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643B1 -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643B1
KR100399643B1 KR10-2001-0048703A KR20010048703A KR100399643B1 KR 100399643 B1 KR100399643 B1 KR 100399643B1 KR 20010048703 A KR20010048703 A KR 20010048703A KR 100399643 B1 KR100399643 B1 KR 10039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infusion
rod
sa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823A (ko
Inventor
이계한
원용수
이경묵
Original Assignee
연우인더스트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우인더스트리(주) filed Critical 연우인더스트리(주)
Priority to KR10-2001-004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6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겔의 수액을 조절하는 수액 공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3)가 일측에 형성되고, 조절된 수액이 유출되는 유출구(4)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3)가 형성된 방향의 내측에 삽입구(5)가 형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타단에 설치되어, 본체(2)를 밀봉시키고,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마개(6)와;
상기 마개(6)에 나사결합되고, 일단에는 조절손잡이(8)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수평의 삽입봉(9)이 형성된 조절봉(7)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액의 공급을 미세하게 조절하고, 수액 공급조절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수액 공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Control device of supply for injection}
본 발명은 링겔의 수액을 조절하는 수액 공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수액 공급조절 장치의 조절봉 끝단에 삽입봉을 형성함으로써 수액의 공급을 미세하게 조절하고, 수액 공급조절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수액 공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겔 액병이나 색에 수납된 수액이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 환자의 상태나 투여되는 수액이나 약액의 종류에 따라 투여되는 속도를 미세하게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중환자의 경우에는 투여량을 극히 소량씩 투여해야 만이 한다.
그리고 수액은 링겔 액병이나 색의 높이에 의해 발생한 수액의 정압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수액이 투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액공급조절장치는 수액공급호스의 외측에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호스를 압착시킴으로써 수액의 투여량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인데, 호스의 외측을 압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미세하게 수액의 투여속도를 조절할 수 없었다.
즉, 종래의 수액공급조절장치로는 공개실용신안 제1999-32991호가 있었으나, 이는 조절기 몸체에 조절로울러를 설치하여 레일식으로 수액호스를 압압하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투여되는 수액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없었고, 장시간 수액이나 약액을 투여하게 되면 호스의 복원력에 의해 투여량이 저절로 변화가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수액공급조절장치로는 공개실용신안 제94-11932호가 있으나, 이는 점적통의 하부에 수액 공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수액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수액 통로에 수직방향으로 조절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조절손잡이를 조금만 회동시켜도 투여되는 수액량의 변화가 많아 미세하게 수액의 투여량을 조절 할 수 없었고, 점적통에 수액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통상적인 수액 공급셋트에 사용할 수 가 없었다.
즉, 종래의 수액공급조절장치는 로울러나 밸브를 이용하여 수액공급부(호스)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공급유량이 단면적에 의해 결정되어 미세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매우 미세한 단면적의 조절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로울러나 밸브를 이용하여 단면적의 미세 조절을 하는 것이 어려워 수액량의 미세 조절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액이 미세한 틈새로 통과되도록 하고, 수액이 통과되는 통로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나 투여되는 수액이나 약액의 종류에 따라 투여되는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하고, 투여량을 극히 소량으로 투여할 수 있는 주사 수액 공급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수액 공급조절 장치를 별도로 제조하여 병원이나 시중에 공급되어 있는 수액 공급셋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주사 수액 공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조절된 수액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방향의 내측에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단에 설치되어, 본체를 밀봉시키고,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마개와;
상기 마개에 나사결합되고, 일단에는 조절손잡이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수평의 삽입봉이 형성된 조절봉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수액셋트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인 수액 공급 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액 공급 조절장치 2 : 본체 3 : 유입구
4 : 유출구 5 : 삽입구 7 : 조절봉
8 : 조절손잡이 9 : 삽입봉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액공급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액공급조절장치(1)는 본체(2)의 일측에 링겔병이나 색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약액이 유입되는 유입구(3)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유입구(3)로 유입된 수액의 공급속도가 조절된 수액이 환자의 체내로 공급되는 유출구(4)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2)의 내부 중 유출구(4)가 형성된 방향에 삽입구(5)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타단에는 마개(6)를 설치하여 상기 본체(2)의 내부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며, 상기 마개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를 형성하여 나사산을 형성시킨 후 상기 나사산에는 조절봉(7)을 체결하되, 상기 조절봉(7)의 일단에는 조절손잡이(8)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상기 삽입구(5)에 삽입되는 수평의 삽입봉(9)를 형성시켜 조절손잡이(8)를 회동시키면 조절봉(7)이 유출구(4)측으로 전진과 후퇴가 되도록 한다.
