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475B1 - 차량용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475B1
KR101949475B1 KR1020180000075A KR20180000075A KR101949475B1 KR 101949475 B1 KR101949475 B1 KR 101949475B1 KR 1020180000075 A KR1020180000075 A KR 1020180000075A KR 20180000075 A KR20180000075 A KR 20180000075A KR 101949475 B1 KR101949475 B1 KR 101949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housing cover
housing
circuit chip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근
변병준
정민욱
황은철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 내부의 칩이나 센서와 같은 전장부품 및 기어 트레인와 같은 기구 부품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도 액츄에이터 내부로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 및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 트레인 및 기어 트레인과 연결되는 샤프트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배치되어 하우징을 덮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실링 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실링 부재 장착홈과; 실링 부재 장착홈 내부에 마련되어 실링 부재 장착홈에 삽입된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실링 부재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키면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마련되어 샤프트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홀센서 및 상기 홀센서와 연결되는 회로칩 및 회로칩과 연결되는 통전라인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기어트레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어 트레인이 하우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액츄에이터{A actuator for a vec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 내부의 칩이나 센서와 같은 전장부품 및 기어 트레인와 같은 기구 부품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도 액츄에이터 내부로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액츄에이터는 일반적으로, 목적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방/폐쇄 동작의 개도치를 제어하여 밸브 또는 레버를 구동하기 위해, DC모터의 회전동작에 의한 기어 구조의 회전 상태에 따라 밸브 또는 레버를 개폐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별도의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상에 실장된 마이컴과 신호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 특허 10-2004-0032773에서 그 일례가 개시된다.
액츄에이터는 유로에 설치된 각종의 센서에서 각각의 센싱 결과에 따라 인가되는 유량과 압력 및 온도 등의 계측치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계측치에 의거하여 개도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에서 그 개도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치를 제어한다.
즉 DC모터의 구동 정도를 결정하여 밸브 또는 레버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하고 있다.
차량용 액츄에이터의 경우, 금속 재질의 하우징 본체와, 이를 덮는 수지 재질의 하우징 커버가 마련되고, 하우징 커버에는 PCB 기판이 장착되며, 하우징 내부에는 모터, 기어 트레인, 샤프트 등이 배치된다.
차량용 액츄에이터에서 모터가 동작하면, 모터의 구동력이 기어 트레인을 거쳐서 샤프트로 전달되고, 샤프트가 회전을 하며, 하우징 커버에 배치된 센서가 샤프트나 기어 트레인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개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기어 트레인의 회전 과정에서 기어들이 움직이면서 원래 위치에서 이탈하여 하우징 커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하우징 커버에 PCB가 장착되었는데, PCB의 크기로 인하여 차량용 액츄에이터의 컴팩트화에 제약이 있었다.
한편,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마련되는데,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의 실링 부재 장착홈에 너무 딱맞으면 실링부재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본체 방향으로 부풀어 올라서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본체 간에 틈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고, 장착홈에 비해서 실링부재를 얇게하면 그 안에서 요동치면서 실링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내부의 기어 트레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PCB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면서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 칩을 배치하여, 컴팩트화를 구현하면서도, 회로칩 및 이에 연결된 통전 라인들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에 장착되는 실링 부재의 국부적인 변형을 유도하여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본체 간의 실링 기능을 높이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에 실링 부재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 및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 트레인 및 기어 트레인과 연결되는 샤프트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배치되어 하우징을 덮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실링 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실링 부재 장착홈과; 실링 부재 장착홈 내부에 마련되어 실링 부재 장착홈에 삽입된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실링 부재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키면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마련되어 샤프트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홀센서 및 상기 홀센서와 연결되는 회로칩 및 회로칩과 연결되는 통전라인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기어트레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어 트레인이 하우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홀 