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71Y1 - 접착제용 용기 - Google Patents

접착제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671Y1
KR200406671Y1 KR2020050026345U KR20050026345U KR200406671Y1 KR 200406671 Y1 KR200406671 Y1 KR 200406671Y1 KR 2020050026345 U KR2020050026345 U KR 2020050026345U KR 20050026345 U KR20050026345 U KR 20050026345U KR 200406671 Y1 KR200406671 Y1 KR 200406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adhesive
discharg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식
Original Assignee
조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식 filed Critical 조정식
Priority to KR2020050026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6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기밀캡을 갖는 접착제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 영역 외주면에는 하향 개방된 걸림홈을 갖는 복수의 걸림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캡을 둘러싸며 하부 내주면에 상기 걸림부들의 간격을 통해 상기 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특정한 개폐조작에 의해서만 접착제 용기의 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유아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접착제용 용기가 제공된다.
접착제, 용기, 유아, 보호, 캡

Description

접착제용 용기{Vessel for glue}
도 1은 종래 접착제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접착제용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 기밀캡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보호캡 착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용기본체 10 : 용기
15 : 보호캡결합부 15a : 걸림부
15b : 걸림돌기유입홈 15c : 걸림홈
15d : 걸림유도면 20 : 토출캡
30 : 기밀캡 33 : 토출구차단핀
40 : 보호캡 41 : 용기본체결합부
41a : 걸림돌기 50 : 착탈안내패턴
본 고안은, 접착제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캡을 갖는 접착제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각종 제조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되는 접착제는 화공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인체 유해성에 의해 사용상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일반 가정용 접착제의 경우에는 사물에 대한 인지력이 떨어지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과 사용에 더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접착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가 수용된 용기(101)의 토출구(120)를 차단하는 캡(110)이 단순한 회전 조작이나 약한 외력을 가하면 개폐될 수 있기 것들이기 때문에, 가정에서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이 접착제가 수용된 용기의 캡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접착제 용기의 손쉬운 캡 개방은 유아들이 접착제를 섭취하는 위험함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특정한 개폐조작에 의해서만 접착제 용기의 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유아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접착제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기밀캡을 갖는 접착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 영역 외주면에는 하향 개방된 걸림홈을 갖는 복수의 걸림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캡을 둘러싸며 하부 내주면에 상기 걸림부들의 간격을 통해 상기 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에 따라,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기밀캡을 갖는 접착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 영역 외주면에는 하향 개방된 걸림홈을 갖는 복수의 걸림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캡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부들의 간격을 통해 상기 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들의 간격은 상기 걸림돌기가 유입되는 걸림돌기유입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유입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하향 경사진 걸림유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캡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기밀캡 상단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또는 상기 기밀캡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 상단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탄성가압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캡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는,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상단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캡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와 상기 토출캡 중 어느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캡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부와 상기 토출캡부 중 어느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적어도 상기 보호캡에는 상기 보호캡의 하향 가압을 유도하는 제1패턴과, 상기 보호캡의 회전방향을 제시하는 제2패턴을 갖는 착탈안내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밀캡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토출캡의 토출구에 형상 맞춤되게 삽입 및 인출되는 토출구차단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접착제용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는 접착제 수용공간과 토출구(23a)를 갖는 용기본체(3)와, 용기본체(3)의 토출구(23a)를 기밀 가능하게 개폐하는 기밀캡(30)과, 기밀캡(30)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보호캡(40)을 포함한다.
용기본체(3)는 접착제를 수용하는 용기(10)와, 용기(10)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출캡(20)으로 구성된다.
