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570A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570A
KR20160136570A KR1020150070213A KR20150070213A KR20160136570A KR 20160136570 A KR20160136570 A KR 20160136570A KR 1020150070213 A KR1020150070213 A KR 1020150070213A KR 20150070213 A KR20150070213 A KR 20150070213A KR 20160136570 A KR20160136570 A KR 2016013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container body
pack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102015007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570A/ko
Publication of KR2016013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48Flange or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57U-shaped or inverted 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59Flange or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는, 용기본체의 측면에 걸리게 되는 커버걸림돌기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며, 커버의 내측에는 패킹이 삽입되어 있고,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커버걸림돌기가 용기본체의 측면에 걸린 상태에서 패킹의 팽창에 의해서 회전부재가 구비된 커버의 일 측이 상승한다.

Description

저장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커버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저장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저장용기(10)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버(12) 및 용기본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12)의 둘레에는 결합날개(14)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16)의 둘레에는 네 개의 결합날개(14)가 걸리게 되는 걸림단턱(1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 결합하여 용기본체(16)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 걸리게 해야 한다. 그리고 커버(12)를 용기본체(16)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결합날개(14)를 모두 위로 당겨서 걸림단턱(18)에서 분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저장용기(10)는 커버(12)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결합날개(14)를 모두 아래로 당기거나 또는 위로 당겨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커버(12)의 분리 또는 결합 과정에서 네 개의 결합날개(14) 중에서 하나의 결합날개(14)라도 잠그지 않게 되면, 용기본체(16)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 내리거나 용기본체(16)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8253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커버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커버는, 용기본체의 측면에 걸리게 되는 커버걸림돌기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며, 커버의 내측에는 패킹이 삽입되어 있고, 회전부재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커버걸림돌기가 용기본체의 측면에 걸린 상태에서 패킹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회전부재가 구비된 커버의 일 측이 상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회전부재는 용기본체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커버를 회전부재가 구비된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용기본체의 측면에는 용기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걸림돌기에 회전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걸림돌기는 용기걸림돌기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커버걸림돌기는 걸림경사면을 구비하고, 용기걸림돌기는 걸림경사면에 대응하는 하부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패킹은 커버에서 커버걸림돌기(120) 및 회전부재(130)가 구비되지 않는 중앙 부분에서 하향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는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을 구비하고, 커버에서 커버걸림돌기와 회전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는 패킹홈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내부둘레면을 구비하고, 내부둘레면은 회전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내부둘레면을 구비하고, 내부둘레면은 커버의 중앙 부분에서 하향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커버는 측면돌기를 구비하고, 측면돌기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용기본체의 측면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측면돌기의 경사면은 커버걸림돌기의 경사면에 비해서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를 용기본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커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커버에서 회전부재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용기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의 일 측이 용기본체에 걸려있고 타측은 상승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가 이동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 및 용기본체(16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커버(110), 용기본체(160) 및 패킹(도 5의 도면부호 150 참조)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110)는 그 둘레에 용기본체(160)에 결합하기 위한 회전부재(13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30)를 조작함으로써 커버(110)를 용기본체(160)에 대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다.
커버(110)의 내부에는 패킹(150)이 결합된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된 경우, 패킹(150)은 커버(110)와 용기본체(160) 사이에 개재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또한,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서 분리되는 경우, 패킹(15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팽창하여서 커버(110)의 일 측이 상승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버(110)는 용기본체(160)에 결합하여 용기본체(160)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110)의 일 측면에는 하나의 회전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버(110)는, 회전부재(130)가 용기본체(160)의 용기걸림돌기(16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본체(160)에 대해 결합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 및 용기본체(160)는 정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 및 용기본체는 직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110)는 커버바디(112), 외부둘레면(114), 커버걸림돌기(120), 내부둘레면(124) 및 패킹홈(128)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110)의 외부둘레면(114) 중 일 측에는 회전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커버바디(112)는 용기본체(160)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므로 용기본체(16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커버바디(112)는 용기본체(160)에 올려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즉, 측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용기본체(160)의 입구에 비해 약간 크게 형성된다. 커버바디(112)의 둘레에는 외부둘레면(114)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바디(112)의 내측에는 내부둘레면(124) 및 패킹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면(114)은 커버(1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커버바디(112)의 단부에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사각 형상을 갖는 커버바디(112)에서, 그 세 개의 측면에는 외부둘레면(114)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둘레홈(118)이 형성된 부분)에는 외부둘레면(114)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형성되어 있더라도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외부둘레면(114)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회전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는 외부둘레면(114)이 커버바디(112)의 세 개의 측면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하향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커버(110)를 그 내면이 바닥을 향하게 두더라도, 커버(110) 내부의 내부둘레면(124) 및 패킹(150)은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커버(110)를 뒤집어 놓지 않더라도, 커버(110)에 의해 바닥면이 오염되거나 또는 바닥면에 의해 커버(110)의 내면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외부둘레면(114)의 일 측에는 둘레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둘레홈(118)은 외부둘레면(114) 중에서 둘레면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거나 또는 둘레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해당한다. 둘레홈(118)은, 커버(110)의 일 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회전부재(13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부둘레면(114)의 내측에는 한 쌍의 커버걸림돌기(1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커버걸림돌기(120)는 외부둘레면(114) 중에서 회전부재(130)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커버걸림돌기(120)는 용기본체(160)에 형성된 용기걸림돌기(162)에 걸리게 된다.
