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901A -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901A
KR20140011901A KR1020120110919A KR20120110919A KR20140011901A KR 20140011901 A KR20140011901 A KR 20140011901A KR 1020120110919 A KR1020120110919 A KR 1020120110919A KR 20120110919 A KR20120110919 A KR 20120110919A KR 20140011901 A KR20140011901 A KR 20140011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protrusion
sealed contain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PCT/KR2013/0080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54856A1/ko
Publication of KR20140011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밀폐용기의 커버 및 밀폐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는, 밀폐용기의 본체와 결합하는 커버에 있어서, 커버는 회전 라인을 구비하며, 회전 라인을 기준으로, 커버의 일 측은 본체에 대한 밀폐력을 제공하고, 커버의 타측은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AIRTIGHT CONTAINER AND CO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커버의 일부만 개폐 가능한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 등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밀폐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의 둘레에는 결합날개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의 둘레에는 커버의 결합날개가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의 내부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packing)이 구비되어 있어서, 커버를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패킹이 압착되면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밀폐용기의 커버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커버의 일부만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밀폐용기는, 용기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내용물을 꺼내거나 확인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를 모두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커버의 일부만을 개폐할 수 있는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는, 밀폐용기의 본체와 결합하는 커버에 있어서, 커버는 회전 라인을 구비하며, 회전 라인을 기준으로, 커버의 일 측은 본체에 대한 밀폐력을 제공하고, 커버의 타측은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밀폐용기의 커버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의 상면 일부가 회전할 수 있는데, 이때 회전라인은 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상측절개부일 수 있다.
커버는 둘레부를 구비하고, 둘레부에는 측면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의 내측에는 패킹이 결합되고, 커버는, 커버나사산을 구비하여 본체와 나사 결합을 하는 고정둘레면과, 본체와 나사 결합을 하지 않는 회전둘레면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는 패킹과 결합을 하고, 패킹의 일부가 개폐 가능할 수 있다.
패킹은,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와,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커버삽입부를 구비하고, 회전라인은 돌출부와 커버삽입부의 경계일 수 있다.
돌출부에는 밀폐용기의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는 커버삽입부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결합부재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밀폐용기의 본체에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커버는, 커버나사산을 구비하여 본체와 나사 결합을 하는 고정둘레면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의 상면에는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에는 밀폐용기의 본체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의 상면에는 커버의 타측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패킹은, 관통공이 형성된 차폐막을 구비하고, 차폐막은 상기 커버의 일부가 개방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커버와 본체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막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관통공은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상기의 밀폐용기 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커버의 타측에는 가이드를 커버하는 밀폐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의 나머지 일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커버의 일부만 개방할 수 있는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결합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패킹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예시된 밀폐용기에서 커버가 본체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예시된 밀폐용기에서 커버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커버 및 패킹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예시된 밀폐용기에서 커버가 본체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예시된 밀폐용기에서 커버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커버 및 패킹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예시된 밀폐용기에서 커버가 본체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예시된 예시된 밀폐용기에서 커버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커버에서 가압부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커버에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예시된 밀폐용기에서 커버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그리고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커버(11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10)와 본체(160)를 구비하고, 커버(110)의 내부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140)이 결합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커버(110)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110)의 일부가 회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커버(110)에 형성된 상측절개부(124)를 회전라인(L)으로 하여, 상측절개부(124)를 기준으로 도 1의 좌측 부분이 회전을 하면서 개폐 가능하게 되고, 이때 상측절개부(124)를 기준으로 도 1의 우측 부분은 본체(160)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한다.
커버(110)는, 사각 형상의 커버바디(112)와, 커버바디(112)의 네 개의 측면에 각각 구비된 결합부재(128, 129)와, 패킹(140)을 구비한다.
