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734A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734A
KR20160048734A KR1020160045292A KR20160045292A KR20160048734A KR 20160048734 A KR20160048734 A KR 20160048734A KR 1020160045292 A KR1020160045292 A KR 1020160045292A KR 20160045292 A KR20160045292 A KR 20160045292A KR 20160048734 A KR20160048734 A KR 20160048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body
rim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구홍식 filed Critical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16004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8734A/ko
Publication of KR20160048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734A/ko
Priority to PCT/KR2017/002432 priority patent/WO2017155270A1/ko
Priority to US16/078,019 priority patent/US2019004775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48Flange or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는 그 일 측에 잠금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용기본체는 그 측면에서 외향 돌출된 테두리를 구비하고, 테두리에는 테두리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단부는 상부걸림홈 및 하부걸림면을 구비하고, 상부걸림홈은 그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커버는, 용기본체에 결합된 경우 하부걸림면에 걸리게 되는 측면돌기와,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부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저장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여 세척이 용이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 등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저장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각형 커버의 둘레에는 네 개의 회전부재(잠금날개)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부재는 용기본체의 둘레에 형성된 돌기 등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저장용기는 커버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해서 네 개의 회전부재를 모두 분리 또는 결합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저장용기는 네 개의 회전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회전부재 부분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부분을 세척함에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네 개의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저장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15-0030128호에는 하나의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저장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공보에 개시된 저장용기는, 회전부재가 그 내측면에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용기본체는 그 테두리에 회전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걸림부는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를 구비한다. 상부돌기에 의해서 걸림홈이 형성되는데, 걸림홈에는 회전부재에 구비된 가압돌기가 걸리게 됨으로써,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하부돌기에 의해서 잠금홈이 형성되는데, 잠금홈에는 회전부재에 구비된 회전잠금돌기가 결합하게 된다.
상기 공개 공보에서 개시된 저장용기는, 하나의 회전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용기본체에 대해 커버를 결합 및 분리함에 있어서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용기본체의 테두리에, 상하로 각각 돌출된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를 구비하는 회전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세척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2015-00301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해서 세척 및 사용이 용이한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는 그 일 측에 잠금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용기본체는 그 측면에서 외향 돌출된 테두리를 구비하고, 테두리에는 테두리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단부는 상부걸림홈 및 하부걸림면을 구비하고, 상부걸림홈은 그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커버는, 용기본체에 결합된 경우 하부걸림면에 걸리게 되는 측면돌기와,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부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두리단부는 한 쌍이 일정 거리의 이동공간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걸림홈에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후면돌기를 구비하고,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경우 후면돌기는 테두리에 걸릴 수 있다.
잠금날개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테두리의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공간에는 중앙테두리가 추가로 구비되고, 걸림돌기는 중앙테두리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센터홈을 구비할 수 있다.
용기본체는 사각 형상을 갖고, 이동공간은 용기본체 측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걸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서 세척 및 사용이 용이한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커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커버의 잠금날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커버(110)의 잠금날개(126)는 용기본체(150)에 대한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커버(110)와 용기본체(150)를 포함한다. 커버(110) 및 용기본체(150)는 모두 정사각 형상을 갖고 그 모서리에는 라운드(round)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상태에서 잠금날개(126)를 하향 회전시켜서 용기본체(150)에 결합하면, 커버(110)는 용기본체(150)를 밀폐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정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커버 및 용기본체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 및 용기본체는 직사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15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150)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2는 용기본체(150)의 내부를 예시하고 도 3은 용기본체(150)의 하부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150)를 예시하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용기본체(150)는 정사각 형상에 가까운 횡단면을 갖고 네 개의 측면(152)과 바닥면(도면부호 없음)에 의해 규정된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용기본체(15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용기본체(150)의 각 측면(152) 상부에는 외향 돌출된 테두리(154)가 구비되어 있다. 테두리(154)는 측면(152)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외향 돌출된 것으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폭(측면(152)에서의 돌출 길이)을 갖는다. 그리고 테두리(154)는 용기본체(150)의 네 개의 측면(152) 모두에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측면(152)에 형성된 테두리(154)는 상호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154)는 용기본체(150)의 각 측면(152) 중앙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측면(152)의 중앙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이동공간(155)이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테두리(154)는 그 단부에 해당하는 테두리단부(156)를 구비한다.
