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583A -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583A
KR20170103583A KR1020160026701A KR20160026701A KR20170103583A KR 20170103583 A KR20170103583 A KR 20170103583A KR 1020160026701 A KR1020160026701 A KR 1020160026701A KR 20160026701 A KR20160026701 A KR 20160026701A KR 20170103583 A KR20170103583 A KR 2017010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wet tissue
elastic
opening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6002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3583A/ko
Publication of KR2017010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moulding interconnected elements which are movable with respect to one another, e.g. chains or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open position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덮개판이 단순 원터치 형태로 스스로 젖혀져 개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기존에 비해 간소화된 구조만으로 덮개판의 자동 자동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작이 쉽고 그로 인해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더불어 구매 후 최초 사용 시 덮개판의 자동 열림 구조를 이용해 최초사용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Wet tissue for the pull-out port switch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 open function}
본 발명은 내부에 물티슈가 수용된 물티슈 포장팩에 설치되어 물티슈의 인출구 주변에 부착 설치되어 포장팩의 인출구를 인출하고 보관하는 과정에서 인출구의 개폐기능을 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비해 매우 간소한 구조를 통해 덮개판의 자동 열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제작이 손쉽고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으며, 최초 사용 전 해당 물티슈 포장팩의 사용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최근 흔히 '물티슈'라 칭하는 대상은 비닐 포장팩 내부에 수분을 함유한 티수가 적층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장팩 상부면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티슈를 낱장씩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제품이다.
이러한 물티슈는 포장팩의 인출구상에 별도의 개폐장치가 부착 설치되어 티슈의 인출여부에 따라 인출구를 개폐하여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개폐장치는 전체적으로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인출구를 덮는 형태로 부착되어 일부가 젖혀지면서 인출구를 개방시키는 필름구조와,
링 형태의 고정틀이 인출구 주변을 둘러싼 형태로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틀 후측 테두리에 덮개판이 연결되어 상하 회동하면서 고정틀 상부를 덮거나 열어 개폐하는 형태의 사출구조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그 중 사출구조의 개폐장치는 필름구조에 비해 항시 균일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사출구조 개폐장치는 덮개판의 후측테두리와 고정틀의 후측테두리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동시 사출되고 덮개판이 상호 간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덮개판은 고정틀 상부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물티슈의 외부 인출을 위해 고정틀 상부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가 직접 덮개판의 전측 테두리를 잡고 위로 직접 들어올려 90도를 넘는 지점까지 직접 회동시키는 형태로 작동시켜야 한다.
즉 덮개판을 위로 들어올릴 때 항시 사용자가 직접 덮개판을 끝까지 젖혀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한쪽 손으로 덮개판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대부분 다른 한쪽 손으로는 포장팩을 잡고 있기 때문에, 결국 덮개판을 여는 과정에서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은 더욱 클 수밖에 없고 한손에 다른 물건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는 어쩔 수 없이 해당 물건을 내려놓은 상태로 덮개판을 여는 동작에 사용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덮개판이 원터치 방식으로 자동 젖혀져 열릴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해당 기존 기술은 별도의 고무 등의 탄성체를 덮개판과 고정틀 사이에 설치하여 덮개판이 닫혀졌을 때 탄성체가 눌려 압착되고, 이 상태에서 덮개판과 고정틀 간 걸림을 해제시키는 순간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판이 위쪽으로 밀어올려지면서 회동하여 자동 열리도록 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해당 종래 기술은 공통적으로 별도의 탄성체를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결국 제작공정 및 조립공정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제작단가가 상승 되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덮개판이 단순 원터치 형태로 스스로 젖혀져 개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존에 비해 간소화된 구조만으로 덮개판의 자동 자동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작이 쉽고 그로 인해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구매 후 최초 사용 시 덮개판의 자동 열림 구조를 이용해 최초사용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물티슈가 수용되어 있고 상부면에 인출구가 형성된 포장팩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링 형태이고 상기 포장팩 중 상기 인출구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되어 내부에 상기 인출구가 위치되고 후측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틀, 상기 고정틀의 상부면의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후측단부가 상기 고정틀의 후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며 상기 고정틀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덮개판, 상기 고정틀과 상기 덮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과 덮개판을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잠금부, 상기 덮개판의 판재 형태이고 전측단부가 상기 덮개판과 후측단부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후측을 향해 돌출 연장되어 있고 후측단부에는 제1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걸림부재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판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가 꺽이면서 인장됨과 동시에 반대쪽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되고 상기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덮개판이 위쪽을 향해 회동하여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후측단부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태이고, 상기 체결공의 내부 좌우 양측 벽면에는 상기 각 제1걸림부재에 대응되어 상기 제1걸림부재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1걸림부재가 상기 체결공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제2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덮개판과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함께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틀 후측단부로부터 후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보조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보조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덮개판에 탄성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함께 성형되고 체결공 또한 고정틀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거나 고정틀과 함께 일체로 성형되는 보조블록에 형성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제작이 손쉬워지므로 그만큼 제작단가 및 제품 단가도 낮출 수 있어 제품의 대중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탄성부의 제1걸림부재가 체결공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위치되도록 제조된 상태에서 최초 사용 시 덮개판을 위쪽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부가 함께 회동되다가 제1걸림부재가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된 뒤 이 상태로 계속 사용됨에 따라,
최초 사용 시 제1걸림부재가 체결공에 체결되어있는지 여부를 통해 해당 제품을 본인이 최초로 사용하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되고, 이를 통해 제품 구매 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1은 최초 탄성부의 제1걸림부재가 고정틀의 체결공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최초 사용 시 덮개판이 위쪽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탄성부가 함께 회동하여 제1걸림부재가 체결공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정단면도
도4는 덮개판이 회동하여 고정틀의 상부를 덮은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정단면도
도6은 잠금부를 통해 고정틀과 덮개판의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덮개판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하여 열리는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7은 탄성부가 고정틀에 형성되고 체경공은 덮개판에 형성된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아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300)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400)과 덮개판(500), 잠금부(1000), 탄성부(80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내부에 물티슈가 적층 수용되어 있고 상부면에 인출구가 형성된 물티슈용 포장팩에 설치되는 것이다.
