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657B1 - 커피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657B1
KR102027657B1 KR1020170175773A KR20170175773A KR102027657B1 KR 102027657 B1 KR102027657 B1 KR 102027657B1 KR 1020170175773 A KR1020170175773 A KR 1020170175773A KR 20170175773 A KR20170175773 A KR 20170175773A KR 102027657 B1 KR102027657 B1 KR 102027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supply
water
supply pipes
stock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427A (ko
Inventor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조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래 filed Critical 조형래
Priority to KR102017017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6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는,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 상부 개방부와 하단에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물 공급 용기; 상기 각각의 개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아래를 향하며 길다란 관 형상을 하는 각각의 물 공급관;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각각의 물 조절봉; 및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물 공급관의 아래에 구비되고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원액 추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장치{Coffee brew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추출 장치는 로스팅(roasting) 한 커피 원두를 그라인딩(grinding) 하여 물을 가해 커피로부터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커피 추출은, 로스팅 된 원두의 특징, 그라인딩 된 원두의 입자,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 거름장치 등의 도구에 따라 커피 성분을 뽑아내는 것을 말한다. 뜨거운 물이 그라인딩 된 커피 입자에 스며 들어 가용성 성분이 용해되면 커피 입자 밖으로 용해된 성분이 용출된다. 커피 입자에 남은 가용성 성분과 뜨거운 물의 가용성 성분의 농도가 같아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커피 추출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추출용기 안에 물과 커피가루를 넣어 짧은 시간 동안 끊인 후 커피가루가 가라앉는 후 음용하도록 하는 달임 방식(decoction)(예를 들어, 터키식 커피)과, 추출용기 안에 물과 커피가루를 넣고 커피 성분이 용해되기를 다린 후 커피가루를 가라앉히고 음용하도록 하는 우려내기 방식(infusion)(예를 들어, 프렌치 프레스)과, 추출용기 안에 커피가루를 넣고 그 위에 뜨거운 물을 부어 밑의 용기에 떨어진 커피를 음용하도록 하는 여과 방식(brewing)(예를 들어, 커피메이커, 핸드드립, 워터드립)과, 분쇄된 커피가루에 뜨거운 물을 압력을 가해 통과시켜 음용하도록 하는 가압추출법(pressed extraction)(예를 들어, 모카포트, 에스프레소)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여과 방식을 이용한 커피 추출 장치가 가정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여과 방식의 커피 추출 장치는, 뜨거운 물이 추출용기 안에 있는 커피가루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바로 밑의 포트 용기로 떨어져 버려서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하부 받침대와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 상부 개방부와 하단에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물 공급 용기; 상기 각각의 개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아래를 향하며 길다란 관 형상을 하는 각각의 물 공급관;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각각의 물 조절봉;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물 공급관의 아래에 구비되고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원액 추출부; 및 상기 하부 받침대에 올려지며 상기 추출된 커피 원액을 받는 원액 저장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물 공급관은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하고 동일한 중심축 상에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상기 물 조절봉은 상기 물 공급관의 입구에 삽입된다.
삭제
일 예로,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이 뾰족하도록 그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피 원액 추출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며 통과공을 가지는 중간 받침대; 상기 중간 받침대에 지지되고 상단에 상단 개방부와 하단에 하단 개방부를 가지며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상의 여과컵;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상기 여과컵의 내주면에 안착되고 상기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여과지; 및 상기 여과컵의 상기 하단 개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된 커피 원액을 상기 원액 저장 용기로 산발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추출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유도 부재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허브를 기준으로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외주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싸는 용기 파지 부재; 및 상기 용기 파지 부재를 상기 수직 지지대에 대해 상하 이동시키는 제1 상하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하 이송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다랗게 구비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용기 파지 부재에 구비되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각각의 물 조절봉의 상단이 고정되어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물 공급 용기에 대해 상하 이동시키는 제2 상하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하 이송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의 제2 슬라이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상기 상부 개방부를 가로 질러 놓이는 가로 지지 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고리 형상의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와, 물 공급 용기와, 복수의 물 공급관과, 각각의 물 조절봉과, 그리고 커피 원액 추출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복수의 물 공급관을 통해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이 공급되므로 커피 원액 추출부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균일하게 우릴 수 있고, 이와 함께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조절봉을 통해 물과 커피가루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피 추출 장치 중 커피 원액 추출부의 추출 유도 부재가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피 추출 장치를 통해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피 추출 장치 중 커피 원액 추출부의 추출 유도 부재가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커피 추출 장치를 통해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와, 물 공급 용기(120)와, 복수의 물 공급관(130)과, 각각의 물 조절봉(140)과, 커피 원액 추출부(150)와, 그리고 원액 저장 용기(16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부(110)는, 물 공급 용기(120)와 커피 원액 추출부(150)와 원액 저장 용기(16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와 수직 지지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는 수직 지지대(112)를 바닥에 대해 지지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원액 저장 용기(160)를 받치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고, 수직 지지대(112)는 물 공급 용기(120)와 커피 원액 추출부(150)를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지지할 수 있다.
