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117B1 -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 - Google Patents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117B1
KR102567117B1 KR1020210193516A KR20210193516A KR102567117B1 KR 102567117 B1 KR102567117 B1 KR 102567117B1 KR 1020210193516 A KR1020210193516 A KR 1020210193516A KR 20210193516 A KR20210193516 A KR 20210193516A KR 102567117 B1 KR102567117 B1 KR 10256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ffee cup
bean powder
cu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3952A (ko
Inventor
부석원
Original Assignee
부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석원 filed Critical 부석원
Publication of KR2023008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1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integral means to prevent the glass from slipping or tipping-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Landscapes

  • Tea And Coffe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커피잔 및 커피잔 받침 접시를 포함하되, 상기 커피잔 받침 접시는 원두가루를 담을 수 있는 원두가루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에 의하면, 이용이 용이하고 버려지는 원두가루를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보다 풍성하고 고소한 원두 특유의 향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두가루가 흩날리지 않게 함으로써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Coffee cup set for enhancing the scent of coffee}
본 발명은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두가루를 이용하여 추출해 낸 커피의 물의 젖은 향(아로마)에 원두 본연의 향(프레그런스)를 더하여서 보다 풍성하고 고소한 원두 특유의 향을 맡을 수 있도록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전세계적으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차로 우리나라에서는 세계 10위권 내의 소비량을 보이고 있으며 현대인에게는 매일 필수적으로 마시는 음료로 여겨지고 있다.
커피를 즐기는 문화가 널리 퍼지면서 원두의 원산지, 로스팅 방법, 분쇄 정도, 추출 방법 등을 선택하여 다양한 맛과 향을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소비자의 취향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와 다른 방법으로 커피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선행특허 1(등록특허 제10-1706776호)는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커피잔을 제공함으로써 커피의 색상과 잘 어우러질 수 있고 커피에 적합한 재질, 외관, 질감 등을 최적화한 커피잔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다른 방법으로 커피의 향이 증진됨과 동시에 시각적인 만족감도 제공하는 커피잔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이 용이하고 버려지는 원두가루를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보다 풍성하고 고소한 원두 특유의 향을 즐길 수 있도록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에 관한 것으로, 커피잔 및 커피잔 받침 접시를 포함하되, 상기 커피잔 받침 접시는 원두가루를 담을 수 있는 원두가루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는 버려지는 원두가루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보다 풍성하고 고소한 원두 특유의 향을 즐길 수 효과가 있다. 또한, 원두가루가 흩날리지 않게 함으로써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의 커피잔 받침접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커피잔 및 커피잔 받침 접시를 포함하되, 상기 커피잔 받침 접시는 원두가루를 담을 수 있는 원두가루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두가루를 이용하여 추출해 낸 커피의 물의 젖은 향(아로마)에 원두 본연의 향(프레그런스)을 더하여 보다 풍성하고 고소한 원두 특유의 향을 발현함으로써 커피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커피 제조 과정에서 버려지는 원두가루를 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며 커피잔 받침 접시를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용기나 물품이 필요하지 않아 편의성이 있다. 나아가, 커피를 마실 때 맛과 향을 음미하는 동시에 직접 선택한 원두를 볼 수 있어 시각적인 만족감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이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보다 풍성하고 고소한 원두 특유의 향을 제공할 수 있는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잔 및 커피잔 받침 접시는 도자기 또는 유리인 것이 커피의 향과 맛을 음미하기에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실리콘 등 일반적으로 음용을 위해 사용되는 컵에 적용되는 소재라면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도면 및 도면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의 커피잔 받침접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는 커피잔 및 커피잔 받침 접시를 포함하되, 상기 커피잔 받침 접시에 원두가루를 담을 수 있는 원두가루 홀더(24)가 구비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원두가루 홀더(24)는 커피잔 받침접시에 홈을 형성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원두가루 홀더(24)는 커피잔 홀더(22)와 구분되는 또 다른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두가루 홀더(24)는 원두가루를 담을 수 있다면 커피잔 받침 접시 상에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일반적인 커피잔의 바닥모양과 동일하여 커피잔을 커피잔 받침 접시에 내려놓았을 때에 보이지 않다가 커피잔을 들었을 때만 원두가루를 볼 수 있어서 미감이 우수하고, 상기 원두가루 홀더(24)에 담겨진 원두가루가 커피잔에 담긴 커피가 뜨거울수록 그 열로 인해 향이 짙어지므로 커피잔에 의해 가려지는 형태인 원통형 홈 형태로 원두가루 홀더(2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잔 바닥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원두가루 홀더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잔 받침 접시는 상기 원두가루 홀더의 깊이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원두가루 홀더는 깊이가 0.5 내지 1 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두가루 홀더의 깊이가 0.5cm 미만인 경우에는 원두가루가 너무 미량들어가서 향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하고,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소실되어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두가루 홀더의 깊이가 1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커피잔 받침 접시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서 유리 또는 사기 소재의 경우에는 무거워서 이용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원두가루는 핸드드립 커피 추출 과정에서 버려지는 원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핸드드립 커피의 추출을 위해서는 본 원두 글라인딩을 하기 전에 약 2 내지 3g 정도의 소량의 원두를 그라인딩하는 린싱과정이 포함된다. 상기 린싱과정을 거친 약 2 내지 3g의 원두가루는 지금껏 버려져왔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린싱과정을 거친 원두가루를 활용하여 원두 본연의 향(프레그런스)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원두가루 홀더는 가루날림 방지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루날림 방지필터는 원두가루 홀더를 덮으면서도 그 내부를 볼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루날림 방지필터는 그물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물형 구조는 원두가루가 흩날리지 않을 만큼 작은 구멍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가루날림 방지필터는 정전기 방지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정전기 방지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원두가루를 상기 원두가루 홀더에 담은 후에 상기 가루날림 방지필터를 덮어도 필터에 가루가 붙지않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가루가 필터에 의해 흩날리지 않으므로 커피잔을 커피잔 받침 접시로부터 들었다가 내렸다가 반복하여도 원두가루가 흩날리지 않아서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루날림 방지필터는 실리콘,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정전기 방지 종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커피잔 세트는 커피잔의 하부와 상부가 부합되어 끼움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피잔을 상방으로 겹쳐진 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여러 개의 커피잔 세트를 효율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는 버려지는 원두가루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보다 풍성하고 고소한 원두 특유의 향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두가루가 흩날리지 않게 함으로써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커피잔 20: 커피잔 받침 접시
22: 커피잔 홀더 24: 원두가루 홀더

