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25B1 -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825B1
KR101608825B1 KR1020130152459A KR20130152459A KR101608825B1 KR 101608825 B1 KR101608825 B1 KR 101608825B1 KR 1020130152459 A KR1020130152459 A KR 1020130152459A KR 20130152459 A KR20130152459 A KR 20130152459A KR 101608825 B1 KR101608825 B1 KR 101608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torage
space
jaw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871A (ko
Inventor
추광엽
Original Assignee
네이처퓨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처퓨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처퓨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8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관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 적어도 일부분이 입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막는 제1 캡, 그리고 상기 제1 캡을 덮고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부 외부면에 접하여 결합된 제2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관 용기{Storing vessel}
본 발명은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제(formulation)는 약물을 투여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조제하는 것으로, 보통 원료가 되는 약물을 투여하기 쉽게 하기 위해 부형제를 첨가하여 내복용, 외용, 주사용에 적합하도록 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제제에는 의약품, 영양제 등이 있다.
알약 형태의 의약품, 영양제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용기에 담겨 유통, 보관, 판매가 이루어진다. 용기를 최초에 개봉하고 나면 습기 등이 용기 입구를 통해 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제제가 습기와 접촉되면서 변질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3237호 (2003.01.17) 등록특허공보 제10-0915096호 (2009.08.25)
본 발명은 밀폐성을 향상시켜 보관물의 변질을 예방하는 보관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는 보관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 적어도 일부분이 보관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막는 제1 캡, 그리고 상기 제1 캡을 덮고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부 외부면에 접하여 결합된 제2 캡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보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 보관 몸체, 상기 보관 몸체의 상부측 외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결합부, 그리고 상기 보관공간의 내부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의 외부면과 상기 보관 몸체의 외부면 사이에는 제2 캡의 하면이 걸리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홀은, 입구와 잠금공간을 가지며, 상기 잠금홀은 상기 입구에서 상기 잠금공간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질 수 있다.
상기 입구와 상기 잠금공간 사이에는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지턱의 돌출 길이는 상기 잠금홀의 깊이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잠금홀의 하면은 상기 입구에서 상기 잠금공간 방향으로 곡면형태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1 캡은, 하부측이 상기 보관공간 내부로 삽입되고, 외부 둘레면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1 캡 몸체, 상기 제1 캡 몸체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관 몸체 상면에 걸리는 눌림턱, 상기 제1 캡 몸체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캡 몸체 내부와 연통된 통로를 가지는 밀폐턱, 그리고 상기 통로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막음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캡은, 상기 제1 캡을 덮고 있으며, 하부측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제2 캡 몸체, 상기 제2 캡 몸체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홀에 결합되는 복수의 잠금편, 상기 제2 캡 몸체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눌림턱을 가압하는 누름편, 그리고 상기 제2 캡 몸체 내부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밀폐턱에 밀착되는 밀폐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캡 몸체에는 상기 밀폐턱이 삽입되는 밀폐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돌기는 상기 밀폐홀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캡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2 캡 보다 연질일 수 있다.
상기 보관 용기는, 상기 본체부를 받치며, 내부에 휴대공간이 형성된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휴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과 상기 휴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휴대공간을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 용기는 상기 받침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고, 돌기와 돌기 홈으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본체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캡이 보관공간 내부로 삽입될 때 걸림턱이 걸림홈에 걸리게 되면서 제1 캡과 본체부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누름편이 눌림턱을 보관 몸체의 상면에 밀착시키고, 밀폐돌기가 밀폐턱이 접하게 되면서, 보관 몸체와 제1 캡 사이, 제1 캡과 제2 캡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체부와 받침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체부와 제2 캡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체부, 제1 캡, 제2 캡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V-V선을 따라 본체부, 제1 및 제2 캡을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본체부, 제1 및 제2 캡 분해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체부와 받침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체부와 제2 캡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체부, 제1 캡, 제2 캡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한 V-V선을 따라 본체부, 제1 및 제2 캡을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본체부, 제1 및 제2 캡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1)는 비타민, 미네랄 같은 영양제, 알약, 약액 캡슐 등의 제제(이하 보관물 이라 함)를 보관하고,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본체부(10), 제1 캡(20), 그리고 제2 캡(30)을 포함한다.
