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996B1 -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996B1
KR101615996B1 KR1020140180003A KR20140180003A KR101615996B1 KR 101615996 B1 KR101615996 B1 KR 101615996B1 KR 1020140180003 A KR1020140180003 A KR 1020140180003A KR 20140180003 A KR20140180003 A KR 20140180003A KR 101615996 B1 KR101615996 B1 KR 10161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plate
support frame
water
wat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오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진 filed Critical 오승진
Priority to KR102014018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 커피 드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더치 커피 드립 장치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는 물병, 물병과 결합되어 물병 내에 저장된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패킹부, 패킹부를 통해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내재된 커피 분말 또는 커피콩을 통과하면서 커피액을 추출하여 하부에 낙하시키는 드립퍼, 커피액을 저장하는 커피추출액 저장용기 및 커피액 추출시 물병, 드립퍼 및 커피추출액 저장용기를 거치하며, 커피액 추출이 완료되어 물병, 드립퍼 및 커피추출액 저장용기가 분해되면 이동가능 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접이식 스탠드를 포함하는 더치 커피 드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PORTABLE DEVICE FOR DRIPPING DUTCH COFFEE}
본 발명은 휴대용 더치 커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더치 커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커피 시장은 매년 20%정도씩 성장할 정도로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최근 일반적인 인스턴트커피 보다는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원두품종과 원두에서 추출된 커피액을 이용한 여러 종류의 커피를 선택하여 즐기는 소비자 층 및 이를 집에서 직접 제조하여 즐기는 매니아 층이 두텁게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품질 좋은 원두들은 커피액을 추출하는데 있어서도 원두가루가 담긴 여과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커피 추출법, 포트에 원두가루를 넣고 고압상태로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법 및 장시간동안 원두가루에 차가운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더치커피 추출법 등 맛과 향에 따라 커피액을 추출하는 방법도 다양하다.
이들 중 더치커피 추출법은 커피가루에 소량의 차가운 물을 부으며 천천히 추출되는 방식으로, 3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된 더치커피는 오랜 시간을 추출해 쓴맛이 덜하고, 원두에 있는 향을 그대로 머금고 있어 향이 좋으며, 카페인 함유는 적어 몸에 자극적이지 않다는 장점 때문에 보급량도 점차 급증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더치커피의 상업화를 위해, 제조되는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이미 제조된 더치커피를 어디서든지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등록특허 제 10-1286926호(발명의 명칭: 더치커피 자동판매기)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더치커피 기구는 다른 커피제조기 보다 간단한 구조임에도 가격이 비싸고, 오랫동안 커피가 추출되기 위해 기구 자체를 키우거나, 용기를 키우는 대신 달팽이관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 물이 장시간 통과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더치커피 기구는 이동이 필요할 경우에 전도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이식 더치 커피 스탠드를 제공하여 이동이 편리한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더치 커피 드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을 저장하는 물병; 상기 물병과 결합되어 상기 물병 내에 저장된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패킹부; 상기 패킹부를 통해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내재된 커피 분말 또는 커피콩을 통과하면서 커피액을 추출하여 하부에 낙하시키는 드립퍼; 상기 커피액을 저장하는 커피추출액 저장용기; 및 상기 커피액 추출시 상기 물병, 드립퍼 및 커피추출액 저장용기를 거치하며, 상기 커피액 추출이 완료되어 상기 물병, 드립퍼 및 커피추출액 저장용기가 분해되면 이동가능 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접이식 스탠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스탠드는 상기 커피추출액 저장용기가 안착되는 받침 플레이트; 상기 받침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립퍼를 거치하도록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물병을 거치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양단에 기립하여 설치되며, 내측에 수직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영역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프레임 고정홀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며, 복수의 높이 조절홀이 형성된 지지 프레임; 상기 높이 조절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핀; 및 상기 높이 조절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플레이트는 상기 커피추출액 저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고정핀 또는 상기 프레임 고정핀을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핀보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승강될 때, 상기 지지 프레임과 동시에 승강에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도록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돌기;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 끝단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와 맞닿아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홈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는 상기 접이식 스탠드 이동시 사용되고, 상기 플레이트 고정핀이 상기 높이 조절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양끝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탈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는 상기 물병에 결합되는 마개; 상기 마개를 관통하여 상기 물병에 저장된 물을 상기 드립퍼에 제공하는 물배출홀; 상기 마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주입홀; 및 상기 공기주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물병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는 접이식 스탠드가 구비되어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물병을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의 접이식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이식 스탠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접이식 스탠드가 휴대용으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상부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접이식 스탠드에 구비된 스토퍼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치 커피 드립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는 물병(10), 패킹부(50), 드립퍼(20),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 및 접이식 스탠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병(10)은 물을 저장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물병(10)은 PET병 등의 재활용이 가능한 용기, 더치 커피 드립 장치를 위해 제조된 용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50)는 물병(10)의 입구에 설치되어 물병(10)을 밀폐시킨다. 패킹부(50)는 물병(10)에 저장된 물을 서서히 드립퍼(20)측에 제공한다.
