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823Y1 - 용기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823Y1
KR200403823Y1 KR20-2005-0028093U KR20050028093U KR200403823Y1 KR 200403823 Y1 KR200403823 Y1 KR 200403823Y1 KR 20050028093 U KR20050028093 U KR 20050028093U KR 200403823 Y1 KR200403823 Y1 KR 200403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coupling
container structur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주)옥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야 filed Critical (주)옥야
Priority to KR20-2005-0028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8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몸체와; 몸체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과; 뚜껑이 몸체 일측에 고정되도록 몸체와 뚜껑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몸체 양측 특정 부위에 순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뚜껑과 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어린아이들에게 위험한 의약품 등을 먹는 것을 방지하고, 특정 부위에 대하여 순간적인 힘을 가해 뚜껑을 오픈시키는 압력보다 싱크대 높이에서 떨어져 가해지는 압력이 낮기 때문에 몸체에서 뚜껑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몸체에 담아진 내용물이 못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과 몸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포장하고, 이를 사용시에만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본 고안의 용기를 포장하는 경우 그 부피가 작아지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양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 구조. {Structure of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내용물을 담거나 꺼낼 시에 용기의 외측 부분을 눌러 뚜껑이 오픈되도록 하고, 동시에 어린아이들이 용기에 담아진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없도록 하여 내용물을 먹지 못하도록 한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을 담아 둘 수 있도록 저장부가 형성되고, 저장부에 담아진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이 형성된다.
특히, 성인들만이 복용하여야 하는 약품의 경우 현재 포장상태 그대로 보관하거나 또는 별도의 용기를 통해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 보관되는 약품은 어린아이들이 쉽게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약품을 먹는 상황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항상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약품 용기의 경우 높은 곳에서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면, 대부분의 용기 뚜껑이 오픈되어 내용물이 모두 쏟아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약품을 못 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식품 용기의 경우에도 어린아이들이 먹기에는 안 좋은 재료들을 담아 두는 경우, 어린아이들이 쉽게 용기에서 뚜껑을 분리하여 내용물을 먹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여 복통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식품 용기 대부분은 싱크대에 보관되고, 싱크대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가 바닥으로 떨어지기 쉬운 상황 및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식품 용기가 바닥으로 떨어짐에 따라 내용물이 모두 쏟아져 다시 사용하기가 매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내용물이 모두 쏟아짐에 따라 이를 청소하여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의 양측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 뚜껑이 오픈되도록 하여 내용물을 어린아이들이 쉽게 먹을 수 없도록 한 용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와 뚜껑을 별도로 제작하고, 사용시 이를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하므로써 용기의 제조에 따른 금형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용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는 내용물을 담아 둘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몸체와; 몸체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과; 뚜껑이 몸체 일측에 고정되도록 몸체와 뚜껑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뚜껑의 저면 구성을 나타낸 확대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용기 구조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는 크게 몸체(10)와, 뚜껑(20)과, 결합수단(30)으로 구성된다.
몸체(10)는 내측에 내용물이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장부(11)가 형성되고, 저장부의 상단부 내주연 소정 위치에는 결합홈(12)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10)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잡고 힘을 가할 시에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몸체(10) 상부가 눌려지는 현상에 의해 뚜껑(20)이 오픈시키는 미끄럼방지돌기(14)가 형성되며, 상단부 전면에는 사용자의 손톱 등이 인입되어 뚜껑(20)이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입방지돌기(13)가 형성된다.
뚜껑(20)은 몸체(10) 상부의 둘레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일측으로 몸체(10) 상부에 인입되도록 돌출부(21)가 형성되고, 돌출부(21)의 둘레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돌기(22)가 형성되며, 결합돌기(22)는 몸체(10) 내측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10)에 형성된 인입방지돌기(13)의 반대측과 뚜껑 일측에는 결합수단(30)이 각각 형성된다.
결합수단(30)은 결합홀(32)을 갖는 결합부재(31)가 몸체(10) 일측에 형성되고, 뚜껑(20)의 일측에는 결합부재(31)에 형성된 결합홀(32)에 인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림돌기(34)가 형성된 체결부재(33)가 형성된다.
체결부재(33)의 길이는 몸체(10)에서 뚜껑(20)의 개폐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뚜껑 구조를 나타낸 확대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도면에 도시된 구성상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틀린 구성만을 설명한다.
