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578B1 - 차량용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578B1
KR101616578B1 KR1020150011557A KR20150011557A KR101616578B1 KR 101616578 B1 KR101616578 B1 KR 101616578B1 KR 1020150011557 A KR1020150011557 A KR 1020150011557A KR 20150011557 A KR20150011557 A KR 20150011557A KR 101616578 B1 KR101616578 B1 KR 10161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housing cover
housing
main body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률
서준규
정민욱
황은철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우징 커버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본체 사이의 실링 기능을 높이며, 하우징 커버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에 대해서 하우징 본체가 그라운드(Ground)가 될 수 있게 한 차량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 일측에 장착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이 상기 하우징 본체 일면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과, 상기 하우징 커버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액츄에이터{ An actuator for a vec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우징 커버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본체 사이의 실링 기능을 높이며, 하우징 커버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에 대해서 하우징 본체가 그라운드(Ground)가 될 수 있게 한 차량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액츄에이터는 일반적으로, 목적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방/폐쇄 동작의 개도치를 제어하여 밸브 또는 레버를 구동하기 위해, DC모터의 회전동작에 의한 기어 구조의 회전 상태에 따라 밸브 또는 레버를 개폐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별도의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상에 실장된 마이컴과 신호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 특허 10-2004-0032773에서 그 일례가 개시된다.
액츄에이터는 유체의 저장탱크나 유로에 설치된 각종의 센서에서 각각의 센싱 결과에 따라 인가되는 유량과 압력 및 온도 등의 계측치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계측치에 의거하여 개도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에서 그 개도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치를 제어한다.
즉 DC모터의 구동 정도를 결정하여 밸브 또는 레버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하고 있다.
차량용 액츄에이터의 경우, 금속 재질의 하우징 본체와, 이를 덮는 수지 재질의 하우징 커버가 마련되고, 하우징 커버에는 PCB 기판이 장착된다.
차량용 액츄에이터가 동작하면, 모터의 열이나, 외부의 열에 의하여 하우징 커버가 변형되어 동력 전달을 담당하는 기어들과 간섭이 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마련되는데,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의 실링 부재 장착홈에 너무 딱맞으면 실링부재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본체 방향으로 부풀어 올라서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본체 간에 틈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고, 장착홈에 비해서 실링부재를 얇게하면 그 안에서 요동치면서 실링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고자,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는 지지핀이 하우징 커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열에 의한 하우징 커버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의하여 하우징 커버와 여러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에 장착되는 실링 부재의 국부적인 변형을 유도하여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본체 간의 실링 기능을 높이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에 실링 부재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에 장착되는 회로 기판에 대해서 하우징 본체가 그라운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전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통전 플레이트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 일측에 장착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이 상기 하우징 본체 일면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과, 상기 하우징 커버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강도 보강용 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봉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모터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와, 밸브 샤프트가 장착되는 샤프트 장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중앙 영역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가 끼워지는 실링부재 장착홈과, 상기 실링 부재 장착홈에 마련되어 상기 실링 부재를 가압하여 실링 부재를 부분적으로 팽창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 부재 장착홈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 테두리를 따라서 폐루프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는 돌기 형상으로 되고,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실링 부재 장착홈을 따라서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가 끼워지는 실링부재 장착홈과, 상기 실링부재 장착홈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측 방향으로 연통되게 마련되어 실링 부재 장착홈에 상기 실링 부재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 확인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장착 확인홈에 끼워지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 내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 커버에 인서트 사출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속되는 통전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통전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통전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본체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통전 플레이트와, 상기 제1통전 플레이트에 대해서 절곡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통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커버 내면에는 상기 통전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서 상기 통전 플레이트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둘러싸이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통전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나사홀이 마련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하우징 커버를 체결하는 나사홀이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1통전 플레이트 단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회로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하우징 커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는 지지핀이 하우징 커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열에 의한 하우징 커버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의하여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본체 사이의 부품들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에 가압 돌기 형태의 가압부를 두어 실링 부재를 가압하고, 가압된 부분 근처에서 실링부재를 팽창을 시켜서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본체 간의 실링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실링 부재가 하우징 커버의 실링 부재의 장착홈에서 요동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우징 커버에 실링 부재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 커버에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을 형성하고, 확인홈에 끼워지도록 실링부재에 꼬리 또는 꼭지 형상의 연장부를 두어서 액츄에이터 조립 이후에 실링 부재 장착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에 장착되는 회로 기판에 대해서 하우징 본체가 그라운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전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통전 플레이트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커버와 실링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는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커버와 실링부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커버와 실링부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4(b)는 도4(a)에서 A-A'선을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에서 하우징 커버와 회로기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a)는 지지봉이 없는 경우의 액츄에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6(b)는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에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을 통해서 실링 부재가 장착된 상태가 확인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1)는 하우징 본체(10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일면을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200)를 포함한다.
