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016B1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016B1
KR101940016B1 KR1020180056347A KR20180056347A KR101940016B1 KR 101940016 B1 KR101940016 B1 KR 101940016B1 KR 1020180056347 A KR1020180056347 A KR 1020180056347A KR 20180056347 A KR20180056347 A KR 20180056347A KR 101940016 B1 KR101940016 B1 KR 10194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body
pressing member
folding lin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우
Original Assignee
구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1638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400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구현우 filed Critical 구현우
Priority to PCT/KR2018/01204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8320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용기본체와,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폴딩라인과, 폴딩라인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커버 및 제2 커버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와, 폴딩라인의 상부 및/또는 폴딩라인의 상부 주변을 가압하여 커버가 펼쳐지도록 해서 용기본체를 밀폐하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커버가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펼쳐지면서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용기본체에 걸리면서 결합하고,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접히면서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는 저장용기.

Description

저장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 등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저장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각형 커버의 둘레에는 네 개의 회전부재(잠금날개)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부재는 용기본체의 둘레에 형성된 돌기 등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의 내측에는 밀폐를 위해서 패킹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저장용기는 커버가 회전부재에 의해서 용기본체에 결합하고, 이로 인해 패킹이 수축됨으로써 밀폐력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장용기는 네 개의 회전부재를 모두 열거나 또는 잠궈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유럽 특허출원공개공보 EP0078646호에는 접이식 커버가 구비된 보관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서 사용자는 접이식 커버를 접혀서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분리하고, 접이식 커버를 용기본체에 올려 놓음으로써 용기본체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보관용기는 커버가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고, 커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이 용기본체의 상부에 삽입되기만 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밀폐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보관용기는 한 손으로 개폐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다.
유럽 특허출원공개공보 EP0078646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력이 우수하고 한 손만을 이용해서 커버를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용기본체와,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폴딩라인과, 폴딩라인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커버 및 제2 커버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는 저장용기로서, 폴딩라인 선상 또는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제1커버 및 제2 커버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며, 가압부재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펼쳐지면서 용기본체에 걸림돌기가 결합하고, 가압부재가 용기본체와 결합함으로써 커버는 용기본체에 이중으로 결합하여 밀폐하며, 가압부재의 타 방향 회전에 의해서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접히면서 용기본체와 분리되고, 가압부재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부재는 커버와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는 커버와 별로도 형성된 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재의 회전방향에 의해서, 가압부재가 제1 커버 및 제 커버를 가압하여 펼쳐지게 하거나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접힐 수 있게 할 수 있다.
가압부재는 커버의 상면의 폴딩라인 선상 또는 부근에 형성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가압부재의 가압을 해제한 후 가압부재를 잡고 들어 올리면 커버 전체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다.
폴딩라인은 일정한 폭을 갖고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하며, 커버가 접히거나 펴지는 과정에서 폴딩라인의 폭이 축소되거나 또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용기본체는 측면돌기가 걸릴 수 있는 측면걸림홈을 구비하고, 측면걸림홈에 대해 측면돌기가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 될 때 오버랩이 발생하는 경우, 폴딩라인의 변형에 의해서 측면돌기가 오버랩을 극복할 수 있다.
폴딩라인은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가압부재가 밀폐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압부재의 헤드가 용기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삽입홈에 걸림 상태가 되게 삽입되어 밀폐력을 이중으로 보강할 수 있다.
용기본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고, 손잡이는 파지부와, 용기본체에 걸리는 걸림부와, 파지부 및 걸림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연결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얇게 형성된 탄성구간을 구비할 수 있다.
용기본체는 상부테두리를 구비하고, 상부테두리에는 상부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돌기는 상부테두리 중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돌기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커버는 그 상면에 형성되어 상향 돌출된 유지돌기를 구비하고, 가압부재는 가압리브를 구비하며, 커버가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경우, 가압리브는 유지돌기를 하향 및 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커버는 커버삽입홈을 구비하고, 가압부재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커버가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경우, 결합돌기는 커버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용기본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고, 용기본체는 손잡이를 커버하는 손잡이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본체는 결합홀을 구비하고, 손잡이는 파지부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결합부는 결합홀에 삽입되는 핀삽입홀을 구비하고, 핀삽입홀은 결합홀을 관통할 때 그 크기가 축소되며, 결합홀을 관통한 후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력이 우수하고 한 손만을 이용해서 커버를 용기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가압부재의 결합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가압부재의 결합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손잡이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가압부재에 의해서 커버가 밀폐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밀폐된 경우 측면돌기가 측면걸림홈에 걸린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가압부재와 커버의 결합 부분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손잡이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가압부재가 분리되고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의 상부를 커버한 후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커버가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저장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저장용기(100)의 커버(110)는 용기본체(160)의 상부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커버(110), 가압부재(140), 용기본체(160) 및 손잡이(180)를 포함한다. 커버(110)는 폴딩라인(116)을 기준으로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로 구분되고 반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가압부재(140)는 커버(110)의 상면에서 폴딩라인(116)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가압부재(140)의 회전 방향에 의해서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대해서 개방 또는 밀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부재(140)가 수평으로 위치하는 경우 커버(110)는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도 1 참조), 가압부재(140)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 커버(110)는 개방 될 수 있다(도 10 참조).