이동공간(155)은 테두리(154)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해당한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 결합하기 위해서 용기본체(150)의 상부에 올려지는 경우, 커버(110)의 내부에 형성된 측면돌기(116)는 이동공간(155)에 의해서 테두리(154)의 방해를 받지 않고 도 8과 같이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잠금날개(126)의 결합돌기(134)가 용기본체(150)에서 분리된 경우에도(커버의 분리 과정), 측면돌기(116)는 테두리(154)의 하부에서 후퇴해서 이동공간(155)에 위치한다. 측면돌기(116)가 테두리(154)의 하부에 위치하지 않고 이동공간(155)에 위치하는 경우 테두리(154)에 대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를 용기본체(15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테두리단부(156)는 테두리(154)의 단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상부걸림홈(158)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하부걸림면(16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걸림홈(158)은 테두리단부(156)에서 일정한 깊이를 갖고 형성된 홈으로서 그 일면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부경사면(160)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서 분리되기 위해서 잠금날개(126)가 회전하는 경우, 잠금날개(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의 돌출부(131)는 상부걸림홈(158)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잠금날개(126)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110)가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걸림홈(158)은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서 분리될 때 걸림돌기(128)가 걸리게 되는 개방된 홈에 해당한다.
상부걸림홈(158)의 일 측은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걸림돌기(128)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부걸림홈(158)의 일 측이 개방됨으로써, 상부걸림홈(158)에서 물과 같은 유체가 쉽게 외부로 유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부걸림홈(158)의 일 측은 개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걸림돌기(128)는 상부걸림홈(158)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걸림홈(158)의 내부에는 상부경사면(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경사면(160)은 상부걸림홈(158)의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에 해당한다. 상부경사면(160)에 의해서 상부걸림홈(158)에 유입된 물과 같은 유체가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테두리단부(156)의 하부에는 하부걸림면(16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걸림면(162)은, 커버(110)에 형성된 측면돌기(116)가 걸리는 부분으로서 평면 또는 곡면 등에 의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하부걸림면(162)의 경사각은 측면돌기(116)의 경사각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걸림면(162)의 경사 방향은 이동공간(155)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걸림면(162)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측면돌기(116)가 하부걸림면(162)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테두리(154)의 하부에는 결합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64)은 테두리단부(156)에 인접해서 형성된 홈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50)는 좌우 대칭적으로 한 쌍의 결합홈(164)을 구비한다. 결합홈(164)에는 잠금날개(126)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돌기(134)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잠금날개(126)가 용기본체(150)에 결합되어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 완전히 결합되는 것이다.
결합홈(164)은 테두리단부(156)와 같이 용기본체(150)의 네 개의 측면(152) 모두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커버(11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커버(110)의 잠금날개(126)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는 용기본체(150)의 상부에 결합하여 그 입구를 밀폐한다. 그리고 커버(110)는 용기본체(15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커버(110)는 상면(112) 및 측면(114)을 구비한다. 상면(112)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 결합한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면이다. 상면(112)은 용기본체(150)의 횡단면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정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면(112)의 가장자리에는 측면(114)이 하향 돌출되어 있다. 측면(114)은 잠금날개(126)가 형성된 일 측에는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측면(114)에 의해서 잠금날개(126)의 회전 및 결합이 방해 받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세 개의 측면(114) 중에서 잠금날개(126)에 인접하는 두 개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114)에는 측면돌기(116)가 내향 돌출되어 있다. 측면돌기(116)는 용기본체(150)의 테두리(154) 중에서 하부걸림면(162)에 걸리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잠금날개(126)가 형성되지 않은 두 개의 측면(152)도 용기본체(150)에 대한 결합력을 일정 강도 이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측면돌기(116)는 측면경사면(117)을 구비한다. 측면경사면(117)은 측면돌기(116)가 걸리는 하부걸림면(162)에 대응하는 형상 및 경사각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측면경사면(170)에 의해서 측면돌기(116)가 하부걸림면(162)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된다.