센서에서 연장되는 홀센서 지지부와 결합되거나 핫스탬핑 방식으로 홀센서 지지부와 연결되어 홀센서를 하우징 커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와; 상기 회로칩에서 연장되는 회로칩 지지부와 결합되거나 핫스탬핑 방식으로 회로칩 지지부와 연결되어 회로칩을 하우징 커버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와; 상기 회로칩과 연결되는 복수의 통전라인을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라인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라인 고정부는 각각의 통전라인과 저항용접에 의하여 밀착되게 결합되어 통전라인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인 고정부는 고정벽과, 상기 고정벽이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 통전 라인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되, 삽입홈은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라인은 접지 라인과, 전원 입력 라인과, 센서 출력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 입력 라인은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절곡부를 지지하고 절곡부의 배치 위치를 정의하는 절곡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 지지부는 상기 절곡부 아래에 돌기부 형태로 마련되어 절곡부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그 사이에 절곡부가 삽입되어 절곡부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제한부는 하우징 커버 내면에서 기어 트레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면과 하우징 커버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의 측면은 곡면 형태로 마련되고, 그 단면은 호(arc)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도 보강부는 하우징 커버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그 폭 또는 그 두께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센서와 상기 회로칩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의 위치가 정의되도록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홈이 마련되고, 홈의 테두리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제한부가 기어 트레인의 표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미세하게 이격되어 있어서 기어 트레인을 구성하는 동력 전달 기어가 원래의 궤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어 트레인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PCB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면서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 칩을 배치하고, 그 옆에 홀 센서 지지부를 고정하는 구성 및 회로칩 지지부를 고정하는 구성을 둠으로써, 홀 센서와 회로칩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들의 위치를 지정하는 홈을 둠으로써 그 위치를 명확하게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라인 고정부를 두어 회로칩에 연결된 통전 라인들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통전 라인 중 국부적으로 절곡된 부분에 대해 특화된 지지 구조를 둠으로써 그 부분의 위치 고정 및 위치 지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의 실링 기능을 개선하는데도 큰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 하우징 내부의 평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 하우징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자부품들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자부품들의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자부품들의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 하우징 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 하우징 커버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츄에이터는 하우징 본체(10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일면을 커버하는 하우징 커버(200)를 포함한다.
하우징 커버(200)의 내면 테두리에는 링 형태의 실링 부재(300)가 마련되어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 본체(100) 사이를 밀폐한다.
하우징 커버(200) 내면 테두리에는 실링 부재(20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210)이 마련된다.
하우징 본체(100)에는 구동 모터(101)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110)와, 샤프트(121)가 장착되는 샤프트 장착부(120)가 마련된다.
하우징 본체(100) 일면에는 지지봉(130a, 130b)이 마련되며, 지지봉(130a, 130b)은 하우징 커버(200)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지지봉(130a, 130b)은 모터 장착부(110)와 샤프트 장착부(120) 사이에 마련되며, 구동 모터(101)에 마련되는 피니언 기어(101a)와 샤프트에 끼워지는 부분 치형 기어(102c) 사이를 연결하는 동력 전달기어(102a, 102b)가 지지봉에 삽입된다.
지지봉(130)은 동력 전달기어(102)의 회전 중심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 전달 기어(102a, 102b) 및 부분 치형 기어(102c)는 기어 트레인을 구성한다.
여기서 지지봉(130a, 130b)은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커버(200) 내면에는 지지봉(130a, 130b)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공이 마련되며, 삽입공의 위치는 지지봉의 위치에 대응된다.
하우징 커버(200) 내면에는 샤프트(121)의 회전을 감지하는 홀센서(도4참조, 501) 및 이와 연결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칩(502)를 포함하는 전자부품모듈(500)이 마련된다. 회로칩(502)는 기존의 PCB를 대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자부품 모듈(500) 옆에는 기어트레인을 구성하는 동력 전달 기어(102b)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220)가 마련된다. 하우징 커버(200)로 하우징(100)을 덮는 경우, 이동 제한부(220)는 동력 전달 기어(102b)의 표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며 동력 전달 기어(102b)가 회전을 하다가 하우징 커버(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동력 전달 기어(102b)의 표면과 접촉하여 그 이동이 더 이상 진전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우징 커버(200) 내면 테두리에는 링 형태의 실링부재(300)가 장착되는 폐루프 형태의 실링부재 장착홈(210)이 마련된다.
