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481A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481A
KR20170120481A KR1020160156250A KR20160156250A KR20170120481A KR 20170120481 A KR20170120481 A KR 20170120481A KR 1020160156250 A KR1020160156250 A KR 1020160156250A KR 20160156250 A KR20160156250 A KR 20160156250A KR 20170120481 A KR20170120481 A KR 20170120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body
folding line
locking memb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PCT/KR2017/0042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83937A1/ko
Publication of KR2017012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2Removable lids or covers guided for removal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용기본체와,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폴딩라인을 구비하고, 폴딩라인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가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펼쳐지면서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가 걸림부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며, 커버가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접히면서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가 걸림부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탈함으로써 용기본체에서 분리된다.

Description

저장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 등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저장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각형 커버의 둘레에는 네 개의 회전부재(잠금날개)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부재는 용기본체의 둘레에 형성된 돌기 등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의 내측에는 밀폐를 위해서 패킹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저장용기는 커버가 회전부재에 의해서 용기본체에 강하게 결합하고, 이로 인해 패킹이 수축됨으로써 밀폐력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저장용기는 네 개의 회전부재를 모두 열거나 또는 잠궈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2015-00301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용기본체와,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폴딩라인을 구비하고, 폴딩라인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가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펼쳐지면서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가 걸림부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며, 커버가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접히면서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가 걸림부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탈함으로써 용기본체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는 걸림돌기에 의해서 형성되고, 걸림돌기는 용기본체의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는 상부테두리를 구비하고, 걸림부는 상부테두리에 음각으로 형성된 걸림홈일 수 있다.
커버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잠금부재를 구비하고, 잠금부재는 커버의 펼쳐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버를 하향 가압할 수 있다.
잠금부재는 회전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회전힌지는 폴딩라인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잠금부재는 회전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회전힌지는 폴딩라인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잠금부재는 폴딩라인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잠금부재는 커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부재는 커버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펴질 수 있다.
커버는 패킹을 구비하고, 패킹은 용기본체에 의해 가압되어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8은 도 7에서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커버(140)가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용기본체(110)와 커버(140)를 포함한다. 커버(140)는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어서 그 입구를 밀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커버(140)는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커버(140)가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접힘으로써 그 단부가 용기본체(100)의 걸림홈(12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커버(140)가 펼쳐짐으로써 그 단부가 용기본체(100)의 걸림홈(120)에 걸리게 되어서 상대적으로 약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140)는 폴딩라인(152)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를 구비한다. 커버(140)가 폴딩라인(152)에 의해서 접히는 경우 제1 커버(a)는 제2 커버(b)에 대해서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커버(140)가 폴딩라인(152)에 의해서 펼쳐지는 경우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는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40)는 하나의 폴딩라인(152)에 의해서 커버(140)가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는 세 부분 이상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 및 제2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두 부분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커버(110)를 한 번의 동작에 의해서 용기본체(110)에 결합 및 분리함으로써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본체(110)는 일정한 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그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에서 용기본체(110)는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데, 이로 인해 네 개의 측면(112)이 형성되어 있다. 각 측면(112)의 상단부에는 상부테두리(114)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테두리(114)는 측면(112)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부테두리(114)는 측면(112)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걸림홈(120)이 형성된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테두리(114)에는 걸림부(116)가 구비되어 있다.