본체부(10)는 보관 몸체(11), 결합부(12), 그리고 걸림턱(14)을 포함한다.
보관 몸체(11)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보관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보관 몸체(11)의 상면이 개방되어 보관물이 보관공간(111)으로 출입할 수 있다. 보관 몸체(1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2)는 보관 몸체(11)의 상부측 외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2)와 보관 몸체(11)의 둘레면 직경의 차이에 의해 결합부(12)와 보관 몸체(11) 사이에는 단차(11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입구(121a)와 잠금공간(121b)을 갖는 잠금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홀(121)은 결합부(12)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잠금홀(121)은 입구(121a)에서 잠금공간(121b)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진다. 잠금홀(121)의 하면(121c)은 입구(121a)에 잠금공간(121b) 방향으로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측에서 하부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잠금홀(121)의 입구(121a)와 잠금공간(121b) 사이에는 방지턱(13)이 형성되어 있다. 방지턱(13)은 돌출되어 있으며, 방지턱(13)의 돌출 길이(L1)는 잠금홀(121)의 깊이 길이(L2) 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4)은 보관공간(111)의 상부측 내부 둘레면에서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걸림턱(14)은 보관공간(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걸림턱(14)은 배열되지 않고, 양단이 연결된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는 보관물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보관공간(111)의 내부면은 보관물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20)은 보관 몸체(11)의 개방된 상면을 단속하는 것으로, 제1 캡 몸체(21), 눌림턱(22), 밀폐턱(23), 그리고 막음 막(24)을 포함한다. 제1 캡 몸체(21)는 보관 몸체(11)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여 하부측 일부분이 보관공간(111)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제1 캡 몸체(21)의 내부는 보관공간(111)과 연결되어 있고 상면 가장자리 부분은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캡 몸체(21)가 보관공간(111)으로 삽입될 때 하부측이 걸림턱(14)에 접할 수 있다. 제1 캡 몸체(21)의 하부측에는 걸림턱(14)이 걸리는 걸림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211)은 걸림턱(14)과 같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지 않고, 제1 캡 몸체(21) 둘레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211)에 걸림턱(14)이 삽입되면서 제1 캡 몸체(21)는 보관 몸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턱(14)이 띠 형태로 형성된 경우 걸림턱(14)이 걸림홈(211)에 전체적으로 걸리게 되므로 제1 캡 몸체(21)와 보관 몸체(11)의 결합력 및 밀폐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눌림턱(22)은 양단부가 연결된 띠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캡 몸체(21)의 외부둘레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눌림턱(22)은 제1 캡 몸체(21)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보관 몸체(11)의 개방된 상면에 접할 수 있다. 눌림턱(22)이 보관 몸체(11)의 상면에 접하면 제1 캡 몸체(21)의 하부측은 보관공간(111)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도 7 참조).
밀폐턱(23)은 제1 캡 몸체(21)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통로(231)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231)는 제1 캡 몸체(21) 내부와 연결되어 보관공간(111)과 연통되어 있다. 밀폐턱(23)을 평면에서 본 모양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막음 막(24)은 통로(231)를 단속하는 것으로, 외부둘레면이 통로(231)의 내부면에 절취선(도시하지 않음)으로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막음 막(24)에는 손잡이(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241)이 부분을 잡아 당기게 되면 막음 막(24)은 통로(231)에서 절취할 수 있다. 이러한 막음 막(24)은 보관물을 최초로 인출할 때 제거된다.
