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253B1 -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6253B1 KR102206253B1 KR1020190082560A KR20190082560A KR102206253B1 KR 102206253 B1 KR102206253 B1 KR 102206253B1 KR 1020190082560 A KR1020190082560 A KR 1020190082560A KR 20190082560 A KR20190082560 A KR 20190082560A KR 102206253 B1 KR102206253 B1 KR 102206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folding
- groove
- protrusion
- storage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42—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utside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는, 바닥면에 접촉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측벽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수평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 한하여 수직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수직 프레임의 둘레 길이가 수납 공간의 둘레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해 측벽의 상부에 체결하여 수직 프레임이 측벽의 외부면에 대면하는 테두리부,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어 수납 공간을 밀폐 상태로 형성하며,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접이와 제2 접이를 발생시키는 뚜껑, 및 뚜껑과 테두리부의 일측을 연결하며, 수납 공간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뚜껑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식품 보관 용기의 뚜껑을 접이식으로 형성하여 사용 편리성을 개선하고 동시에 비용 절약과 보관 식품의 맛을 고려해 구조를 개선한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보관용 밀폐용기는 통상적으로 락앤락(lock and lock) 용기가 대표적이며, 뚜껑의 가장자리로 홈부가 형성되고, 하부의 용기의 상단부의 돌출부와 수직 으로 체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뚜껑의 홈부를 따라 고무패킹을 포함하고 있어 용기의 돌출부에 체결됨으로써 용기를 밀폐된 상태로 생성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보관 용기는 뚜껑을 여는 경우 뚜껑이 하부 용기와 분리되어 분실되는 경우가 많고, 또 음식을 먹어야 하는 경우에는 뚜껑을 모두 열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음식이 차거나 더운 음식인 경우에는 빨리 데워지거나 온도가 내려가 음식 본래의 맛을 느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소비자들은 보관 용기의 뚜껑을 분실하는 경우 제품을 새로 구입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로 인해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7082호(2013.12.2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4567호(2013.06.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1651호(2012.06.2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는, 바닥면에 접촉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측벽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 한하여 수직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둘레 길이가 상기 수납 공간의 둘레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해 상기 측벽의 상부에 체결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측벽의 외부면에 대면하는 테두리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 상태로 형성하며,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접이(folding)와 제2 접이를 발생시키는 뚜껑, 및 상기 뚜껑과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수납 공간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연장되는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에서 일측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체결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홈부의 일측벽에 복수개의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 사이에 상기 뚜껑을 접이시키는 접이부의 양측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서로 수평한 상태를 이루어 형성되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접하여 제1 돌기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연결부의 인접하여 제2 홈부를 더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홈부는, 상기 제2 접이의 발생시 서로 체결되어 상기 뚜껑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식품 보관 용기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시키는 제1 밀봉부,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측벽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시키는 제2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상기 고정부에 체결하기 위해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은 'ㄱ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는 실링재 또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 용기의 뚜껑이 하부 용기와 결합 또는 일체화됨으로써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관 용기의 세척시에만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뚜껑의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관 용기에 음식이 담겨진 경우에도 뚜껑을 모두 열지 않고 음식을 꺼낼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음식 본래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수납 공간을 갖는 용기의 두께(t)나 재질(예: 목재, 플라스틱, 유리 등)을 고려하지 않고, 또 뚜껑을 분실한 경우에도 간단히 그에 체결 가능한 테두리부와 혹은 그에 일체화되는 뚜껑을 구매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구매에 따르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도 1의 절단선(A-A')을 따라 바라본 절단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 확대도,
도 3은 뚜껑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뚜껑의 제1 접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뚜껑의 제2 접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절단선(A-A')을 따라 바라본 절단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 확대도,
도 3은 뚜껑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뚜껑의 제1 접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뚜껑의 제2 접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도 1의 절단선(A-A')을 따라 바라본 절단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 확대도, 도 3은 뚜껑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뚜껑의 제1 접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뚜껑의 제2 접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이하, 식품 보관 용기)(90)는 본체부(100), 뚜껑(110) 및 연결부(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연결부(1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본체부(혹은 용기)(100)나 뚜껑(110)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부(100)는 간단히 용기라 명명될 수 있으며, 음식 등의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수납 공간은 바닥면, 더 정확하게는 바닥면에 놓이는 프레임(frame)에 대하여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측벽(101)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부(100)는 폴리(poly)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측벽(101)의 상측부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테두리부(103)가 구비된다.