커버걸림돌기(120)는 그 선단부에 걸림경사면(122)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경사면(122)은 일정한 경사각을 가져서, 용기걸림돌기(162)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한다. 걸림경사면(122)은 용기걸림돌기(162)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경사면(164)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는 한 쌍의 커버걸림돌기(12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걸림돌기의 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걸림돌기를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커버걸림돌기(120)는 용기본체(160)의 용기걸림돌기(162)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용기본체(160)의 측면 어디에도(예를 들면, 용기테두리(170)) 결합할 수 있다.
커버바디(112)의 내면에는 내부둘레면(124)이 하향 돌출되어 있다. 내부둘레면(124)은 외부둘레면(114)의 내부에 위치한다.
내부둘레면(124)과 외부둘레면(114)의 사이에는 내부단턱(125)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단턱(125)의 내측면(126)과 내부둘레면(124)의 외측면은, 패킹(150)이 삽입되는 패킹홈(128)을 형성한다.
내부단턱(125)은 외부둘레면(114)에서 내측으로 다소 돌출된 부분에 해당한다. 내부단턱(125)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부둘레면(1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단턱(125) 및 내부둘레면(124)은 커버(110)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내부단턱(125) 중에서, 회전부재(130)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은 둘레홈(118)에 의해서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패킹홈(128)은 내부단턱(125) 및 내부둘레면(124)에 의해 형성되는 홈으로서, 그 내부에는 패킹(150)이 삽입된다. 패킹홈(128)은 커버(110)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패킹홈(128) 중에서 일 부분은 그 바닥면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다소 높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패킹(150)의 일부가 하향 돌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정사각형의 패킹홈(128) 중에서 커버걸림돌기(120) 및 회전부재(130)가 구비되지 않는 두 개의 측면에 위치하는 패킹홈(128)의 중앙이 점선 c와 같이 다소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패킹(150)이 다소 하향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도 5의 a 부분). 도 5에서 일점쇄선 b는 볼록하게 형성되지 않은 패킹홈(128)의 바닥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돌출된 패킹(150)은, 커버(110)의 네 개의 측면 중에서 용기본체(160)에 결합되지 않는 두 개의 측면(커버걸림돌기(120) 및 회전부재(130)가 구비되지 않는 측면)에서 더욱 강한 밀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패킹홈(128)에서 바닥면이 다소 높게 형성된 부분(도 3의 a 부분)에서, 패킹홈(128)의 폭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른 부분에 비해서 하향 돌출된 패킹(150)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패킹홈(128)에 의해서 용이하게 수축할 수 있게 된다.
패킹(150)은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수지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이 용이한 재질에 의해서 형성된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하는 경우, 패킹(150)은 다소 수축되면서 밀폐력을 제공한다. 또한,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서 분리되기 위해서 회전부재(130)가 용기본체(160)에서 분리되는 경우, 패킹(150)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팽창하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의 일 측(회전부재(130)가 형성된 측면)이 상승하게 된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패킹(150)은,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서 분리되는 경우, 커버(110)의 일 측을 상승시켜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는 하나의 회전부재(130)를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30)는 커버(110)의 외부둘레면(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회전부재(130)는 연결단부(132), 가압면(134) 및 잠금돌기(136)를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30)는 커버바디(112)와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될 수 있지만, 커버바디(112)와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단부(132)는 회전부재(130)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회전부재(130)의 회전 중심에 해당한다. 연결단부(132)는 회전부재(13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얇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회전부재(13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가압면(134)은 회전부재(130)의 내측면에 해당한다. 가압면(134)은, 회전부재(130)가 회전하여 용기본체(160)의 용기걸림돌기(162)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용기걸림돌기(162)의 측면을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가 회전부재(130)가 구비된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압면(134)에는 용기본체(160)의 측면에 대한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다소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3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잠금돌기(136)가 돌출되어 있다. 잠금돌기(136)는 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잠금돌기(136)는 용기걸림돌기(162)와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16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용기본체(16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용기본체(160)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60)는 일정한 부피를 갖고 그 내부에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수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는다. 용기본체(160)는 좌우 및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10)의 회전부재(130)가, 도 6에 예시된 용기본체(160)에 대해 임의의 방향에 배치되더라도 용기본체(160)에 대해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용기본체(160)는 용기테두리(170) 및 용기걸림돌기(162)를 구비한다.