걸림부(116)는 ㄱ 형상을 갖는 돌기로서 용기본체(110)의 네 개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16)는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좌우 각 한쌍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걸림부(116)의 개수 및 배치 구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걸림부(116)에 의해서 걸림홈(120)이 형성된다. 걸림홈(120)에는 커버(140)의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걸림홈(120)은 커버(140)의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는 입구를 구비한다. 입구는 펼쳐지는 커버(140)의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용기본체(110)의 일 측에는 누름돌기(122)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140)를 용기본체(110)에서 분리할 때 누름돌기(122)를 손으로 가압함으로써, 커버(140)를 용기본체(1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110)는 사각 형상을 갖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사각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용기본체(110) 및 커버(140)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140)는 용기본체(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용기본체(110)의 상부 입구를 차폐하면서 약한 밀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140)는 가상의 선에 해당하는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해서 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커버(140)를 접음으로써, 용기본체(110)에서 커버(14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커버(140)를 펼쳐서 그 단부를 걸림부(116)의 걸림홈(120)에 걸리게 함으로써, 커버(140)를 용기본체(11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커버(140)의 상면(142) 이면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폴딩홈(154)이 형성되어 있다. 폴딩홈(154)은 커버(140) 전체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폴딩홈(154)에 의해서 커버(140)가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또는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폴딩홈(154)은 커버(140)의 하면(잠금부재(144)가 형성된 상면(142)의 반대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140)는 폴딩홈(154)이 형성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는 양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폴딩홈(154)에 의해서 커버(140)가 접힐 수 있는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고하면, 커버(140)가 최대로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 좌우의 폴딩면(155)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커버가(140)가 더 이상 접히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딩홈(154)은 커버(140)의 접힘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140)의 상면(142)에는 잠금부재(144)가 구비되어 있다. 잠금부재(144)는 커버(140)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으로, 커버(1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된 후 커버(140)와 결합될 수 있다. 잠금부재(144)는 회전힌지(146), 잠금돌기(148) 및 가압돌기(150)를 구비한다.
회전힌지(146)는 잠금부재(144)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것으로, 잠금부재(144)에서 얇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회전힌지(146)가 폴딩라인(152)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로 인해, 잠금부재(144)가 커버(140)의 상면(142)에 결합된 경우, 잠금부재(144)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폴딩라인(152)을 커버하게 된다.
잠금부재(144)의 내면에는 잠금돌기(148) 및 가압돌기(150)가 구비되어 있다.
잠금돌기(148)는 ㄱ 형상을 갖는 것으로,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회전힌지(146)의 타측에 형성된 잠금홈(156)에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잠금부재(144)는 폴딩라인(152)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커버(140)의 상면(142)에 결합되어, 커버(140)가 접혀지지 않도록 한다. 커버(140)가 잠금부재(144)에 의해서 접혀지지 않음으로써, 도 1 및 도 2와 같이, 커버(140)는 용기본체(110)에 대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잠금부재에 잠금홈이 형성되어 있고, 잠금돌기는 커버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잠금부재가 커버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벨크로(Velcro), 자석, 진공흡착구(일명 큐방) 등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가압돌기(150)는 잠금부재(144)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144)가 커버(140)의 상면(142)에 결합된 경우, 가압돌기(150)는 폴딩라인(152) 상에 위치하면서 상면(142)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커버(14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잠금부재(144)는 커버(140)와 동일한 재질(예를 들면,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재(144)가 커버(140)에 결합함으로써,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14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본체(110)에 대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잠금부재(144)는 커버(140)의 상면(142)에 구비된 잠금홈(156)에 결합한다. 잠금홈(156)은,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회전힌지(146)가 위치한 면에 대칭되는 면에 위치한다.