본체부(100)는 측벽(101)과 테두리부(103)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테두리부(103)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측벽(101)으로 구성되는 용기만을 본체부(100)라 명명할 수도 있다. 테두리부(103)는 이후에 좀더 다루겠지만, 측벽(101)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그 하부가 체결된다. 테두리부(103)의 하부면은 측벽(101)의 상부 가장자리를 수납홈에 끼우는 형태가 아닌, 외부면 일측으로만 테두리가 형성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힘을 가압하여 끼우는 형태로 체결된다. 이는 용기 즉 본체부(100)의 측벽(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폭(a), 더 정확하게는 둘레의 길이가 테두리부(103)의 테두리 폭(b) 즉 둘레 길이보다 크게 되므로 가능하다. 이를 통해 억지 끼움식, 다시 말해 사용자가 힘을 가압하여 테두리 부분을 측벽(101)의 상부 가장자리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측벽(101)의 두께(t)에 관계없이 어느 식품 보관 용기(90)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103)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재질이나 연성이 없는 강한 플라스틱의 용기인 경우, 테두리부(103)만 교체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뚜껑(110)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테두리부(103)에서 측벽(101)의 상부 가장자리나, 상측의 홈부(103a)를 따라서는 실링재나 실리콘과 같은 밀봉부(195)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101)이 가령 폴리 계열로 형성되는 경우, 폴리 계열의 사출물은 통상 금형(틀)을 포함하는 별도의 사출장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103)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뚜껑(110)과 연결되는 연결 부위의 인접 영역에 돌기부(100a)를 형성한다. 물론 돌기부(100a)는 테두리부(103)에 형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100a)는 제1 돌기부(100a)가 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돌기부(100a)는 이하, 제1 돌기부(100a)로 설명한다. 돌기부와 돌출부는 실제 개념적으로 큰 차이는 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을 돌기부라 명명하고, 따라서 돌출부는 비교적 넓은 영역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부위를 지칭하기로 한다. 그러나, 그러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체부(100)의 제1 돌기부(100a)는 뚜껑(110)이 완전 개방되었을 때,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홈부(혹은 제2 홈부)(110a)에 삽입되어 뚜껑(110)의 본체부(100)의 측면에 1차적으로 고정시킨다. 물론 본체부(100)의 제1 돌기부(100a)와 뚜껑(110)의 홈부(110a) 즉 제2 홈부(110a)는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고, 다른 원리(예: 자석)로 서로 부착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지만, 심미적인 측면이나 제조비용 등을 고려하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은 돌기부(100a)와 홈부(110a)의 형태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테두리부(103)와 관련해 좀더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두리부(103)는 측벽(101)에 결합되어 그 내측으로 홈부(103a)를 형성하며, 여기서 홈부(103a)는 뚜껑(110)의 홈부(110a)와 구분하기 위하여 제1 홈부(103a)라 명명될 수 있다. 반면, 뚜껑(110)의 홈부(110a)는 제2 홈부(110a)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홈부(103a)는 테두리부(10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뚜껑(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11a)가 삽입된다. 제1 홈부(103a)는 가령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리콘이나 실링재와 같은 밀봉부(19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므로, 뚜껑(110)의 돌출부(111a)가 삽입되어 뚜껑(110)이 닫히는 경우 수납 공간은 밀폐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뚜껑(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제1 홈부(103a)에 삽입되는 돌출부(111a)를 이하, 제1 돌출부(111a)로 칭한다.