용기테두리(170)는 용기본체(160)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일부 용기테두리(170)의 단부에는 하향 돌출된 용기걸림돌기(16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테두리(170)에는 용기단부(172)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한 경우, 용기단부(172)는 패킹(150)에 의해 가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는 용기단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용기테두리(170)가 용기걸림돌기(162)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용기걸림돌기(162)는 일부의 용기테두리(170)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하향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60)에서 용기걸림돌기(162)는, 용기본체(160)의 네 개의 측면 중에서 상호 대향되는 두 개의 측면 중앙에 형성된다. 물론, 용기걸림돌기(162)는 용기본체(160)의 네 개의 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걸림돌기(162)의 길이는 용기본체(160)의 측면에 비해서 다소 짧게 형성된다.
용기걸림돌기(162)에는 하부경사면(16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경사면(164)은 용기본체(160)의 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커버걸림돌기(12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경사면(122)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하부경사면(164)에 의해서 커버걸림돌기(120)가 용기걸림돌기(162)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된다.
용기걸림돌기(162)의 내측에는 잠금홈(166)이 형성된다. 잠금홈(166)은 용기본체(160)의 측면, 용기테두리(170)의 하면 및 용기걸림돌기(162)의 내측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홈에 해당한다. 잠금홈(166)에는 회전부재(130)의 잠금돌기(136)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회전부재(130)가 용기본체(160)의 측면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도 9 참조).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올려져서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9는 도 8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30)의 회전으로 인해서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30)가 용기본체(160)의 측면에서 분리되어 커버(110)의 일 측이 다소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커버(110)와 용기본체(16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 커버(110)를 용기본체(160)의 상부에 올려 놓는다. 이때, 회전부재(130)는 용기본체(160)의 측면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이고, 커버걸림돌기(120)도 용기본체(160)의 측면에 해당하는 용기걸림돌기(162)에 걸리기 이전의 상태에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130)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가압면(134)은 용기테두리(170)의 단부와 접하고 있다. 또한, 패킹(150)의 중앙 부분(a)은 내부둘레면(124)에 비해서 다소 하향 돌출된다.
도 8의 상태에서 회전부재(130)를 누르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30)의 가압면(134)이 용기테두리(170)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110)가 측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된 도 9의 상태가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부재(130)와 용기본체(160)의 결합으로 인한 커버(110)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서, 커버(110)와 용기본체(160)는 상호 결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160)의 개방된 입구가 커버(110)에 의해서 완전히 폐쇄된다. 그리고 패킹(150)은 용기본체(160)의 용기단부(172)에 의해서 가압되어서 그 형상이 변형된다. 또한, 커버(110)의 커버걸림돌기(120)는 용기걸림돌기(162)의 하부에 완전히 걸리게 되고, 잠금돌기(136)는 잠금홈(166)에 완전히 삽입된다.
회전부재(130)가 용기본체(160)의 측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커버(110)는 다소 하강할 수 있다. 즉,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11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버걸림돌기(120)의 걸림경사면(122)이 용기걸림돌기(162)의 하부경사면(164)과 접촉한 상태에서 하향 이동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가 다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110)에서 커버걸림돌기(120)의 반대 부분(즉, 회전부재(130)가 구비된 부분)은 사용자가 회전부재(130) 누르면서 회전시키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하향 가압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커버(110)의 전체 면이 수평 하강하여 패킹(150)이 더욱 가압되면서 밀폐력이 상승하게 된다.