하우징 커버(200)의 내면 테두리에는 링 형태의 실링 부재(300)가 마련되어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 본체(100) 사이를 밀폐한다.
하우징 커버(200) 내면 테두리에는 실링 부재(20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210)이 마련된다.
하우징 본체(100)에는 구동 모터(101)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110)와, 샤프트(121)가 장착되는 샤프트 장착부(120)가 마련된다.
하우징 본체(100) 일면에는 지지봉(130)이 마련되며, 지지봉(130)은 하우징 커버(200)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지지봉(130)은 모터 장착부(110)와 샤프트 장착부(120) 사이에 마련되며, 구동 모터(101)에 마련되는 피니언 기어(101a)와 샤프트에 끼워지는 부분 치형 기어(121a) 사이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기어(102: 102a, 102b)가 지지봉에 삽입된다.
즉, 지지봉(130)은 동력 전달기어(102)의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봉(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커버(200) 내면에는 지지봉(130)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공(220)이 마련되며, 삽입공의 위치는 지지봉의 위치에 대응된다.
하우징 커버(200) 내면에는 여러가지 소자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400)이 마련되는데, 회로기판(400)에는 삽입공(220)이 노출될 수 있는 관통공(410)이 마련된다.
삽입공(220)의 주위에는 테두리부(221)가 마련되어 이 테두리부(221)가 관통공(410)에 끼워져서 하우징 커버(200) 내면에서의 회로 기판(400)의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 부(221) 내부에 있는 삽입공(220)에 지지봉(130)의 단부가 끼워진 경우, 테두리부(221)가 지지봉(130)의 단부를 감싸게 됨으로써 삽입공(220)과 지지봉(130) 간의 결합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삽입공(220)의 내부 표면에는 강도 보강 리브(도2참조, 222)가 마련될 수 있다
강도 보강 리브(222)가 지지봉(130)의 단부에 접촉하게 되어, 지지봉(130)과 삽입공(220) 내면이 밀착되는 경우, 밀착되는 부분에서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 커버(200) 내면 테두리에는 링 형태의 실링부재(300)가 장착되는 폐루프 형태의 실링부재 장착홈(210)이 마련된다.
실링 부재 장착홈(210)은 실링 부재(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하우징 커버(200)에는 하우징 커버(220)와 하우징 본체(100)를 결합시키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체결공(201)이 마련되는데, 실링 부재 장착홈(210)은 이러한 체결공(201) 주위를 따라서 형성되는 곡선홈(210a)과, 곡선홈(210a)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홈(210b)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200) 내면에는 통전 플레이트(230)가 마련된다.