패킹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량의 물을 서서히 드립퍼(20)측에 제공하기 위하여 마개(52), 물배출홀(54), 공기주입홀(56) 및 공기주입관(58)을 구비할 수 있다. 마개(52)는 물병(10)의 출입구를 밀폐할 수 있는 모양 및 재질로 형성된다. 마개(52)는 다양한 물병(10)에 적용할 수 있도록 종단면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배출홀(54)은 물병(10)의 물을 드립퍼(20)측으로 드롭시키도록 마개(5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공기주입홀(56) 및 공기주입관(58)은 물병(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물병(10)의 물이 지속적으로 드립퍼(20)측에 공급되도록 한다. 공기주입관(58)은 공기주입홀(56)에 삽입되어 물병(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드립퍼(20)는 내부에 커피가루 또는 커피콩이 내재하고, 패킹부(50)에서 물이 공급되면 커피를 추출하여 커피저장용기(30)에 드립한다. 드립퍼(20)는 상부가 물이 공급되도록 개방되며, 하부도 커피 추출액을 커피저장용기(30)에 공급하도록 개방된다. 드립퍼(20)의 내부의 아래쪽에는 커피 필터 등의 거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는 드립퍼(20)에서 추출된 커피액을 저장한다.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는 유리병, 컵, 포트 등의 용기 중 선택될 수 있다.
접이식 스탠드(100)는 물병(10), 드립퍼(20) 및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를 거치하거나, 안착시킬 수 있다. 접이식 스탠드(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탈착식 손잡이가 구비되어 커피 추출과 이동 등의 상황에 따라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이식 스탠드(100)는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의 접이식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이식 스탠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접이식 스탠드가 휴대용으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접이식 스탠드(100)는 받침 플레이트(110), 가이드 플레이트(120), 지지 프레임(130), 하부 플레이트(140), 상부 플레이트(150), 플레이트 고정핀(160) 및 프레임 고정핀(1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 플레이트(110)는 접이식 스탠드(100)의 하부에 형성된다. 받침 플레이트(110)는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가 안착되는 안착홈(112)이 구비된다. 받침 플레이트(110)는 중앙에 소정 깊이로 안착홈(112)이 형성되며, 안착홈(112)은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의 하부면의 넓이에 비해 더 큰 넓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110)의 안착홈(112) 주변에 플레이트 고정핀(160) 또는 프레임 고정핀(170)이 삽입되어 보관되는 고정핀보관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110)의 양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부착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2개의 플레이트가 받침 플레이트(110) 양변에 결합되어 기립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지지 프레임(130)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받침 플레이트(110)에 단단히 고정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는 지지 프레임(13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프레임 고정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22)은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프레임 고정홀(124)은 가이드홈(122)이 형성된 영역에 형성된다.
프레임 고정홀(124)은 지지 프레임(13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프레임 고정핀(170)이 삽입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130)은 상부 플레이트(150)와 하부 플레이트(140)를 지면에서 지지하도록 지면에 수직으로 기립된다. 지지 프레임(130)은 길이 조절을 위해 프레임을 관통하는 복수의 높이 조절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40)는 지지 프레임(130)에 양변이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13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부 플레이트(140)는 지지 프레임(130)의 폭에 상응하는 절개가 형성되며, 절개에 지지 프레임(1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40)는 드립퍼(20)를 거치하도록 중앙에 제1 개구부(142)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142)는 드립퍼(20)를 거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개구부(14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50)는 지지 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되며, 물병(10)을 거치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0)이 삽입되는 절개부(15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물병(10)을 거치하도록 중앙에 제2 개구부(152)가 형성된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150)는 제2 절개부(154)가 원형이 아닌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상부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50)의 제2 절개부(154)는 일변에서 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병(10)을 개구된 제2 절개부(154)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50)는 지지 프레임(130)에 형성된 높이 조절홀(132)의 최상부 또는 그 아래 높이 조절홀(132)에 삽입된 플레이트 고정핀(160)의 상부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커피액 추출이 완료된 후 접이식 스탠드(100)를 이동할 경우 플레이트 고정핀(160)을 빼고, 상부 플레이트(150)를 하부 플레이트(140)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프레임 고정핀(170)은 지지 프레임(130) 높이 조절홀(13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지지 프레임(130)을 가이드 플레이트(120)에 고정할 수 있다.