커버바디(112)는, 커버(110)의 둘레를 형성하는 외측면(114)과, 외측면(114)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면(118)을 구비한다. 외측면(114) 및 내측면(118)은 동일한 높이를 갖고, 그 사이에는 패킹(140)을 삽입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면(114)에는 외측절개부(116)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118)에는 내측절개부(122)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절개부(116) 및 내측절개부(122)는, 커버(110)의 일부가 상측절개부(124)를 회전라인(L)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외측절개부(116) 및 내측절개부(122)는 모두 상측절개부(124)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110)의 상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고 직선 형태로 형성된 상측절개부(124)는, 커버(110)의 일부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라인(L) 즉, 회전 중심이 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절개부(124)는 커버(110)의 상면을 관통하지 않고 일정한 깊이를 갖는 홈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10)의 일부(도 2에서는 상측절개부(124)의 우측 부분)가 회전하더라도,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커버(110)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커버(110)의 커버바디(112) 둘레에 형성된 결합부재(128, 129)는, 커버(110)를 본체(16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128, 129)는 커버바디(112)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는 커버걸림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걸림돌기(132)는 본체(160)의 둘레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162)와 결합하게 된다.
패킹(140)은, 커버(110)의 외측면(114) 및 내측면(116)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패킹(140)의 형상은, 커버(110)의 형상과 대체로 유사하게 형성되고, 그 높이는 외측면(114)과 내측면(116)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경우, 도 2와 같이, 패킹(140)의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킹(140)은, 커버(110)가 본체(160)에 결합하는 경우 압착되어, 본체(160)에 대한 밀폐력이 발생하게 된다. 패킹(140)은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60)는 커버(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는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을 담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60)의 둘레에는, 커버(110)의 결합부재(128, 129)와 결합하기 위한 본체걸림돌기(162)가 외향 돌출되어 있다.
커버(110) 및 본체(160)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60)는 플라스틱 수지 이외에 유리 또는 세라믹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의 일부를 개방하기 위해서, 도 2에서 상측절개부(124)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129)를 위로 당기면, 커버걸림돌기(132)가 본체걸림돌기(162)에서 분리되면서 커버(110)의 일부가 상측절개부(124)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2에서 상측절개부(124)의 좌측 부분은 본체(160)의 상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측절개부(124)의 우측 부분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원형 또는 타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밀폐용기(200)의 커버(210)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예시된 밀폐용기(200)의 패킹(24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예시된 밀폐용기(100)에서 커버(210)가 본체(26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3에 예시된 밀폐용기(200)에서 커버(210)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는 커버(210)와 본체(2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210)는 패킹(240)을 포함하고, 패킹(240)이 커버(210)의 외부로 돌출되어, 그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는 돌출부(244)가 회전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의 커버(210)는 패킹(240)의 돌출부(244)의 시작 부분이 회전 라인(L)이 된다.
커버(210)는, 원형의 커버바디(212)와, 커버바디(212)의 둘레에 형성된 결합부재(222)와, 커버(210)와 결합하고 일부가 커버(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패킹(240)을 구비한다.
커버바디(212)는 본체(26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214), 내측면(216) 및 커버절개부(218)를 갖는다.
외측면(214)은 커버(210)의 외측 둘레를 형성하는 면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내측면(216)은 외측면(214)의 내부에 위치하는 면으로 외측면(214)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외측면(214)과 내측면(216)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그 사이에는 패킹(240)이 삽입되는 패킹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홈(215)에는, 패킹(240)의 커버삽입부(242)가 삽입된다.
커버절개부(218)는 직선 형상으로, 원형의 커버 일부를 절단한 부분에 해당한다. 커버절개부(218)에 의해 내측면(216) 및 외측면(214)이 완전한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원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커버절개부(218)에 의해 패킹(240)의 돌출부(244) 및 결합부(248)가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바디(212)의 둘레에는 세 개의 결합부재(22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결합부재(222)의 내측에는, 본체(260)와의 결합을 위한 커버걸림돌기(224)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210)에 결합되는 패킹(240)은, 링(ring) 형상의 커버삽입부(242)와, 커버(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244)와, 돌출부(244)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결합부(248)를 포함한다.
커버삽입부(242)는, 커버(210)의 패킹홈(215)에 삽입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커버(2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커버삽입부(242)의 높이는 외측면(214) 및 내측면(216)의 높이에 비해 다소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44)는, 커버절개부(218)에 의해 커버(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돌출부(244)와 커버바디(212)가 결합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커버(210)가 완전한 원 형상을 갖게 된다. 돌출부(244)와 커버삽입부(242)의 경계에는 돌출단턱(246)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단턱(246)은 커버삽입부(242)의 단부에서 외향 돌출된다.