본체부(100)는 도 4에서와 같이 뚜껑(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1a)와 체결하기 위한 제1 홈부(103a)를 포함하며, 제1 홈부(103a)에는 밀봉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03)의 모서리 부위에는 가령 밀봉부(195)를 제1 홈부(103a)에 안정되게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턱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103)는 제1 홈부(103a)의 측벽에 뚜껑(110)의 접이부(113)를 구속하여 뚜껑(110)이 접이(혹은 제1 접이)를 발생시키는 체결부(103b)가 형성되며, 또한 뚜껑(110)이 제1 홈부(103a)를 통해 수납 공간을 밀폐시키면서 체결된 후 외부에서 가해지는 일정 힘에 의해서도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체결홈(103d)을 포함한다. 체결홈(103d)은 뚜껑(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11c)와 체결된다. 뚜껑(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11c)는 이하, 제2 돌출부(111c)라 지칭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번호 400은 꺽임영역 즉 접이 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테두리부(103)에서 제1 홈부(103a)의 측벽에 형성되는 체결홈(103d)은 양변에서 총 4개가 형성되는 것을 도 5에 보여주고 있다. 뚜껑(110)이 닫힌 상태에서 개방되기 시작하는 부위인 전단부는 그 전단부의 제2 돌출부(111c)와 체결되는 양측 2개의 체결홈(103d)과 체결되고, 또한 뚜껑(110)의 후반부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111c)는 그에 체결되는 양측 2개의 체결홈(103d)과 체결된다. 뚜껑(110)의 접이부(113)가 하나 형성되는 것을 전제로 4개의 체결홈(103d)이 테두리부(103)에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접이부(113)의 개수에 따라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위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테두리부(103)에 형성되는 다양한 기능부(예: 103a 내지 103d)를 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사출공정을 통해 테두리부(103)와 같은 사출물을 사출한 후 본체부(100)의 측벽(101)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테두리부(103)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면, 테두리부(103)는 수직 프레임(103_2)에 의해 구획되는 하부의 둘레 길이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101)의 가장자리 즉 둘레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테두리부(103)를 사용자가 하부 용기 즉 측벽(101)에 가압하는 형태로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프레임(103_2)은 초기에 측벽(101)에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테두리부(103)는 더 정확하게는 상측에서 뚜껑(110)을 체결하기 위한 수평 프레임(103_1)과, 수평 프레임(103_1)의 일측에 한하여 바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103_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수직 프레임(103_2)은 측벽(101)의 외부면으로 위치하게 된다. 수평 프레임(103_1)은 수납 공간의 내측으로 뚜껑(110)의 제1 돌출부(111a)를 수납 혹은 체결하기 위한 제1 홈부(103a)를 형성하며, 그 제1 홈부(103a)에는 실리콘이나 실링재와 같은 밀봉부(195)가 구비된다. 또한, 수평 프레임(103_1)의 하측과 수직 프레임(103_2)이 서로 연결되는 지점은 측벽(101)의 상부면과 접촉하므로 밀폐를 위해 여기에도 밀봉부(195)가 형성된다. 하나는 제1 밀봉부가 되고, 다른 하나는 제2 밀봉부가 되는 것이다.