통전 플레이트(230)는 회로 기판(400)과 하우징 본체(100)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여, 하우징 본체(100)가 회로 기판(400)에 설치된 회로에 대하여 그라운드(Ground)로 기능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통전 플레이트(230)는 하우징 커버(200) 내면에 마련되는 지지부(202)에 고정되는데, 통전 플레이트(23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하우징 커버(20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 커버(200)를 사출 성형하는 경우, 금형 내부에 통전 플레이트(230)를 위치시키고, 금형 내부에 사출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하우징 커버(200)와 통전 플레이트(230)가 일체화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200)에는 통전 플레이트(230)의 일부를 둘러싸서 통전 플레이트(230)가 하우징 커버(20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하는 작은 블록형태의 지지부(20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전 플레이트(230)는 하우징 본체(100)에 마련되는 접속용 삽입홈(140)에 끼워진다. 따라서, 회로기판(400)과 하우징 본체(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여, 하우징 본체(100)가 그라운드가 되도록 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 부재 장착홈(210)에는 실링 부재(300)를 압박하여, 압박받은 실링 부재(300)가 팽창되도록 하여 실링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211)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압부(211)는 가압돌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211)는 실링 부재 장착홈(210)의 외벽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직선 홈(210b)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211)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며, 하우징 커버(210)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링 부재 장착홈(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측과 연통되는 부분이 형성되는데, 이를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이라고 정의한다.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은 일종의 확인창이 되어 실링부재(300)가 실링 부재 장착홈(210)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하우징 커버(200)를 하우징 본체(210)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실링 부재(3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실링 부재(300)가 실제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 본체(100) 사이에 배치되었는지 결합된 상태에서 확인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런데, 본 발명에는 실링 기능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링 부재 장착홈(210)의 외벽 일부를 약간 절개해서 실링 부재(210) 일부가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을 통해서 노출되게 하여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 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실링 부재 장착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실링 부재(300)에는 꼬리나 꼭지와 같은 짧은 연장부(301)를 형성하고, 연장부(301)가 실링부재(300)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에 끼워지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연장부(301)의 구성은 생략가능하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부재 장착홈(210)에 실링 부재(300)를 끼우는데, 실링부재 장착홈(210)의 폭과 실링부재(300)의 폭이 거의 동일하여 너무 꽉 끼워지면 상부로 팽창하고, 이 경우,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 본체(100)와 이격되어 틈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링 부재(300)가 실링 부재 장착홈(210)에 약간 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실링 부재(300)가 실링 부재 장착홈(210)에서 요동하면서 움직일 수 있어서 실링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가압부(211)를 장착하면, 가압부(211)가 부분적으로 실링부재(300)를 눌러서, 실링부재(300) 일부가 변형되고, 그 주위 방향으로 부풀거나 팽창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가압부(210)와 맞은편 벽(W) 간의 거리(d1)는 실링부재(300)를 형성하는 폐루프의 고무 또는 실리콘 바(bar)(310)의 두께(t1)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통전 플레이트(230)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통전 플레이트(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200)에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하우징 커버(200)에는 블럭 형태의 지지부(202)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통전 플레이트(23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전 플레이트(230)는 "L"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구분하면, 회로기판(400)에 마련되는 회로와 통전하도록 접속되는 제1통전 플레이트(231)와, 제1통전 플레이트(231)와 절곡되게 연결되며 하우징 본체(100)에 마련되는 접속용 삽입홈(도1참조, 140)에 끼워지는 제2통전 플레이트(2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통전 플레이트(231)는 지지부(202)에서 수평방향(또는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로 기판(40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함이다.
그리고, 제2통전 플레이트(232)는 지지부(202)에서 수직 방향(또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접속용 삽입홈(도1참조, 140)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통전 플레이트(231)에는 회로 기판(300)과 하우징 커버(200) 내면을 결합하는 결합용 나사(350)가 통과하는 나사홀(231a)이 형성되며, 제1 통전 플레이트 (231)단부는 나사홀(231a)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200) 내면 일부와 회로 기판(400) 사이에 제1통전 플레이트(231) 단부가 위치하고, 제1통전 플레이트(231)와 맞닿는 회로기판 부분에 통전 회로가 형성되어 제1통전 플레이트(231)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도4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통전 플레이트(232)의 높이는 하우징 커버(2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그 돌출된 부분이 하우징 본체(100)에 마련되는 접속용 삽입홈(140)에 끼워지게 된다.
제2통전 플레이트(232)는 블레이트 또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속용 삽입홈(14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접속된다.
따라서, 제1,2통전 플레이트(231, 232)에 의하여 회로 기판(400)의 회로와 하우징 본체(100)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로 기판(400) 회로의 그라운드 역할을 하우징 본체(300)가 수행할 수 있다.
도6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봉(130)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의 차이점을 도시하기 위해서 제공되었다.
도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00)의 일면과 하우징 커버(200) 사이에는 동력 전달 기어(102)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다만, 도6(a)에서는 본 발명과 같은 지지봉(103)이 배치되지 않고, 동력 전달 기어(102)들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중간축(1130)만 형성되며, 이러하 중간축은 하우징 커버(200)까지는 닿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용 액츄에이터가 동작을 하게 되면, 액츄에이터의 구동모터(101) 자체의 열이나, 아니면 차량 엔진룸의 열에 의하여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하우징 커버가 가열된다.