용기본체(16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용기본체(160)는 네 개의 측면(162)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저장용기(100)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정육면체,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본체(160)의 상단부에는 상부테두리(164)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테두리(164)는 측면(162)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다소 돌출되고, 그 내측에는 내측단턱(17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10)는 상부테두리(164)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부테두리(164)의 내부면에는 커버(11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측면걸림홈(168) 및 걸림홈(172)이 구비되어 있다.
측면걸림홈(168)은 커버(110)의 측면돌기(124)가 결합되는 홈에 해당한다. 즉, 도 9를 참고하면,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한 경우 측면돌기(124)는 측면걸림홈(168)에 걸린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160)에 대한 커버(110)의 밀폐력이 강화된다.
측면걸림홈(168)은 하부경사면(170)을 갖는다. 측면걸림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 삽입된 경우, 하부경사면(170)에 의해서 쉽게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물론, 커버(110)가 개방되기 위해서 접히는 경우, 측면걸림돌기(124)는 커버의 수평 또는 수평 및 수직 방향 동시 수축에 의해서 측면걸림홈(168)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걸림홈(172)은 커버(110)의 걸림돌기(126)가 삽입되는 홈에 해당한다. 따라서 걸림홈(172)은 커버(110)의 외측테두리(122)에 형성된 걸림돌기(126)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된다. 커버(110)가 펼쳐지면서 용기본체(160)에 결합할 때, 커버(110)의 걸림돌기(126)는 걸림홈(172)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160)에 대한 커버(110)의 결합력이 강화된다.
상부테두리(164)의 중앙에는 레버삽입홈(166)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삽입홈(166)은 한 쌍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서, 가압부재(140)의 헤드(15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커버(110)가 밀폐된 경우, 레버삽입홈(166)에는 헤드(150)가 삽입되어 있다. 이때, 헤드(150)에 형성된 절개면(152)은 수평으로 위치하면서 헤드(150)의 수평 방향 폭을 최대로 해서 레버삽입홈(166)에서 빠지지 않게 한다. 또한, 도 10과 같이 커버(110)가 개방되는 경우, 헤드(150)에 형성된 절개면(152)은 수직으로 위치하면서 헤드(150)의 수평 방향 폭을 최소로 해서 레버삽입홈(166)에서 빠질 수 있게 한다.
용기본체(160)의 내부에서 형성된 내측단턱(174)은 측면(162)과 상부테두리(164)를 구분하는 경계에 해당한다. 즉, 내측단턱(174)은 측면(162)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다소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고, 상부테두리(164)는 내측단턱(174)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된다. 용기본체(160)에 커버(110)가 결합하는 경우, 커버(110)의 외측테두리(122) 및 패킹(134)은 내측단턱(17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용기본체(160)에서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162)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7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176)에는 손잡이(180)를 결합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홈(178)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78)은 ㄱ 형상을 갖고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결합홈(178)에는 손잡이(180)의 연결부(184)가 삽입되고, 손잡이(180)의 걸림부(188)는 플랜지(176)의 하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장용기(100)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180)를 들어 올려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를 각각 예시하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는 직사각 형상이고 폴딩라인(116)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커버(110)는 폴딩라인(116)을 기준으로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는 폴딩라인(116)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가 폴딩라인(116)을 기준으로 접히는 경우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가 이루는 각은 180도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10)가 펼쳐진 경우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는 모두 수평으로 위치하면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폴딩라인(116)은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를 연결하면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폴딩라인(116)은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고 일정한 폭을 가져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딩라인(116)은 얇게 형성된 탄성 변형 구간에 해당한다.
도 3에서는 폴딩라인(116)이 정면에서 볼 때 직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곡선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폴딩라인(116)의 폭(a)은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가 수평 방향으로 확대 또는 수축할 수 있는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커버(110)를 용기본체(160)에 결합하는 경우, 측면돌기(124)는 측면걸림홈(168)에 대해 길이 a만큼 오버랩(overlap) 되면서 그 하부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도 9의 점선으로 표시된 측면돌기(124) 참조). 이때, 커버(110)를 더욱 하향 가압하면 폴딩라인(116)이 수축하면서 측면돌기(124)가 화살표 방향으로 다소 후퇴해서 상부경사면(171)을 타고 하향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돌기(124)가 하부경사면(170)과 접촉하면, 폴딩라인(116)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데, 이로 인해 측면돌기(124)가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측면걸림홈(168)에 완전히 걸리게 된다.
커버(110)를 용기본체(16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도 폴딩라인(116)의 수축 및 복원에 의해서 측면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 걸리는 길이는 도 9에 표시된 오버랩되는 길이에 비례하고, 이로 인해 폴딩라인(116)의 폭도 증가할 수 있다.
커버(110)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1 커버(112), 제2 커버(114) 및 폴딩라인(116)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폴딩라인(116)에 인접해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117)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커버(110)는 하나의 폴딩라인(116)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두 개 이상의 폴딩라인(116)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폴딩라인(116)은 커버(110)의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커버(110)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의 상면에는 상면돌기(118)가 폴딩라인(116)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돌기(118)는 폴딩라인(116)의 일단 및 타단에 인접해서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110)의 상면에는 모두 네 개의 상면돌기(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돌기(118)는 커버(110)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고 돌출 형성된다.