커버(110)의 내부에는 패킹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홈(118)은 커버(110)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테두리(120)와 측면(114) 사이에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 패킹홈(118)의 내부에는 패킹(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다. 패킹홈(118)에 삽입된 패킹은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 결합한 경우 용기본체(150)의 상단부에 의해서 가압된다. 이로 인해, 커버(110)는 용기본체(150)에 대해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세 개의 측면(114) 중에서 잠금날개(126)가 형성된 부분에 대향하는 측면(114)은 후면(122)에 해당한다. 후면(122)의 내측면에는 후면돌기(124)가 내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 결합하는 경우, 후면돌기(124)는 테두리(154)의 하부에 걸리게 된다(도 9 참조). 이로 인해, 후면(122)에는 잠금날개(126)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후면돌기(124)가 테두리(154)에 걸리게 됨으로써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후면돌기(124)는 후면경사면(125)을 구비할 수 있다. 후면경사면(125)은 잠금날개(126)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평면 또는 곡면에 해당한다. 후면경사면(125)에 의해서 후면돌기(124)가 테두리(154)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잠금날개(126)는 커버(110)의 일 측에 그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잠금날개(126)는 용기본체(150)에 대한 커버(11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은 물론,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잠금날개(126)는 그 내측면에 걸림돌기(128) 및 결합돌기(134)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128)는 잠금날개(126)와 커버(110)의 연결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에 해당한다. 걸림돌기(128)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데, 그 길이는 하나의 측면(152)에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상부걸림홈(158)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걸림돌기(128)의 단부 중앙에는 센터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홈(130)에 의해서 걸림돌기(128)의 양 단부에는 돌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돌출부(131)가 상부걸림홈(158)에 삽입된다(도 10 참조). 이로 인해, 잠금날개(126)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110)가 측방향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측면돌기(116) 및 후면돌기(124)가 테두리(154)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돌출부(131)를 구비하는 걸림돌기(128)는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잠금날개(126)의 회전력을 커버(110)가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힘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잠금날개(126)의 내측면(132)에는 결합돌기(134)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돌기(134)는 돌출부(131)에 비해서 더 넓은 폭을 가지고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34)는 테두리(15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64)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잠금날개(126)가 용기본체(150)의 측면에 결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결합 및 분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잠금날개(126)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8 내지 도 10에서 커버(110)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8을 참고하면, 커버(110)를 용기본체(150)에 결합하기 위해서 우선 커버(110)를 용기본체(150)의 상부에 올려 놓는다. 용기본체(150)는 정사각형이고 네 개의 측면(152)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커버(110)를 용기본체(150)에 대해서 임의의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의 상부에 올려질 때, 커버(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측면돌기(116)는 테두리(154)에 걸리지 않고 이동공간(155)을 통과하면서 도 8과 같이 하부걸림면(162)과 동일한 높이 또는 약간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후면돌기(124)는 테두리(154)에 걸리기 이전의 상태에 있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잠금날개(126)의 결합돌기(134)는 결합홈(164)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이다. 그리고 잠금날개(12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내측면(132)이 테두리(154)에 접하면서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8의 상태에서 잠금날개(126)를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잠금날개(126)가 지렛대 작용을 하면서 커버(110)를 측방향(도 8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도 8의 상태에서 잠금날개(126)를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내측면(132)과 테두리(154)의 접촉 부분이 받침점이 되고, 사용자에 의해서 힘이 가해지는 부분(잠금날개의 외측면 하부)이 힘점이 되며, 잠금날개(126)와 커버(110)가 연결된 부분이 작용점이 된다. 따라서 힘점의 작용에 의해서 받침점을 기준으로 작용점이 움직이게 되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서, 커버(110)와 잠금날개(126)가 연결된 부분(작용점)이 잠금날개(126)의 회전에 의해서 측방향(도 8 및 도 9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9와 같이 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잠금날개(126)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서 잠금날개(126)의 결합돌기(134)가 결합홈(164)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잠금날개(126)는 용기본체(150)에 완전히 결합하게 된다. 또한, 잠금날개(126)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서 측면돌기(116)는 하부걸림면(162)에 걸리게 되고, 후면돌기(124)는 테두리(154)에 걸리게 되면서 도 9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측면돌기(116)는 측면경사면(117)을 구비하고 후면돌기(124)는 후면경사면(125)을 구비하기 때문에, 측면돌기(116) 및 후면돌기(124)가 테두리(154)에 걸리는 과정에서 커버(110)는 다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110)의 하강으로 인해서 패킹(도시하지 않음)이 수축되면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잠금날개(126)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커버(110) 및 용기본체(150)의 네 개의 측면에서 모두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네 개의 측면(152) 중에서 하나의 측면은 잠금날개(126), 후면(122)은 후면돌기(124) 그리고 두 개의 측면(114)은 측면돌기(116)에 의해서 결합력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잠금날개(126)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결합력 및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커버(110)를 용기본체(15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도 9의 상태에서 잠금날개(12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들어 올린다. 이로 인해, 잠금날개(126)의 결합돌기(134)가 결합홈(164)에서 분리되고 걸림돌기(128)의 돌출부(131)가 상부걸림홈(158)에 삽입되어 도 8 및 도 10의 상태로 된다.
걸림돌기(128)의 돌출부(131)가 상부걸림홈(158)에 삽입된 도 10의 상태에서, 잠금날개(126)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커버(11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걸림돌기(128)가 상부걸림홈(158)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날개(126)의 반시계 방향 회전력이 커버(11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힘으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커버(11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측면돌기(116) 및 후면돌기(124)가 테두리(154)에 대한 걸림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110)는 용기본체(150)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축되어 있는 패킹(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압박이 해제되어 패킹이 탄성 복원된다. 이로 인해 커버(110)가 용기본체(150)에서 분리될 때 그 높이가 다소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패킹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경사면(117, 125)을 구비하는 측면돌기(116) 및 후면돌기(124)가 테두리(154)에 대한 걸림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커버(210)가 용기본체(250)에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1에서 커버(210)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고 다만, 용기본체(250)의 일 측에 형성된 한 쌍의 테두리단부(256) 사이에는 중앙테두리(254a)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해서 커버(210)는 두 개의 측면돌기(216) 및 세 개의 후면돌기(2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테두리(254a)는 한 쌍의 테두리단부(256)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테두리(254)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중앙테두리(254a)의 단부와 테두리단부(256) 사이에는 일정한 이동공간(25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테두리단부(256)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테두리단부(156)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기본체(250)에 형성된 중앙테두리(254a)에는 커버(210)의 측면돌기(216) 중의 하나가 그 하부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커버(210)가 두 개의 측면돌기(216)를 구비하는 경우 하나는 테두리단부(256)에 걸리게 되고 나머지 하나는 중앙테두리(254a)에 걸리게 된다.