보관물을 대량으로 보관공간(111)에 넣을 때는 제1 캡(20)을 보관 몸체(11)에서 분리한 후 넣는다. 이는 통로(231)의 직영이 보관공간(111)의 개방된 부분의 직경보다 좁기 때문에 통로(231)를 통하여 보관물을 보관공간(111) 넣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통로(231)는 보관공간(111)의 보관물을 인출할 때 사용한다. 그러나 통로(231)를 통하여 보관공간(111)으로 보관물을 넣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 캡(20)은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체부(10) 보다는 연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캡(30)은 제1 캡(20)을 덮어 결합부(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캡 몸체(31), 잠금편(32), 그리고 누름편(33)을 포함한다.
제2 캡 몸체(3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제2 캡 몸체(31)는 회전되면서 결합부(12)에 결합되고, 하면은 단차(112)에 접하게 된다. 제2 캡 몸체(31)가 결합부(12)에 결합될 때 밀폐턱(23)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밀폐턱(23)이 삽입되는 밀폐홀(34)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홀(34)에는 밀폐턱(23)에 접하는 밀폐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밀폐돌기(35)가 밀폐턱(23)에 접하게 되면서 밀폐턱(23)과 밀폐홀(34) 내부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캡 몸체(21)와 제2 캡 몸체(31)가 보관 몸체(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습기 등이 통로(231)를 통하여 보관공간(1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잠금편(32)는 제2 캡 몸체(31)의 내부둘레면 하부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잠금편(32)은 잠금홀(121)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잠금편(32)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양측 모서리(321)가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편(32)의 돌출 길이(L3)는 잠금홀(121)의 깊이 길이(L2) 보다는 짧을 수 있다.
제2 캡 몸체(31)가 결합부(12)에 결합될 때 잠금편(32)은 입구(121a)를 통하여 잠금홀(1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제2 캡 몸체(31)가 회전될 때 잠금편(32)은 하면(121c)에 가이드되어 잠금공간(121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잠금편(32)은 잠금공간(121b)으로 이동할 때 방지턱(13)과 마주하여 걸릴 수 있다. 이때 제2 캡 몸체(31)를 회전시키는 외력을 좀더 가하면 잠금편(32)은 방지턱(13)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잠금편(32)의 양측 모서리(321)가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잠금편(32)은 방지턱(13)을 자연스럽게 타고 넘어 잠금공간(121b)에 위치할 수 있다.
잠금편(32)이 잠금공간(121b)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캡 몸체(3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편(32)은 방지턱(13)에 걸리어 제2 캡 몸체(31)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캡 몸체(31)가 이동 및 흔들림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열리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고, 큰 외력을 가해야 하므로, 연약한 영아, 유아 들이 제1 캡(30)을 본체부(10) 에서 분리할 수 없다.
누름편(33)은 잠금편(32)과 떨어져 제2 캡 몸체(31)의 내부둘레면 상부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누름편(33)은 띠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캡 몸체(31)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잠금편(32)이 잠금공간(121b)에 위치할 때 누름편(33)은 눌림턱(22)과 마주하며, 눌림턱(22)을 결합부(12) 상면 방향으로 눌러 눌림턱(22)을 밀착시킨다. 누름편(33)의 가압력에 의해 누름편(33)과 결합부(12)의 상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누름편(33)이 띠 형태로 형성되면 눌림턱(22)의 밀착력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도 7 참조).
그리고 잠금편(32)이 잠금공간(121b)에 위치하게 되면 밀폐돌기(35)는 밀폐턱(23)에 밀착되면서 압착될 수 있다. 압착된 밀폐돌기(35)에 의해 보관 용기(1)의 밀폐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1 캡(20)이 제2 캡(30) 보다 연질로 형성되어 제2 캡(30)이 결합부(12)에 결합될 때 걸림턱(14)은 눌림턱(22)과 보관 몸체(11) 상면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고, 밀폐돌기(35)가 접하는 밀폐턱(23) 부분이 눌리게 되면서 보관 용기(1)의 밀폐력이 극대화되어, 보관공간(111)으로 습기, 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1)는 도 1,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40)는 본체부(10)를 지지하고, 보관물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받침부(40)의 외경은 본체부(10)의 외경보다는 크고, 받침부(40)의 높이 길이는 본체부(10)의 높이길이 보다 작다. 즉, 받침부(40)가 본체부(10) 보다 납작하게 형성되어 있어 본체부(10) 보다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받침부(40)는 받침대(41) 및 커버(42)를 포함한다.
