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151B1 -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 Google Patents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151B1
KR101543151B1 KR1020140026820A KR20140026820A KR101543151B1 KR 101543151 B1 KR101543151 B1 KR 101543151B1 KR 1020140026820 A KR1020140026820 A KR 1020140026820A KR 20140026820 A KR20140026820 A KR 20140026820A KR 101543151 B1 KR101543151 B1 KR 10154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per
wall
coffee
outer cu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채일
Original Assignee
반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채일 filed Critical 반채일
Priority to KR1020140026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추출장치인 드립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커피 분말을 수용하고 있는 본체 하부에 받침대와 추출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드립퍼가, 센터에 내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안착면을 중심으로 외측 테두리에는 높이 형성된 외벽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테두리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내벽이 형성되어 있는 외컵에 끼워져 안착되어 있게 되면 본체와 외벽 사이의 일정한 내공간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수용부에 뜨거운 물이 주입되었을 때 내측에 위치한 본체의 경사면을 예열시켜 줌으로써,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커피를 내려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DRIPER}
본 발명은 커피 추출장치인 드립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여과시간 동안 걸러지는 물이 온도차가 최소화된 상태로 걸러지도록 하는 드립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립식(Drip) 커피는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커피 추출 방식으로, 특히 미국과 독일에서 애용되고 있다. 잘게 간 커피 원두를 드립퍼에 담은 후 뜨거운 물을 살짝 부어주게 되면 커피가루가 물을 머금고 살짝 부풀어 오르면서 커피의 맛과 향이 더 잘 우러나오게 된다. 그리고 이후 뜨거운 물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골고루 부어주면, 걸러진 물이 드립퍼의 리브를 따라 내려오면서 용기에 담겨 지는 추출방법이다.
참고로 이러한 커피는 기호식품이고 많은 사람들이 마시게 되면서, 각자의 입맛에 맞게 만들어 먹길 원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 주기 위하여 다양한 제조방법과 다양한 종류의 커피가 나오게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커피의 원두가 동일하다면 커피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물의 온도나 상태(주입되는 물의 양 속도 등등)에 따라 그 맛이 변하게 된다.
즉, 드립퍼 안쪽에 여과지와 커피가루를 넣고 히팅된 물을 넣을 경우 물의 온도가 대략 90℃일때 최상의 추출 조건을 가지고, 통상 마일드한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은 85℃에서 90℃사이의 물을 드립퍼로 붙고, 진한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은 90℃에서 95℃의 히팅된 물을 드립퍼로 부어, 통상 1ℓ당 55g정도의 비율로 4~5분 동안의 여과시간을 가진다.
그러나 드립퍼를 통해 걸려진 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상단이 오픈되어 있어야지만 중력에 의해 물이 아래로 내려오기 때문에 여과시간 동안 걸러지는 물은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지면서 조금씩 물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던 드립퍼를 사기로 만들어 열의 보존력을 높인 드립퍼가 개발되게 되었지만 (국내등록디자인공보 등록번호:30-0755084 등록일자:2014년 07월 28일), 재질의 한계로 인해 잘 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소재의 특성상 뜨거운 물로 사기로 만들어진 드립퍼를 적셔줘서 예열한 후 사용해야지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열전도도가 우수한 동으로 만들어진 드립퍼가 나왔지만, 일단 가격이 비싸고 보관이 까다로우며, 물기가 남아있는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얼룩이 짐으로, 보관시 서늘한 곳에 보관하여야지만 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고 특히 열의 보전력이 우수하여 온도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드립식 방식으로 커피가 걸러지도록 하는 드립퍼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커피 분말을 수용하고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받침대 및 추출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드립퍼가,
센터에 내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안착면을 중심으로, 상기 안착면의 외측 테두리에 상방향으로 높이 형성된 외벽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테두리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내벽이 형성되어 있는 외컵이 안착되어 있을 때,