플레이트 고정핀(160)은 높이 조절홀(13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부 플레이트(150)를 고정한다. 또한, 플레이트 고정핀(160)은 도 6의 손잡이(180)가 장착될 경우, 손잡이(180)의 양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드롭 장치의 접이식 스탠드(100)는 커피액을 추출할 때, 물병(10), 드립퍼(20) 및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가 접이식 스탠드(100)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0)의 하단측에 형성된 높이 조절홀(132)이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프레임 고정홀(124)에 위치하고, 지지 프레임(130)은 프레임 고정핀(170)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플레이트(150)는 지지 프레임(130)의 상단측에 플레이트 고정핀(160)에 의해 위치한다.
커피액 추출 이후, 접이식 스탠드(100)를 휴대하여 이동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0)의 하단이 받침 플레이트(110)측으로 이동하고, 지지 프레임(130)의 중간에 위치한 높이 조절홀(132)이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프레임 고정홀(124)에 위치한다. 이후, 지지 프레임(130)은 프레임 고정핀(170)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플레이트(150)는 하부 플레이트(140)의 상부면에 안착된다. 손잡이(180)는 지지 프레임(130)의 최상단에 위치한 높이 조절홀(132)에 위치하고, 플레이트 고정핀(16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스탠드(100)가 형성되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접이식 스탠드에 구비된 스토퍼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토퍼(190)는 지지 프레임(130)이 가이드홈(1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이식 스탠드 상태에서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하여 지지 프레임(130)을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지지 프레임(130)이 가이드홈(12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90)는 지지 프레임(130)이 가이드홈(122)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 등을 형성한다.
예들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192)와 제2 돌기(194)를 가이드 플레이트(120)와 지지 프레임(130) 각각에 형성한다.
제1 돌기(192)는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내측 상부에 가이드 플레이트(1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 돌기(194)는 지지 프레임(130)의 하부 끝단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돌기(192)와 제2 돌기(194)는 맞닿아 지지 프레임(130)이 가이드홈(122) 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는 접이식 스탠드가 구비되어 이동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물병을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10: 물병
20: 드립퍼
30: 커피추출액 저장용기
50: 패킹부
52: 마개
54: 물배출홀
56: 공기주입홀
58: 공기주입관
100: 접이식 스탠드
110: 받침 플레이트
112: 안착홈
114: 핀보관홈
120: 가이드 플레이트
122: 가이드홈
124: 프레임 고정홀
130: 지지 프레임
132: 높이 조절홀
140: 하부 플레이트
142: 제1 개구부
150, 210: 상부 플레이트
152, 212: 제2 개구부
154, 214: 절개부
160: 플레이트 고정핀
170: 프레임 고정핀
180: 손잡이
190: 스토퍼
192: 제1 돌기
194: 제2 돌기

Claims (10)

  1.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더치 커피 드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을 저장하는 물병(10);
    상기 물병(10)과 결합되어 상기 물병(10) 내에 저장된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패킹부(50);
    상기 패킹부(50)를 통해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내재된 커피 분말 또는 커피콩을 통과하면서 커피액을 추출하여 하부에 낙하시키는 드립퍼(20);
    상기 커피액을 저장하는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 및
    상기 커피액 추출시 상기 물병(10), 드립퍼(20) 및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를 거치하며, 상기 커피액 추출이 완료되어 상기 물병(10), 드립퍼(20) 및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가 분해되면 이동가능 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접이식 스탠드(100)를 포함하되,
    상기 접이식 스탠드(100)는
    상기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가 안착되는 받침 플레이트(110);
    상기 받침 플레이트(11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립퍼(20)를 거치하도록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140);
    상기 하부 플레이트(140) 상부에 상기 물병(10)을 거치하도록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150, 210);
    상기 받침 플레이트(110)의 양단에 기립하여 설치되며, 내측에 수직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영역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프레임 고정홀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20);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며, 복수의 높이 조절홀이 형성된 지지 프레임(130);
    상기 높이 조절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50)의 위치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핀(160); 및
    상기 높이 조절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30)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20)에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핀(170)을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110)는
    상기 커피추출액 저장용기(30)가 안착되는 안착홈(112)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110)는
    상기 플레이트 고정핀(160) 또는 상기 프레임 고정핀(170)을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핀보관홈(114)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140)는