실링 부재 장착홈(210)은 실링 부재(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하우징 커버(200)에는 하우징 커버(220)와 하우징 본체(100)를 결합시키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체결공(201)이 마련되는데, 실링 부재 장착홈(210)은 이러한 체결공(201) 주위를 따라서 형성되는 곡선홈과, 곡선홈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홈을 포함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커버(200)가 하우징(100)을 덮는 경우, 이동 제한부(220)는 하우징 커버(200) 내면에서 연장되어 그 단부가 동력 전달 기어(102b)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다만,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이는 동력 전달 기어(102b)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면서도, 조금만 이동 제한부 (220) 방향으로 움직이면 이동 제한부(220)와 충돌하여 그 반발력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3과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제한부(200)는 동력 전달 기어(102b)의 회전 중심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 제한부(200)는 하우징 커버(100) 내면에서 기어 트레인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연장부(221)와, 연장부(221)의 후방에 배치되어 연장부(221)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222)를 포함한다.
연장부(221)는 그 평단면이 호(arc)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면과 외측면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부에서 동력전달기어(102b)와의 접촉면적 또는 길이를 최대한 크게 하고, 이동을 제한하는 효율을 극대화 하면서도 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강도 보강부(222)는 연장부(221)의 후면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연장부(221)의 후면과 하우징 커버(200)의 내면을 연결하며, 측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형태로 마련된다. 다만, 측단면의 형상은 삼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도4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센서(501)와 회로칩(502)이 하우징 내면에 장착되며 홀센서(501)와 회로칩(502) 사이에는 이들간의 신호 송수신 및 통전을 위한 연결라인(503)이 마련된다
홀센서(501)의 양 옆에는 홀센서 지지부(501a)가 마련되고, 홀센서 지지부(501a)는 제1고정부(511)에 결합되거나 핫스탬핑(hot stamping)방식으로 제1고정부(511)와 융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로칩(502)의 양 옆에는 회로칩 지지부(502a)가 마련되고, 회로칩 지지부(502a)는 제2고정부(512)에 결합되거나 핫스탬핑(hot stamping)방식으로 제2고정부(512)와 융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커버(200)의 내면 또는 바닥면에는 홀센서(501)와 회로칩(502)과 연결라인(503)이 놓일 수 있는 홈이 형성되며, 그 홈의 주변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홀센서(501)와 회로칩(502)과 연결라인(503)이 배치되는 영역과 다른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시킬 수 있다.
회로칩(502)에서는 복수의 통전 라인(504,505,506)이 연결되어 바깥으로 연장된다. 통전라인은 센서 출력 라인(504)과, 전원 입력 라인(505)과, 접지 라인(506)을 포함한다. 센서 출력 라인(504)은 홀센서(501)에서 센싱한 자력값을 전원값(볼트)으로 출력하는 라인이고, 전원 입력 라인(505)은 기본 전원(예, 5V)을 입력하는 라인이며, 접지 라인(506)은 그라운드(ground)를 수행하는 라인이다.
도4와 도5에서 전원 입력 라인(505)이 중간에 있고, 양 옆에 센서 출력 라인(504)과 접지 라인(506)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뀔 수 있다.
센서 출력 라인(504)과, 전원 입력 라인(505)과, 접지 라인(506)은 각각 라인 고정부(514, 515, 516)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입력 라인(505)에는 "∩"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부(505a)가 배치되고, 절곡부(505a)는 절곡부 지지부(518)에 의하여 지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정의된다.
여기서 절곡부(505a)는 전원 입력 라인(505)의 단부와 회로칩(502) 사이에 마련되고, 절곡부 지지부(518)도 이에 대응되도록 전원 입력 라인(505)을 지지하는 라인 고정부(515)와 회로칩(502) 사이에 배치된다.
센서 출력 라인(504)과, 전원 입력 라인(505)과, 접지 라인(506)은 저항 용접에 의하여 각각 라인 고정부(514, 515, 516)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라인 고정부(514, 515, 516)은 위치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 출력 라인(504)를 지지하는 라인 고정부(514)와 접지 라인(506)을 지지하는 라인 고정부(516)은 동일한 열에 배치되고, 전원 입력라인(505)을 고정하는 라인 고정부(515)는 이들보다 앞서게 배치되거나 또는 뒤로 배치될 수 있다.