상면돌기(110)에는 호(arc) 형상의 연결부재(120)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120)는 폴딩라인(116) 상에 위치하면서 폴딩라인(116)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면돌기(110)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한다. 연결부재(120)는 폴딩라인(116)과 같이 얇게 형성되어서 변형이 가능한데, 이로 인해 커버(110)의 접힘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부재(120)는 가압부재(140)가 커버(11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커버(1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외측테두리(122)가 구비되어 있다. 외측테두리(122)는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커버(110)의 내면이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오염을 방지한다. 외측테두리(122)는 폴딩라인(116)에 인접해서는 형성되지 않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가 폴딩라인(116)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하는 경우, 외측테두리(122)는 용기본체(160)의 상부테두리(164)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단턱(174)에 안착된다.
외측테두리(122)의 내부에는 내측테두리(128)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외측테두리(122)와 내측테두리(128)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인 패킹홈(130)에는 패킹(134)이 삽입된다.
패킹(134)은 외측테두리(122) 및 내측테두리(128)에 비해서 다소 돌출되어 용기본체(160)의 내부단턱(174)을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의 밀폐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패킹홈(130)은 패킹(134)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지그재그 구조는 폴딩라인(116)에 인접해서 형성될 수 있다.
내측테두리(128)는 폴딩라인(116)에 인접해서는 형성되지 않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가 폴딩라인(116)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게 된다. 내측테두리(128)와 외측테두리(122)는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외측테두리(122)의 외측면에는 측면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테두리(122)의 네 개의 면 중에서 폴딩라인(116)에 수직하는 두 개의 면에 측면돌기(124)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돌기(124)는,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하는 경우, 용기본체(160)의 상부테두리(164)의 내측면에 구비된 측면걸림홈(168)에 걸리게 된다(도 9 참조). 이로 인해, 용기본체(160)에 대한 커버(110)의 결합력이 강화된다.
측면돌기(124)는 그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125)을 구비한다. 경사면(125)은 폴딩라인(116)에서 커버(110)의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면(125)은 측면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외측테두리(122)의 네 개의 면 중에서 폴딩라인(116)과 평행하는 두 개의 면에는 걸림돌기(12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26)는 측면돌기(124)와 외측테두리(122)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걸림돌기(126)는 외측테두리(122)의 중앙 및 양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한 경우, 걸림돌기(126)는 용기본체(160)의 상부테두리(164) 내부에 형성된 걸림홈(17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160)에 대한 커버(110)의 결합력이 강화된다.
커버(110)는 제1 커버(112), 제2 커버(114), 폴딩라인(116) 및 연결부재(120)가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11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가압부재(140)의 결합부(144)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가압부재(140)의 결합부(144)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가압부재(140)는 커버(1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그 회전 방향에 따라서 커버의 개방 및 밀폐를 결정한다. 가압부재(140)는 ㄷ자 형상의 본체(142)와, 본체(142)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커버(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144)를 구비한다.
본체(142)는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부분으로 그 길이는 커버(110)의 크기에 대응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커버(110)가 용기본체(160)를 밀폐한 경우, 본체(142)는 커버(11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결합부(144)는 바디(146) 및 헤드(150)를 포함한다.
바디(146)는 가압부재(140)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원통 형상을 갖고 그 일 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바디홈(148)이 구비되어 있다. 음각으로 형성된 바디홈(148)은, 커버(110)가 개방되는 경우 커버(110)의 일부를 수용하여서 접힐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바디홈(148)은, 커버(110)가 개방되기 위해서 가압부재(140)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 커버(110)의 상면과 대향되게 위치한다(도 11 참조).
바디(146)는 커버(110)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가압부재(140)가 커버(11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도 11 참조).
헤드(150)는 가압부재(140)의 외측으로 도출된 부분으로 원통 형상의 둘레에 상호 평행하는 두 개의 절개면(15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가압부재(140)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도 10 참조), 헤드(150)의 절개면(152)이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면서 헤드(150)의 수평 방향 폭이 최소로 된다. 이로 인해, 헤드(150)는 용기본체(160)에 형성된 레버삽입홈(166)에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140)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으로 위치하는 경우(도 1 참조), 헤드(150)의 절개면(152)이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헤드(150)의 수평 방향 폭이 최대로 된다. 이로 인해, 헤드(150)는 용기본체(160)에 형성된 레버삽입홈(166)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용기본체(160)에 대한 커버(110)의 밀폐력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커버(110)가 밀폐된 경우 헤드(150)의 단부는 용기본체(160)의 상부테두리(164)의 외측에 위치한다. 즉, 헤드(150)의 단부는 레버삽입홈(166)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로 인해 상부테두리(164)는 헤드(150)의 하면에 걸릴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저장용기(100)의 이동과 같이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측면(162)이 벌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특허 측면(162)의 변형으로 인해서 측면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가압부재(14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에 의해서 커버(110)와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가압부재(140)가 상기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 커버(110)와의 결합시 그 폭을 탄성적으로 확대해서 결합부(144)를 커버(110)의 연결부재(120)에 각각 삽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손잡이(180)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 그리고 도 7을 참고하면, 손잡이(180)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중앙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180)는 파지부(182), 한 쌍의 연결부(184) 및 걸림부(188)를 구비한다.