Claims (6)

  1. 커피잔 및 커피잔 받침 접시를 포함하되,
    상기 커피잔 받침 접시는 원두가루를 담을 수 있는 원두가루 홀더가 구비되는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에 있어서,
    상기 원두가루 홀더는 가루날림 방지필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루날림 방지필터는 실리콘,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정전기 방지 종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그물형 구조인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가루 홀더는 깊이가 0.5 내지 1c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잔은 상부와 하부가 부합되어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93516A 2021-12-03 2021-12-30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 KR102567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72386 2021-12-03
KR1020210172386 2021-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952A KR20230083952A (ko) 2023-06-12
KR102567117B1 true KR102567117B1 (ko) 2023-08-18

Family

ID=8677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516A KR102567117B1 (ko) 2021-12-03 2021-12-30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1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126Y1 (ko) * 2000-09-08 2001-03-15 이윤영 향기발산 용기받침대
CN2785502Y (zh) * 2005-02-02 2006-06-07 崔大光 透滤式磨粒咖啡定量冲饮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825B1 (ko) * 2013-12-09 2016-04-04 네이처퓨어코리아 주식회사 보관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126Y1 (ko) * 2000-09-08 2001-03-15 이윤영 향기발산 용기받침대
CN2785502Y (zh) * 2005-02-02 2006-06-07 崔大光 透滤式磨粒咖啡定量冲饮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952A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2367A1 (en) Tea Bag Holder
WO2009126555A3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DE60117399D1 (de) Stössel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s
KR102567117B1 (ko) 커피향을 증진시킨 커피잔 세트
KR101543151B1 (ko)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US5367946A (en) Method of making coffee and tea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Egger et al. The home barista: How to bring out the best in every coffee bean
KR101455150B1 (ko) 커피가루를 다지는 탬퍼 보관용 받침대와 겸용으로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용 홀더
US20170273499A1 (en) Coffee percolator
JP3217869U (ja) 氷出し抽出器
KR101545564B1 (ko) 커피 메이커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200418154Y1 (ko)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
CN204889647U (zh) 饮料过滤装置
JP3673944B2 (ja) お茶の淹れ方
KR20230106845A (ko) 휴대용 핸드드립 필터
US20120228299A1 (en) Container lid
KR102668108B1 (ko) 휴대용 핸드드립 필터
CN220024705U (zh) 闻香杯盖之结构
KR20130003390A (ko) 필터가 부착된 일회용 컵
CN211704289U (zh) 一种手冲咖啡杯
JP3236283U (ja) 急須型コーヒー抽出器
JP3168030U (ja) 飲料用加工花
Tan et al. Turkish coffee: arte and factum–paraphernalia of a ritual from ember to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