받침대(41)는 보관물이 수용되는 것으로 받침(411) 및 격벽(412)을 포함한다.
받침(411)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보관공간(111)의 보관물을 덜어서 휴대 보관할 수 있도록 휴대공간(411a)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412)은 휴대공간(411a)을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한다. 복수의 휴대공간(411a)에 보관물을 종류별로 임시보관 할 수 있다.
커버(42)는 받침(411)의 개방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면은 받침(411) 방향으로 함몰되어 안착홀(421)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홀(421)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바닥면과 외부를 연결하는 둘레면은 보관 몸체(11)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관 몸체(11) 하부측이 안착홀(421)에 수용되면 곡면들이 서로 접하게 되고, 본체부(10)는 받침부(40)에 1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1)는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는 본체부(10)와 받침부(40) 사이에 위치하여 본체부(10)와 받침부(40)를 연결하는 것으로, 돌기(51) 및 돌기홈(52)을 포함한다.
돌기(51)는 안착홀(421)의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돌기(51)를 평면에서 본 모양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홈(52)은 보관 몸체(11)의 하면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51)와 동일한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51)가 돌기홈(52)에 헐거운끼워맞춤 되므로 보관 몸체(11)를 안착홀(421)에 위치시킬 때 돌기(51)가 돌기홈(52)에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본체부(10)가 받침부(40)에 2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체부(10)를 받침부(40)에 올려놓게 되면서 보관 용기(1)의 스탠딩이 향상되며, 본체부(10)의 보관물을 덜어 받침부(40)에 담아 휴대할 수 있어 보관물의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보관 용기 10: 본체부
11: 보관 몸체 111: 보관공간
112: 단차 12: 결합부
121: 잠금홀 121a: 입구
121b: 잠금공간 121c: 하면
13: 방지턱 14: 걸림턱
20: 제1 캡 21: 제1 캡 몸체
211: 걸림홈 22: 눌림턱
23: 밀폐턱 231: 통로
24: 막음 막 241: 손잡이
30: 제2 캡 31: 제2 캡 몸체
32: 잠금편 321: 모서리
33: 누름편 34: 밀폐홀
35: 밀폐돌기 40: 받침부
41: 받침대 411: 받침
411a: 휴대공간 412: 격벽
42: 커버 421: 안착홀
50: 고정부 51: 돌기
52: 돌기홈

Claims (12)

  1. 상면이 개방된 보관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관공간으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개방된 부분을 단속하는 제1 캡, 그리고 상기 제1 캡을 덮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 상부측에 결합된 제2 캡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보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 보관 몸체, 상기 보관 몸체의 상부측 외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결합부, 그리고 상기 보관공간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캡은, 하부측이 상기 보관공간 내부로 삽입되고 외부 둘레면에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1 캡 몸체, 상기 제1 캡 몸체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관 몸체 상면에 눌리는 눌림턱, 상기 제1 캡 몸체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캡 몸체 내부와 연통된 통로를 가지는 밀폐턱, 그리고 상기 통로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막음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캡은, 상기 제1 캡을 덮고 있으며 하부측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제2 캡 몸체, 상기 제2 캡 몸체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홀에 결합되는 복수의 잠금편, 상기 제2 캡 몸체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눌림턱을 가압하는 누름편, 그리고 상기 제2 캡 몸체 내부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밀폐턱에 밀착되는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보관 용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보관 몸체의 직경의 차이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상기 보관몸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홀은, 입구와 잠금공간을 가지며, 상기 잠금홀은 상기 입구에서 상기 잠금공간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지는 보관 용기.
  4. 제3항에서,
    상기 입구와 상기 잠금공간 사이에는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지턱의 돌출 길이는 상기 잠금홀의 깊이 길이 보다 짧은
    보관 용기.