돌출부(244)는 커버삽입부(242)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244)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상하로 움직이면서 커버(210)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돌출부(244)의 단부에는 결합부(248)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248)에는 본체(26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252)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부(248) 및 결합부재(252)는 탄성력을 갖지 않거나 탄성력이 적은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48) 및 결합부재(252)는 이중 사출에 의해 고무 재질의 커버삽입부(242) 및 돌출부(24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252)는 결합부(248)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않고 고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결합부재(252)가 회전에 의해 본체(260)의 본체걸림돌기(264)와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돌출부(244)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244)가 신장됨으로써 결합부재(252)가 본체걸림돌기(264)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합부재(252)와 결합부(248)는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252)에는 결합홀(254)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홀(254)에는 본체걸림돌기(264)가 삽입되어 커버(210)의 돌출부(244) 및 결합부(248)가 본체(260)의 입구단부(262)를 밀폐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삽입부(242)가 패킹홈(215)에 결합하는 경우, 패킹(240)의 돌출부(244) 상면이 커버바디(212)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돌출부(244)는 커버바디(212)의 상면에 비해 다소 낮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26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부의 입구가 개방된 병 형상을 갖는다. 본체(26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입구단부(262)는, 패킹(240)의 커버삽입부(242), 돌출부(244) 및 결합부(248)과 접하게 된다. 특히, 커버(210)가 결합부재(222, 252)에 의해 본체(260)에 결합되는 경우, 입구단부(262)는 패킹(240)의 커버삽입부(242), 돌출부(244) 및 결합부(248)에 의해 가압되어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체(260)의 측면에는 본체걸림돌기(264)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걸림돌기(264)는, 결합부재(252)의 결합홀(254)에 삽입되어, 커버(210)가 본체(260)를 하향 압박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사각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는, 결합부재(222, 252)에 의해 본체(260)의 측면에 걸리는 구조를 갖지만,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나사 결합에 의해 커버(210)가 본체(260)에 대해 결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00)의 결합 및 개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밀폐용기(200)의 커버(210) 전체가 본체(260)를 밀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커버바디(212)의 둘레에 구비된 세 개의 결합부재(222)는 본체(260)의 둘레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264)에 걸린 상태에 있다. 그리고 결합부(248)에 형성된 결합부재(252)는 본체걸림돌기(264)에 걸리게 되는데, 결합 과정에서 탄성력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244)가 약간 신장된다. 따라서 본체걸림돌기(264)에 결합부재(252)가 걸리는 과정에서 돌출부(244)에 아래 방향으로의 텐션(tension)이 발생하여, 돌출부(244) 및 결합부(248)는 입구단부(262)를 가압하여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같이 커버(210)의 전체가 본체(260)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에서, 커버(210)의 일부만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결합부재(252)를 본체걸림돌기(264)에서 분리하면 되는데, 이로 인해 돌출부(244) 및 결합부(248)는, 돌출부(24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약간 상향 이동하면서 입구단부(262)에 대한 밀폐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커버(210)의 결합부재(222)는 본체(260)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패킹(240)의 커버삽입부(242)는 입구단부(262)를 가압하여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52)는 본체걸림돌기(264)에서 분리된 이후에, 본체걸림돌기(264)의 상부에 재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본체(260)에 대한 결합부재(252)의 해제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예시된 밀폐용기(300)의 커버(310) 및 패킹(340)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 예시된 밀폐용기(300)에서 커버(310)가 본체(36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예시된 밀폐용기(300)에서 커버(310)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는, 커버(310)와 본체(3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310)는 밀폐를 위한 패킹(3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에서 커버(31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 형성된 회전라인(L)을 기준으로 그 일 측이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의 커버(310)는 나사 결합에 의해 본체(360)와 결합한다.