용기(10)는 상단부에 접착제 수용을 위한 출입개구(11)가 형성되어 있는 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출입개구(11)의 둘레영역에는 토출캡(20)의 결합을 위한 토출캡결합부(13)가 수나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캡결합부(13)의 하단 둘레에는 보호캡(40)이 특정 조작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호캡결합부(15)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할 보호캡(40)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토출캡(20)은 용기(10)의 토출캡결합부(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결합부(21)와, 용기결합부(21)로부터 상향 연장된 토출부(23)가 중공체로서 일체를 이루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용기결합부(21)의 하부 내측 둘레면에는 토출캡결합부(13)에 상호 체결되는 암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부(23)의 상단부에는 용기(10)로부터 접착제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토출구(2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캡(20)의 용기결합부(21) 외측 둘레에는 기밀캡(30)을 결합하기 위한 기밀캡결합부(25)가 수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기밀캡(30)은 토출캡(20)을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기밀캡(30)의 하단 내측 둘레에는 토출캡(20)의 기밀캡결합부(25)에 대응하는 암나사 형태의 체결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밀캡(30)의 내측 상부 중앙에는 토출캡(20)의 토출구(23a)에 형상 맞춤되게 삽입 및 인출되는 토출구차단핀(33)이 하향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기밀캡(30)은 토출캡(20) 둘레영역을 덮는 상태에서 그 하단의 체결부(31)가 토출캡(20)의 기밀캡결합부(25)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토출구차단핀(33)이 토출구(23a)를 막게 된다. 이에 의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는 토출구차단핀(33)에 의해 토출구(23a)가 기밀됨으로써, 접착제 경화에 따른 토출구(23a)의 막힘과 용기(10) 내에 수용된 접착제의 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밀캡(30)의 구조는 토출캡(20)의 둘레 전영역을 둘러싸는 형상 외 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캡(30")이 토출구(23a) 둘레영역을 포함하는 구조에 한해서 토출캡(20)의 일부영역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보호캡(40)은 기밀캡(30)과 토출캡(20)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캡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보호캡(40)의 내측 하단에는 용기(10)에 형성된 보호캡결합부(15)에 회전에 의한 형상 맞춤 조작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본체결합부(41)가 형성되어 있고, 보호캡(40) 상단 내측에는 용기본체결합부(41)가 용기(10)의 보호캡결합부(1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밀캡(30) 상단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탄성가압판(49)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보호캡(40)의 특정조작에 의한 착탈구조인 보호캡결합부(15)와 용기본체결합부(41)를 살펴본다.
먼저, 용기(10)에 형성된 보호캡결합부(15)는 출입개구(11) 둘레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보호캡(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향이탈과 회전을 억제하는 복수의 걸림부(15a)와, 각 걸림부(15a)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돌기유입홈(15b)으로 이루어진다.
각 걸림부(15a)의 하단에는 하향 개방된 걸림홈(15c)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걸림부(15a)의 적어도 일측에는 걸림돌기유입홈(15b)으로부터 걸림홈(15c)을 향하는 걸림유도면(15d)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캡(40)에 형성되는 용기본체결합부(41)는 보호캡(40) 내측 하단 둘레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걸림돌기(41a)로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41a)들은 보호캡결합부(15)의 걸림부(15a)에 형성된 걸림홈(15c)에 맞물리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각 걸림돌기(41a)들의 간격은 전술한 걸림부(15a)의 걸림돌기유입홈(15b)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41a)와 걸림홈(15c)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보호캡(40)을 회전시켜도 걸림돌기(41a)가 걸림홈(15c)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맞물림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보호캡(40) 상단 내측에 마련된 탄성가압판(49)은 기밀캡(30) 상단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한다. 그러면, 보호캡(40)에 상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하여 용기본체결합부(41)의 걸림돌기(41a)가 걸림홈(15c)에 걸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보호캡(40)에는 일반 성인이나 자신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정도의 청소년들이 보호캡(40)을 용기(10)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착탈안내패턴(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착탈안내패턴(50)은 보호캡(40)의 하향 가압을 표시하는 제1패턴(51)과, 보호캡(40)의 회전방향을 제시하는 제2패턴(5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의 사용 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호캡(40)이 용기본 체(3)에 결합되는 상태, 즉, 보호캡(40)의 걸림돌기(41a)들이 용기(10)에 형성된 보호캡결합부(15)의 걸림부(15a) 걸림홈(15c)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보호캡(40)을 단순히 상향 가압하거나 회전시키더라도 걸림돌기(41a)가 걸림홈(15c)에서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유아들이 보호캡(40)을 용기(10)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어렵다.
한편, 사용자가 접착제를 사용하기 위해서 보호캡(40)을 용기(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는, 착탈안내패턴(50)의 제1패턴(5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40)을 하향 가압한다. 그러면, 보호캡결합부(15) 걸림부(15a)의 걸림홈(15c)에 걸려있던 보호캡(40)의 걸림돌기(41a)가 도 6의 표시위치 "A"와 같이, 걸림홈(15c) 하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보호캡(40)의 하향 가압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호캡(40)을 제2패턴(53)이 제시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41a)가 표시위치 "B", "C"와 같이, 걸림돌기유입홈(15b)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보호캡(40)을 상방향으로 당기면 보호캡(40)이 용기(10)로부터 분리된다.
보호캡(40)을 분리한 다음에는 기밀캡(30)을 일 방향을 회전시키면, 기밀캡(30)의 토출구차단핀(33)이 토출구(23a)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기밀캡(30)이 토출캡(20)으로부터 분리되어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착제 사용 후 접착제가 수용된 접착제 용기(10)를 보관할 때는 기밀캡(30)을 토출캡(20) 상부에서 회전시키면, 기밀캡(30)이 토출캡(20)을 둘러싸도록 상호 체결 결합된다. 이때, 기밀캡(30) 내측에 마련된 토출구차단핀(33)이 토출캡 (20)의 토출구(23a)로 삽입되어 토출구(23a)를 기밀시킨다.