커버(140)의 일면에는 패킹(162)이 구비될 수 있다. 패킹(162)은 커버(140)의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140)가 용기본체(110)에 결합한 경우, 패킹(140)은 수축되면서 밀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커버(140)를 용기본체(110)에 결합하기 위해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어 용기본체(110)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커버(140)의 잠금부재(144)는 상면(142)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에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잠금부재(144)를 하향 가압하면, 커버(140)의 제1 커버부(a) 및 제2 커버부(b)가 펴지면서 각각의 모서리(160) 부분이 걸림부(116)에 해당하는 걸림홈(120)에 삽입된다. 그 후 커버(140)가 다시 접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잠금부재(144)를 회전시켜서 잠금돌기(148)를 잠금홈(156)에 삽입함으로써 커버(140)의 결합이 완료된 도 2의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상면(142)에 결합된 잠금부재(144)는 폴딩라인(152) 상에 위치하면서 커버(140)가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커버(140)가 용기본체(110)에 완전히 결합한 경우, 커버(140)는 용기본체(110)의 입구를 완전히 커버한다. 그리고 커버(140)의 네 개의 모서리(160)는 걸림돌기(116)에 의해서 형성된 걸림홈(120)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커버(140)는 용기본체(110)에서 쉽게 이탈하거나 또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용기본체(110)에 결합된 커버(140)를 분리하기 위해서, 도 1 및 도 2의 상태에서 우선 잠금부재(144)를 상면(142)에서 분리한다. 도 1 및 도 2의 상태에서, 잠금부재(144)를 들어 올리면, 잠금돌기(148)가 잠금홈(156)에서 분리되면서 일 방향(도 2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잠금부재(144)를 상면(142)에서 분리하는 힘 즉, 잠금부재(144)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해서, 잠금부재(144)가 상면(142)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커버(140)가 폴딩라인(152)을 기준으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커버(140)가 접히면서, 제1 커버부(a) 및 제2 커버부(b)의 각 모서리(160)는 걸림부(116)의 걸림홈(120)에서 이탈되면서 도 3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잠금부재(144)를 커버(140)의 상면(142)에 결합하는 힘 즉 누르는 힘에 의해서, 접힌 커버(140)를 펴서 용기본체(110)에 구비된 걸림홈(120)에 결합하고 또한 잠금부재(144)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잠금부재(144)를 아래로 누르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서 커버(140)를 용기본체(110)에 결합하고, 잠금부재(144)를 상면(142)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잠금부재(144)를 커버(140)의 상면(142)에서 분리하는 힘 즉 위로 당기는 힘에 의해서, 잠금부재(144)를 상면(142)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커버(140)를 접어서 걸림홈(120)에 대한 걸림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용기본체(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잠금부재(144)를 위로 당기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서 잠금부재(144)를 상면(142)에서 분리하고 커버(140)를 접에서 용기본체(110)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걸림홈(120)을 형성하는 걸림부(116)가 용기본체(110)의 네 개의 모서리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걸림부(116)의 개수 및 배치 구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한 쌍 또는 두 쌍 이상의 걸림부가 좌우 대칭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지 않고 측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하나의 잠금부재(144)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커버(140)의 크기에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잠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는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에서 커버(240)가 용기본체(21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고, 다만 잠금부재(244)의 회전힌지(230)가 폴딩라인(252)의 상부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의 용기본체(210)는 상부테두리(214), 걸림부기(216) 및 누름돌기(222)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의 상부테두리(114), 걸림돌기(116) 및 누름돌기(122)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16)는 위에서 볼 때 ㄱ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일자 형상을 갖는 제1 실시예의 걸림돌기(116)와는 그 형상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의 커버(240)는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가 접히고, 그 상면(242)에 잠금부재(244)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40)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그리고 잠금부재(244)는 잠금돌기(248) 및 가압돌기(250)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144)의 잠금돌기(148) 및 가압돌기(150)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200)의 커버(240)는 잠금부재(244)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회전힌지(230)가 폴딩라인(25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잠금부재(244)에도 불구하고 커버(240)의 접힘(folding)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잠금부재(244)는 폴딩부재(232)를 구비할 수 있다.
폴딩부재(232)는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폴딩부재(232)는 커버(240)의 상면(242)에 제2 회전힌지(23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폴딩부재(232)는 제2 회전힌지(23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회전힌지(230)는 폴딩라인(252)에 대해서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고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잠금부재(244)에도 불구하고 커버(240)가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회전힌지(230)의 경사각에 의해서 폴딩라인(252)을 기준으로 하는 커버(240)의 접힘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잠금부재(244)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제1 회전힌지(246)는 폴딩부재(232)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잠금부재(244)는 커버(240)의 상면(242)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폴딩부재(232)를 통해서 상면(24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잠금부재는 쉽게 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가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해서 접히더라도 잠금부재도 함께 접힐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폴딩부재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에서 커버(340)가 용기본체(31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고, 다만 용기본체(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패킹(342, 344)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용기본체(310)에는 제1 홈(312) 및 제2 홈(314)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본체(310)가 유아용 식판인 경우 밥, 국 및 반찬 등을 수납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용기본체(310)에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340)에는 제1 홈(312) 및 제2 홈(314)에 대응해서 제1 패킹(342) 및 제2 패킹(344)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340)가 용기본체(310)에 결합된 경우, 제1 패킹(342)은 제1 홈(312)의 둘레에 위치하면서 제1 홈(312)을 밀폐한다. 마찬가지로, 제2 패킹(344)은 제2 홈(314)의 둘레에 위치하면서 제2 홈(314)을 밀폐한다.