가열된 하우징 커버(200)는 회로기판(400) 방향으로 움푹 꺼지지거나 쳐지게 변형되고, 이에 의하여 회로기판(400)이 동력 전달 기어(102) 방향으로 움직여 동력 전달 기어(102)들과 간섭되어 동력 전달에 방해가 될 수 있다(화살표 방향 참조).
도6(b)는 지지봉이 형성된 본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봉(130)에 동력 전달 기어(120)가 끼워지면서 지지봉(130)의 단부는 하우징 커버(200)에 마련되는 삽입공(220)에 삽입된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200)가 가열되어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 본체(100) 사이의 공간으로 쳐지거나 움푹 꺼지려 하여도 지지봉(130)이 하우징 커버(200)를 떠받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커버(200)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하우징 커버(200)에 결합된 회로기판(400)과 동력전달 기어(102)들 간의 간섭 현상도 방지할 수 있어서, 원활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다.
도7은 하우징커버(200)가 하우징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하우징 커버(200) 외측 테두리에 상술한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이 마련된다.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은 외부를 향하여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실링 부재(도1참조, 200)가 실링 부재 장착홈(도1참조, 210)에 설치되면,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을 통해서 외부에 실링 부재(300) 일부가 보이게 된다.
특히, 실링 부재(300)에 연장부(301)가 형성되어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에 끼워져서 외부에 노출된 경우, 확연하게 장착 여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제작 완료 후, 검사 작업자는 실링 부재 장착 확인창(212)을 보고 실링 부재(300)의 장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실링 부재(300)의 색상이 주황색이나, 노란색이고, 하우징 커버(200)가 검은 색이라면, 실링 부재(300)가 더더욱 눈에 현저하게 식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본체 130: 지지봉
140: 접속용 삽입홈 200: 하우징 커버
210: 실링부재 장착홈 211: 가압부
212: 실링부재 장착 확인홈 230: 통전 플레이트
300: 실링부재 301: 연장부
400: 회로기판

Claims (10)

  1.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 일측에 장착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이 상기 하우징 본체 일면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과,
    상기 하우징 커버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봉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하우징 커버 내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 커버에 인서트 사출되며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접속되는 통전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통전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통전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본체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삽입홈을 포함하되,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통전 플레이트와, 상기 제1통전 플레이트에 대해서 절곡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통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 내면에는 상기 통전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서 상기 통전 플레이트 일부가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둘러싸이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강도 보강용 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봉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장착되는 모터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와, 밸브 샤프트가 장착되는 샤프트 장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중앙 영역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가 끼워지는 실링부재 장착홈과,
    상기 실링 부재 장착홈에 마련되어 상기 실링 부재를 가압하여 실링 부재를 부분적으로 팽창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 장착홈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 테두리를 따라서 폐루프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는 돌기 형상으로 되고,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실링 부재 장착홈을 따라서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실링부재가 끼워지는 실링부재 장착홈과,
    상기 실링부재 장착홈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측 방향으로 연통되게 마련되어 실링 부재 장착홈에 상기 실링 부재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 확인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장착 확인홈에 끼워지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전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나사홀이 마련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하우징 커버를 체결하는 나사홀이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1통전 플레이트 단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회로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회로기판과 하우징 커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KR1020150011557A 2015-01-23 2015-01-23 차량용 액츄에이터 KR101616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557A KR101616578B1 (ko) 2015-01-23 2015-01-23 차량용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557A KR101616578B1 (ko) 2015-01-23 2015-01-23 차량용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578B1 true KR101616578B1 (ko) 2016-04-28

Family