기밀캡(30)을 결합한 다음에는 보호캡(40)의 걸림돌기(41a)들이 도 6의 표시위치 "C"와 같이, 용기(10)에 형성된 걸림돌기유입홈(15b)들에 대응하도록 보호캡(40)으로 기밀캡(30)과 토출캡(20)을 덮은 상태에서 보호캡(40)을 하향 가압하면서, 착탈안내패턴(50)의 제2패턴(53)이 제시하고 있는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보호캡(40)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6의 표시위치 "B"와 같이, 보호캡(40)의 걸림돌기(41a)가 걸림돌기유입홈(15b)으로부터 걸림유도면(15d)을 따라 걸림홈(15c)으로 안내되어 표시위치"A"와 같이, 걸림홈(15c)에 걸리게 됨으로써, 보호캡(40)이 기밀캡(30)과 토출캡(20)을 둘러싸는 상태로 용기본체(3)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보호캡(40)에 외력을 가해 상향 가압하거나 회전시키더라도 보호캡(40)의 걸림돌기(41a)가 걸림홈(15c)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캡(40)이 용기(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즉, 유아들이 본능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단순한 방법으로서 보호캡(40)을 상향 가압하거나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는 보호캡(40)을 용기(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에 의해, 유아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기(10)와 토출캡(20)을 갖는 용기본체(3)를 가지고 있으며, 기밀캡(30')이 전술한 제1실시예의 기밀캡(30)과 보호캡(40)의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다.
이 기밀캡(30')은 토출캡(20)을 둘러싸면서 그 하단부가 용기(10)에 대해 하향 가압 및 회전 조작에 의해 착탈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기밀캡(30') 내측 상단에 토출캡(20)의 토출구(23a)를 개폐하는 토출구차단핀(33)이 마련된다.
그리고, 기밀캡(30')의 내측 하단에는 용기(10)에 형성된 보호캡결합부(15)에 하향 가압 및 회전 조작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본체결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밀캡(30')의 상단 내측에는 용기본체결합부(41)가 용기(10)의 보호캡결합부(1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토출캡(20) 상단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탄성가압판(49)이 마련되어 있다.
물론, 용기(10)의 출입개구(11) 둘레영역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토출캡결합부(13) 및 보호캡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는 기밀캡(30')과 용기(10)의 착탈 구조 및 착탈 방법이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보호캡(40)과 용기(10)의 착탈 구조 및 착탈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는 용기본체(3)의 용기(10)와 토출캡(20)의 결합구조와, 보호캡(40)의 착탈을 위한 보호캡결합부(15)의 형성 위치를 제외하고 전 술한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용기(10)와 토출캡(20)의 결합구조는 용기(10)의 접착제 출입개구(11) 둘레영역에 형성되는 후크돌기(13a)와, 이에 대응하는 토출캡(20) 하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후크홈(13b)으로 이루어진다. 이 후크돌기(13a)와 후크홈(13b)에 의해서 토출캡(20)은 용기(10)로부터 상향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후크돌기(13a) 및 후크홈(13b)은 토출캡(20)이 용기(10)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조건 하에서 다른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보호캡결합부(15)는 토출캡(20)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보호캡결합부(15)의 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토출캡(20)의 둘레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보호캡(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향이탈과 회전을 억제하는 복수의 걸림부(15a)와, 각 걸림부(15a)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돌기유입홈(15b)으로 이루어진다.
각 걸림부(15a)의 하단에는 하향 개방된 걸림홈(15c)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걸림부(15a)의 적어도 일측에는 걸림돌기유입홈(15b)으로부터 걸림홈(15c)을 향하는 걸림유도면(15d)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보호캡결합부(15)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기(10)의 출입개구(11) 둘레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보호캡(40)의 하향 가압 및 회전조작에 의해서만 보호캡(40)이 기밀캡(30)을 둘러싸는 형태로 토출캡(20)에 형성된 보호캡결합부(15)에 결합 유지되거나 분리된다. 이때, 토출캡(20)은 후크돌기(13a)와 후크홈(13b) 구조에 의해 용기(10)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임의로 분리될 염려가 없다.
한편, 도 11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기밀캡(30)이 보호캡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기밀캡(30)은 전술한 제3실시예와 같이, 용기(10)에 결합 고정된 토출캡(20)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캡결합부(15)에 하향 가압 및 회전 조작에 의해서 용기본체(3)에 결합 및 분리된다.
한편, 도 12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a)는 용기본체(3')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10')와, 상단에 토출구(23a)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캡부(20')가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보호캡(40)의 착탈을 위한 보호캡결합부(15)가 토출캡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호캡결합부(15)의 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 찬가지로, 토출캡부(20')의 둘레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보호캡(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향이탈과 회전을 억제하는 복수의 걸림부(15a)와, 각 걸림부(15a)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돌기유입홈(15b)으로 이루어진다.