도5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505a)를 지지하는 절곡부 지지부(518)은 절곡부(505a)의 아래 공간에 배치되면서 절곡부(505a)의 하면이 걸리는 걸림부(518a)와, 걸림부(518a)의 양 옆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절곡부(505a)가 그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벽(518a)를 포함한다.
절곡부 지지부(518)에 의하여 절곡부(505a)가 좌우 전후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되어 그 위치가 명확하게 지정 또는 정의 될 수 있고, 그 배치 또한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출력 라인(504)과, 전원 입력 라인(505)과, 접지 라인(506)은 저항 용접에 의하여 각각 라인 고정부(514, 515, 516)에 고정되되, 각 라인 고정부(514, 515, 516)는 벽 형태의 고정벽과, 고정벽에 V자 또는 U 형태로 절개된 삽입홈(514a, 515a, 516a)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홈(514a, 515a, 516a)은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홈(514a, 515a, 516a)의 하부 영역에 센서 출력 라인(504)과, 전원 입력 라인(505)과, 접지 라인(506)이 끼워져서 고정되고, 그 상태에서 저항 용접에 의하여, 삽입홈(514a, 515a, 516a)의 표면에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저항용접이 아니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홈(514a, 515a, 516a)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과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 부재 장착홈(210)에는 실링 부재(300)를 압박하여, 압박받은 실링 부재(300)가 팽창되도록 하여 실링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211)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압부(211)는 가압돌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211)는 실링 부재 장착홈(210)의 외벽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압부(211)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며, 하우징 커버(210)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링 부재 장착홈(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측과 연통되는 부분이 형성되는데, 이를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이라고 정의한다.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은 일종의 확인창이 되어 실링부재(300)가 실링 부재 장착홈(210)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하우징 커버(200)를 하우징 본체(210)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실링 부재(3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실링 부재(300)가 실제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 본체(100) 사이에 배치되었는지 결합된 상태에서 확인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런데, 본 발명에는 실링 기능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링 부재 장착홈(210)의 외벽 일부를 약간 절개해서 실링 부재(210) 일부가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을 통해서 노출되게 하여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 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실링 부재 장착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실링 부재(300)에는 꼬리나 꼭지와 같은 짧은 연장부(301)를 형성하고, 연장부(301)가 실링부재(300)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실링 부재 장착 확인홈(212)에 끼워지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연장부(301)의 구성은 생략가능하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부재 장착홈(210)에 실링 부재(300)를 끼우는데, 실링부재 장착홈(210)의 폭과 실링부재(300)의 폭이 거의 동일하여 너무 꽉 끼워지면 상부로 팽창하고, 이 경우,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 본체(100)와 이격되어 틈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링 부재(300)가 실링 부재 장착홈(210)에 약간 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실링 부재(300)가 실링 부재 장착홈(210)에서 요동하면서 움직일 수 있어서 실링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가압부(211)와 실링부재(300)가 실링 부재 장착홈(210) 내부에서 만나면 장착하면, 가압부(211)가 부분적으로 실링부재(300)를 눌러서, 실링부재(300) 일부가 변형되고, 그 주위 방향으로 부풀거나 팽창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가압부(210)와 맞은편 벽(W) 간의 거리는 실링부재(300)를 형성하는 폐루프의 고무 또는 실리콘 바(bar)(3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02a, 102b: 동력전달기어
200: 하우징 커버 210: 실링 부재 장착홈
220: 이동 제한부 501: 홀센서
502: 회로칩 503: 연결라인
504: 센서 출력 라인 505: 전원 공급 라인
506: 접지 라인 514, 515, 516: 라인 고정부

Claims (10)

  1. 삭제
  2. 모터 및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 트레인 및 기어 트레인과 연결되는 샤프트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배치되어 하우징을 덮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실링 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실링 부재 장착홈과;
    실링 부재 장착홈 내부에 마련되어 실링 부재 장착홈에 삽입된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실링 부재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키면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마련되어 샤프트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홀센서 및 상기 홀센서와 연결되는 회로칩 및 회로칩과 연결되는 통전라인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기어트레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어 트레인이 하우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홀 센서에서 연장되는 홀센서 지지부와 결합되거나 핫스탬핑 방식으로 홀센서 지지부와 연결되어 홀센서를 하우징 커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와;