파지부(182)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용기본체(160)의 플랜지(176) 상에 위치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커버(110)가 밀폐된 경우, 손잡이(180)는 하강해서 파지부(182)가 플랜지(176)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저장용기(100)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180)는 상승해서 파지부(182)가 플랜지(176)에서 일정 높이를 갖고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84)는 파지부(182) 및 걸림부(188)를 연결한다. 연결부(184)는 플랜지(176)에 형성된 결합홈(178)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84)의 하단부에는 두께가 다소 얇게 형성된 탄성구간(186)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구간(186)은 손잡이(180)를 잡고 저장용기(100)를 들어 올릴 때 변형 하중(한 쌍의 손잡이(180)를 좌우측으로 벌이거나 좁히는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탄성구간(186)은 연결부(184)가 전체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184)가 전체적으로 변형(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손잡이(180)를 플랜지(176)에 쉽게 삽입하여 도 1과 같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188)는 한 쌍의 연결부(184)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파지부(182)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부(188)는 플랜지(176)의 하부에 걸리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손잡이(180)가 플랜지(176)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손잡이(180)를 파지하여 저장용기(100)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가압부재(140)에 의해서 커버(110)가 밀폐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커버(110)가 밀폐된 경우 측면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 걸린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커버(110)가 접혀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가압부재(140)와 커버(110)의 결합 부분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참고로, 도 8에서 개폐부재(14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면도로 표시하였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의 입구를 밀폐한 경우, 커버(110)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110)의 외측테두리(122)는 용기본체(160)의 상부테두리(164)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내측단턱(174)에 걸리면서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의 입구를 밀폐한 경우, 커버(110)의 외측테두리(122)에 형성된 측면돌기(124)는 측면걸림홈(168)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걸리게 된다(도 9 참조). 또한, 커버(110)의 외측테두리(122)에 형성된 걸림돌기(126)도 걸림홈(17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측면돌기(124) 및 걸림돌기(126)가 용기본체(160)와 결합함으로써, 커버(110)의 밀폐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의 입구를 밀폐한 경우, 가압부재(140)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위치한다. 이때, 가압부재(140)의 결합부(144) 중에서 바디(146)는 폴딩라인(116)과 양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17)을 하향 가압한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커버(110)가 밀폐된 상태에서 가압부재(140)의 결합부(144)가 커버(110)의 폴딩라인(116) 및/또는 그 주변을 하향 가압함으로써, 커버(11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144)가 폴딩라인(116) 및/또는 그 주변을 가압할 때, 결합부(144)의 바디(146)는 연결부재(120)에 삽입되어 일정한 압력을 받고,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하다.
커버(110)가 용기본체(160)의 입구를 밀폐한 경우, 손잡이(180)는 하향해서 파지부(182)가 플랜지(176)의 상면에 걸릴 수 있다.
도 1의 상태에서 커버(110)를 용기본체(160)에서 분리해서 용기본체(160)의 입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수평으로 위치한 가압부재(140)를 회전시켜서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결합부(144)의 바디홈(148)이 폴딩라인(116)과 대향하면서 커버(110)가 접힐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도 11 참조). 또한, 결합부(144)의 헤드(150)에 형성된 절개면(152)도 수직으로 위치하면서 그 수평 방향 폭이 최소로 되어 레버삽입홈(166)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가압부재(140)를 수직 또는 수직에 인접하게 세운 후 위로 당기면 측면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서 이탈하고, 걸림돌기(126)가 걸림홈(172)에서 이탈하며, 헤드(150)가 레버삽입홈(166)에서 이탈해서 커버(110)가 폴딩라인(116)을 기준으로 접히게 된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160)에 대한 커버(110)의 결합이 모두 해제되어 커버(110)가 도 10에 예시된 것과 같이 개방되는 것이다.
커버(110)를 위로 당기는 힘에 의해서 폴딩라인(116)이 수축할 수 있고 폴딩라인(116)의 수축에 의해서 측면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서 이탈할 수 있다.
커버(110)가 접힌 경우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는 각도를 형성하고, 그 각도는 커버(110)가 접힐수록 축소된다. 커버(110)가 접히면서 패킹(134)도 함께 탄성적으로 접힌다.
커버(110)가 접히는 각도는 결합부(144)에 형성된 바디홈(148)의 크기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커버(110)에서 접히는 부분의 일부는 바디홈(148)에 삽입되기 때문에, 바디홈(148)이 크게 형성될수록 커버(110)의 접힘량이 확대된다.
커버(110)를 개방한 후 손잡이(180)의 파지부(182)를 잡고 위로 당기면, 걸림부(188)가 플랜지(176)의 하면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손잡이(180)를 이용하여 저장용기(100)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손잡이(180) 사이의 폭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힘이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더라도, 연결부(184)의 탄성구간(186)이 집중적으로 변형되고 그 이외의 부분은 변형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한다. 따라서 연결부(184)의 대부분이 직선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추후 손잡이(180)를 도 1과 같이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가압부재(140)를 잡고 위로 당기기만 하면 커버(110)가 접히면서 분리되기 때문에 한 번의 동작에 의해서 개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용기본체(160)를 커버(110)에 의해서 다시 밀폐하기 위해서는, 가압부재(1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접힌 커버(110)의 외측테두리(122)가 용기본체(160)의 상부테두리(164)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후 커버(110)를 하향 가압하면 커버(110)가 펴지면서 측면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 걸리게 되고, 걸림돌기(126)가 걸림홈(172)에 삽입되면서 커버(110)가 완전히 펴지게 된다. 그리고 수직으로 위치하는 가압부재(140)를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결합부(144)의 바디(146) 외주면이 도 8과 같이 폴딩라인(116) 및 그 둘레에 형성된 경사면(117)을 하향 가압하면서 커버(110)가 쉽게 접히지 않게 한다.