상기 드립퍼의 하단이 내입구에 안쪽에 끼워져 결합되어지게 되면 드립퍼의 본체와 외벽 사이의 공간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뜨거운 물이 주입되어졌을 때 내측에 위치한 본체의 경사면이 예열되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립퍼와 외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컵 안쪽에 드립퍼를 끼워 안착시켜 주게 되면, 상기 드립퍼와 외컵 사이에 수용부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수용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지게 되면 내측에 위치한 본체가 예열되어져, 드립식 방식으로 커피 내려주더라도 온도차가 최소화된 상태로 커피가 내려져 맛있는 커피를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립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립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립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립퍼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드립퍼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드립퍼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립퍼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컵에 드립퍼가 안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외컵과 드립퍼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외컵과 드립퍼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피 분말을 수용하고 있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받침대(18) 및, 상기 본체(11)와 받침대(18)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추출구(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드립퍼(10)가,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내입구(23a)를 형성하고 있는 안착면(22)을 중심으로, 외측 테두리에는 상방향으로 직립되어 있는 외벽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테두리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내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외컵(20) 위에 상기 드립퍼(10)가 안착되어져 있을 때,
상기 드립퍼(10)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15)(14)가 외컵(20)의 내입구(23a)에 끼워져 받침대(18) 하단과 안착면(22)이 서로 밀착되어져 있으면,
상기 드립퍼(10) 본체(11)와 외벽 사이에 상단이 오픈되어 있는 내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내공간에 뜨거운 물이 주입되어지게 되면, 내측에 위치한 본체(11)의 경사면(12)이 달구어져 예열되어지도록 하는 수용부(21)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드립퍼(10)의 본체(11) 안쪽에는 단면이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여과지가 끼워져 장착되어지고, 상기 여과지 안쪽에는 물과 커피 가루가 드립되어지게 된다. 이때 본체(11)의 경사면(12)에는 여과지와 경사면(12) 사이가 이격되어져 있도록 하는 리브(13)들이 경사면(1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뜨거운 물을 본체(11)에 드립하여 주게 되면, 드립된 물은 여과지를 통과하여 상기 여과지와 경사면(12)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나오게 되고, 이때 나온 물은 경사면(12)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13)를 따라 본체(11)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추출구(14) 밖으로 빠져나와 커피 포트(30)에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테(15)에는 외측 밀착면에 안쪽으로 내입된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16)에는 걸림턱(16)의 너비보다 큰 지름을 가진 오링(17)이 장착되어져 있어, 상기 드립퍼(10)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15)가 외컵(20)의 내입구(23a)에 끼워지게 되면,
걸림턱(16)에 끼워져 있는 오링(17)이 수축하여 내벽의 내입면(23b)과 오링(17)이 밀착되어 수용부(21)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뜨거운 물이 누수되지 않토록 한 상태로 장착되어져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외컵(20)은 실시 예에 따라 내입구(23a)와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는 내입면(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결합부(23)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6)에 오링(17)이 끼워져 있을 때 드립퍼(10)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15)가 끼워져 장착되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입구(23a)가 형성되어 있는 외컵(20)에 드립퍼(10)를 안착시켜 주었을 때 외컵(20)의 내입구(23a)에 드립퍼(10)의 하단이 끼워져 물 빠짐이 방지된 상태에 있게 되면, 상기 외컵(20)과 본체(11) 사이에 일정한 내공간을 가지는 수용부(21)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수용부(21)에 뜨거운 물이 부어져 내측에 위치한 드립퍼(10)의 경사면(12)을 예열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드립퍼(10)로 커피분말과 뜨거운 물을 내려 주게되면, 뜨거운 물이 여과지를 통과하여 예열된 경사면(12)을 따라 추출구(14) 밖으로 나와 하부의 커피 포트(30)로 내려오게 되면서 온도차이가 최소화된 상태로 커피를 내려 줄 수 있게 되어 가장 맛있는 커피를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의 드립퍼(10)와 외컵(20)은 서로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여, 안착면(22)과 외벽에 끼여져 있는 물때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줄 수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 외컵(20)과 드립퍼(10) 사이에 수용부(21)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드립퍼(10)와 외컵(20)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수용부(21)의 물 빠짐이 방지된 상태로 내측에 위치한 드립퍼(10)의 경사면(12)을 예열시켜 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드립퍼 11:본체
12:경사면 13:리브
14:추출구 15:돌출테
16:걸림턱 17:오링
18:받침대 20:외컵
21:수용부 22:안착면
23:결합부 23a:내입구
23a:내입면 30:커피포트

Claims (3)

  1. 커피 분말을 수용하고 있는 본체 하부에 받침대와 추출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드립퍼가