고정틀(400)은 개폐장치 전체와 포장팩(100)간 연결 기능과 동시에 인출구(200) 주변에 밀폐공간 형성 역할, 후술할 덮개판(500)의 지지체 역할 및 후술할 탄성부(800)와의 체결 기능을 발휘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고정틀(400)은 전체적으로 사각 또는 원형 링 형태이고 포장팩(100) 표면 중 인출구(200)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포장팩(100) 표면에 부착 고정된다.
따라서 포장팩(100)의 인출구(200)는 고정틀(400) 내부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틀(400)의 전측 테두리 상에는 후술할 덮개판(500)이 고정틀(400) 상부를 덮었을 때 고정틀(400)과 덮개판(500) 간 체결 기능을 위한 잠금부(1000)가 형성된다.
잠금부(1000)는 중간 지점의 버튼을 눌렀을 때 덮개판(500)과 고정틀 간 체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잠금부(1000)는 현재 일반적인 물티슈용 개폐장치에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되므로 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틀(400)의 후측면에는 후술할 덮개판(500)의 탄성부(800)와 체결을 위한 체결공(600)이 전측을 향해 일정 깊이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체결공(600)의 좌우 양측 내부벽면에는 후술할 탄성부(800)가 체결공(6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2걸림부재(700)가 형성되는데, 제2걸림부재(700)는 체결공(600)의 내부벽면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참고로 이러한 체결공(600)은 도면과 같이 고정틀 후측 중간지점에 하나만 형성되거나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고정틀(400)에는 덮개판(500)이 연결 설치된다.
덮개판(500)은 고정틀(400)의 상부를 개폐하여 실질적으로 보관 시 인출구(200)로의 외부공기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덮개판(500)은 고정틀(400)의 상부면적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후측단부가 고정틀(400)의 후측단부 상단 테두리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판(500)은 고정틀(400)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덮개판(500)의 전측 테두리에는 고정틀(400)의 잠금부(1000)와 체결을 위한 구조가 형성되는데, 이또한 일반적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장치에 사용되는 잠금부 구조가 적용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판(500)에는 탄성부(800)가 연결 형성된다.
탄성부(800)는 덮개판(500)과 고정틀(400)을 상호 일체로 연결시켜 덮개판(500)이 아래로 회동하여 닫히는 과정에서 인장 및 꺽임 등의 작용이 발생됨과 동시에 해당 인장 및 꺽임과 반대되는 쪽으로 탄성력이 발휘되어 덮개판(500)이 자동으로 위쪽을 향해 회동하여 열릴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탄성부(800)는 전체적으로 전후 길이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전측단부가 덮개판(500)의 후측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후측을 향해 돌출 연장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는 덮개판(500)과 별개로 제작되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덮개판(500)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함께 동시 성형 되어 제작된다.
탄성부(800)의 후측단부에는 고정틀(400)의 체결공(600) 내 제2걸림부재(700)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1걸림부재(900)가 형성되는데, 제1걸림부재(900)는 탄성부(800) 후측단부 좌우측면으로부터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부(800)의 후측단부가 체결공(6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걸림부재(900)가 제2걸림부재(700)를 타고넘어감과 동시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걸림부재(900)의 일측면은 제1걸림부재(900)가 제2걸림부재(700)를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곡면이 형성되고 반대쪽 면은 제1걸림부재(900)가 제2걸림부재(700)를 타고 넘어간 뒤 반대쪽으로 타고 넘어가지 못하고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평평하게 가공 처리된다.