    상기 지지 프레임(130)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30) 승강될 때, 상기 지지 프레임(130)과 동시에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50, 210)는
    상기 지지 프레임(130)을 따라 승강하도록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154, 214)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30)이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90)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9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내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돌기(192); 및
    상기 지지 프레임(130)의 하부 끝단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192)와 맞닿아 상기 지지 프레임(130)이 상기 가이드홈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돌기(194)를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스탠드(100) 이동시 사용되고,
    상기 플레이트 고정핀(160)이 상기 높이 조절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양끝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30)에서 탈착되는 손잡이(180)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50)는
    상기 물병(10)에 결합되는 마개(52);
    상기 마개(52)를 관통하여 상기 물병(1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드립퍼(20)에 제공하는 물배출홀;
    상기 마개(5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주입홀(56); 및
    상기 공기주입홀(56)에 삽입되어 상기 물병(10)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58)을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KR1020140180003A 2014-12-15 2014-12-15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KR10161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003A KR101615996B1 (ko) 2014-12-15 2014-12-15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003A KR101615996B1 (ko) 2014-12-15 2014-12-15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996B1 true KR101615996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003A KR101615996B1 (ko) 2014-12-15 2014-12-15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9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4208A (zh) * 2017-07-12 2017-10-03 南京财经学校 一种水杯自动接水装置
KR102323349B1 (ko) * 2021-04-26 2021-11-09 주식회사 알시넷 얼음물 챔버가 구비된 교반식 커피 제조장치
KR102361645B1 (ko) * 2021-05-26 2022-02-14 마켓브릿지 주식회사 자동 드립 커피 메이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991U (ko) * 1976-07-15 1978-02-04
JPS55105028U (ko) * 1979-01-13 1980-07-22
KR20140040504A (ko) * 2012-09-26 2014-04-03 주은숙 더치 커피 머신
KR101382254B1 (ko) * 2013-06-05 2014-04-14 권일중 더치 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991U (ko) * 1976-07-15 1978-02-04
JPS55105028U (ko) * 1979-01-13 1980-07-22
KR20140040504A (ko) * 2012-09-26 2014-04-03 주은숙 더치 커피 머신
KR101382254B1 (ko) * 2013-06-05 2014-04-14 권일중 더치 커피 추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4208A (zh) * 2017-07-12 2017-10-03 南京财经学校 一种水杯自动接水装置
CN107224208B (zh) * 2017-07-12 2022-10-25 南京财经学校 一种水杯自动接水装置
KR102323349B1 (ko) * 2021-04-26 2021-11-09 주식회사 알시넷 얼음물 챔버가 구비된 교반식 커피 제조장치
KR102361645B1 (ko) * 2021-05-26 2022-02-14 마켓브릿지 주식회사 자동 드립 커피 메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1495B2 (en) Beverage brewing system
KR101615996B1 (ko)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US9113742B2 (en) Beverage brewing platform
KR20120078180A (ko)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KR101430912B1 (ko) 더치 커피 머신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KR200464674Y1 (ko) 커피 추출용 워터드립장치
US20150257582A1 (en) Refillable beverage brewer system
CA2616716C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US6527126B2 (en) Coffee filter restraint and flavor system
US20210330114A1 (en) Portable coffee drip-brewer
KR101543151B1 (ko)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KR101606524B1 (ko)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장치
US20190387916A1 (en) Coffee Press with Lipids Separation Chamber
KR101894843B1 (ko) 커피 드립퍼
US10426289B2 (en) Brewing material holder with a top water spray
KR101455150B1 (ko) 커피가루를 다지는 탬퍼 보관용 받침대와 겸용으로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용 홀더
US20210235917A1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s, apparatus and methods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US20220031112A1 (en) Adaptive service unit of a beverage machine
US20230320519A1 (en) Coffee maker
KR102027657B1 (ko) 커피 추출 장치
KR102017395B1 (ko) 커피 자동 추출 장치
JP3206782U (ja) 抽出装置
TW202235042A (zh) 具有撐紙肋的飲料濾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