테두리부(103)는 즉 수평 프레임(103_1)과 수직 프레임(103_2)이 서로 연결되는 지점의 하측 부위가 'ㄱ'자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측벽(101)의 두께(t)에 구애받지 않게 되며, 따라서 다양한 두께의 용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103)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재질과 관계없이 테두리부(103), 또는 테두리부(103)와 일체화되는 뚜껑(110)을 구입하여 사용함으로써 보관 용기(90)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가령, 종래 대비 비용이 상당히 절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 용기의 뚜껑을 교체하는 경우, 위생 상태를 보다 청결히 하면서 교체에 따르는 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체부(100)는 뚜껑(110)과 힌지(hinge) 등에 의해 연결되는 부위를 심미적으로 커버하기 위한 제1 연결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제1 연결부(105)는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테두리부(10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돌기부(100a)도 테두리부(10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부(105)는 연결부(120)가 힌지를 커버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생략되어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구성보다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뚜껑(110)이 본체부(100)에서 완전 개방되었을 때, 연결부(120)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105)가 뚜껑(110)의 제2 연결부(115)와의 작용에 의해 고정부(103c)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부(103c)는 뚜껑(110)이 본체부(100)에 닫힌 상태에서는 노출되지 않지만, 완전 개방되었을 때 홀(hole)을 드러낼 수 있다. 가령 홀 형태의 고정부(103c)에는 도 5에서 볼 때, 뚜껑(110)의 돌기부(111b), 즉 제2 돌기부(111b)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뚜껑(110)은 외연을 형성하는 프레임(111)과, 프레임(111)에 접힘(folding)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부(113), 그리고 연결부(120)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접이부(113)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그 개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뚜껑(110)을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구분해 보면, 다시 말해 내측면은 뚜껑(110)이 본체부(100)를 덮었을 때 수납 공간과 대면하는 면을 의미한다. 내측면과 외측면은 제1 면 또는 제2 면이라 지칭될 수 있다. 뚜껑(110)의 내측면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111a)가 형성된다. 여기서의 돌출부(111a)는 제1 돌출부가 될 수 있다. 돌출부(111a)는 도 4 및 도 5에서 볼 때, 본체부(100)의 제1 홈부(103a)에 체결된다. 또한, 뚜껑(110)의 내측면, 더 정확하게는 양측에는 또 다른 돌출부(111c)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111c)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11c)는 본체부(100)의 체결홈(103d)에 체결되며, 사용자가 뚜껑(110)에 기준 이상의 힘을 가할 때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뚜껑(110)을 본체부(100)에 체결하여 수납 공간을 밀폐 된 상태로 형성한 후 뚜껑(110)의 전단부 즉 개방을 시작하는 부위에 힘을 가하게 될 때, 뚜껑(110)의 제2 돌출부(111c)가 본체부(100)의 체결홈(103d)에서 이탈하면서 접이부(113)에 의해 제1 접이(혹은 접힘)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이는 뚜껑(110)의 외측면이 마주보는 방향에 해당된다. 이러한 제1 접이는 도 4에서 볼 때, 접이부(113)의 양측을 본체부(100)의 체결부(103b)가 구속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으며,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0)의 체결홈(103d)과 뚜껑(110)의 제2 돌출부(111c)의 체결된 힘이 사용자의 힘보다 강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110)의 전단부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뚜껑(110)의 접이부(113)의 양측은 홈 등의 체결부(103b)에 체결되어 안정된 상태로 뚜껑(110)이 개방될 수 있다. 가령, 체결부(103b)를 형성하는 홈은 일측벽에서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체결홈(103d)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가령 바닥면에 대하여 135도의 각도로 뚜껑(110)의 전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뚜껑(11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이 강한 경우, 뚜껑(110)은 도 5에서 같이 수납 공간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뚜껑(110)의 접이부(113)를 통해 수납 공간의 부분 개방, 또는 순차적 개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의 접이는 제1 방향으로 접이가 이루어진다. 더 정확히 말해, 바닥면에 대하여 제1 방향이 되는 것이다.
반면, 뚜껑(110)은 도 5에서와 같이 수납 공간을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의 제2 접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이는 뚜껑(110)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뚜껑(110)의 전단부를 바닥면에 수평하게 놓음으로써 뚜껑(110)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를 이룰 수도 있다. 다만, 이의 경우, 뚜껑(11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하여 후단부에는 도 3에서 볼 때 본체부(100)의 제1 돌기부(100a)와 체결하기 위한 제2 홈부(110a)를 포함한다. 따라서, 뚜껑(110)의 후단부는 본체부(100)에 고정되고, 뚜껑(110)의 전단부는 자유롭게 접힘이 가능하다. 그러나, 뚜껑(110)의 전단부의 경우에도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면에 제2 돌기부(111b)를 더 포함한다.