몸체(10)와 뚜껑(20)을 연결하는 결합수단(30)이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수단(30)은 체결부재(33)로 형성되며, 체결부재(33)의 일측을 몸체(10)의 상부 외측 둘레에 연설한다.
또한, 뚜껑(2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21)에 형성된 결합돌기(22)가 도 1 내지 5에서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6 내지 8에서는 돌출부(21)의 외주연을 따라 결합돌기(22)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소정 금형을 통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뚜껑(20)을 제조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담아 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사용자가 용기(1)에 내용물을 담아 두는 경우를 보면, 제조업체 또는 물품판매업체에서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용기(1)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체(10)의 일측에 형성한 결합부재(31)의 결합홀(32)에 뚜껑(20)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4)를 갖는 체결부재(33)를 결합시켜 구성되므로 뚜껑(20)을 오픈 하였을 시에 분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몸체(10) 상부에 결합한 뚜껑(20)을 오픈시켜 저장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몸체(10) 상부에서 뚜껑(20)을 오픈시키기 위해서는, 몸체(10) 양측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14)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측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몸체(10) 내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몸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 타원형상으로 형태가 변형된다.
이때, 뚜껑(20)은 몸체(10)의 변형에 의해 결합돌기(22)가 결합홈(12)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압력에 의해 몸체(10)에서 뚜껑(20)이 분리된다.
즉, 미끄럼방지돌기(14)에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면, 몸체(1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상의 변형이 이루어지고, 타원형으로 변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뚜껑의 돌출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2)가 결합홈(12)에서 분리된다.
이때 이탈되는 부분은 인입방지돌기(13)가 형성된 부분만 이탈되고, 뚜껑(20)의 전체적인 형상은 아치형상(인입방지돌기가 형성된 부분에서 보는 상태)으로 변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뚜껑(20)이 아치형상의 변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10)에 힘을 더 가해지면 뚜껑(20)에 형성된 결합돌기(22)가 결합홈(12)에서 계속하여 이탈하고, 이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몸체(10) 상단부의 형상은 타원형(평면도 기준)으로 변형됨과 동시에 타원형으로 변형된 상단부가 몸체(10)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뚜껑(20)이 오픈 된다.
뚜껑(20)이 분리되면, 몸체(10)와 뚜껑(20)에 각각 형성된 결합수단(30)에 의해 분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몸체(10)에서 뚜껑이 오픈된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저장부(11)에 내용물을 담은 후 뚜껑(20)을 몸체(10) 상부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여 압입되도록 한다.
뚜껑(20)이 몸체(10) 상부에 결합하는 것을 보면, 뚜껑(2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21)가 몸체(10)의 저장부(11) 내로 인입 하면서 몸체(10)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홈(12)에 돌출부(21)의 결합돌기(22)가 결합하므로 몸체(10)에 뚜껑(20)이 결합하는 것이다..
뚜껑(20)이 몸체(10) 상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어린아이들이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 몸체(10) 전면을 손톱 등을 통해 뚜껑(20)과 몸체(10) 사이의 틈으로 인입시키는데, 이때 뚜껑(20)과 몸체(10)의 지름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또한 몸체(10) 전면에 형성된 인입방지돌기(13)에 의해 틈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뚜껑(20)과 몸체(10) 사이가 완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뚜껑(20)을 오픈시키려 하여도 도구가 틈새로 밀려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뚜껑(20)이 오픈 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뚜껑(20)에 형성된 결합돌기(22)와 몸체(10)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홈(12)이 결합한 상태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틈새에 넣는다 하여도 힘이 미치는 작용이 작기 때문에 몸체(20)에서 뚜껑(10)이 오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린아이들이 몸체(10) 양측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14)를 잡은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도 뚜껑(20)에 형성된 결합돌기(22)가 몸체(20)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하여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가하는 힘에 쉽게 열리지 않는다.