도 9와 같이,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패킹(150) 중에서 볼록하게 하향 돌출된 부분(도 8의 a 부분 참조)은 용기본체(160)에 의해서 완전히 가압된다. 따라서 커버(110)의 네 측면 중에서 회전부재(130) 또는 커버걸림돌기(120)가 구비되지 않은 두 개의 측면은, 커버걸림돌기(120) 또는 회전부재(13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밀폐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9의 상태에서 커버(110)를 용기본체(16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회전부재(130)를 결합 반대 방향(도 9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예시됨)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부재(130)의 반대 방향 회전에 의해서 회전부재(130)가 용기걸림돌기(162)에서 분리된다. 회전부재(130)가 용기본체(160)의 측면에 형성된 용기걸림돌기(162)에서 분리되는 경우, 패킹(150)이 탄성 복원되면서 커버(110)를 위로 밀어 올린다. 이때, 커버(110)는 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커버걸림돌기(120)는 용기본체(160)의 용기걸림돌기(16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커버(110)는 회전부재(130)가 구비된 일 측이 상승하여 용기본체(160)에서 분리되고, 그 반대측(커버걸림돌기(120)가 구비되어 있는 부분)은 용기본체(16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서, 도 10과 같이 전체적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도 10의 상태에서, 커버(110)를 들어 올리면 용기본체(16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회전부재(130)를 이용하여 커버(110)를 용기본체(160)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커버(110)를 용기본체(16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회전부재(130)를 용기본체(160)에서 분리하는 경우, 커버걸림돌기(120)가 용기걸림돌기(162)에 걸린 상태에서 패킹(150)의 팽창에 의해서 회전부재(130)가 구비된 커버(110)의 일 측이 자동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커버(110)를 용기본체(16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커버(210)가 용기본체(260)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구성이 대부분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다만, 회전부재(230)가 가압돌기(238)를 구비하고, 용기본체(260)가 상부돌기(264)를 추가로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커버(210)는 커버걸림돌기(220)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의 커버걸림돌기(12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부재(230)는 가압면(234) 및 잠금돌기(236)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가압면(134) 및 잠금돌기(136)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회전부재(230)는 그 단부에 가압돌기(238)를 구비한다. 가압돌기(238)는 ㄱ 형상을 갖는 것으로, 용기본체(260)에 형성된 걸림홈(265)에 삽입되어서 커버(210)를 밀어 올리거나 커버걸림돌기(220)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용기(200)를 냉장고 등에 장시간 보관하여 패킹(150)이 수축한 것과 같이 커버(210)가 잘 열리지 않을 수 있는데, 이때 가압돌기(238)가 커버(210)의 일 측을 강제로 상승시킴으로써 커버(210)를 용기본체(260)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용기본체(260)의 측면에는 용기걸림돌기(262)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걸림돌기(262)는 상부돌기(264) 및 하부돌기(266)를 구비한다. 상부돌기(264)에 의해서 걸림홈(265)이 형성되고, 하부돌기(266)에 의해서 잠금홈(268)이 형성된다. 잠금홈(26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잠금홈(166)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걸림홈(265)은 회전부재(230)의 가압돌기(238)가 삽입되는 홈에 해당한다. 즉, 커버(210)가 용기본체(260)에서 분리되는 경우, 회전부재(230)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돌기(238)가 걸림홈(265)에 삽입되어 그 내면을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230)를 더욱 회전시키면 가압돌기(238)는 걸림홈(265)의 내면을 가압하게 되고 그 반작용에 의해서 커버(210)가 들어 올려지면서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서 커버(310)가 용기본체(360)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커버(310)가 용기본체(360)에 분리된 상태(a) 및 결합된 상태(b)를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는 원형의 커버(310) 및 용기본체(360)를 구비한다.
커버(310)는 커버걸림돌기(320) 및 회전부재(330)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의 커버걸림돌기(120) 및 회전부재(1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커버(310)는 측면돌기(312)를 구비한다. 측면돌기(312)는 커버(310)가 용기본체(360)에 결합하면서 측 방향(도 13에서는 상향 이동)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기테두리(362)의 하측에 걸리게 된다. 측면돌기(312)가 용기본체(360)의 둘레에 해당하는 용기테두리(362)에 걸리게 됨으로써, 커버걸림돌기(320) 및 회전부재(330)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서 커버(310)의 밀폐력이 강화될 수 있다.