커버(110)가 완전히 펴져서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가 수평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160)에 대한 커버(110)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측면돌기(124)가 측면걸림홈(168)에 걸리는 과정에서, 측면걸림홈(168)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경사면(171)과 중첩되어서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얇게 형성된 폴딩라인(116)이 하향 가압력과 경사 접촉에 의해서 다소 수축하면서 측면돌기(124)가 상부경사면(171)을 따라서 다소 후퇴하면서 하강해서 하부경사면(170)과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회전 가능한 가압부재(140)가 폴딩라인(116)의 선상 또는 부근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한 손의 연결된 동작으로 제1 커버(112) 및 제2 커버(114)를 펼치거나 접어서 용기본체(160)를 밀폐하거나 밀폐를 해제할 수 있는 원 터치(one touch) 개폐가 가능한 편리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A선에 따른 저장용기(200)의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커버(240)가 용기본체(210)에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용기본체(210)와 커버(240)를 포함한다. 커버(240)는 용기본체(210)의 상부에 결합되어서 그 입구를 밀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커버(240)는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커버(240)가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접힘으로써 그 단부가 용기본체(200)의 걸림홈(22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커버(240)가 펼쳐짐으로써 그 단부가 용기본체(210)의 걸림홈(220)에 걸리게 되어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240)는 폴딩라인(252)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를 구비한다. 커버(240)가 폴딩라인(252)에 의해서 접히는 경우 제1 커버(a)는 제2 커버(b)에 대해서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커버(240)가 폴딩라인(252)에 의해서 펼쳐지는 경우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는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40)의 상면에는 가압부재(244)가 커버(2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244)는 커버(24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의 커버(240)는 가압부재(244)가 커버(240)와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되지 않고 단일한 공정에 의해서 커버(24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240)는 하나의 폴딩라인(252)에 의해서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는 세 부분 이상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커버(210)를 한 번의 동작에 의해서 용기본체(210)에 결합 및 분리함으로써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본체(210)는 일정한 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그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용기본체(210)는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데, 이로 인해 네 개의 측면(212)이 형성되어 있다. 각 측면(212)의 상단부에는 상부테두리(214)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테두리(214)는 측면(212)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부테두리(214)는 측면(212)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걸림홈(220)이 형성된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테두리(214)에는 걸림부(216)가 구비되어 있다.
걸림부(216)는 ㄱ 형상을 갖는 돌기로서 용기본체(210)의 네 개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6)는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좌우 각 한 쌍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걸림부(216)의 개수 및 배치 구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걸림부(216)에 의해서 걸림홈(220)이 형성된다. 걸림홈(220)에는 커버(240)의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걸림홈(220)은 커버(240)의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는 입구를 구비한다. 입구는 펼쳐지는 커버(240)의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용기본체(210)의 일 측에는 누름돌기(222)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240)를 용기본체(210)에서 분리할 때 누름돌기(222)를 손으로 가압함으로써, 커버(240)를 용기본체(2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커버(240)는 용기본체(2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용기본체(210)의 상부 입구를 차폐하면서 밀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240)는 가상의 선에 해당하는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해서 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커버(240)를 접음으로써, 용기본체(210)에서 커버(24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커버(240)를 펼쳐서 그 단부를 걸림부(216)의 걸림홈(220)에 걸리게 함으로써, 커버(240)를 용기본체(21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커버(240)의 하면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폴딩홈(254)이 형성되어 있다. 폴딩홈(254)은 커버(240) 전체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폴딩홈(254)에 의해서 커버(240)가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또는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폴딩홈(254)은 커버(240)의 하면(가압부재(244)가 형성된 상면(242)의 반대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240)는 폴딩홈(254)이 형성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는 양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폴딩홈(254)에 의해서 커버(240)가 접힐 수 있는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고하면, 커버(240)가 최대로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 좌우의 폴딩면(255)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커버가(240)가 더 이상 접히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딩홈(254)은 커버(240)의 접힘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240)의 상면(242)에는 가압부재(244)가 구비되어 있다. 가압부재(244)는 커버(240)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커버(2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244)는 회전힌지(246), 잠금돌기(248) 및 가압돌기(250)를 구비한다.
회전힌지(246)는 가압부재(244)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압부재(244)에서 얇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회전힌지(246)가 폴딩라인(252)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로 인해, 가압부재(244)가 커버(240)의 상면(242)에 결합된 경우, 가압부재(244)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폴딩라인(252)을 커버하게 된다.
가압부재(244)의 내면에는 잠금돌기(248) 및 가압돌기(250)가 구비되어 있다.