밀폐용기(300)의 커버(310)는 원형의 상면(312) 및 상면(3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둘레면(322)을 포함한다. 커버(310)는 플라스틱 수지 등과 같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커버(310)의 상면(312)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절개부(314)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라인(L)을 기준으로 그 일측(도 8에서는 회전라인(L)의 오른쪽 부분)은 회전이 가능한 회전상면(318)에 해당하고, 그 타측(도 8에서는 회전라인(L)의 왼쪽 부분)은 나사 결합에 의해 본체(36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상면(316)에 해당한다. 즉, 커버(310)가 본체(360)에 대한 밀폐력을 유지하는 상태(도 10 참조)에서, 회전상면(318)만 회전에 의해 개방될 수 있고, 이때, 고정상면(316)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커버(310)의 상면(312)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절개부(314)는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직선 형성의 홈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측절개부(314)의 동일선상에 해당하는 둘레면(322)의 부분에는 측면절개부(32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310)는 상측절개부(314)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일측(도 8에서는 상측절개부(314)의 오른쪽)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커버(310)의 둘레면(322)은 측면절개부(324)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둘레면(326) 및 회전둘레면(332)로 구분된다.
측면절개부(324)는 둘레면(322)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으로, 상측절개부(314)와 동일선 상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측면절개부(324)는 회전상면(318) 및 회전둘레면(33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측면절개부(324)를 기준으로 그 일측에 형성된 회전둘레면(332)은, 도 11과 같이 회전상면(318)과 함께 회전에 의해 본체(360)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둘레면(332)의 내면에는, 본체(36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회전둘레면(332)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손잡이(344)가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측면절개부(324)를 기준으로 그 타측에 형성된 고정둘레면(326)은,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본체(360)에 나사 결합된다. 고정둘레면(326)의 내면에는 커버나사산(32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나사산(328)은 본체(360)의 둘레에 형성된 본체나사산(362)과 나사 결합을 한다.
고정둘레면(326)이 본체(360)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둘레면(332)이 도 11과 같이 개방될 수 있다. 물론, 커버(310)를 전체적으로 회전시켜서 본체(360)에 대한 고정둘레면(326)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데, 이때 커버(310)의 전체가 본체(360)에서 분리된다(도 8 참조).
커버(3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패킹(340)은 원판 형상을 갖는다. 패킹(340)의 직경은 본체(360)의 입구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패킹(340)은 커버(310)의 둘레면(322)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패킹(340)은, 커버(310)가 본체(360)에 대해 나사 결합하는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커버(310)와 본체(360)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밀폐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340)은 원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링(ring)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360)는 커버(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상단부에는 커버(31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본체나사산(362)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나사산(362)은 커버(310)의 둘레면(322) 중에서 고정둘레면(326)의 내측에 형성된 커버나사산(328)과 나사 결합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310)가 본체(360)의 상단부를 밀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버나사산(328)이 본체나사산(362)과 나사 결합을 함으로써, 패킹(340)이 하향 가압되어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360)의 입구 전체가 패킹(340)에 의해 밀폐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의 결합 및 개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310)를 본체(360)의 상단부에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고정둘레면(326)에 형성된 커버나사산(328)이 본체(360)에 형성된 본체나사산(362)와 나사 결합을 하면서,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310)가 본체(360)의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310)와 본체(360)의 나사 결합에 의해 패킹(340)이 본체(360)의 입구 전체를 커버하면서 가압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310)의 회전상면(318)의 하부에 위치하는 패킹(340)의 일부분도 커버(310)와 본체(360)의 나사 결합에 의한 하향 가압력에 의해 본체(360)의 입구를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310)의 둘레면(322) 중에서 회전둘레면(322)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회전둘레면(322)은 본체(360)와 나사 결합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상면(318) 및 회전둘레면(332)을 위로 당기게 되면, 회전 라인(L)에 해당하는 상측절개부(314)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310)의 일측이 개방된다. 이때, 회전라인(L)에 해당하는 상측절개부(314)를 기준으로 커버(310)의 타측 부분은 나사 결합에 의해 본체(360)에 대한 밀폐력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상면(318) 및 회전둘레면(332)을 위로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된 커버(310)의 탄성력에 의해서 회전상면(318) 및 회전둘레면(332)이 도 10과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패킹(340)은 커버(310)와 본체(360)의 나사 결합에 의해 본체(360)의 입구 전체를 밀폐한다.