  5. 제3항에서,
    상기 잠금홀의 하면은 상기 입구에서 상기 잠금공간 방향으로 곡면형태로 경사져 있는 보관 용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제2 캡 몸체에는 상기 밀폐턱이 삽입되는 밀폐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돌기는 상기 밀폐홀 내부에 위치하는 보관 용기.
  9. 제1항에서,
    상기 제1 캡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2 캡 보다 연질인 보관 용기.
  10.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를 받치며, 내부에 휴대공간이 형성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보관 용기.
  11. 제10항에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휴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과 상기 휴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휴대공간을 덮는 덮개
    를 포함하는
    보관 용기.
  12. 제10항에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고, 돌기와 돌기 홈으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본체부가 결합되는 보관 용기.
KR1020130152459A 2013-12-09 2013-12-09 보관 용기 KR101608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459A KR101608825B1 (ko) 2013-12-09 2013-12-09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459A KR101608825B1 (ko) 2013-12-09 2013-12-09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871A KR20150066871A (ko) 2015-06-17
KR101608825B1 true KR101608825B1 (ko) 2016-04-04

Family

ID=5351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459A KR101608825B1 (ko) 2013-12-09 2013-12-09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8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020Y1 (ko) * 2016-08-24 2017-03-27 김경민 밀폐력이 증가된 냉온수기의 비닐백 천공 유닛
KR20170137576A (ko) * 2016-06-03 2017-12-13 김경민 밀폐력이 증가된 냉온수기의 비닐백 천공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117B1 (ko) * 2021-12-03 2023-08-18 부석원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909A (ja) * 2008-07-23 2010-02-04 Shibata Gosei:Kk 収納容器
KR200448121Y1 (ko) * 2009-08-24 2010-03-18 이종성 음식 용기용 보조 냉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909A (ja) * 2008-07-23 2010-02-04 Shibata Gosei:Kk 収納容器
KR200448121Y1 (ko) * 2009-08-24 2010-03-18 이종성 음식 용기용 보조 냉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576A (ko) * 2016-06-03 2017-12-13 김경민 밀폐력이 증가된 냉온수기의 비닐백 천공 유닛
KR102149782B1 (ko) * 2016-06-03 2020-08-31 주식회사 보운 밀폐력이 증가된 냉온수기의 비닐백 천공 유닛
KR200483020Y1 (ko) * 2016-08-24 2017-03-27 김경민 밀폐력이 증가된 냉온수기의 비닐백 천공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871A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4649A (en) Dispensing package
EP2070840B1 (en) Container with pill dispensing insert
AU2012332340B2 (en) A flip container for blister card medication holders
EP0634340B1 (en) Bottle for preserving in a separated condition substance to be mixed together before dispensing
ES2269000A1 (es) "contenedor de capsulas".
US11787603B2 (en) Sliding closure and container
KR101608825B1 (ko) 보관 용기
RU2566935C2 (ru) Зап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контейнер,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запир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US20210245950A1 (en) Beverage capsule
TR201811314T4 (tr) Kapak.
EP3010826B1 (en)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storage and extemporaneous reconstitution of a mixture of compounds in fixed proportions
CN105008237A (zh) 具有封盖和可移除薄膜的封闭物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US20180099807A1 (en) Packaging container with improved discharge rate of capsule-shaped contents
JP3212312U (ja) 包装用容器
KR20150138156A (ko) 어린이-안전형 포장 및 압출가능 튜브의 조합체 및 그 이용 방법
US3237800A (en) Closure for coin feeding
CN106794923A (zh) 翻转式顶部塑料盖
CA1297837C (en) Plug for the closing of containers such as tubes and flasks, particularly for pharmaceutical products
CN205738686U (zh) 一种集成式防潮组合药用容器及干燥容器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KR200403823Y1 (ko) 용기 구조.
KR101634605B1 (ko) 병 용기 내용물 유동 방지용 텐션 홀더
KR102305471B1 (ko)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KR101808728B1 (ko) 포장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뚜껑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