이때 , 상기 본체(2)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구(5)에 삽입되는 조절봉(7)의 삽입봉(9)은 상기 삽입구(5)의 내경 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삽입구(5)와 삽입봉(9) 사이로 수액이 통과할 경우 수액에 저항력이 생기도록 하며, 상기 삽입봉(9)은 길게 형성하여 삽입봉(9)이 삽입구(5)에 많이 삽입될 수록 통과되는 수액에 저항이생겨 수액이 잘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즉, 삽입구(5)의 구경이 1mm일 경우 삽입봉(9)의 직경을 0.75 ∼ 0.96mm로 하고, 삽입봉(9)의 길이는 4 ∼ 7Cm 정도로 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삽입구(5)의 구경이 1mm일 경우 삽입봉(9)의 직경을 0.8mm로 하고, 삽입봉(9)의 길이는 5Cm로 하는 것이 수액의 투여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절봉(7)의 조절손잡이(8)를 회동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절봉(7)의 삽입봉(9)이 유출구(4) 쪽으로 전진을 하거나 후진을 하여 본체(2)의 삽입구(5)에 삽입되는 깊이가 길거나 짧게 되어 유출구(4) 쪽으로 흐르는 수액에 저항력을 증감시켜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과 같이 유입구(3)에는 링겔액병(10)에 연결된 호스(12)를 연결하고, 유출구(4)에는 주사바늘(11)에 연결된 호스(12)를 연결한 후 조절봉(7)을 회동시키면 조절봉(7)이 전·후진 하여 유출구(4)로 유출되는 수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조절봉(7)의 삽입봉(9)을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수액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미세한 틈새를 통과하는 수액량은 통로의 거리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이를 식으로 나타내며 하기와 같다.
(Q: 수액량, A: 단면적, Dh:수력지름, ΔP: 압력차, μ: 점도, l:통로길이)
따라서 본 발명은 틈새통로의 거리 조절로 인한 수액의 통과 길이를 변화시켜 틈새 통로에서 발생하는 점성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제어하여 미세 수액량을 조절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나 투여되는 수액이나 약액의 종류에 따라 투여되는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 할 수 있으며, 호스의 중간에 수액공급조절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어느 수액공급셋트에든지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3)가 일측에 형성되고, 조절된 수액이 유출되는 유출구(4)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3)가 형성된 방향의 내측에 삽입구(5)가 형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타단에 설치되어, 본체(2)를 밀봉시키고,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마개(6)와;
    상기 마개(6)에 나사결합되고, 일단에는 조절손잡이(8)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수평의 삽입봉(9)이 형성된 조절봉(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수액 공급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봉(7)의 삽입봉(9)을 길게 형성하여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수액 공급조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5)의 구경이 1mm일 경우 삽입봉(9)의 직경을 0.75 ∼ 0.96mm로 하고, 삽입봉(9)의 길이는 4 ∼ 7C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수액 공급조절장치.
KR10-2001-0048703A 2001-08-13 2001-08-13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10039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03A KR100399643B1 (ko) 2001-08-13 2001-08-13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703A KR100399643B1 (ko) 2001-08-13 2001-08-13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823A KR20030014823A (ko) 2003-02-20
KR100399643B1 true KR100399643B1 (ko) 2003-09-29

Family

ID=2771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703A KR100399643B1 (ko) 2001-08-13 2001-08-13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6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21B1 (ko) 2011-11-18 2013-11-26 한국기계연구원 수액주입용 선형 2중유량조절장치
KR20160000769A (ko) * 2014-06-25 2016-01-05 한국기계연구원 실린더 튜브형 수액주입용 선형유량조절장치
KR20190074427A (ko) * 2017-12-20 2019-06-28 조형래 커피 추출 장치
KR20190080210A (ko) * 2017-12-28 2019-07-08 조형래 커피 자동 추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18B1 (ko) 2011-11-18 2013-11-26 한국기계연구원 수액주입용 선형유량조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21B1 (ko) 2011-11-18 2013-11-26 한국기계연구원 수액주입용 선형 2중유량조절장치
KR20160000769A (ko) * 2014-06-25 2016-01-05 한국기계연구원 실린더 튜브형 수액주입용 선형유량조절장치
KR101638139B1 (ko) * 2014-06-25 2016-07-20 한국기계연구원 실린더 튜브형 수액주입용 선형유량조절장치
KR20190074427A (ko) * 2017-12-20 2019-06-28 조형래 커피 추출 장치
KR102027657B1 (ko) * 2017-12-20 2019-10-01 조형래 커피 추출 장치
KR20190080210A (ko) * 2017-12-28 2019-07-08 조형래 커피 자동 추출 장치
KR102017395B1 (ko) * 2017-12-28 2019-09-02 조형래 커피 자동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823A (ko)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2441B1 (en) Multi-type medicinal fluid flow rate control apparatus and medicinal fluid injector comprising same
CN102438678B (zh) 具有受控流速的可注射产品的给药装置
US4210173A (en) Syringe pumping system with valves
US6206850B1 (en) Patient controllable drug delivery system flow regulating means
JP3833657B2 (ja) 静脈注入用薬液の流量調節デバイス
US8016790B2 (en) Infusion status indicator
WO1997047339A1 (en) Gravity infusion set for medical infusions
US20080004574A1 (en) Selectable rate intravenous infusion set
US8870834B2 (en) Controlled flow administration set
DE2951286A1 (de) Infusionseinrichtung
EP3019214B1 (en) Check valve system
JPH05506163A (ja) 流体注入器用流量調整器
US6500156B1 (en) Thumb-powered flushing device for catheters
CN105517596B (zh) 用于药物输注的调节器及包括该调节器的药物输注装置
EP3372262B1 (en) Medical liquid administration device
US20230011520A1 (en) Priming System for Infusion Devices
KR100749266B1 (ko) 약액 주입장치
JPS6125384B2 (ko)
KR100399643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DE19648326A1 (de) Gerät zum Verabreichen flüssiger Medikamente
KR100399644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EP4333932A1 (en) Drip chamber for a fluid administration system
WO2006120890A1 (ja) チューブおよび液体供給具
KR101794925B1 (ko) 다기능 약액 공급량 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