용기본체(310)에는 커버(340)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돌기 형상의 걸림부(318)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한 돌기 형상의 걸림부(116, 216)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용기본체(310)에는 잠금부재(도시하지 않음)의 잠금돌기(도2의 도면부호 148 참조)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3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커버(340)에 형성하지 않고 용기본체(310)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커버(340)에는 잠금돌기가 관통할 수 있는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340)는 폴딩라인(352)에 의해서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로 구분되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140, 24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에서 커버(440)가 용기본체(410)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는 커버(440)의 단부(462)가 삽입되는 걸림부(416)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와 같이 돌기 형상을 갖지 않고, 상부테두리(414)에 음각으로 형성된 홈 또는 홀(hole) 형상을 갖는 점에 특징이 있다. 커버(440)에는 걸림부(416)에 삽입되는 단부(462)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단부(462)가 걸림부(416)에 삽입됨으로써, 커버(440)가 용기본체(410)에 결합하게 된다.
커버(440)는 폴딩라인(452)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140, 240, 340)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440)는 잠금부재(444)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40)의 잠금부재(144)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커버(540)가 용기본체(510)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커버(540)가 용기본체(51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는 용기본체(510) 및 커버(540)를 구비하고, 커버(540)에는 탄성부재(57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570)는 커버(540)의 양 측면에 해당하는 곡면(544)에 형성된 홈(도면부호 없음)에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탄성부재(570)가 삽입되는 홈은 커버(540)가 접힐 수 있는 폴딩홈(554)과 연결되어 있다.
커버(540)는 편평하게 형성된 상면(542)과 곡선으로 형성된 곡면(544)을 구비할 수 있다. 곡면(544)의 단부에는, 돌기 형상의 걸림부(516)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홈(520)에 삽입되는 모서리(56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모서리(560)의 하부에는 패킹(562)이 구비될 수 있다. 패킹(562)은 상부테두리(514) 상에 안착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570)는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이용해서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에 의해서 커버(5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70)는 커버(540)가 폴딩홈(554)을 중심으로 접히는 경우 탄성 수축한다. 이로 인해, 커버(540)가 접힐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540)는 폴딩홈(554)에 인접한 커버(540)의 상면이 폴딩라인에 해당한다.
도 7의 상태에서, 커버(540)의 모서리(560)를 걸림홈(520)에 삽입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5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커버(540)가 펴지면서 도 8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570)는 커버(540)의 상면이 접히지 않고 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의 커버(540)는 그 측면에 해당하는 곡면(544)에 탄성부재(570)를 삽입함으로써, 곡면(544)도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540)는 상면(542)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는 폴딩홈(554)을 기준으로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 제작된 후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용기(100, 200, 300, 400, 500)는 강한 밀폐력이 요구되지 않는 용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활소품, 화장품, 악세서리 등을 수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용기(100, 200, 300, 400, 500)는 간편한 운송, 간이 밀폐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600)를 각각 예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참고로, 도 9는 잠금부재(646, 648)가 용기본체(610)에 잠기기 이전 펼쳐진 상태를 예시하고, 도 10은 잠금부재(646, 648)가 용기본체(610)에 잠긴 상태를 예시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600)는 커버(64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부재(646, 648)가 커버(640)의 상면(642)이 아니라 측면(64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640)의 측면에 형성된 잠금부재(646, 648)는 용기본체(610)의 측면(622)에 결합되어, 용기본체(610)에 대한 커버(640)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커버(64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600)는 용기본체(610) 및 커버(64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610)는 상부테두리(614) 및 걸림부(616)를 구비하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한 상부테두리(114) 및 걸림부(116)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640)는 상면(642)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폴딩라인(660)이 구비되어 있다. 폴딩라인(660)을 기준으로 커버(640)는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로 구분된다.