물 공급 용기(120)는, 물을 커피 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물 공급 용기(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물(10)이 채워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 상단에 상부 개방부(121)와 그 하단에 복수의 개구(122)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물 공급관(130)은,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의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10)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각 물 공급관(130) 말단에는 원추형 용기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 용기(120)의 각각의 개구(122)에 그 일단이 용접 또는 실링 부재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그 타단이 아래를 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물 조절봉(140)은,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각각의 물 조절봉(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 용기(120)의 상부 개방부(121)를 통해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조절봉(140)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물 조절봉(140)의 말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말단(141)이 뾰족하도록 그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같이, 물 조절봉(140)이 상향 이동되면 물 조절봉(140)의 외주면과 물 공급관(1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커지면서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점 커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물 조절봉(140)이 하향 이동되면 물 조절봉(140)의 외주면과 물 공급관(1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작아지면서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궁극적으로, 각각의 물 조절봉(140)을 통해 물(10)과 커피가루(20)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상술한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물(10)을 공급받아 이에 수용된 커피가루(20)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커피 원액(도 3의 30)을 추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되되 복수의 물 공급관(130)의 아래에 구비될 수 있고, 커피가루(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20)로부터 커피 원액(30)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받침대(151), 여과컵(152), 여과지(153), 그리고 추출 유도 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받침대(151)는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원액 저장 용기(160)를 향해 떨어지는 커피 원액(30)의 자유 낙하를 방해지 않도록 통과공을 가질 수 있다.
여과컵은, 중간 받침대(151)에 의해 파지되어 지지될 수 있고, 그 상단에 상단 개방부(152a)와 그 하단에 하단 개방부(152b)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과지(153)는, 여과컵(152)의 상단 개방부(152a)를 통해 여과컵(152)의 내주면에 안착될 수 있고 커피가루(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10)을 이용하여 커피가루(20)로부터 커피 원액(30)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유도 부재(154)는, 여과컵(152)의 하단 개방부(152b)에 고정될 수 있으며 추출된 커피 원액(30)을 원액 저장 용기(160)로 산발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발적인 떨어짐으로 인해 커피 원액(30)의 풍미가 더욱 풍성해지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추출 유도 부재(15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154b)가 허브(154a)를 기준으로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추출 유도 부재(154)는 팬 형상(fan shape)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추출 유도 부재(154)는 회전되지 않고 여과컵(152)의 하단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원액 저장 용기(160)는, 상술한 커피 원액 추출부(150)로부터 추출된 커피 원액(30)을 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에 올려져 놓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파지 부재(171)와 제1 상하 이송부(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 파지 부재(171)는 물 공급 용기(120)의 외주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쌀 수 있고, 제1 상하 이송부(172)는 용기 파지 부재(171)를 수직 지지대(112)에 대해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1 상하 이송부(17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다랗게 구비되는 제1 레일(172a)과, 용기 파지 부재(171)에 구비되며 제1 레일(172a)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17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하 이송부(172)를 이용하여 물 공급 용기(120)를 아래로 이동시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의 말단이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담긴 커피가루(20)에 어느 정도 묻힌 상태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러한 묻힌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추출되는 커피 원액(30)의 맛과 향을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81)와 제2 상하 이송부(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81)는 각각의 물 조절봉(140)의 상단을 함께 고정하여 연결할 수 있고, 제2 상하 이송부(182)는 연결 부재(181)를 물 공급 용기(120)에 대해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2 상하 이송부(18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81)의 상단에 구비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의 제2 슬라이더(182a)와, 물 공급 용기(120)의 상부 개방부(121)를 가로 질러 놓이는 가로 지지 부재(182b)와, 가로 지지 부재(182b)에 구비되며 제2 슬라이더(182a)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고리 형상의 안내 부재(18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하 이송부(182)를 이용하여 각각의 물 조절봉(140)을 아래로 이동시켜 각각의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러한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추출되는 커피 원액(30)의 맛과 향을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의하면, 지지부(110)와, 물 공급 용기(120)와, 복수의 물 공급관(130)과, 각각의 물 조절봉(140)과, 그리고 커피 원액 추출부(150)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복수의 물 공급관(130)을 통해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이 공급되므로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를 균일하게 우릴 수 있고, 이와 함께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조절봉(140)을 통해 물(10)과 커피가루(20)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물 20: 커피가루