제4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12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예시된 밀폐용기(400)의 커버(410) 및 패킹(440)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2에 예시된 밀폐용기(400)에서 커버(410)가 본체(46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에 예시된 예시된 밀폐용기(400)에서 커버(410)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용기(400)는, 원통 형상을 갖는 본체(460)와, 본체(460)에 대해 나사 결합을 하는 커버(4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410)는 패킹(440)을 포함한다. 커버(410)에 결합되는 패킹(440)은 그 일부(돌출부(444) 및 결합부(448))가 커버(410)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 라인(L)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면서 개폐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의 커버(410)는, 커버(4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패킹(440)의 회전에 의해 커버(410)의 일부가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의 커버(410)는, 상측절개부(414)에 의해 원형에서 일부가 절개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커버(410)는 도 13에서와 같이 그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상측절개부(414)에서부터 패킹(440)의 돌출부(444) 및 결합부(448)가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410)는 상면(412)과, 상면(412)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돌출된 둘레면(416)을 갖는다. 둘레면(416)의 내면에는, 본체(460)와 커버(410)의 나사 결합을 위한 커버나사산(418)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440)은 커버(410)와 본체(460) 사이에 개재되고 커버(410)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패킹(440)은 본체(460)의 입구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패킹(44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패킹(440)은 커버(410)의 둘레면(416)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커버삽입부(442)와, 커버(4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444) 및 결합부(448)를 구비한다.
커버삽입부(442)는 커버(410)의 상면(4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면(412)의 하면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삽입부(442)가 원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링(ring)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돌출부(444)는 커버삽입부(442)의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커버(410)에서 상측절개부(414)에 의해 잘려진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커버(410)의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444)로 인해, 커버(410)는 원 형상을 갖게 된다. 돌출부(444)와 커버삽입부(442)의 경계에는 돌출단턱(446)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단턱(446)에 의해 돌출부(444)는 커버삽입부(442)에 비해 큰 지름을 갖게 된다. 또한, 돌출부(444)의 두께는 커버삽입부(44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킹(440)이 커버(410)에 결합하는 경우, 상측절개부(414)에는 커버(410)의 상면(412)의 두께에 의한 단턱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패킹(440)의 돌출부(444)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444)는 커버삽입부(442)와 동일하게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패킹(440)의 결합부(448)에 구비된 결합부재(452)가 본체(460)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466)에 걸리게 될 때, 돌출부(444)가 탄성적으로 신장되면서, 결합부재(452)와 본체걸림돌기(466) 사이에 수직 방향의 텐션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텐션에 의해 돌출부(444) 및 결합부(448)가 본체(460)의 입구를 강하게 밀폐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444)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48)는 결합부재(452)를 구비하고 쉽게 신장되지 않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부(448) 및 결합부재(452)는, 커버삽입부(442) 및 돌출부(444)와 다른 재질을 갖는 것으로,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패킹(440)을 이루게 된다.
커버(4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부(448)는 도 14와 같이 본체(460)의 상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부(448)에 구비된 결합부재(452)는, 본체(460)에 측면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466)에 걸려서 돌출부(444) 및 결합부(448)가 본체(460)의 입구를 강하게 밀폐하도록 한다.
결합부재(452)는 결합부(448)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않고, 결합부(44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재(452)에는 결합홀(454)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결합홀(454)에는 본체(460)의 둘레에 형성된 본체걸림돌기(466)에 걸리게 된다.
본체(460)는 원통 형상을 갖고 커버(410)와 나사 결합한다. 본체(460)의 상단부에는, 커버(41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본체나사산(464)이 형성되어 있는데, 본체나사산(464)은 커버(410)의 둘레면(416) 내측에 형성된 커버나사산(418)과 나사 결합을 한다.