잠금돌기(248)는 ㄱ 형상을 갖는 것으로,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회전힌지(246)의 타측에 형성된 잠금홈(256)에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가압부재(244)는 폴딩라인(252)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커버(240)의 상면(242)에 결합되어, 커버(240)가 접혀지지 않도록 한다. 커버(240)가 가압부재(244)에 의해서 접혀지지 않음으로써,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커버(240)는 용기본체(210)에 대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가압부재에 잠금홈이 형성되어 있고, 잠금돌기는 커버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가압부재가 커버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벨크로(Velcro), 자석, 진공흡착구(일명 큐방) 등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가압돌기(250)는 가압부재(244)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244)가 커버(240)의 상면(242)에 결합된 경우, 가압돌기(250)는 폴딩라인(252) 상에 위치하면서 상면(242)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커버(24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재(244)는 커버(240)와 동일한 재질(예를 들면,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244)가 커버(240)에 결합함으로써,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24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본체(210)에 대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압부재(244)는 커버(240)의 상면(242)에 구비된 잠금홈(256)에 결합한다. 잠금홈(256)은,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회전힌지(246)가 위치한 면에 대칭되는 면에 위치한다.
커버(240)의 일면에는 패킹(262)이 구비될 수 있다. 패킹(262)은 커버(240)의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240)가 용기본체(210)에 결합한 경우, 패킹(240)은 수축되면서 밀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커버(240)를 용기본체(210)에 결합하기 위해서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어 용기본체(210)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커버(240)의 가압부재(244)는 상면(242)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에 있다. 도 14의 상태에서 가압부재(244)를 하향 가압하면, 커버(240)의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가 펴지면서 각각의 모서리(260) 부분이 걸림부(216)에 해당하는 걸림홈(220)에 삽입된다. 그 후 커버(240)가 다시 접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가압부재(244)를 회전시켜서 잠금돌기(248)를 잠금홈(256)에 삽입함으로써 커버(240)의 결합이 완료된 도 13의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상면(242)에 결합된 가압부재(244)는 폴딩라인(252) 상에 위치하면서 커버(24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커버(240)가 용기본체(210)에 완전히 결합한 경우, 커버(240)는 용기본체(210)의 입구를 완전히 커버한다. 그리고 커버(240)의 네 개의 모서리(260)는 걸림부(216)에 의해서 형성된 걸림홈(220)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커버(240)는 용기본체(210)에서 쉽게 이탈하거나 또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용기본체(210)에 결합된 커버(240)를 분리하기 위해서, 도 12 및 도 13 상태에서 우선 가압부재(244)를 상면(242)에서 분리한다. 도 12 및 도 13의 상태에서, 가압부재(244)를 들어 올리면, 잠금돌기(248)가 잠금홈(256)에서 분리되면서 일 방향(도 13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압부재(244)를 상면(242)에서 분리하는 힘 즉, 가압부재(244)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해서, 가압부재(244)가 상면(242)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커버(240)가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커버(240)가 접히면서,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의 각 모서리(260)는 걸림부(216)의 걸림홈(220)에서 이탈되면서 도 13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가압부재(244)를 커버(240)의 상면(242)에 결합하는 힘 즉 누르는 힘에 의해서, 접힌 커버(240)를 펴서 용기본체(210)에 구비된 걸림홈(220)에 결합하고 또한 가압부재(244)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가압부재(244)를 아래로 누르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서 커버(240)를 용기본체(210)에 결합하고, 가압부재(244)를 상면(242)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가압부재(244)를 커버(240)의 상면(242)에서 분리하는 힘 즉 위로 당기는 힘에 의해서, 가압부재(244)를 상면(242)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커버(240)를 접어서 걸림홈(220)에 대한 걸림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용기본체(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가압부재(244)를 위로 당기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서 가압부재(244)를 상면(242)에서 분리하고 커버(240)를 접에서 용기본체(210)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걸림홈(220)을 형성하는 걸림부(216)가 용기본체(210)의 네 개의 모서리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걸림부(216)의 개수 및 배치 구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한 쌍 또는 두 쌍 이상의 걸림부가 좌우 대칭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지 않고 측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하나의 가압부재(244)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커버(240)의 크기에 따라서 두 개 이상의 가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커버(310)가 용기본체(36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15에서는 가압부재(340)가 커버(310)를 가압하고 손잡이(390)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16은 가압부재(340)가 분리되고 손잡이(39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는 용기본체(360)와,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폴딩라인(316) 및 폴딩라인(316)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커버(312) 및 제2 커버(314)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310)와, 폴딩라인(316)의 상부 및/또는 상기 폴딩라인의 상부 주변을 가압하여 커버(310)가 펼쳐지도록 해서 용기본체(360)를 밀폐하도록 하는 가압부재(340)를 포함한다. 커버(310)는 폴딩라인(316)을 기준으로 펼쳐지면서 제1 커버(312) 및 제2 커버(314)가 용기본체(360)에 걸리면서 결합하고, 폴딩라인(316)을 기준으로 접히면서 제1 커버(312) 및 제2 커버(314)가 용기본체(360)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과 구성 및 작동 방식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 다만,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는 가압부재(340)와 커버(310)의 결합 방법 및 손잡이(390)의 구성 등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차이점을 갖는다.
커버(310)의 상면에는 ㄷ자 형상의 상면돌기(31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면돌기(318)는 두 개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상면돌기(318)는 커버(310)의 단부에서 폴딩라인(316)까지 연장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바디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상면돌기(318)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서 다른 상면돌기(318)와 일정한 간격이 형성된다. 가압부재(340)가 커버(310)의 상면과 밀착되어 커버(310)를 가압하는 경우, ㄷ자 형상의 가압부재(340)는 두 개의 상면돌기(318)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어서 상면돌기(318)에 비해 돌출되지 않는다.