참고로 이러한 탄성부(800)와 제1걸림부재(900), 체결공(600) 및 제2걸림부재(700)는 각각 탄성부(800)와 고정틀(400) 후측면 중간지점에 하나만 형성되거나,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최초 사용 전 덮개판(500)이 고정틀(400)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부(800)의 후측단부가 체결공(60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최초 사용을 위해 덮개판(500)을 위쪽으로 회동시켜 들어올리면 이와 연결된 탄성부(800)도 함께 회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탄성부(800)의 후측단부가 고정틀(400)의 체결공(6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탄성부(800)의 후측단부가 고정틀(400)의 체결공(600)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부(800)의 제1걸림부재(900)가 제2걸림부재(700)를 타고넘어가 상호 간의 걸림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공(600)에 삽입된 탄성부(800)의 후측단부가 다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판(500)을 아래로 회동시켜 고정틀 상부를 닫는 과정에서 탄성부(800)가 전측을 향해 꺽여짐과 동시에 당겨져 인장되고, 덮개판(500)이 고정틀 상부를 완전히 덮으 상태에서 잠금부(1000)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덮개판(500)이 열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탄성부(800)는 반대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 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잠금부(1000)의 버튼을 눌러 덮개판(500)과 고정틀(400) 간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덮개판(500)은 탄성부(800)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스스로 회동하며 들어올려져 개방된다.
따라서 단순 원터치 방식으로 자동 열림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탄성부가 덮개판(500)과 일체로 성형 제작되어 구현되므로 제작이 쉽고,
탄성부가 단순 밴드 형태로 덮개판과 고정틀 외부를 연결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탄성부의 설치를 위한 구조 또한 기존과 달리 매우 간소해져 제작이 더욱 쉬워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비해 제작과정과 제작 단가가 낮으며 그만큼 판매단가도 낮아질 수 있어, 결국 제품의 대중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참고로 체결공(600)은 고정틀(40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고정틀(400)의 후측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고정틀(400) 후측에 별도이 보조블록(미도시)을 돌출 형성시켜 보조블록(미도시)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800)의 삽입길이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와 체결공의 형성위치가 상호 반대구조, 즉 탄성부는 고정틀에 일체로 연결 성형되고 체결공은 덮개판에 형성되느 형태로도 변형 구현될 수 있다.
100; 포장팩 200;인출구
300;개폐장치 400;고정틀
500;덮개판 600;체결공
700;제2걸림부재 800;탄성부
900;제1걸림부재 1000;잠금부

Claims (6)

  1. 내부에 물티슈가 수용되어 있고 상부면에 인출구가 형성된 포장팩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링 형태이고 상기 포장팩 중 상기 인출구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고정틀,
    상기 고정틀의 상부면의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후측단부가 상기 고정틀의 후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며 상기 고정틀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덮개판,
    상기 고정틀과 상기 덮개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과 덮개판을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의 후측면과 상기 덮개판의 후측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측단부가 상기 덮개판의 후측단부와 상기 고정틀의 후측면 중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지 않은 것에 연결되되 판재 형태이고 전측단부가 상기 덮개판과 고정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제1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탄성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판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상기 고정틀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가 꺽이면서 인장됨과 동시에 반대쪽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 되고 상기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덮개판이 위쪽을 향해 회동하여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고정틀의 후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는 전측단부가 상기 덮개판의 후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후측을 향해 돌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걸림부재는 후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탄성부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태이고,
    상기 체결공의 내부 좌우 양측 벽면에는 상기 각 제1걸림부재에 대응되어 상기 제1걸림부재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1걸림부재가 상기 체결공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제2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덮개판과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함께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제1걸림부재, 체결공 및 제2걸림부재는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 후측단부로부터 후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보조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상기 보조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1020160026701A 2016-03-05 2016-03-05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20170103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701A KR20170103583A (ko) 2016-03-05 2016-03-05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701A KR20170103583A (ko) 2016-03-05 2016-03-05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583A true KR20170103583A (ko) 2017-09-13

Family

ID=5996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701A KR20170103583A (ko) 2016-03-05 2016-03-05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3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78A (ko) * 2018-03-28 2019-10-08 이승현 자동 열림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78A (ko) * 2018-03-28 2019-10-08 이승현 자동 열림기능을 갖는 포장팩용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6834B1 (en) Food item receiving container
RU2540390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рышки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стоящая из прозрачной крышки и каркаса
KR200477982Y1 (ko) 물티슈 캡
US10694630B2 (en)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creen
KR20170103583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101914006B1 (ko) 탄성 개폐장치
KR101958065B1 (ko) 슬라이드 방식의 뚜껑 개폐구조를 갖춘 식품용기
KR101404766B1 (ko) 화장품 캡슐용기
US20130312218A1 (en) Handle assembly for an airtight container
KR100540378B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102306321B1 (ko) 연질 힌지부 및 이중 사출 구조를 갖는 밀폐 용기
KR20170105238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102206253B1 (ko)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KR101795448B1 (ko) 독립적으로 개방되는 다중진공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케이스
KR200340188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170127817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20170105232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200322034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90011961U (ko) 밀폐용기
JP2021037872A (ja) カップホルダ付きアームレ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18846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110010176U (ko) 밀폐용 식품 용기
KR200463129Y1 (ko) 용기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080002204U (ko) 잠금기능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사각용기
JP2012012018A (ja) 機能性付与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