커버(640)의 측면(644)에는 잠금부재(646, 64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잠금부재는 제1 잠금부재(646) 및 제2 잠금부재(64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잠금부재(646) 및 제2 잠금부재(648)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져서 굽힘이 가능한 연결부(65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잠금부재(646) 및 제2 잠금부재(648) 그리고 연결부(650)는 커버(6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잠금부재(646)는 폴딩라인(660)을 기준으로 제1 커버(a)에 대응하고, 제2 잠금부재(648)는 폴딩라인(660)을 기준으로 제2 커버(b)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1 커버(a) 및 제2 커버(b)가 접히는 경우, 제1 잠금부재(646) 및 제2 잠금부재(648)는 연결부(650)를 기준으로 접히게 된다.
제1 잠금부재(646) 및 제2 잠금부재(648) 각각의 내측에는, 용기본체(610)의 측면(622)과의 결합을 위한 잠금돌기(652, 점선표시)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돌기(652)는 용기본체(610)의 측면(622)에 형성된 잠금돌기(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한다. 이로 인해, 커버(640)는 용기본체(6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커버(640)의 상면(642)에는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640)의 내측에는 패킹(645, 도 9에서 점선으로 표시)이 구비될 수 있다. 패킹(645)은 커버(64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그 외측에 제1 잠금부재(646) 및 제2 잠금부재(648)의 회전 중심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640)의 측면에서 볼 때, 패킹(645)은 제1 잠금부재(646) 및 제2 잠금부재(648)가 형성된 부분에서도 단절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저장용기
110, 210, 310, 410, 510, 610: 커버
140, 240, 340, 440, 540, 640: 용기본체

Claims (11)

  1. 걸림부를 구비하는 용기본체; 및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폴딩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폴딩라인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가 상기 걸림부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폴딩라인을 기준으로 접히면서 상기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탈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걸림돌기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용기본체의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부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상부테두리에 음각으로 형성된 걸림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잠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커버의 펼쳐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를 하향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회전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힌지는 상기 폴딩라인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회전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힌지는 상기 폴딩라인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폴딩라인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커버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용기본체에 의해 가압되어 밀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KR1020160156250A 2016-04-21 2016-11-23 저장용기 KR20170120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4273 WO2017183937A1 (ko) 2016-04-21 2017-04-21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493 2016-04-21
KR20160048493 2016-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81A true KR20170120481A (ko) 2017-10-31

Family

ID=6030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250A KR20170120481A (ko) 2016-04-21 2016-11-23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04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8162B (zh) 具密封蓋之容器
KR200476703Y1 (ko) 포장상자
US6736285B2 (en) Collapsible drinking and storage receptacle
US11180290B2 (en) Container with multiple covers
US9957089B2 (en) Flexible container lid
RU2008152762A (ru) Тарный комплект со средством для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KR102184934B1 (ko) 휴대용 텀블러
US20080092338A1 (en) Soft Handle (IV)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KR102358834B1 (ko) 잠금 구조를 갖는 용기 세트
KR101940016B1 (ko) 저장용기
KR20170120481A (ko) 저장용기
TW201811627A (zh) 具密封蓋之容器
US11772853B2 (en) Storage container
KR20140115535A (ko)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CN111491868B (zh) 可密封的容器系统
US10118733B2 (en) Storage system
KR20190033243A (ko) 저장용기
US20090277131A1 (en) Clamp Device and Packaging Box Assembly Incorporating Said Clamp Device
EP1591369A1 (en) Collapsible drinking and storage receptacle
US20070017926A1 (en) Nozzle device for vacuum container
JP4669332B2 (ja) 合成樹脂製の収納容器
TWI799175B (zh) 蓋體結構
KR20180004415A (ko) 저장용기
TWM483029U (zh) 收納盒及封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