두 개의 상면돌기(318) 중 하나의 측면에는 바디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홈(320)에는 가압부재(340)의 바디(346)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는 T자 형상의 손잡이(390)를 갖는다. 손잡이(390)는 사용자가 잡는 부분에 해당하는 파지부(392)와, 파지부(39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결합부(394)를 구비한다. 그리고 결합부(394)의 하단부에는 핀삽입홀(396)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360)의 상부테두리(364)에는 손잡이(390)가 결합되는 플랜지(376)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376)에는 결합부(394)가 삽입되는 결합홀(37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376)의 하부에는 손잡이(390)의 결합부(39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손잡이커버(380)가 형성되어 있다.
핀삽입홀(396)은 결합부(394)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두께가 크게 형성된다. 다만, 핀삽입홀(396)이 결합홀(378)을 통과하기 위해서 그 두께를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홀(378)의 내부에 절개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후 가압해서 그 두께를 축소하거나 또는 탄성을 갖는 재질(탄성 플라스틱, 금속 또는 고무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그 두께를 축소할 수 있다. 핀삽입홀(396)의 두께가 축소되어서 결합홀(378)을 통과한 후, 핀삽입홀(396)에는 결합핀(398)이 삽입된다. 결합핀(398)은 핀삽입홀(398)의 두께가 축소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핀삽입홀(396)이 결합홀(378)에서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손잡이(390)가 플랜지(376)에 걸려서 빠지지 않는다.
핀삽입홀(396)의 내부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결합핀(398)의 둘레에는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는 핀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핀돌기는 결합핀(398)이 핀삽입홀(396)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손잡이(39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결합부(394)는 손잡이커버(380)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도 16 참조). 또한, 손잡이(390)를 사용하는 경우, 결합부(394)는 손잡이커버(380)의 외부로 돌출되어 파지부(392)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이때, 결합부(394)의 핀삽입홀(396)은 결합핀(398)이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376)에 걸리게 됨으로써, 손잡이(3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손잡이(390), 플랜지(376), 결합홀(378) 및 손잡이커버(380)는 폴딩라인(316)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하나씩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340)는 ㄷ자 형상의 본체(342)와, 본체(342)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결합부(344)를 구비한다.
본체(342)는 사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본체(342)는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된 가압리브(343)를 구비한다. 가압부재(340)가 커버(310)를 밀폐한 경우, 가압리브(343)는 커버(310)의 상면에 형성된 유지돌기(도 18의 도면부호 317 참조)를 가압한다.
결합부(344)는 가압부재(340)를 커버(3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결합부(344)는 내측으로 돌출된 원형의 바디(346)와, 외측으로 돌출된 헤드(348)와, 측면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52)를 구비한다.
바디(346)는 상면돌기(318)의 측면에 형성된 바디홈(3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헤드(348)는 용기본체(360)의 상부테두리(364)에 형성된 레버삽입홈(36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헤드(348)는 헤드경사면(도면부호 없음)을 가져서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된다. 따라서 헤드(348)의 단부는 상부테두리(364)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용기본체(360)가 변형되어 벌어져서 커버(310)의 밀폐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360)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네 개의 측면(362)의 상단부에는 상부테두리(3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테두리(364)에는 가압부재(340)의 헤드(348)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버삽입홈(366)과 플랜지(376)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테두리(364)에서 플랜지(376)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부돌기(36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돌기(365)는 폴딩라인(316)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돌기 형상을 갖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서 커버(310)가 용기본체(360)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상부돌기(365)는 상부테두리(364)의 상단부에서 내측 (폴딩라인(316)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돌기(365)의 하부에는 경사면(367)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310)가 폴딩라인(316)을 기준으로 펴지는 경우, 커버(310)의 단부는 경사면(367)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부돌기(365)의 하부에 걸리게 된다. 상부돌기(365)는 커버(310)가 용기본체(360)에 결합할 때, 용기본체(360)에 대해서 기울어져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용기본체(360)는 내측단턱(374) 및 측면걸림홈(368)을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60)의 내측단턱(174) 및 측면걸림홈(168)과 그 구성 및 결합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서 커버(310)가 용기본체(360)의 상부를 커버한 후 가압부재(340)에 의해 가압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9는 도 18에서 커버(310)가 가압부재(340)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8 및 도 19에서 사각형 박스는 폴딩라인(316) 주변의 커버(310) 및 가압부재(340)의 일부 및 그 확대 단면도에 해당한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서 손잡이(390)는 그 결합부(394)가 손잡이커버(38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커버(310)의 상면 중에서 폴딩라인(316)에 인접한 위치에는 유지돌기(317)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유지돌기(317)는 커버(310)의 상면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지돌기(317)는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340)가 회전해서 도 19와 같이 커버(310)의 상면과 접촉한 경우, 가압부재(340)의 가압리브(343)는 유지돌기(317)를 측방향(도 19에서는 우측 방향) 및 하향 가압한다. 이로 인해, 커버(3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310)의 패킹홈(330)의 상부에는 커버삽입홈(33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340)가 회전해서 도 19와 같이 커버(310)의 상면과 접촉한 경우, 가압부재(340)의 결합돌기(352)는 커버삽입홈(33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본체(360)의 측면(362)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해서 커버(310)의 밀폐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물론, 가압부재(340)의 헤드(348)도 용기본체(360)의 상부테두리(364)에 걸려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360)의 측면(362)이 벌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저장용기
110, 240, 310: 커버
160, 210, 360: 용기본체

Claims (18)