ID=5591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557A KR101616578B1 (ko) 2015-01-23 2015-01-23 차량용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57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733B1 (ko) * 2016-06-20 2018-04-13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밸브 제어용 액츄에이터
KR101949475B1 (ko) * 2018-01-02 2019-02-18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츄에이터
KR20190029002A (ko) *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만도 엠오씨 액추에이터
CN111953148A (zh) * 2019-05-17 2020-11-17 株式会社电装 驱动装置
KR102210913B1 (ko) * 2020-01-09 2021-02-0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액추에이터
KR102243918B1 (ko) * 2019-11-15 2021-04-23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츄에이터
CN112728193A (zh) * 2020-12-25 2021-04-30 兰州飞行控制有限责任公司 一种活门阀关紧作动器
KR20230027834A (ko) * 2021-08-20 202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밸브 액츄에이터
KR20230045911A (ko) * 2021-09-29 202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밸브 액츄에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086A (ja) * 2004-05-21 2005-12-02 Kitz Corp バルブのアクチュエータとその組付方法
KR20060011541A (ko)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롯데기공 조립체의 실링 확인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13932A (ko) * 2012-07-24 2014-02-05 아즈빌주식회사 전동 액추에이터
KR20140120237A (ko) * 2013-04-02 2014-10-13 구홍식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086A (ja) * 2004-05-21 2005-12-02 Kitz Corp バルブのアクチュエータとその組付方法
KR20060011541A (ko)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롯데기공 조립체의 실링 확인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13932A (ko) * 2012-07-24 2014-02-05 아즈빌주식회사 전동 액추에이터
KR20140120237A (ko) * 2013-04-02 2014-10-13 구홍식 저장용기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733B1 (ko) * 2016-06-20 2018-04-13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밸브 제어용 액츄에이터
KR20190029002A (ko) *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만도 엠오씨 액추에이터
KR101993763B1 (ko) * 2017-09-11 2019-07-01 주식회사 만도 엠오씨 액추에이터
KR101949475B1 (ko) * 2018-01-02 2019-02-18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츄에이터
JP7211258B2 (ja) 2019-05-17 2023-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CN111953148A (zh) * 2019-05-17 2020-11-17 株式会社电装 驱动装置
JP2020188652A (ja) * 2019-05-17 2020-11-19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CN111953148B (zh) * 2019-05-17 2024-04-02 株式会社电装 驱动装置
US11404931B2 (en) * 2019-05-17 2022-08-02 Denso Corporation Driving device
KR102243918B1 (ko) * 2019-11-15 2021-04-23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츄에이터
KR102210913B1 (ko) * 2020-01-09 2021-02-0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액추에이터
CN112728193A (zh) * 2020-12-25 2021-04-30 兰州飞行控制有限责任公司 一种活门阀关紧作动器
CN112728193B (zh) * 2020-12-25 2022-07-05 兰州飞行控制有限责任公司 一种活门阀关紧作动器
KR20230027834A (ko) * 2021-08-20 202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밸브 액츄에이터
KR102565392B1 (ko) 2021-08-20 202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밸브 액츄에이터
KR20230045911A (ko) * 2021-09-29 202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밸브 액츄에이터
KR102621332B1 (ko) 2021-09-29 2024-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밸브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578B1 (ko) 차량용 액츄에이터
US7748717B2 (en) Housing part for a drive unit, as well as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EP1783869B1 (en) Connector
JP2565526B2 (ja) スリップ制御形液圧ブレーキ装置の弁ブロック
JPH07167326A (ja) 殊に自動車のヒーター用、換気用又はエアコン用のバルブ及びこれと類似のもののための電気式の調節駆動装置
JP6992711B2 (ja) コネクタ
JP6049074B2 (ja) 防水構造及び防水構造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US20130093267A1 (en) Drive unit for a windscreen wiper device in a vehicle and housing for a drive unit
WO2018151264A1 (ja) 電気部品組立体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EP1715233B1 (en) Valve-actuator connection plate
US6809454B2 (en) Motor having brush holder with communication hole
KR20160093607A (ko) 작동체
CN110062847B (zh) 配备有具有改进密封的盖的用于机动车辆的空调装置的压缩机
JP6993309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11052887B2 (en) Electric component assembly, and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6958918B2 (en) Contact unit
US20200256095A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having an antenna
KR101949475B1 (ko) 차량용 액츄에이터
US10998682B2 (en) Connector
ITTO980181A1 (it) Attuatore di tipo termico e metodo di chiusura e tenuta per il corpo di un attuatore di tipo termico.
JP4441453B2 (ja) 携帯無線機の防水構造
JP2018133547A (ja) コイル組立体およびブレーキ制御装置
JP5021422B2 (ja) スイッチ装置の防水構造
KR101848733B1 (ko) 차량용 밸브 제어용 액츄에이터
US8403336B2 (en) Sealing element for housing of a hand pow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