본체(460)의 둘레에는, 패킹(440)의 결합부재(452)가 걸리게 되는 본체걸림돌기(466)가 외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걸림돌기(466)의 측면에는 스토퍼돌기(46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돌기(468)는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452)와 접하면서 결합부재(452)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커버(410)가 본체(460)에 나사 결합하는 경우, 결합부재(452)가 회전하면서 스토퍼돌기(468)에 걸리게 되어 결합홀(454)이 본체걸림돌기(466)에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400)의 결합 및 개방에서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410)를 본체(460)에 결합하기 위해서, 커버(410)를 본체(46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회전을 통해서 커버(410)의 둘레면(416)의 내면에 형성된 커버나사산(418)이 본체(460)에 형성된 본체나사산(464)에 나사 결합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사 결합에 의해, 패킹(440)의 결합부재(452)가 본체(460)의 본체걸림돌기(466)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오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재(452)를 아래로 당겨서 결합부재(452)의 결합홀(454)에 본체걸림돌기(466)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패킹(440)의 돌출부(444)가 약간 신장되면서 텐션이 걸리게 되어 결합부재(452)와 본체걸림돌기(466)의 결합력이 더욱 강하게 된다.
커버(410)가 본체(460)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패킹(440)의 커버삽입부(442), 돌출부(444) 및 결합부(448)가 하향 가압되어 본체(460)의 입구를 가압하여 밀폐력을 유지한다. 특히, 커버삽입부(442)는 그 둘레를 감싸고 있는 둘레면(416)이 본체(460)와 나사 결합을 하기 때문에 상면(412)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460)의 입구를 강하게 가압하여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4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444) 및 결합부(448)는, 결합부재(452)가 본체걸림돌기(466)에 걸려서 하향 가압되기 때문에 본체(460)의 입구를 강하게 가압하여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본체(460)가 패킹(44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커버(410)의 일부를 도 15와 같이 개방하기 위해서, 본체걸림돌기(466)에 걸려 있는 결합부재(452)를 아래로 잡아 당겨서 결합홀(454)이 본체걸림돌기(466)에서 분리되게 한다. 결합부재(452)가 본체걸림돌기(466)에서 분리된 후 결합부재(452)를 위로 당기면, 돌출부(444)가 회전 라인(L)에 해당하는 상측절개부(414)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도 15와 같이 커버(410)의 일부에 해당하는 돌출부(444) 및 결합부(448)가 개방된다.
돌출부(444) 및 결합부(448)가 회전에 의해 개방되면서, 본체(460)의 일부만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패킹(440)의 커버삽입부(442)는, 커버(410)의 둘레면(416)이 본체(460)에 나사 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개방되지 않고 밀폐력을 유지하게 된다.
제5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5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51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커버(510)에 구비된 가압부재(54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510)는, 도 8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의 커버(31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다만 그 상면에 가압부재(5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부재(540)는 커버(510)의 상면(512) 중에서 고정상면(5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그 회전 중심이 가압부재(540)의 무게 중심에서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5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부재(540)의 일부는 회전상면(518) 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회전상면(518)에 형성된 공기통로(519)를 폐쇄함과 동시에 회전상면(518)을 하향 가압한다.
커버(510)의 상면(512)에는 상측절개부(514)를 기준으로, 그 일측에는 회전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회전상면(518)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본체(도시하지 않음)와 나사 결합에 의해 단독으로 개방되지 않는 고정상면(516)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상면(518)에는 커버(510)를 관통하여 형성된 공기통로(519)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절개부(514)는 커버(510)의 상면(512)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 상측절개부(514)에 의해 회전상면(518)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절개부(514)는 커버(510)의 일부만 개방될 수 있게 하는 회전 라인(L)에 해당한다.