  1. 용기본체; 및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폴딩라인과, 상기 폴딩라인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커버 및 제2 커버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는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폴딩라인 선상 또는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및 제2 커버는 걸림돌기 및/또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재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펼쳐지면서 상기 용기본체에 상기 걸림돌기 및/또는 걸림부가 결합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용기본체 및/또는 상기 커버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는 상기 용기본체에 이중으로 결합 및/또는 가압하여 밀폐하며,
    상기 가압부재의 타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접히면서 상기 용기본체와 분리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와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와 별로도 형성된 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방향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가압하여 펼쳐지게 하거나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접힐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의 상면의 폴딩라인 선상 또는 부근에 형성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을 해제한 후 상기 가압부재를 잡고 들어 올리면 상기 커버 전체가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라인은 일정한 폭을 갖고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커버가 접히거나 펴지는 과정에서 상기 폴딩라인의 폭이 축소되거나 또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측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측면돌기가 걸릴 수 있는 측면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측면걸림홈에 대해 상기 측면돌기가 걸림 상태 또는 걸림 해제 상태로 될 때 오버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폴딩라인의 변형에 의해서 상기 측면돌기가 오버랩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라인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가 밀폐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가압부재의 헤드가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삽입홈에 걸림 상태가 되게 삽입되어 밀폐력을 이중으로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는 파지부와, 상기 용기본체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파지부 및 걸림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얇게 형성된 탄성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부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테두리에는 상부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상부테두리 중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상면에 형성되어 상향 돌출된 유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경우, 상기 가압리브는 상기 유지돌기를 하향 및 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커버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커버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손잡이를 커버하는 손잡이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파지부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핀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핀삽입홀은 상기 결합홀을 관통할 때 그 크기가 축소되며, 상기 결합홀을 관통한 후 결합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KR1020180056347A 2017-10-24 2018-05-17 저장용기 KR10194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2048 WO2019083205A1 (ko) 2017-10-24 2018-10-12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740 2017-10-24
KR20170138740 2017-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016B1 true KR101940016B1 (ko) 2019-04-10

Family

ID=6616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347A KR101940016B1 (ko) 2017-10-24 2018-05-17 저장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0016B1 (ko)
WO (1) WO20190832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713A1 (ko) * 2018-10-25 2020-04-30 구현우 저장용기
KR20210006668A (ko) * 2019-07-09 2021-01-19 김범준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8646A1 (en) 1981-10-27 1983-05-11 Lin Pac Mouldings Limited Sto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lid
CN201296433Y (zh) * 2008-10-23 2009-08-26 飞绿股份有限公司 密封罐盖
US20140263340A1 (en) * 2013-03-15 2014-09-18 Euro-Pro Operating Llc Container lid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US9469449B1 (en) * 2014-06-27 2016-10-18 Omega Products, Inc. Lid with handle-activated seal
JP3208761U (ja) * 2016-11-21 2017-02-16 河淳株式会社 密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581U (ko) * 1985-08-20 1987-03-04
KR200304827Y1 (ko) * 2002-11-14 2003-02-19 주식회사 위트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8646A1 (en) 1981-10-27 1983-05-11 Lin Pac Mouldings Limited Sto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lid
CN201296433Y (zh) * 2008-10-23 2009-08-26 飞绿股份有限公司 密封罐盖
US20140263340A1 (en) * 2013-03-15 2014-09-18 Euro-Pro Operating Llc Container lid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US9469449B1 (en) * 2014-06-27 2016-10-18 Omega Products, Inc. Lid with handle-activated seal
JP3208761U (ja) * 2016-11-21 2017-02-16 河淳株式会社 密封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713A1 (ko) * 2018-10-25 2020-04-30 구현우 저장용기
US11772853B2 (en) 2018-10-25 2023-10-03 Hyunwoo GU Storage container
KR20210006668A (ko) * 2019-07-09 2021-01-19 김범준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KR102206253B1 (ko) * 2019-07-09 2021-01-22 김범준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3205A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6649B1 (en) Safety container providing optional opening and closing arrangements
US10173826B2 (en) Ventable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TWI454410B (zh) 封閉件及具有封閉件之容器
KR101940016B1 (ko) 저장용기
US20180118410A1 (en) Storage container
US11180290B2 (en) Container with multiple covers
KR200486058Y1 (ko) 다중 걸림구조를 가진 용기용 마개
US6997313B2 (en) Waste container, particularly biohazard bin for collecting medical waste
EP3403945B1 (en) Airtight container
KR20150030128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KR20190033243A (ko) 저장용기
JP4536881B2 (ja) 蓋付き包装用紙箱
JP2022172998A (ja) 密閉効果が良い容開封性密閉容器
KR20140120237A (ko) 저장용기
KR200404820Y1 (ko)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US11772853B2 (en) Storage container
JPH0232958A (ja) 蓋取り付け装置
KR102306321B1 (ko) 연질 힌지부 및 이중 사출 구조를 갖는 밀폐 용기
KR200365929Y1 (ko)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원터치 체결 구조
JP2004051129A (ja) 閉塞部材付きパウチ
KR20180004415A (ko) 저장용기
KR200440149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밀폐구조
KR100934229B1 (ko) 밀폐용기
JPS5845245Y2 (ja) 瓶蓋
KR20170120481A (ko)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