    센터에 내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안착면을 중심으로, 상기 안착면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방향으로 높이 형성된 외벽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테두리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내벽이 형성되어 있는 외컵위에 안착되어 있을 때,
    상기 드립퍼의 하단이 내입구에 안쪽에 끼워져 있으면, 드립퍼의 본체와 외벽 사이의 일정한 내공간을 가지는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뜨거운 물이 주입되어 있을 때 내측에 위치한 본체의 경사면을 예열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컵의 내벽에는 혹은 드립퍼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에는,
    안쪽으로 내입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에는 걸림턱의 너비보다 큰 지름을 가진 오링이 장착되어져 있어,
    상기 드립퍼 하단의 돌출테가 외컵의 내입구에 끼워져 있게 되면 걸림턱에 끼워져 있는 오링이 수축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면서 상부의 수용부에 담겨져 있는 뜨거운 물이 아래로 내려와 누수되지 않토록 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컵과 드립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KR1020140026820A 2014-03-06 2014-03-06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KR10154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820A KR101543151B1 (ko) 2014-03-06 2014-03-06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820A KR101543151B1 (ko) 2014-03-06 2014-03-06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151B1 true KR101543151B1 (ko) 2015-08-07

Family

ID=5388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820A KR101543151B1 (ko) 2014-03-06 2014-03-06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1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959A (ko) 2018-12-10 2020-06-18 (유)씨엔씨커피 휴대성이 향상된 드립용 원두커피용기
KR102347497B1 (ko) * 2021-05-10 2022-01-06 주식회사 우신인터내셔널 보온 기능을 구비하는 드립 커피 추출기
KR20230062956A (ko) * 2021-11-01 2023-05-09 김현준 커피 드리퍼
EP4215089A1 (en) * 2022-01-21 2023-07-26 Wistron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ling structure and filt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7504A (en) 1981-04-02 1983-11-29 Mitsumoto Coffee Co., Ltd. Regular coffee set
JP2002000457A (ja) 2000-06-23 2002-01-08 Sekisui Chem Co Ltd 電子レンジ用抽出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7504A (en) 1981-04-02 1983-11-29 Mitsumoto Coffee Co., Ltd. Regular coffee set
JP2002000457A (ja) 2000-06-23 2002-01-08 Sekisui Chem Co Ltd 電子レンジ用抽出器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959A (ko) 2018-12-10 2020-06-18 (유)씨엔씨커피 휴대성이 향상된 드립용 원두커피용기
KR102347497B1 (ko) * 2021-05-10 2022-01-06 주식회사 우신인터내셔널 보온 기능을 구비하는 드립 커피 추출기
KR20230062956A (ko) * 2021-11-01 2023-05-09 김현준 커피 드리퍼
KR102665081B1 (ko) * 2021-11-01 2024-05-09 김현준 커피 드리퍼
EP4215089A1 (en) * 2022-01-21 2023-07-26 Wistron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ling structure and filt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151B1 (ko)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EP2292129B1 (en) Brew through lid, assembly of a thermal carafe and a brew through lid as well as a coffee maker including such an assembly
US10674858B2 (en) Pour over beverage system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20150359377A1 (en) Single Cup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50257582A1 (en) Refillable beverage brewer system
KR101860740B1 (ko) 콜드 브루용 캡슐
KR101437136B1 (ko)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US20210267406A1 (en) Infuser Technology For Drinking Containers
US20150053090A1 (en) Portable cup lid assembly with a d-shaped infuser basket or strainer
US20210330114A1 (en) Portable coffee drip-brewer
KR101720015B1 (ko)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KR101615996B1 (ko)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KR101651519B1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KR101606524B1 (ko)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장치
US20170354288A1 (en) Machine, method and system for brewing a beverage
US2916599A (en) Glass electric percolator
KR101804326B1 (ko)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US3935804A (en) Coffee brewer
CN107048913B (zh) 一种三合一多用途的功夫茶杯
KR101894843B1 (ko) 커피 드립퍼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JP2009050343A (ja)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CN204889647U (zh) 饮料过滤装置
CN105147015B (zh) 一种泡茶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