fit selectively detachable lid
US6032827A (en) * 1998-06-25 2000-03-07 S. C. Johnson Home Storage, Inc. Container having a selectively detachable lid including a rigid tab member
JP2020006093A (ja) * 2018-07-12 2020-01-16 株式会社ナミキ・メディカルインストゥルメンツ 医療器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145A (ja) * 1983-10-03 1985-05-21 ラバーメイド・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外側密封のボール蓋
JPH08118409A (ja) * 1994-10-21 1996-05-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加飾成形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眼鏡ケース
KR980000357U (ko) * 1996-06-25 1998-03-30 주식회사한국오.지.케이 안경 케이스
KR19980065602U (ko) * 1997-05-02 1998-12-05 하복수 콘택트렌즈 보관 케이스
WO1999067147A1 (en) * 1998-06-25 1999-12-29 S. C. Johnson Home Storage, Inc. Container having a snap fit selectively detachable lid
US6032827A (en) * 1998-06-25 2000-03-07 S. C. Johnson Home Storage, Inc. Container having a selectively detachable lid including a rigid tab member
JP2020006093A (ja) * 2018-07-12 2020-01-16 株式会社ナミキ・メディカルインストゥルメンツ 医療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79111A (ja) 2002-06-26
CN1214953C (zh) 2005-08-17
CN1362352A (zh) 2002-08-07
KR20020047005A (ko) 2002-06-21
JP3588587B2 (ja)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8133A (en) Packaging tab
US6883678B2 (en) Food container sealing structure
KR20000048949A (ko) 삽입 형상을 가진 콘택트 렌즈 팩키지
US4568005A (en) Snap-on closure for bottles
JPS6090145A (ja) 外側密封のボール蓋
EP2902341B1 (en) Storage container
JPH1081350A (ja) 折り曲げられた頂縁を有する容器のためのカバー
US6170664B1 (en) Contact lens holder
KR100424740B1 (ko) 뚜껑이 달린 용기
US3768633A (en) Contact lens case
WO2005009852A1 (en) One touch-type stopper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JP3155677B2 (ja) 開蓋防止機能付き密閉容器
KR200197515Y1 (ko) 용기
KR200259999Y1 (ko) 립스틱 용기
JP2004189257A (ja) 食品用容器
JPH033485Y2 (ko)
KR200340174Y1 (ko) 밀폐용기
KR200328708Y1 (ko) 밀폐용기
KR200204641Y1 (ko) 부압 발생 용기
JPH0223569Y2 (ko)
JP4430170B2 (ja) スタンプ台
CN219296118U (zh) 一种杯盖组件及其杯子
JPS6013801Y2 (ja) 軟質合成樹脂製の瓶栓
JP2002068241A (ja) 部分開封可能な嵌合容器
KR200202711Y1 (ko) 수지재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