용기본체(360)의 둘레 전체에는 용기테두리(362)가 구비되어 있다. 용기테두리(362)에는 측면돌기(312) 및 커버걸림돌기(320)가 각각 걸리게 된다. 도 13의 (a)를 참고하면, 커버(310)가 용기본체(360)에 결합되기 이전에는 측면돌기(312) 및 커버걸림돌기(320)가 용기테두리(362)에 걸리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회전부재(330)를 회전시켜서 용기본체(360)의 측면에 결합시키면(도 9 참조), 커버(31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로 인해 측면돌기(312) 및 커버걸림돌기(320)가 용기테두리(362)에 걸리게 되면서 도 13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측면돌기(312)는 측면돌기 경사면(314)을 구비한다. 측면돌기 경사면(314)은 측면돌기(312)가 용기테두리(362)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한다. 측면돌기 경사면(314)의 경사각은 커버걸림돌기(32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도 5의 도면부호 122 참조)에 비해 같거나 더 큰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310)가 용기본체(360)에서 분리될 때, 측면돌기(312)가 용기테두리(362)에서 분리되지만 커버걸림돌기(320)는 용기테두리(362)에서 분리되지 않고 걸림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측면돌기(312)는 커버(310)의 상면 중심에서 회전부재(330)에 비해서 커버걸림돌기(320)에 더욱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의 (b)의 상태에서, 커버(310)를 용기본체(36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동일하게, 회전부재(330)를 회전시켜서 용기본체(360)의 측면에서 분리하면 된다. 회전부재(330)가 용기본체(36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동일하게 커버(310)의 일 측면(회전부재(330)가 형성된 부분)이 패킹(도시하지 않음)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도 10 참조). 이때, 커버걸림돌기(320)는 용기테두리(362)와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측면돌기(312)는 용기테두리(362)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커버(310)를 들어 올려서 용기본체(36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410, 51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4 및 도 15에서 점선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의 중앙 부분(도 3의 a 부분)에 위치하는 내부둘레면(도 3의 도면부호 124 참조)을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에 예시된 커버(410, 5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와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내부둘레면(424, 524)의 형상 및 패킹홈(428, 528)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점을 갖는다.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커버(410, 5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와는 달리 패킹홈(428, 528)의 바닥면 높이 및 폭이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커버(410, 510)의 네 측면에서 커버걸림돌기(420, 520) 또는 회전부재(430, 530)가 형성되지 않은 두 개의 측면에 위치하는 내부둘레면(424, 524)은 그 중앙이 점선에 비해서 볼록하거나(도 14) 또는 회전부재(530)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둘레면(424, 524)의 높이를 중앙이 볼록하게(도 14) 또는 회전부재(530) 방향으로 높게 형성함으로써, 커버(410, 510)의 일 방향(커버걸림돌기(420, 520) 및 회전부재(430, 53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버(410, 510)의 일 방향에서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저장용기
110, 210, 310: 커버
130, 230, 330: 회전부재
160, 260, 360: 용기본체

Claims (11)

  1. 커버 및 용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 걸리게 되는 커버걸림돌기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패킹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커버걸림돌기가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패킹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부재가 구비된 커버의 일 측이 상승하는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커버를 상기 회전부재가 구비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는 용기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걸림돌기에 상기 회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걸림돌기는 상기 용기걸림돌기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걸림돌기는 걸림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걸림돌기는 상기 걸림경사면에 대응하는 하부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커버에서 상기 커버걸림돌기와 상기 회전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하향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서 상기 커버걸림돌기와 상기 회전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패킹홈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부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둘레면은 상기 회전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부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둘레면은 상기 커버의 중앙 부분에서 하향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측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돌기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돌기의 경사면은 상기 커버걸림돌기의 경사면에 비해서 경사각이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KR1020150070213A 2015-05-20 2015-05-20 저장용기 KR20160136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13A KR20160136570A (ko) 2015-05-20 2015-05-20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13A KR20160136570A (ko) 2015-05-20 2015-05-20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570A true KR20160136570A (ko) 2016-11-30

Family

ID=5770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213A KR20160136570A (ko) 2015-05-20 2015-05-20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5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485B2 (en) Latchable lid assemblies
US9637281B2 (en) Container
RU2613170C2 (ru) Емкость
US20140224799A1 (en) Lid And Container Provided Therewith
KR200461241Y1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KR20150030128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20180126638A (ko) 밀폐용기
JP4813354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ヘッド
KR20140120237A (ko) 저장용기
KR100856469B1 (ko) 밀폐용기
KR20140115535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20160136570A (ko) 저장용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JP7178795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940016B1 (ko) 저장용기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180004415A (ko) 저장용기
KR200487921Y1 (ko) 식품 포장용기
KR20140002515U (ko) 밀폐뚜껑
KR20160048734A (ko) 저장용기
JPWO2017078166A1 (ja) 口栓、および口栓を有するフィルム製容器
JP6812081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365929Y1 (ko)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원터치 체결 구조
JP6821248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3292004A (ja) 注出キャ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