용기본체(250)에 형성된 중앙테두리(254a)에는 커버(210)의 후면돌기(224) 중 하나가 그 하부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커버(210)가 세 개의 후면돌기(224)를 구비하는 경우 양 단부의 두 개는 테두리(254)에 걸리게 되고 나머지 하나는 중앙테두리(254a)에 걸리게 된다.
커버(210)는 잠금날개(226)를 구비한다. 잠금날개(226)는 그 내측면에 돌출부(231)를 구비한다. 돌출부(231)는 위에서 설명한 저장용기(100)의 돌출부(131)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중앙테두리(254a)를 구비하기 때문에 돌출부(231) 사이에 센터홈(면부호 130 참조)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중앙테두리(254a)에 의해서 잠금날개(226)의 작동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중앙테두리(254a)를 구비하는 경우 한 쌍의 돌출부(231)의 사이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센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위에서 설명한 저장용기(100)에 비해서 크기가 큰 경우에 해당한다. 물론, 저장용기가 더 큰 크기를 갖는 경우 용기본체의 일 측면에 한 쌍이 아닌 두 쌍 이상의 상호 대향하는 테두리단부(156)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용기본체가 정사각이 아닌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경우 길이가 길고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에만 테두리단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측면에는 테두리단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저장용기
110, 210: 커버
150, 250: 용기본체
156, 256: 테두리단부

Claims (8)

  1.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그 일 측에 잠금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는 그 측면에서 외향 돌출된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에는 상호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테두리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단부는 상부걸림홈 및 하부걸림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걸림홈은 그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경우 상기 하부걸림면에 걸리게 되는 측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날개는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상부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단부는 한 쌍이 일정 거리의 이동공간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홈에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후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경우 상기 후면돌기는 상기 테두리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날개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에는 중앙테두리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중앙테두리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센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이동공간은 상기 용기본체 측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걸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KR1020160045292A 2016-03-07 2016-04-14 저장용기 KR20160048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292A KR20160048734A (ko) 2016-04-14 2016-04-14 저장용기
PCT/KR2017/002432 WO2017155270A1 (ko) 2016-03-07 2017-03-07 저장용기
US16/078,019 US20190047753A1 (en) 2016-03-07 2017-03-07 Sto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292A KR20160048734A (ko) 2016-04-14 2016-04-14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734A true KR20160048734A (ko) 2016-05-04

Family

ID=5602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292A KR20160048734A (ko) 2016-03-07 2016-04-14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8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727A (ko) 2018-01-09 2019-07-17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저장용기
KR20210029634A (ko) * 2019-09-06 2021-03-16 구홍식 보관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727A (ko) 2018-01-09 2019-07-17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저장용기
KR20210029634A (ko) * 2019-09-06 2021-03-16 구홍식 보관용기
WO2021075863A1 (ko) * 2019-09-06 2021-04-22 구홍식 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4008B1 (en) Drinking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s
JP6111272B2 (ja) 格納容器
KR101960488B1 (ko) 용기본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US9266649B1 (en) Safety container providing optional opening and closing arrangements
RU2756746C1 (ru) Контейнер с защелкивающейся крышкой
KR20160048734A (ko) 저장용기
RU2004126150A (ru) Контейнер мног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о складными стенками
KR20150030128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JP6865414B2 (ja) 包装用容器
US20040099686A1 (en)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WO1999054222A1 (en) Hinge connection
JP6396111B2 (ja) 蓋体及び蓋体付き容器
KR20140120237A (ko) 저장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101940016B1 (ko) 저장용기
US20190047753A1 (en) Storage container
JP2020517533A (ja) カバーキャップ付きクロージャ
KR101285178B1 (ko) 밀폐용기
KR20160033086A (ko) 밀폐용기용 커버
KR20170103589A (ko) 밀폐용기용 커버
KR20180004415A (ko) 저장용기
KR20190033243A (ko) 저장용기
JP6686573B2 (ja) 容器蓋
JP2020083351A (ja) 包装用容器
KR20160136570A (ko) 저장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