커버(510)의 둘레면(522)에는 측면절개부(524)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절개부(524)를 기준으로 고정둘레면(526) 및 회전둘레면(532)으로 나뉘는데, 이는 제3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한 밀폐용기(300)의 커버(310)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압부재(540)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회전축(542)은, 가압부재(540)의 무게 중심에서 일 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5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부재(540)의 단부는 회전상면(518)에 위치하거나 또는 고정상면(516)에만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재(540)의 단부에는 하향 돌출된 가압돌기(544)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544)는 공기통로(519)를 폐쇄하고 회전상면(518)을 하향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540)에 의한 하향 가압에 의해 커버(510)의 회전상면(518)이 하향 가압되면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6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6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61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예시된 밀폐용기의 커버(610)에서 걸림돌기(619)가 걸림홈(617)에 걸리게 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610)는, 도 8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의 커버(31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그 상면에 걸림홈(617) 및 걸림돌기(619)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610)는 회전 라인(L)에 해당하는 상측절개부(614)를 기준으로, 본체(도시하지 않음)와 나사 결합을 하는 고정상면(616)과, 고정상면(616)이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회전상면(618)을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상면(618) 상에는, 회전상면(618)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걸림돌기(619)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619)에 대응하여 고정상면(616)에는 걸림홈(61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610)는 둘레면(622)을 구비하고, 둘레면(622)에는 측면절개부(624), 고정둘레면(626) 및 회전둘레면(632)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310)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상면(616)에 구비된 걸림홈(617)에는 회전상면(618)에 형성된 걸림돌기(619)가 삽입된다. 걸림돌기(619)는 회전상면(618)만이 회전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도 19와 같이 걸림홈(617)에 삽입된다. 걸림돌기(619)가 걸림홈(617)에 삽입되는 경우, 커버(61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회전상면(518)의 개방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림돌기(619)의 선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돌기(619)가 걸림홈(617)에 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제7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20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700) 및 그 커버(7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700) 및 그 커버(71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밀폐용기(700)의 커버(710) 및 본체(760)는 도 3에 예시된 밀폐용기(300)의 커버(310) 및 본체(360)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체(760)의 상부 일측에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770)가 결합되어 있고, 커버(710)의 둘레면 일측에는 가이드(770)를 커버하는 밀폐부재(7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700) 및 그 커버(710)의 밀폐부재(720) 및 가이드(77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76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770)는, 본체(76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통로에 해당한다. 가이드(770)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자유 낙하를 유도한다. 또한, 가이드(770)는 그 단면이 "U" 형상을 갖기 때문에, 가이드(770)를 통해서 토출되는 내용물은 모두 가이드(770)의 출구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가이드(770)에 대응하여, 커버(710)에는 밀폐부재(720)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부재(720)는 가이드(770)의 개방된 출구 및 상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커버(710)가 본체(760)에 결합되는 경우, 밀폐부재(720)는 가이드(770)의 개방된 출구 및 상부를 밀폐하여, 가이드(770)를 통해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한다.
밀폐부재(720)는, 커버(760)에서 그 일부만 개방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710)의 일부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밀폐부재(720)도 함께 개방되어 내용물을 쉽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700)는 가이드(770)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일정량만큼 토출할 수 있다. 가이드(770)는 일정한 부피를 갖기 때문에, 내용물이 들어있는 본체(760)를 가이드(770) 방향으로 기울이면, 내용물이 가이드(770)의 내부로 일정량만큼 유입된다. 이때, 가이드(770)는 밀폐부재(720)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가이드(77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후, 본체(760)를 다시 정위치 시키고, 가이드(770)의 낙하 지점의 하부에 내용물을 담을 용기(도시하지 않음)를 위치시킨 후, 커버(710) 일부의 회전에 의해 밀폐부재(720)를 개방하면, 용기 방향으로 가이드(770)에 채워진 일정량의 내용물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밀폐부재(720)를 다시 폐쇄한다.
가이드(770)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본체(760)의 기울임에 의해 토출할 수 있는 내용물의 용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770)는 본체(760)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700)는 커버(710)와 본체(760)의 구조가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예 그리고 제4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 200, 400, 500, 600)의 커버(110, 210, 410, 510, 610) 및 본체(160, 260, 460, 560, 66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8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2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800) 및 그 커버(8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800) 및 그 커버(81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300) 및 그 커버(31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다만, 패킹(840)의 일 측에 차폐막(842)이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다른 밀폐용기(800) 및 그 커버(810)에 대해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800)는 커버(810)와, 커버(810)와 결합되는 본체(860)를 구비한다. 커버(810)는 회전라인(L)을 중심으로 회전상면(818)과 고정상면(816)으로 구분되어 있다. 커버(810)의 고정상면(816)이 본체(86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상면(818)이 도 22와 같이 개방될 수 있다.