30: 커피 원액 100: 커피 추출 장치
110: 지지부 111: 하부 받침대
112: 수직 지지대 120: 물 공급 용기
121: 물 공급 용기의 상부 개방부 122: 복수의 개구
130: 복수의 물 공급관 140: 복수의 물 조절봉
141: 물 조절봉의 말단 150: 커피 원액 추출부
151: 중간 받침대 151a: 통과공
152: 여과컵 152a: 여과컵의 상단 개방부
152b: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 153: 여과지
154: 추출 유도 부재 154a: 허브
154b: 복수의 블레이드 171: 용기 파지 부재
172: 제1 상하 이송부 172a: 제1 레일
172b: 제1 슬라이더 181: 연결 부재
182: 제2 상하 이송부 182a: 제2 슬라이더
182b: 가로 지지 부재 182c: 안내 부재

Claims (3)

  1.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 상부 개방부와 하단에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물 공급 용기;
    상기 각각의 개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아래를 향하며 길다란 관 형상을 하는 각각의 물 공급관;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각각의 물 조절봉; 및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물 공급관의 아래에 구비되고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원액 추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물 공급관은,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하고 동일한 중심축 상에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상기 물 조절봉은,
    상기 물 공급관의 입구에 삽입되는
    커피 추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커피 원액 추출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며 통과공을 가지는 중간 받침대;
    상기 중간 받침대에 지지되고 상단에 상단 개방부와 하단에 하단 개방부를 가지며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상의 여과컵;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상기 여과컵의 내주면에 안착되고 상기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여과지; 및
    상기 여과컵의 상기 하단 개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된 커피 원액을 산발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추출 유도 부재;
    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
KR1020170175773A 2017-12-20 2017-12-20 커피 추출 장치 KR10202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73A KR102027657B1 (ko) 2017-12-20 2017-12-20 커피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73A KR102027657B1 (ko) 2017-12-20 2017-12-20 커피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427A KR20190074427A (ko) 2019-06-28
KR102027657B1 true KR102027657B1 (ko) 2019-10-01

Family

ID=6706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773A KR102027657B1 (ko) 2017-12-20 2017-12-20 커피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6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71Y1 (ko) * 1998-02-04 2000-09-01 윤영노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KR100399643B1 (ko) * 2001-08-13 2003-09-29 연우인더스트리(주)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101430912B1 (ko) * 2012-09-26 2014-08-18 주은숙 더치 커피 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71Y1 (ko) * 1998-02-04 2000-09-01 윤영노 일회용 차(茶)의 추출용기
KR100399643B1 (ko) * 2001-08-13 2003-09-29 연우인더스트리(주)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101430912B1 (ko) * 2012-09-26 2014-08-18 주은숙 더치 커피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427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4083A (en) Self contained disposable coffee brewing device
EP3242579B1 (en) Infusion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US9492027B2 (en) Infusion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US4867880A (en) Brewing device
US4027582A (en) Art of brewing individual servings of coffee in a cup
CN115568280A (zh) 可构造成实现用于产生可食用提取物的多种方法的模块化系统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KR101382604B1 (ko) 스마트한 커피 드리퍼
US6527126B2 (en) Coffee filter restraint and flavor system
KR102027657B1 (ko) 커피 추출 장치
KR102373404B1 (ko) 휴대형 커피 드립-브류잉 장치
KR101615996B1 (ko)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KR102017395B1 (ko) 커피 자동 추출 장치
KR102123143B1 (ko)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WO2016112370A1 (en) Infusion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US20190387916A1 (en) Coffee Press with Lipids Separation Chamber
US20210267405A1 (en) Drip filter head and method
US20210235917A1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s, apparatus and methods
JP2023546968A (ja) 抽出セル
US20170273499A1 (en) Coffee percolator
KR101288241B1 (ko)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JP2814400B2 (ja) コーヒー淹れ器
KR101464987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2575613B1 (ko) 커피 드리퍼의 물 조절 장치
KR102111252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