    상기 회로칩에서 연장되는 회로칩 지지부와 결합되거나 핫스탬핑 방식으로 회로칩 지지부와 연결되어 회로칩을 하우징 커버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와;
    상기 회로칩과 연결되는 복수의 통전라인을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라인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라인 고정부는 각각의 통전라인과 저항용접에 의하여 밀착되게 결합되어 통전라인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고정부는 고정벽과, 상기 고정벽이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 통전 라인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되, 삽입홈은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라인은 접지 라인과, 전원 입력 라인과, 센서 출력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전원 입력 라인은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절곡부를 지지하고 절곡부의 배치 위치를 정의하는 절곡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 지지부는 상기 절곡부 아래에 돌기부 형태로 마련되어 절곡부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그 사이에 절곡부가 삽입되어 절곡부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부는 하우징 커버 내면에서 기어 트레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면과 하우징 커버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측면은 곡면 형태로 마련되고, 그 단면은 호(arc)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하우징 커버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그 폭 또는 그 두께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와 상기 회로칩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의 위치가 정의되도록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홈이 마련되고, 홈의 테두리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KR1020180000075A 2018-01-02 2018-01-02 차량용 액츄에이터 KR101949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75A KR101949475B1 (ko) 2018-01-02 2018-01-02 차량용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75A KR101949475B1 (ko) 2018-01-02 2018-01-02 차량용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475B1 true KR101949475B1 (ko) 2019-02-18

Family

ID=6556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75A KR101949475B1 (ko) 2018-01-02 2018-01-02 차량용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626B1 (ko) * 2020-07-30 2022-01-14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츄에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385A (ja) * 2005-11-09 2007-06-21 Asmo Co Ltd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KR20110076735A (ko) * 2009-12-29 2011-07-06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추에이터
KR101616578B1 (ko) * 2015-01-23 2016-04-28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385A (ja) * 2005-11-09 2007-06-21 Asmo Co Ltd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KR20110076735A (ko) * 2009-12-29 2011-07-06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추에이터
KR101616578B1 (ko) * 2015-01-23 2016-04-28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츄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626B1 (ko) * 2020-07-30 2022-01-14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4467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3587674B2 (ja) 回転角度センサ、この回転角度センサを用いたトルクセンサ、このトルクセンサ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16578B1 (ko) 차량용 액츄에이터
KR102059564B1 (ko) 차량용 액츄에이터의 하우징 커버
KR101945587B1 (ko) 압력 센서
EP2653356B1 (en) Vehicular electric lock device
US6971816B2 (en) Mounting device for control cable
KR101949475B1 (ko) 차량용 액츄에이터
JP6171961B2 (ja) 電子装置
JP4138804B2 (ja) コントロールモジュール
US20100308192A1 (en) Sensor attachment arrangement
CN112212780A (zh) 传感器装置
JP2008216043A (ja) 回転センサ
KR20070121539A (ko) 전자식 스로틀 밸브 제어분야에 있어서 센서 조립체의 강제끼워 맞춤
JP2005227156A (ja) センサ装置
JP4851963B2 (ja) 回転センサの製造方法
JP4305753B2 (ja) 防水ケース
CN103683643B (zh) 调节驱动装置
JP2008085757A (ja) 車両用アンテナ装置
JP2003153422A (ja) ハーネス弛み吸収装置
CN114600442A (zh) 用于车辆的相机模块
US8797758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board
JP4229826B2 (ja) 車両のドアミラー取付構造
WO2017102788A1 (en) Connection unit for a wiper motor and wiper motor
US7441457B2 (en) Fixing element for a sensor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