커버(810)의 내측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840)이 결합된다. 패킹(840)은 도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810)가 본체(860)에 결합하는 경우, 그 사이에 위치하면서 밀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패킹(840)의 일 측에는 차폐막(842)이 형성되어 있다.
차폐막(842)은 패킹(840)의 일 측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 것으로, 그 중앙 부분에는 돌출부(846)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846)에는 관통공(844)이 형성되어 있다. 차폐막(842)은, 도 22와 같이 커버(810)의 일부가 개방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서 커버(810)와 본체(860) 사이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커버(810)의 일부가 개방되더라도 차폐막(842)에 의해서 본체(860)에 수용된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은 관통공(844)을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된다.
도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810)의 전부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폐막(842)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다.
돌출부(846)는 차폐막(84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내용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내용물은 돌출부(846)에 형성된 관통공(844)을 통해서 배출된다.
차폐막(842)은, 커버(810)의 일부가 개방된 경우, 커버(810)와 본체(86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 2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810)의 일부가 본체(860)에서 분리된 경우, 차폐막(842)의 하단부는 본체(860)의 내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폐막(842)과 본체(860) 사이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700, 800: 밀폐용기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커버
140, 240, 340, 440, 840: 패킹
160, 260, 360, 460, 760, 860: 본체

Claims (19)

  1. 밀폐용기의 본체와 결합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회전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의 일 측은 본체에 대한 밀폐력을 제공하고, 상기 커버의 타측은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밀폐용기의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 일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라인은 상기 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상측절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둘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둘레부에는 측면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패킹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는, 커버나사산을 구비하여 본체와 나사 결합을 하는 고정둘레면과,
    본체와 나사 결합을 하지 않는 회전둘레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패킹과 결합을 하고,
    상기 패킹의 일부가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커버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라인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커버삽입부의 경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밀폐용기의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삽입부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밀폐용기의 본체에 나사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커버나사산을 구비하여 본체와 나사 결합을 하는 고정둘레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밀폐용기의 본체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의 타측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관통공이 형성된 차폐막을 구비하고,
    상기 차폐막은 상기 커버의 일부가 개방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커버와 본체 사이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커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밀폐용기의 커버를 구비하는 밀폐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를 커버하는 밀폐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120110919A 2012-07-20 2012-10-05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20140011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8004 WO2014054856A1 (ko) 2012-10-05 2013-09-05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45 2012-07-20
KR20120079045 2012-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901A true KR20140011901A (ko) 2014-01-29

Family

ID=5014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19A KR20140011901A (ko) 2012-07-20 2012-10-05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9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937A1 (ko) * 2016-04-21 2017-10-26 구홍식 저장용기
KR20190033243A (ko) * 2017-09-21 2019-03-29 구홍식 저장용기
KR20220124862A (ko) * 2021-03-04 2022-09-14 배한성 포장용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937A1 (ko) * 2016-04-21 2017-10-26 구홍식 저장용기
KR20190033243A (ko) * 2017-09-21 2019-03-29 구홍식 저장용기
KR20220124862A (ko) * 2021-03-04 2022-09-14 배한성 포장용 음식물 보관용기의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883B1 (ko) 화장품 용기 뚜껑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1209673B1 (ko) 밀폐 뚜껑을 구비한 용기 및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KR20140011901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JP6831267B2 (ja) 詰め替え容器
KR101659288B1 (ko) 개폐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20160123039A (ko) 화장품 용기
KR101923180B1 (ko) 화장품 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102015281B1 (ko)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KR20210132846A (ko) 밀폐용기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1817675B1 (ko) 누출방지밸브가 구비된 역립형 용기
KR200394215Y1 (ko) 강력 접착제 보관용기
KR20160133081A (ko) 밀폐용기
KR20180004415A (ko) 저장용기
KR102116203B1 (ko)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181366B1 (ko) 밀폐용기
KR101519305B1 (ko) 밀폐용기용 압착뚜껑
KR101596209B1 (ko) 수동식 드롭퍼
KR20130034381A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KR20120084878A (ko) 액상 식품용 용기 캡
KR101703701B1 (ko) 밀폐노즐을 구비한 분말용기
KR200487519Y1 (ko) 개폐 가능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