뚜껑(110)의 제2 돌기부(111b)는 도 5에서 볼 때, 고정부(103c)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110)은 전단부와 후단부를 모두 본체부(100)에 고정시킴으로써 뚜껑(11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그 완전하게 체결된 모습은 도 6에서와 같다. 도 6에서 도면번호 600은 제1 고정구조와 제2 고정구조에 의해 뚜껑(110)이 전단부와 후단부가 본체부(100)의 측면에 완전 고정되어 있는 고정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뚜껑(110)의 후단부만 본체부(100)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예: 100a, 110a)를 가지며, 또한 뚜껑(110)의 전단부도 함께 본체부(100)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예: 103c, 111b)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은 뚜껑(110)의 결합에 따라 사용자는 식품을 수납 공간에 수납하거나 반출하거나, 나아가서는 용기를 취급할 때,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시 정리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110)은 접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뚜껑(110)을 모두 여는 경우에도 뚜껑(110)이 용기 즉 본체부(100)와 분리되지 않으며, 열린 뚜껑(110)이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최적화된다. 식품 보관 용기(90)는 뚜껑(110)과 하부 용기 즉 본체부(100)로 되어 있고, 뚜껑(110)은 테두리와 상부 부분으로 되어 있다. 뚜껑 부분은 탄성이 있는 재질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테두리에는 가로 방향으로 홈 즉 제1 홈부(103a)가 형성되고, 뚜껑(110)의 상부 부분의 말단 부분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부 즉 제1 돌출부(111a)가 형성되어 있어 뚜껑(110)을 닫을 시 수직으로 힘을 가하면 제1 돌출부(111a)가 제1 홈부(103a)에 체결된다. 여기서, 제1 홈부(103a)는 뚜껑(1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뚜껑(110)의 상부면이 접히는 방향이 위, 아래 즉 제1 방향과 그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모두 접히게 되므로 추후 뚜껑(110)이 완전히 열린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내부면으로 접혀 본체부(10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뚜껑(110)이 완전히 열린 경우 본체부(100)의 측면 고정시 뚜껑(110)의 내부면(예: 음식물과 맞닿는 면)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고정시킬 수 밖에 없다.
뚜껑(110)의 상부면은 접히도록 구성되며, 이때 뚜껑(110)의 상부면이 접히는 경우에는 접히는 부분의 테두리부(103)에는 세로 방향으로 체결홈(부)(103d)이 형성되어 있어, 뚜껑(110)의 상부면이 들리면, 상부면의 (양측) 말단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 즉 제2 돌출부(111c)가 세로 형태가 되고, 이 제2 돌출부(111c)가 테두리부(103)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103d)에 체결되어, 상부면이 접혀 열리는 상태에서 고정된다.