그리고 몸체(10)의 일측에 뚜껑(20)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20)이 오픈 되어도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싱크대 진열장 높이에서 본 고안의 용기(1)가 떨어져도 뚜껑(20)이 오픈 되지 않는데, 이는 사용자는 특정 부위에 선택적으로 순간적인 힘을 가한 압력에 비해 싱크대와 같은 높이에서 떨어져 가해지는 압력이 낮기 때문에 뚜껑(20)이 몸체(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의 특정 부위를 순간적인 힘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단순 충격이 가해짐으로 몸체(10)와 뚜껑(20)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뚜껑(20)이 오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10)와 뚜껑(20)을 분리하여 제품을 포장하므로, 다양한 형태로 포장이 가능하고, 그로 인하여 포장제품의 부피를 작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운반시 부피가 작게 형성됨에 따른 많은 양을 한번에 이동시키므로 물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의 효과는 몸체 양측 특정 부위에 순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뚜껑과 몸체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어린아이들이 약품을 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 주위로 인해 몸체에서 뚜껑이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여 몸체에 담아진 내용물이 못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과 몸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포장하고, 이를 사용시에만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본 고안의 용기를 포장하는 경우 그 부피가 작아지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한번에 많은 양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뚜껑의 저면 구성을 나타낸 확대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용기 구조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뚜껑 구조를 나타낸 확대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10: 몸체
11: 저장부 12: 결합홈
13: 인입방지돌기 14: 미끄럼방지돌기
20: 뚜껑 21: 돌출부
22: 결합돌기 30: 결합수단
31: 결합부재 32: 결합홈
33: 체결부재 34: 걸림돌기

Claims (5)

  1. 내용물을 담아 둘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몸체(10)와;
    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과;
    몸체(10)와 뚜껑(20)에 결합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결합수단(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0)에는 내측에 저장부(11)가 형성되고, 내주연에 결합홈(12)이 형성되며, 결합수단(30)이 형성된 반대측에는 인입방지돌기(13)가 형성되고, 외주연 상부 소정위치에 미끄럼 방지돌기(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뚜껑(20)은 일측으로 돌출되어 몸체(10) 상부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돌출부(21)가 형성되고, 돌출부(21)의 외주연에는 소정 간격으로 몸체(10)의 결합홈(1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체결수단(30)은 결합홀(32)을 가지며 몸체(10)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재(31)와;
    걸림돌기(34)를 가지며 뚜껑(20)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부재(3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구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뚜껑(20)은 몸체(10)의 일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구조.
KR20-2005-0028093U 2005-09-30 2005-09-30 용기 구조. KR200403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093U KR200403823Y1 (ko) 2005-09-30 2005-09-30 용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093U KR200403823Y1 (ko) 2005-09-30 2005-09-30 용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823Y1 true KR200403823Y1 (ko) 2005-12-14

Family

ID=4370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093U KR200403823Y1 (ko) 2005-09-30 2005-09-30 용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8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30B1 (ko) 2007-12-07 2009-08-21 원정제관(주) 포장용 용기
KR20230000094U (ko) * 2021-07-05 2023-01-12 최영진 수평형 밀폐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30B1 (ko) 2007-12-07 2009-08-21 원정제관(주) 포장용 용기
KR20230000094U (ko) * 2021-07-05 2023-01-12 최영진 수평형 밀폐 용기
KR200497711Y1 (ko) 2021-07-05 2024-01-31 최영진 수평형 밀폐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8433B2 (en) Child-resistant container
US5718347A (en) Child resistant, user friendly container and closure
US9387962B2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KR200228292Y1 (ko) 용기 내용물 이외에 별도의 복용제제를 포장할 수 있는포장병용 뚜껑
US8162144B2 (en) Child resistant and senior friendly container
US20050011773A1 (en) Child-resistant dispenser
US11447310B2 (en) Container having child-resistant senior-friendly features and method of using and making same
WO2007065240A1 (en) Container
US9241871B2 (en) Container
US20030111467A1 (en) Auxiliary container for physical association with conventional medication container
KR200403823Y1 (ko) 용기 구조.
KR100646378B1 (ko) 안전용기
EP1088769A1 (en) Child resistant container
WO2004087517A1 (en) Closure element for cosmetic product containers and the like
KR100542620B1 (ko) 펼칠 수 있는 주둥이를 갖춘 음료 또는 기타 액체 용기
EP1945525B1 (en) Aroma-preserving clip device for closing cardboard containers
JP2009067411A (ja) 小物収納部付き容器
US20090255928A1 (en) Introduced in sandwich packing
KR101608825B1 (ko) 보관 용기
US10435210B1 (en) Scoop dock and use methods
JP3916229B2 (ja) 密閉式重ね容器
KR200318864Y1 (ko)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CN214357697U (zh) 一种出料结构及出料盒
JP2005306452A (ja) 食品用容器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