각 걸림부(15a)의 하단에는 하향 개방된 걸림홈(15c)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걸림부(15a)의 적어도 일측에는 걸림돌기유입홈(15b)으로부터 걸림홈(15c)을 향하는 걸림유도면(15d)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보호캡결합부(15)는 토출캡부(20')에 인접한 용기부(10')의 상부영역 둘레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a)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하향 가압 및 회전 조작에 의해서만 보호캡(40)이 기밀캡(30)을 둘러싸는 형태로 용기본체(3')에 형성된 보호캡결합부(15)에 결합 유지되거나 분리된다.
한편, 도 14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의 요부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1a')는 전술한 제2 및 제4실시예와 같이, 기밀캡(30)이 보호캡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기밀캡(30)은 토출캡부(20')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캡결합부(15)에 하향 가압 및 회전 조작에 의해서만 용기본체(3')에 결합 및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착제용 용기는 용기본체에 결합된 보호캡(또는 보호캡 기능을 포함하는 기밀캡)이 단순한 상향 가압 및 회전조작에 의해서는 용기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사물에 대한 인지력이 떨어지는 유아나 어린이들에게는 보호캡의 임의 개방이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해, 접착제로부터 어린 유아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특정한 개폐조작에 의해서만 접착제 용기의 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유아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접착제용 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8)

  1.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기밀캡을 갖는 접착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 영역 외주면에는 하향 개방된 걸림홈을 갖는 복수의 걸림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캡을 둘러싸며 하부 내주면에 상기 걸림부들의 간격을 통해 상기 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
  2.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토출구를 차단하는 기밀캡을 갖는 접착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 영역 외주면에는 하향 개방된 걸림홈을 갖는 복수의 걸림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밀캡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부들의 간격을 통해 상기 걸림홈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들의 간격은 상기 걸림돌기가 유입되는 걸림돌기유입홈으로 형성 되고, 상기 걸림돌기유입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하향 경사진 걸림유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캡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기밀캡 상단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또는 상기 기밀캡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 상단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탄성가압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캡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상단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캡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와 상기 토출캡 중 어느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접착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캡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용기부와 상기 토출캡부 중 어느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보호캡에는 상기 보호캡의 하향 가압을 유도하는 제1패턴과, 상기 보호캡의 회전방향을 제시하는 제2패턴을 갖는 착탈안내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캡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토출캡의 토출구에 형상 맞춤되게 삽입 및 인출되는 토출구차단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용 용기.
KR2020050026345U 2005-09-13 2005-09-13 접착제용 용기 KR200406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345U KR200406671Y1 (ko) 2005-09-13 2005-09-13 접착제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345U KR200406671Y1 (ko) 2005-09-13 2005-09-13 접착제용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589A Division KR100694859B1 (ko) 2006-02-03 2006-02-03 접착제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671Y1 true KR200406671Y1 (ko) 2006-01-24

Family

ID=4929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345U KR200406671Y1 (ko) 2005-09-13 2005-09-13 접착제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6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13B1 (ko) * 2006-02-13 2006-08-10 이민영 접착제 용기
KR100940779B1 (ko) 2007-10-01 2010-02-11 주식회사 한국알테코 접착제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513B1 (ko) * 2006-02-13 2006-08-10 이민영 접착제 용기
KR100940779B1 (ko) 2007-10-01 2010-02-11 주식회사 한국알테코 접착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RU2365527C1 (ru) Затвор для сосуда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101210435B1 (ko) 안전캡
US20150259115A1 (en) Sealed Container with Moisture-proof Function
KR200406671Y1 (ko) 접착제용 용기
KR200410032Y1 (ko) 접착제용 용기
KR100694859B1 (ko) 접착제용 용기
KR100646378B1 (ko) 안전용기
KR100694858B1 (ko) 접착제용 용기
KR20030063325A (ko) 열림방지용 마개구조
KR100799504B1 (ko) 포장용 안전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0650317B1 (ko) 접착제용 용기
KR20100006139U (ko) 덮개부착형 물티슈용기
KR101518258B1 (ko) 열림 방지용 용기 마개
KR100940779B1 (ko) 접착제 용기
WO1995020531A1 (en) Pail safety ring
KR200408547Y1 (ko) 어린이 보호용 안전캡
JP2003104428A (ja) 補助蓋付き安全キャップ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JP2015081107A (ja) 誤飲防止器具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
KR101961112B1 (ko) 패킹 일체형 뚜껑 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100934229B1 (ko) 밀폐용기
KR200403823Y1 (ko) 용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