뚜껑(110)의 테두리 부분은 테두리 부분의 안쪽 폭의 길이(a)가 용기 즉 본체부(100)의 외측 폭의 길이(b)보다 작게 형성되어, 억지 끼움식으로 상부에서 힘을 가해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본체부(100)의 두께(t)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본체부(100)의 폭만 결정되면 어떤 재질의 용기이든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유리는 용기의 두께가 두껍고, 플라스틱은 이보다 작고, 스테인레스의 경우에는 폭이 제일 작기 때문에 용기의 폭만 같다면 재질에 상관없이 뚜껑(110)을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뚜껑(110)이 완전히 열린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제1 돌기부(100a)와 뚜껑(110)의 제2 홈부(110a)가 서로 체결된다. 뚜껑(110)의 후단부의 움직임을 먼저 구속하는 1차적인 고정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뚜껑(110)이 완전히 열린 경우에도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뚜껑(110)이 완전히 열린 경우에는 열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접혀 음식물이 접하는 부분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위생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뚜껑(110)의 내부면에 제2 돌기부(111b)가 형성되어 있어 접힌 경우, 고정부(103c)와 서로 체결되어 펼쳐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1인 가구 시대에 협소한 공간에서도 음식 용기가 차지하는 비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갑거나 뜨거운 음식의 경우, 그 상태를 종래보다 잘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시 전체 뚜껑이 모두 열리지 않으므로 외부 환경과의 접촉이 최소화할 수 있어 신선도 유지에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110)은 접이부(113)의 구성과 본체부(100)와의 체결 구조를 통해 뚜껑(110)을 다단 접이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아울러 뚜껑(110)을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도 본체부(100)에 연결되어 있는 뚜껑(110)을 다시 본체부(100)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수단을 통해 이와의 체결에 따라 다양한 접이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가령,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뚜껑(110)의 후단부만 도 3에서와 같이 제1 돌기부(100a)와 제2 홈부(110a)에 의해 구속함으로써 뚜껑(110)의 전단부의 외면이 바닥면에 수평하게 놓임으로써 뚜껑(110)이 'L자'의 형태로 90도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 대표적이다. 바닥면에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단부는 본체부(100)의 측면과 수평하게 180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도 5 및 도 6을 통해 충분히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기술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뚜껑(110)의 구동방식을 자세히 기술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내용들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을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동방식 혹은 방법과 관련해서는 앞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190)는 본체부(700), 뚜껑(710) 및 연결부(7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도 7a 및 도 7b의 식품 보관 용기(190)를 도 1 내지 도 6의 식품 보관 용기(90)와 비교해 볼 때, 본체부(700)가 유리 재질로 형성되고, 뚜껑(710)은 도 1에서와 같은 테두리부(103)를 일체화하여 형성한다는 데에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도 7a에서 연결부(720)도 뚜껑(710)과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710)은 테두리부(711)와 도어부(713) 또는 밀폐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테두리부(711)는 유리 재질의 본체부(700)의 상부에 삽입될 수 있고, 이의 상태에서 도어부(713)가 테두리부(711)와 체결됨으로써 수납 공간을 밀폐 상태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어부(713)는 접이부(713a)를 포함하므로 이를 통해 다단 접이가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 보관 용기(19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금형틀을 사용하여 사출장비를 통해 사출성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 이외에도 도 7a 및 도 7b의 본체부(700), 뚜껑(710) 및 연결부(72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표현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700: 본체부 100a: 돌기부(혹은 제1 돌기부)
101: 측벽 103, 711: 테두리부
103a: 제1 홈부(혹은 홈부) 103b: 체결부
103c: 고정부 103d: 체결홈(부)
103_1: 수평 프레임 103_2: 수직 프레임
105: 제1 연결부 110, 710: 뚜껑
110a: 제2 홈부(혹은 홈부) 111: 프레임
111a: 제1 돌출부(혹은 돌출부) 111b: 돌기부(혹은 제2 돌기부)
111c: 제2 돌출부(혹은 돌출부) 113, 713a: 접이부
115: 제2 연결부 120, 720: 연결부
713: 도어부
101: 측벽 103, 711: 테두리부
103a: 제1 홈부(혹은 홈부) 103b: 체결부
103c: 고정부 103d: 체결홈(부)
103_1: 수평 프레임 103_2: 수직 프레임
105: 제1 연결부 110, 710: 뚜껑
110a: 제2 홈부(혹은 홈부) 111: 프레임
111a: 제1 돌출부(혹은 돌출부) 111b: 돌기부(혹은 제2 돌기부)
111c: 제2 돌출부(혹은 돌출부) 113, 713a: 접이부
115: 제2 연결부 120, 720: 연결부
713: 도어부
Claims (7)
- 바닥면에 접촉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에 의해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100);
상기 측벽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수평 프레임(103_1)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 한하여 수직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103_2)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둘레 길이가 상기 수납 공간의 둘레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해 상기 측벽의 상부에 체결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측벽의 외부면에 대면하는 테두리부(103);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 상태로 형성하며,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접이(folding)와 제2 접이를 발생시키는 뚜껑(110); 및
상기 뚜껑과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수납 공간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고정부(103c)를 포함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접하여 제1 돌기부(100a)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연결부의 인접하여 제2 홈부(110a)를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홈부는, 상기 제2 접이의 발생시 서로 체결되어 상기 뚜껑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1a)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홈부(103a); 및
상기 홈부에 연장되는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에서 일측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111c)를 체결하는 체결홈(103d);을
포함하는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홈부의 일측벽에 복수개의 체결홈(103d)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 사이에 상기 뚜껑을 접이시키는 접이부의 양측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03b);를 더 포함하는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서로 수평한 상태를 이루어 형성되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시키는 제1 밀봉부(195);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측벽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시키는 제2 밀봉부(195);를
더 포함하는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고정부에 체결하기 위해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기부(111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은 'ㄱ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는 실링재 또는 실리콘이 사용되는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560A KR102206253B1 (ko) | 2019-07-09 | 2019-07-09 |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560A KR102206253B1 (ko) | 2019-07-09 | 2019-07-09 |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6668A KR20210006668A (ko) | 2021-01-19 |
KR102206253B1 true KR102206253B1 (ko) | 2021-01-22 |
Family
ID=7423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2560A KR102206253B1 (ko) | 2019-07-09 | 2019-07-09 |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625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71793A1 (en) * | 2021-05-21 | 2022-11-24 | Beom Jun KIM | Airtight contain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73200B1 (ja) * | 2002-03-28 | 2003-02-04 | 中央容器株式会社 | 包装容器用蓋 |
KR101392394B1 (ko) * | 2012-11-06 | 2014-05-13 | 전영환 | 밀폐용기 |
KR101940016B1 (ko) * | 2017-10-24 | 2019-04-10 | 구현우 | 저장용기 |
-
2019
- 2019-07-09 KR KR1020190082560A patent/KR1022062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73200B1 (ja) * | 2002-03-28 | 2003-02-04 | 中央容器株式会社 | 包装容器用蓋 |
KR101392394B1 (ko) * | 2012-11-06 | 2014-05-13 | 전영환 | 밀폐용기 |
KR101940016B1 (ko) * | 2017-10-24 | 2019-04-10 | 구현우 | 저장용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71793A1 (en) * | 2021-05-21 | 2022-11-24 | Beom Jun KIM | Airtight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6668A (ko) | 2021-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524564A (en) | Container with composite cover | |
US9102446B2 (en) | Tamper evident thermoformed plastic clamshell container | |
US20170282808A1 (en) | Console lid integrated dual pawl latching package | |
KR102206253B1 (ko) |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
JP2654193B2 (ja) | 留め具付きプラスチック蓋を有する紙容器 | |
KR200492537Y1 (ko) | 화장품 용기 | |
JP6038487B2 (ja) | リフィル皿保護容器 | |
KR200451988Y1 (ko) |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 |
JP2004231245A (ja) | プラスチック成形容器 | |
KR20170000489U (ko) | 접이식 음식 보관 용기 | |
JP7054175B2 (ja) | 包装用内嵌合容器 | |
KR101777970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845361B1 (ko) | 트레이 용기 구조체 | |
JP4205353B2 (ja) | 容器 | |
KR102287094B1 (ko) | 덮개의 개폐가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 |
KR102543445B1 (ko) | 밀폐용기 | |
JP4498713B2 (ja) | 化粧料容器 | |
KR20170103583A (ko) |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 |
KR102327436B1 (ko) |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 | |
US20220371793A1 (en) | Airtight container | |
KR200206094Y1 (ko) | 콤팩트 케이스 | |
KR200378488Y1 (ko) | 화장품 케이스 | |
KR101809683B1 (ko) | 핀 조립이 배제된 힌지 타입 화장품 용기 | |
KR101810960B1 (ko) | 회전 개방식 원터치캡 | |
JP3116744U (ja) | 即席麺等の収納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